.서남지구의 15개 소수민족 간략정보
|
|
. |
이족 |
. |
|
인구 |
650만 명의 이족이 현재 윈난(云南),스추완(四川). 그리고 꾸이쩌우(貴州)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역사적으로 "諾蘇","納蘇"등으로도 불리워지다가 중국정권 수립이후 오늘날의 명칭이 확정되었다. | |
언어 |
자기 민족만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으며 6가지의 방언이 존재한다. |
기타 |
이족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 이족 거주지역에서는 목축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 |
. |
뿌이족 |
. |
|
인구 |
250 여 만명의 .뿌이(布依)족이. 꾸이쩌우(貴州)성 두곳의 자치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
언어 |
뿌이語를 사용하고 있으나 고유의 .문자는 없었고 20세기 들어 50년대에 뿌이문자를 만드는 시도를 벌이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다수가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 |
기타 |
뿌이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수려한 경치로 유명해 매년 수많이 관광객들이 찾는 유람지이기도 하다..농업을 위주로 하는 뿌이족은 예로부터 쌀농사에 종사해 왔다. | |
. |
와족 |
. |
|
인구 |
약 35만 명이 윈남성(云南省) 서남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와족에 대한 기록은 중국 주(周)나라 시기부터 찾아 볼 수 있으며 "哈瓦"라 불리우기도 했다. | |
언어 |
남아어계에 속하는 자신들만의 와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1950년대에 이르러 자신들만의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와족은 특히 노래와 춤을 좋아하는데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고 추는 춤인 "圓圈舞"는 이들만의 독특한 춤으로 유명하다. | |
. |
. |
나시족 |
. |
|
인구 |
약 30 여 만명이 윈난성(云南省) 리강(麗江)부근에 거주하고 있다. |
언어 |
나시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1,000년의 역사를 가진 문자를 갖고 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 |
기타 |
똥바교라고 하는 다신교를 신봉하는데 "똥바"란 "지혜로운 자"란 뜻이다. | |
. |
아창족 |
. |
|
인구 |
3만 여명의 아창(阿昌)족이 윈난(云南)성 내의 자치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아창족은 고대부터 중국 윈난(云南) 경내에 거주해 왔으며 峨昌, 俄昌,莪昌등의 이름으로도 불리워졌다. | |
언어 |
아창語를 사용하고 있고 민족 고유의 문자는 없다. |
기타 |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기로 유명한데 이들의 阿昌刀는 견고하면서도 아름다운 세공기술로. 유명하다. | |
. |
두롱족 |
. |
|
인구 |
현재 700 여 만명이 중국 서북방의 신지앙(新疆)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두롱족에 대한 통일된 명칭은 중국정권 수립이후에 정해�으며 이전까지는 "迪麻","曲人"등 다양한 호칭이 존재했다. | |
언어 |
자신들만의 언어를 갖고 있으나 문자는 없다. |
기타 |
두롱족은 천여년간 외부세계와 단절된 채 지내왔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원시사회 말기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민족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