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지구의 14개 소수민족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anchor_race02.gif) |
. |
후이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huizu.gif) |
인구 |
현재 900 여 만 명이 후이족(回族) 자치구를 중심으로 칭하이(靑海), 깐쑤(甘肅)등 주로 중국의 서북쪽에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내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가 많은 민족에 속한다.
|
역사 |
후이족의 조상들은 13세기 몽고족의 3차 서역정벌 때 포로 중국에 들어온 후이후이(回回)족으로 이들은 이후 중국에 정착해 중국인과 통혼하며 중국인으로 동화하게 되었고 지금의 후이족이 되었다. | |
언어 |
이슬람의 후예로서 아직까지도 자신들만의. 종교인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
기타 |
이슬람을 신봉하는 후이족들은 거주지의 중심에 淸眞寺라는 이슬람 사원을 건립하고 이 사원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즉 淸眞寺는 후이족들의 예배와 각종 종교활동의 중심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
. |
똥시앙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dongxiang.gif) |
인구 |
전체 인구는 대략 40 여 만명으로 주로깐쑤(甘肅)성의 동시앙(東鄕)족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칭하이(靑海)성등지에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똥시앙족(東鄕族)은 역사적으로 "東鄕士人","東鄕蒙古"등으로도 불리워 졌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중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무슬림을 지칭하는 호칭으로 중국정권 수립이후 현재의 호칭으로 통일되었다. | |
언어 |
똥시앙족은 별도의 자체 문자는 갖고 있지 않으며 몽고語계통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언어 이외에 중국어와 중국문자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똥시앙족의 생활습관과 신앙생활은 기본적으로 후이족과 여러가지 유사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부모가 중매쟁이를 통해 결혼상대를 정하는 결혼 풍습을 갖고 있다. | |
. |
싸라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salazu.gif) |
인구 |
현재 약 9만 여 명이 칭하이(靑海), 깐쑤(甘肅)에 거주하고 있으며 신장지역에서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중동의 이슬람계열 민족으로 중국(元)왕조 시기 중국으로 건너와 이후 다른 민족들과 함께 거주하게 되면서 오늘날의 싸라족이 되었다. | |
언어 |
중국에 거주하면서 중국어와 장어(藏語)의 영향을. 받은 언어을 사용하고 있으나 자체 문자는 없고 한자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이슬람계열인 싸라족역시 회교을 숭배하며생활습관에 있어 기타 이스람계열의 소수민족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 |
. |
바오안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baoanzu.gif) |
인구 |
현재 만오천 명 가량이 깐쑤(甘肅)성내의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고 일부는 칭하이(靑海)성의 循化현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바오안족(保安族)은 자신들의 호칭으로 역사적으로는 "回回","保安回"등으로 불리우다 중국정권 수 립이후 오늘날의 호칭으로 불리워지게 되었다. | |
언어 |
자신의 언어는 갖고 있으나 자체적인 문자는없다.
|
기타 |
바오안족 역시 이슬람계열 민족으로 다른 후이족(回族),똥시앙족(東鄕族)과 생활습관등에서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 | |
. |
위꾸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yuguzu.gif) |
인구 |
현재 만삼천 여 명의 위꾸족(裕固族)이 깐쑤(甘肅)성에 주로 거주하고 이다.
|
역사 |
중국 당(唐)나라 시기 유목민족이 깐수(甘肅)성으로 이주하여 유목생활을 하였는데 이중의 일부가 오늘날의 위꾸족으로 남게 되었다. | |
언어 |
중국어와 함께 동부위꾸語,서부위꾸語를 사용하고 있으나 자체적인 문자는 이미 소실되었다.
|
기타 |
위꾸족은 주로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라마교를 신봉하고 생활풍속에 있어 창족(藏族)과 유사점을 나타낸다. | |
. |
투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tuzu.gif) |
인구 |
주로 칭하이(靑海)성 내의 투족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약 20 여 만명이 생활하고 있다.
|
역사 |
투족(土族)이란 명칭이외에도 "夢古爾","土戶家"등으로도 불리워졌으며 투족의 원조는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 |
언어 |
알타이어語계통에 속하는 투족語를 사용하며 이는 다시 3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
기타 |
원래목축업에 종사하였으나 중국 명(明)나라 이후 점차 농업을 위주로 생계를 이어나가고 있다.그러나 현재에 이르러서도 집집마다 양을 기르는 목축업의 전통이 남아 있으며 종교로는 라마교를 신봉한다. | |
. |
웨이우얼족 |
. |
![](http://etourchina.webzero.kr/culture/race_weiuerzu.gif) |
인구 |
현재 700 여 만명이 중국 서북방의 신지앙(新疆)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웨이우얼(維吾爾)은 자신들의 민족 자칭으로 "협동"이란 뜻을 갖고 있다.웨이우얼족의 기원은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 |
언어 |
알타이어 계통에 속하는 웨이월語를 사용하고 있다.문자는 중국정권 수립이후 라틴자모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다시 옛 웨이우얼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웨이우얼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면화,소맥,쌀 등을 생산하며 특히 웨이우얼족의 면화 생산지는 그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종교는 11세기 이후 대부분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