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스크랩] 서북지구의 14개 소수민족 간략정보

수호천사1 2008. 11. 26. 23:47

서북지구의 14개 소수민족 

 

.
후이족
.
인구

현재 900 여 만 명이 후이족(回族)  자치구를 중심으로 칭하이(靑海), 깐쑤(甘肅)등 주로 중국의 서북쪽에 거주하고 있으며 중국내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가 많은 민족에 속한다.

 

역사
후이족의 조상들은 13세기 몽고족의 3차 서역정벌 때 포로 중국에 들어온 후이후이(回回)족으로  이들은 이후 중국에 정착해 중국인과 통혼하며 중국인으로  동화하게  되었고  지금의 후이족이 되었다.
언어

이슬람의 후예로서 아직까지도 자신들만의. 종교인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기타
이슬람을 신봉하는 후이족들은 거주지의 중심에  淸眞寺라는  이슬람 사원을  건립하고 이 사원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즉 淸眞寺는 후이족들의 예배와 각종 종교활동의 중심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똥시앙족
.
인구

전체 인구는 대략 40 여 만명으로 주로깐쑤(甘肅)성의 동시앙(東鄕)족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칭하이(靑海)성등지에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역사
똥시앙족(東鄕族)은  역사적으로  "東鄕士人","東鄕蒙古"등으로도 불리워 졌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중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무슬림을 지칭하는 호칭으로 중국정권 수립이후 현재의 호칭으로 통일되었다.
언어

똥시앙족은 별도의 자체 문자는 갖고 있지 않으며 몽고語계통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언어 이외에 중국어와 중국문자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기타
똥시앙족의 생활습관과 신앙생활은 기본적으로 후이족과 여러가지 유사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부모가 중매쟁이를 통해 결혼상대를 정하는 결혼 풍습을 갖고 있다.
.
싸라족
.
인구

현재 약 9만 여 명이 칭하이(靑海), 깐쑤(甘肅)에 거주하고 있으며 신장지역에서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역사
중동의 이슬람계열 민족으로 중국(元)왕조 시기 중국으로 건너와 이후 다른 민족들과 함께 거주하게 되면서 오늘날의 싸라족이 되었다.
언어

중국에 거주하면서 중국어와 장어(藏語)의 영향을. 받은 언어을 사용하고  있으나 자체 문자는 없고 한자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기타
이슬람계열인 싸라족역시 회교을 숭배하며생활습관에 있어 기타 이스람계열의 소수민족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
바오안족
.
인구

현재 만오천 명 가량이 깐쑤(甘肅)성내의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고 일부는 칭하이(靑海)성의 循化현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바오안족(保安族)은  자신들의  호칭으로  역사적으로는 "回回","保安回"등으로 불리우다 중국정권 수 립이후  오늘날의 호칭으로 불리워지게 되었다.
언어

자신의 언어는 갖고 있으나 자체적인 문자는없다.

 

기타
바오안족 역시 이슬람계열 민족으로 다른 후이족(回族),똥시앙족(東鄕族)과 생활습관등에서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
.
위꾸족
.
인구

현재 만삼천 여 명의 위꾸족(裕固族)이 깐쑤(甘肅)성에 주로 거주하고 이다.

 

역사
중국 당(唐)나라 시기  유목민족이  깐수(甘肅)성으로 이주하여 유목생활을 하였는데 이중의 일부가 오늘날의 위꾸족으로 남게 되었다.
언어

중국어와 함께 동부위꾸語,서부위꾸語를 사용하고 있으나  자체적인  문자는 이미 소실되었다.

 

기타
위꾸족은 주로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라마교를 신봉하고 생활풍속에 있어 창족(藏族)과 유사점을 나타낸다.
.
투족
.
인구

주로 칭하이(靑海)성 내의 투족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약 20 여 만명이 생활하고 있다.

 

역사
투족(土族)이란  명칭이외에도 "夢古爾","土戶家"등으로도 불리워졌으며 투족의 원조는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언어

알타이어語계통에 속하는 투족語를 사용하며 이는 다시 3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기타
원래목축업에 종사하였으나 중국 명(明)나라 이후 점차  농업을  위주로  생계를 이어나가고 있다.그러나 현재에 이르러서도 집집마다 양을 기르는 목축업의 전통이 남아 있으며 종교로는 라마교를 신봉한다.
.
웨이우얼족
.
인구

현재 700 여 만명이 중국 서북방의 신지앙(新疆)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웨이우얼(維吾爾)은 자신들의  민족 자칭으로  "협동"이란 뜻을 갖고 있다.웨이우얼족의 기원은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언어

알타이어 계통에 속하는 웨이월語를 사용하고 있다.문자는 중국정권  수립이후 라틴자모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다시 옛 웨이우얼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웨이우얼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면화,소맥,쌀 등을 생산하며 특히 웨이우얼족의 면화 생산지는 그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종교는 11세기 이후 대부분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

..
하사커족
.
인구

현재 110 여만 명이  주로 중국  서북부의  신지앙 (新疆),깐쑤(甘肅)성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하사커란 "전사(戰士)"란뜻이며 15세기 무렵부터 중국내에서하사커족에 대한 기록을 발견할 수 있다.
언어

알타이어 계통의 하사커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라비아 자모를 기초로한 하사커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고기와 유제품을 주식으로 하며 봄,여름,가을에는 원형의 파오에서 생활하고 추운 겨울에는 흙집이나 나무집에서 생활한다.종교는 주로 이슬람교를 신봉한다.
.
우즈비에커족
.
인구

대부분이 중국 서북부의 신지앙 (新疆)성에 거주하며 현재 만오천 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역사
우즈비에커족은 15세기  무렵부터 신지앙부근에 정착해 생활하였고 오늘날 중국내의 우즈비에커족이 되었다.
언어

자신들만의 우즈비에커語를 사용하며,웨이우얼語와 유사하며  웨이우얼語를  사용하는 우즈비에커족도 많다.

 

기타
우지비에커족은 수공예에 능하고 부녀자들은 꾸미기를 좋아해 각종 장식품이 발달했고 춤과 노래에도 능하다.
.
커얼커즈족
.
인구

"커얼커즈"란 "40명의 아가씨"를  의미하며 15만 여명이 신지앙(新疆)지역 서남부의 자치주 및  북부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중국 한(漢)나라 이래 여러 명칭으로 불리웠던 커얼커즈족은 중국정권 성립이후 오늘의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언어

알타이어계통에 속하는 커얼커즈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2가지의  방언으로 다시 나누어진다.문자는 아라비아 자모를 기초로한 문자를 창제해 사용하고 있다.

 

기타
커얼커즈족은 독특한 결혼풍습을 갖고 있는데 결혼식은 3일에 걸쳐 거행되며 일반적으로 월말에. 날짜를 골라 진행한다.
.
시보족
.
인구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롱지앙(黑龍江)등지에  20 여 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역사
시보족(錫伯族)의 조상은 鮮卑人으로  16세기  몽고 "八旗"에 편입된 이후 18세기 중엽에는 변방수비를 강화하려는 청(淸)왕조에 의해 신지앙(新疆)으로 이주되기도 했었다.
언어

시보語와 함께 시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시보족은 특히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한것으로 유명하다..
.
어루오스족
.
인구

중국내의 러우오스족은 러시아제국의  격변기에  러이사에서 이주해 온 민족으로 주로 신지앙(新疆)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만 오천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역사
어루오스語와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어루오쓰의 여성들이 사용하는 장식품들은 다양한 품목으로 유명하며 발고 명랑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
타지커족
.
인구

현재 삼만오천  여명가량의 타지커족이  신지앙(新疆) 자치구 서남부의 자치현내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타지커족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옛날 "실크로드"의 경유지로서 타지커족은 실크로드를 통해 동서양의 문물을 접해왔으며 이러한 토대위에 자신의 문화를 꽃피웠다.
언어

언어는 웨이우얼語을 많이 사용하며 문자를 갖고 있다.종교는 주로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으며 목축업에 종사한다.

 

기타
타지커족은 호탕하고 기개가 넘치며 이들에게  "독수리"는 영웅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
.
타타얼족
.
인구

현재 5 천 여명의 타타얼족이  신지앙(新疆)성 내의 자치지역에 거주하고있다.

 

역사
역사적으로 "達旦"이라 불리어졌으며 20세기초 신지앙(新疆)성으로 이주해온 후 중국 소수민족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언어

알타이어계에 속하는 자신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문자또한 가지고 있다.

 

기타
타타얼족은 예로부터 상업에 종사해 왔으며 중국과 러시아간의 무역에서 중계역할을 담당해왔다.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