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석학들이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 ‘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는 ‘한국에서 쓰는 한글이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 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라고 극찬한 바 있다.(조선일보 94.5.25).
그는 또 ‘한글이 간결하고 우수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고 말한다.
또 소설 『대지』를 쓴 미국의 유명한 여류작가 ‘펄벅’은 한글이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글자이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하였다.
그리고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극찬하였다(조선일보 96.10.7).
그런가 하면 시카고 대학의 메콜리(J. D. McCawley) 교수는 미국사람이지만 우리나라의 한글날인 10월9일이면 매해 빠짐없이 한국의 음식을 먹으며 지내고 있다고 한다(KBS1, 96.10.9).
몇 년 전 프랑스에서 세계 언어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학술회의가 있었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자들은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 회의에서 한국어를 세계공통어로 쓰면 좋겠다는 토론이 있었다고 한다(KBS1, 96.10.9).
1986년 5월, 서울대학교 이현복 교수는 영국의 리스대학의 음성언어학과를 방문하였다.
그때 리스대학의 제푸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는 한글이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도 독특하지만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음성학적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파생해내는 방법(‘ㄱ-ㅋ-ㄲ’)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훌륭하다고 극찬하였다.
그러면서 한글을 표음문자이지만 새로운 차원의 자질문자(feature system)로 분류하였다.
샘슨교수의 이러한 분류방법은 세계최초의 일이며 한글이 세계 유일의 자질문자로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문자의 사치’라 하였다.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는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였다.
한글은 가장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고 있다
한글 문화권에 사는 우리가 외국어를 배우기는 더 쉽다.
영어발음을 90% 이상 나타낼 수 있다.
소리의 표현은 우리 말로 8,800개를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어는 300개, 중국말(한자)은 400여개라고 하니 우리말의 표현력이 무려 20배가 넘는다.
세계 언어 중에 단연 독보적인 존재인 것이다.(조선일보, 96.10.7, 재미동포 박춘양의 발표기사)
세종대왕의 가치를 단순히 이러한 문화유산을 우리에게 물려준 선각자 정도로만 인식하고 넘어가버리면 우리는 너무나 많은 것을 잃어버리게 된다.
그의 통치 리더쉽, 인재 등용의 용단, 끊임없는 탐구심,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 토론을 마다하지 않았던 열린 사고,.....
그가 가지고 있었던 그 모든 능력들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이 그 바탕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우리 후손들의 가장 막중한 사명감 하나가 있다.
세종이란 이름을 반드시 오늘에 되살리는 일이다.
아무도 그 시대 이후로 그만한 성군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도 그 만큼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도 그 만큼 국가경쟁력을 상승시킨 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글을 활용한 도시환경 꾸미기 (이원태) (0) | 2008.10.07 |
---|---|
[스크랩] 한글의 우수성과 한류의 뿌리 (최기호) (0) | 2008.10.07 |
[스크랩] 세종대왕 다시 보기 (0) | 2008.10.07 |
[스크랩] 한글은 그 자체가 응용 가능한 24개의 디지털 기호로써 무한 표현 가능 (0) | 2008.10.07 |
[스크랩] [포토] 한글 주간 선포식 (한글주간 : 9.4~11) (0) | 2008.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