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조덕영 칼럼] 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입력 : 2015.10.07 17:41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4)-아담과 하와를 통해 본 악 ▲조덕영 박사. 성경의 인물로 본, 악과 고통에 대한 신학적 단상 성경의 인물들을 정형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악의 문제와 관련하여 성경의 주요 인물들은 중.. 평신도신학 2015.10.09
[스크랩] 악(惡)은 어디서 온 것인가? [조덕영 칼럼] 악(惡)은 어디서 온 것인가? 입력 : 2015.09.09 16:36 평신도를 위한 신정론 해석(1) ▲조덕영 박사. 기독교 신정론이 대두되는 이유 “악(惡)은 도대체 누가 만들었나? 성경의 하나님이 모든 것의 창조주시라면 악도 결국 하나님의 창조물 아닌가? 하나님이 계신다면, 도대체 왜 .. 평신도신학 2015.10.09
[스크랩] [조덕영 칼럼] ‘양태론’이 이단인 이유는 무엇인가 입력 : 2012.09.13 06:57 ▲조덕영 박사양태론(樣態論, Modalism, 양태론적 단일신론의 준말)은 양식론(樣式論)이라고도 불리는 데, 전통적 유일신 신앙(단일신론)은 고수하면서 삼위일체를 설명하고자 했던 기독교의 이단 이론을 말한다. 본래 이 단어는 독일 신학자 아돌프 폰 하르낙(Adolf Von har.. 평신도신학 2015.10.09
[스크랩] 영성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령과의 관계 영성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성령과의 관계 Ⅰ. 시작하는 글 지금 지구는 병들어 죽어가고 있다. 토질오염, 수질오염, 공기오염 등 환경오염으로 지구는 종말을 재촉하고 있다. 지구가 병든 것은 순전히 인간들의 양심이 부패하여 하나님의 형상이 상실되고 그리스도의 영성이 오염이 되어 .. 평신도신학 2015.08.30
[스크랩] 사단`에 대한 이해 사단`에 대한 이해 히브리어로 `사단'(@f;c;, Satana'", Satan ) 은 `대적'을 의미한다. 다메섹 왕 하닷은 솔로몬의 대적이라고 불리운다(왕상11:14). 더 정확히 말하여 이러한 표현은 법정에서의 적수, 즉 고소자(송사자)를 가리킨다(계12:10, 여기서 마귀가 참소자로 불리운다). 자연적으로 `사단'이.. 평신도신학 2015.05.30
[스크랩] 신앙생활의 표준 신앙생활의 표준 [1] 예배에 대하여 1.예배의 뜻 (1) 성소 (교회)에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시150) (2) 창조주 하나님을 신령과 진정으로 경배하는것 (요424) (3) 하나님께 우리 자신을 산제물로 드리는것 (롬12:1) 2.예배의 목적 (1) 예배자의 신앙을 성장키 위하여 (엡4:11-15) (2) 타인을 예수님 앞.. 평신도신학 2015.05.30
[스크랩] 잘못된 전통주의를 극복하자 잘못된 전통주의를 극복하자 박창진 | 5016park@paran.com 기독교회의 잘못된 전통주의 “예수께서 이르시되 죽은 자들이 그들의 죽은 자들을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따르라 하시니라”(마 8:22). 이 말씀에서 죽음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의 죽음은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 평신도신학 2015.04.11
[스크랩] 과학시대에 기독교가 직면한 세가지 도전 과학시대에 기독교가 직면한 세가지 도전창세기는 과학이 아니다- 우종학 교수 강의 양재영 | jyyang@newsm.com 지난 19일(목) 풀러신학교에서 열린 ‘과학시대에 기독교가 직면한 세가지 도전’이라는 주제로 서울대 천체물리학과 우종학 교수의 강의가 열렸다. 100여명의 풀러신학교 재학생.. 평신도신학 2015.04.11
[스크랩] 바울생애 바울의 생애 1 - 회심 전의 바울 김세윤, 『바울복음의 기원』 홍성희 역 (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4), pp. 59-86.W. 푀르스터, 『신구약 중간사』 문희석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88), pp. 241-315. 1. 바울 생애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 - 이스라엘인(롬 11:110); 고후 11:2211); 빌 3:512))으로 베냐민 지파(.. 평신도신학 2015.01.23
[스크랩] [평신도를 위한 알기쉬운 신학강좌-9. 삶과 문화 : 소명과 자유] ① 고난과 축복 고난은 신앙과 상관없이 누구나 겪어 신앙인, 고통을 대하는 ‘태도’서 차이 고난과 복(福)은 삶에서 마주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인간은 삶에서 ‘고난’을 피할 수 없다. 또 누구나 ‘복’을 바라며 산다. 고난과 복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그 종교의 성격이 드러나고, 그 사.. 평신도신학 201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