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이필립)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서론 중국선교 초창기 때부터 중국선교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고 직접 선교현장을 방문하면서 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그동안 한국교회가 중국선교를 감당해 가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고자 연구사역을 매진해 오신 발제자 인병국 목사님(중국선..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선교중국의 의미와 현황 선교중국의 의미와 현황 선교중국은 이 시대 한국교회가 마땅히 감당해야 할 사명이다. 선교중국은 초보단계이지만 시작되었고, 우리가 중국교회의 동역자로서 선교중국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협력해야 할 단계이다.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은 한국인들에게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이지만 중국인..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선교중국 2009’ 대회 결의문 '선교중국 2009’ 대회 결의문 ‘선교중국 2009’대회 참가자들은 2009년 8월 10일에서 13일까지 서울 상계동 한국성서대학교에서 열린 ‘선교중국 2009’ 대회를 마치고 다음과 같이 결의한다. 1. 우리는 선교중국이 시대적 사명임을 확인하고 선교중국의 성취를 위한 중국선교에 힘쓴다. 1. 우리는 이번 대..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중국신흥도시교회와 선교중국 (박모세) 중국신흥도시교회와 선교중국 박모세 1.들어가는 말 중국교회를 생각할 때 마다 늘 기억되는 성경구절은 사49:20-21절이다. 고난중에 낳은 시온의 자녀들이 이르기를 “이곳이 우리에게 좁으니 넓혀서 우리로 거처하게 하라”고 시온(Zion)에게 말할 때, 시온은 놀라며 “누가 나를 위하여 이 무리를 낳았..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중국`의 논찬 (주성민)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 중국'의 논찬 . 논찬자: 주성민 . . 지금까지의 중국 선교 방향을 한마디로 “중국선교”라고 말해왔다면, 2007년 모리슨선교200주년을 시점으로 중국선교 방향은 ‘선교중국’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공동된 요구 앞에 우리는 서있다. 이러한 요구를 생각할 때, 본 발제의 제목인..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중국 (이상란)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중국 이상란 1. 서론 Chinese Practice (2001/9/9)에 의하면 “바다 물이 있는 곳에는 중국인이 있다” 라고 하였다. 현재 전 세계에 가장 많은 나라에 가장 많은 퍼져있는 사람들이 바로 화교이다. 이 중국인은 중국 이외에 홍콩 대만이외에도 이미 약 3천3백만이 살고 있으면 이 숫자는..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이필립)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 이필립 . ; 서론) 중국선교 초창기 때부터 중국선교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고 직접 선교현장을 방문하면서 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그동안 한국교회가 중국선교를 감당해 가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고자 연구사역을 매진해 오신 발제자 인병국 목..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 / 수정.증보 (인병국)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 (수정.증보) 인병국 목사 (중국선교연구원 대표) 들어가는 말 선교중국은 중국선교와 세계선교를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단호한 뜻이다. 지금 중국의 가정교회들이나 중국선교사들, 중국선교에 헌신하는 우리들 모두 선교중국에 부담감을 갖고 있다. 하나님은 ..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中 세계선교지도자 “최신 선교대상지는 서구국가 中 세계선교지도자 “최신 선교대상지는 서구국가 토마스 왕 목사 “전후방에서 사단과의 전쟁 치를 때” 중국 지하교회와 화교교회의 대표적인 지도자이자 세계적인 선교 지도자인 토마스 왕 목사는 과거 ‘세계선교의 기지’에서 현재는 ‘거대한 선교대상지’로 뒤바뀐 서구국가를 위해 한국교.. 중국의 기독교 2009.10.04
[스크랩] 중국은 차세대 선교대국 (김상복) 중국은 차세대 선교대국 역사적으로 중국과 한국은 형제지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민족이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왔고 우리의 고유한 문화가 있으나 역시 한국은 중국의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다. 중국은 대국이요 한국은 중국에 비해 작은 나라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기 전까지 수.. 중국의 기독교 2009.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