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 후 남은 떡과 포도주, 음식물 폐기처리?
한국개혁주의연대(회장 박형용 박사) 제1회 개혁주의학술대회를 통해 한국교회 성찬에 대한 진지하고도 깊은 연구가 이뤄졌다.
특별히 주목을 받은 것은 "한국장로교회의 성찬 이해와 실천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였는데, 이는 2014년 9월 각 교단(예장합동과 고신, 합신 등) 총회 및 각 노회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것이다. 모두 421명(합동 208명, 고신 122명, 합신 91명)이 참여했다.
"교회의 성찬식을 실시하는 회수는 몇 회입니까?" 년 2회(53%) 년3~4회(30%) 월 1회(10%) 년5~6회"(6%) 주 1회(1%)
"성찬 준비를 위한 설교는 어떻게 시행하고 있습니까?" "성찬 집례 주일에 설교"(50%) "성찬 집례 1주 전에 설교"(33%) "별도의 정기적 설교하지 않음"(14%) "성찬 집례 2~3주 전에 설교"(4%)
"성찬에 대한 정기적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설교를 통해"(39%) "성경공부를 통해"(38%) "별도로 실시하지 않는다"(22%) "특강(외부강사 등)을 통해"(1%)
"성찬식을 수행하기 전에 교인들에게 어떤 개인적 준비를 하게 합니까?" "사전 광고를 통한 개인 준비기도 독려"(66%) "준비를 위한 특별기도회 실시"(23%) "성찬 참여자 사전확인(참여 서명 등)과 지도"(8%)
"소속 교단의 예배 모범에 따른 성찬 예식문과 순서대로 성찬식을 수행하십니까?" "그렇다"(49%) "일부 변경한다"(26%) "대폭 수정한다"(21%) "완전 독자적인 형식으로 한다"(4%)
"성찬식 이후에 남은 떡과 포도주는 어떻게 처리합니까?" "목사가 개인적으로 사용한다"(35%) "땅에 묻는다"(35%) "음식물로 폐기 처리한다"(19%) "당회원 등이 나누어 사용한다"(6%) "무응답(4%)
"성찬식에서 분병과 분잔의 방식은 어떻게 하십니까?" "착석한 상태로 분병 후에 분잔"(68%) "착석한 상태로 분병과 분잔을 동시에"(19%) "강대상 앞 성찬석에 차례로 나와 앉게 하여 분병 후에 분잔"(8%) "강대상 앞에 그룹으로 나와 서고 목사의 분병과 분잔을 연이어 차례로"(5%)
"성찬식에서 사용하는 요소 중 떡은 무엇을 사용하십니까?" "구입한 빵"(카스테라 등, 70%) "교회 자체에서 만든 빵(떡)"(16%) "구입한 성찬용 무교병"(9%) "구입한 재리식 떡"(4%)
"성찬식에서 사용하는 요소 중 잔은 무엇을 사용하십니까?" "구입한 상품 포도주스(즙)"(43%) "교회 자체에서 만든 포도주스(즙)"(22%) "교회 자체에서 만든 포도주"(21%) "구입한 상품 포도주"(12%)
"성찬식을 시행하는 목적과 기대의 1순위는 무엇입니까?" "그리스도와의 지속적 연합과 성장"(46%) "죄에 대한 회개와 변화"(21%) "성도 교제의 증진"(17%) "믿음과 감사의 강화"(14%)
"성찬을 통한 교인들의 구체적인 영적 변화와 성장이 어느 정도 있다고 생각합니까?" "조금 있는 것 같다"(57%) "일시적인 것 같다"(22%) "많은 성장과 변화가 있다"(12%) "전혀 없는 것 같다"(8%)
"성찬에서 먹고 마신다는 것에 대한 이해는 무엇입니까?" "살과 피를 '먹는 것'은 그리스도를 '믿는 것의 동의어'로서 대속의 은혜를 성찬을 통해 주관적(마음)으로 기억하고 의지한다는 것을 말한다"(46%) "살과 피를 '먹는 것'은 그리스도를 '믿는 것의 결과'로서 대속의 은혜가 성찬을 통해 객관(실제)으로 주어지고 받는다는 것을 말한다"(52%) "무응답"(2%)
"목사님(응답자)의 성찬에 관한 이해와 시행은 어떤 성찬설과 가장 가깝습니까?" "영적 실재설(칼빈)"(52%) "상징적 기념설(츠빙글리)"(42%) "물질적 변화설(로마교)"(3%) "물질적 공재설(루터)"(1%)
"한국 장로교회의 성찬 이해와 시행은 어느 개혁자의 주장에 더 가깝다고 생각합니까?" 칼빈(45%) 츠빙글리(32%) 루터(16%) 불링거(5%)
"성찬식 집례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과 훈련을 어디에서 받으셨습니까?" "교회의 선임 목사 지도"(37%) "신학교의 교수 수업"(33%) "받은 적 없음(개인적 연구)"(28%)
"한국 교회의 올바른 성찬의 회복과 시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교단(노회와 총회)의 개혁주의 성찬론 재확립을 위한 연구와 결의를 해야한다"(36%) "성찬에 대한 신학대학원의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32%) "교회의 성찬예배 설교를 강화하고 성찬예식문 및 해설집을 제작 보급해야 한다"(28%)
한편 총신대학교에서 열린 이번 개혁주의학술대회에서는 로버트 래탐 교수(웨스트민스터신학교, 웨일즈 복음주의 신학교)를 초청, "주의 만찬에 대한 찰스 하지와 존 네빈 사이의 논쟁"이란 주제로 강연을 들었다. 또 설문조사 연구보고 이후에는 개혁주의 성찬 설교(설교문 작성: 김병훈 서창원 이신열)와 성찬 예식(예식문 작성: 이환봉 이승구 안인섭)의 모범 문서 발표가 있었고, 실지로 예배와 성찬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christiandaily.co.kr/news/
'예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직 예수 오직 예배 (0) | 2019.01.12 |
---|---|
[스크랩] 예배의식 중독에 빠진 우리네 교회 (0) | 2019.01.04 |
[스크랩] 말씀(다바르)하시는 하나님 (0) | 2018.12.23 |
[스크랩] 주님은 오십니다… 어느 곳부터 찾으실까요 (0) | 2018.12.09 |
[스크랩] 쓰레기 설교? (1) | 201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