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성장학

[스크랩] 교회개척의 원리와 실제적 기본 훈련 전략

수호천사1 2016. 11. 26. 22:54

교회개척의 원리와 실제적 기본 훈련 전략


                                                                                                                          최현서 <수도침신대/실천신학교수>

 차  례
   
Ⅰ. 서  론

Ⅱ. 교회개척을 해야 하는 이유

  1. 예수님의 지상 최대의 명령

  2. 지상명령을 수행하는 방법

  3. 교회를 개척하는 이유

  4. 교회개척을 해야 하는 신학적 이유

Ⅲ. 교회개척의 원리

  1. 교회개척의 원리

  2. 교회개척의 본질적 요소들

  3. 교회개척을 위한 교회성장 이론에 대한 이해

Ⅳ. 개척자의 태도

  1. 알버트 개미지

  2. 오브리 맬퍼스

  3. 한국적 상황

  4. 개척의 기본 준비

Ⅴ. 교회개척의 과정

  1. 교회개척 방법

  2. 교회개척의 잉태단계

  3. 교회개척의 발달단계

  4. 실제적 준비

  5. 창립예배

  6. 엘머 타운즈의 교회 개척과 성장의 모든 것

  7. 교회개척의 실제

Ⅵ. 교회개척의 기본 훈련 전략

  1. 교회개척과 기도

  2. 교회개척과 비전

  3. 교회개척과 교회의 목적(핵심가치)

  4. 교회개척과 사명 선언

  5. 교회개척과 집중 대상

  6. 교회개척과 관계성

  7. 교회개척과 전도 전략

  8. 교회개척과 소그룹

  9. 교회개척과 가정교회

 10. 교회개척과 팀 사역

 11. 교회개척과 예배

 12. 교회개척과 재정

Ⅶ. 결  론

참고문헌
 

 

I. 서  론


한국교회의 70, 80년대와 2000년대 초기의 현재와 비교할 때, 한국인의 의식 구조가 많이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적인 면, 조직적인 면, 지도력 면, 예배 형태와 교육적인 면에서 변화되었다. 개인적인 문제나, 교회 형태, 학문훈련 방법, 전도와 선교에서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국교회는 대형교회의 개념에서 변화에 적응하는 메타교회의 형태로 변화해 오고 있다.1)

교회개척은 목회진단, 교회성장의 한계 극복하기 등과 함께 요즈음 와서 새롭게 주목받는 기독교 학문의 한 분야이다. 이런 주제들은 교회성장학의 한 분야로 취급했기 때문에 꼭 필요한 중요한 주제들인데도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를 못했다.

교회성장학은 70년대에 시작한 학문으로 한국교회에 많은 영향을 준 학문 분야이다. 이 학문을 선교학에서 다루기도 했으나, 실천신학에서 다루는 분야로 한국교회의 경우는 선풍을 일으킨 학문 중의 하나이다. 특히 보수교단에서는 몇 권의 책을 가지고 비판하는 입장에서 끝 난 감이 있고, 몇 가지 방법론이나 실제적인 예들을 목회에서 적용시켜 보는 것에 그 한계점을 가진 학문이기도하다.

교회성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요 사도행전에서 보여 주는 것처럼 성령님께서 활동하시는 표적이다. 한국교회는 90년 대 중반에 들어 와서 교회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교회의 현 상황을 바라볼 때, 한국교회가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목회 대안을 위해서 우리는 다시 이 학문에 대해 인식을 새롭게 해야한다.2)

한국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두 가지 문제는 수적 성장과 재생산해 낼 수 있는 성숙으로 요약 할 수 있다. 국민의 75%가 전도 대상자이며, 1900년대 국민의 1%인 기독교인의 영향력이 2000년에 접어드는 현 시점의 25% 보다 컸다고 평가한다. 목회자들의 목숨건 목회와 교회에 대한 기대와 헌신, 역사를 창조하는 일에 참석 등을 말 할 수 있다. 역으로, 한국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어둠컴컴하고 우울한’ 정보는 교회의 미래에 대한 문제를 분명히 제시한다. 치료하기 힘든 병을 진단 받은 환자처럼, 우리는 살아날 가망성이 있는가?

필자는 한국교회의 장래에 대해 염려를 가질 수 있지만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교회이기에 생존할 뿐만 아니라, 다시 부흥의 정신이 살아나 번성할 것을 믿는다. 한국교회는 지난 100년 넘는 세월 동안 엄청난 박해를 이겨내며 생존했고, 21세기를 맞은 시점에서도 살아 남을 것이다. 우리는 그 이유로 성경의 무오하고 절대적인 진리 때문이며, 한국교회가 직면하는 문제들을 깨닫는 동시에, 마16장 18절에 나타난 약속을 선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그러나 우리는 마16장 18절과 최근 한국교회 상황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연구와 실천행동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교회는 21세기에도 살아 남아서 번창할 것이지만, 교회의 현재 형태는 변화할 것이다. 과거에 통하던 것은 미래에도 역사하지 않을 것이다. 교회가 믿는 것과 실천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교회의 믿음은 교회는 영원하고 절대적인 성경의 진리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변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교회가 그 믿음을 실행하려면, 그 방법들은 문화에서 문화로 뿐만 아니라 세대에서 세대로 변화되어야 한다. 한 교회는 그 세대의 문화 가운데 그 세대를 접하기 원한다면, 그 문화의 실천 사항들(방법들)을 적응시켜야 한다. 이것은 현 한국교회가 실수한 중요한 원리 중의 하나이다. 그 외에 중요하게 기억할 일은 그 문화가 기독교를 거부한다면, 그 문화가 단지 교회의 시대가 뒤떨어지고 문화적으로 상관없는 방법들에 등을 돌렸다가 보다는 그리스도의 메시지 듣기를 거절하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전1 : 23).

그러면 21세기에 번창할 교회들이 어디에서 올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많은 수의 교회가 개척될 것이다. 피터 왜그너가 말했듯이 “하늘 아래서 유일하게 가장 효과적인 전도 방법은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다.”3) 왜냐하면 죽어 가는 교회를 갱신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 훨씬 쉽기 때문이다. 찰스 찬니(Charles L. Chaney)는 교회개척의 중요성을 3가지로 요약해서 말하고 있다.4) 첫째는 개척교회의 시작이 기성교회에 크게 자극을 줄 수 있다. 둘째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집중적으로 전할 수 있다. 셋째는 교회성장의 정체와 수적 감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

본인의 개척 경험은 두 교회가 있는데, 한 교회는 20년 세월 동안 꾸준히 성장하고 있고, 또한 교회는 개척교회 운영의 미숙으로 두 교회가 한 교회로 통합된 경우이다. 본인은 수도침례신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백 개가 넘는 개척교회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여하여 왔다. 열성, 용기, 기도, 헌신, 놀라운 능력으로 교회를 개척하는 목회자들을 보아왔다. 기도와 눈물로 교회를 이루는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교회개척은 영광된 일이나, 쉽지 않다. 이제는 한국의 개척교회가 잉태과정에서부터 힘든 무언가에 막혀 제자리걸음을 하고, 온 지체가 힘들어하는 상황들을 볼 수 있다. 이제는 좋은 위치에 건물만 얻어 개척하면 그 만이라는 생각은 지나간 세대의 일이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말씀, 분명한 대상, 관계 조성, 큰 믿음과 비전, 기도, 대담한 전도열, 구령에 대한 불타는 사랑, 팀 목회, 장기계획, 교회 건축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회 초창기에, 기도 부흥, 멤버구성, 지역설정, 사람의 동원과 무장, 전도전략, 예배와 성장프로그램, 치유 접근법,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이 논문에서 부분적이나마 개척 전부터의 일들과, 개척과정과 개척 후 교회의 성장과정을 제시하고, 현 한국교회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고, 미래를 대비할 타개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회를 개척할 때 성령님의 도우심과 충분한 실제적 훈련을 통해 시행착오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1997년 11월, 한국이 IMF를 맞으면서 교회개척이 급속히 줄어들었다. “교회 개척의 시대는 지났다”라는 말이 미국교회가 침체하기 시작할 때 목회자들이 가졌던 생각이었고, 그 결과 미국교회가 하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남침례교단 같이 교회개척을 준비하고 사명적으로 실천한 교단은 성장하고 있다. 교회개척의 시대는 지나지 않았고 결코 그렇지 않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뜻이고 물질 때문에 하나님의 일이 중단 될 수 없다. 교회개척은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기도로 하는 것이며 비전으로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교회개척의 이론을 정립하고 기본 훈련 방법을 제시하여 목회에서 목회자들이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일을 그들의 우선 순위로 가지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현 한국침례교회들이 10년 안에 한 교회씩을 개척한다는 계획을 완수한다면 100년에 이룬 부흥을 10년 안에 배가시킬 수 있다. 신학교와 교회가 훌륭한 목회자를 배출한다면, 침례교단은 배가의 부흥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과거의 영광에서 미래의 영광으로 나아가기 위해, 현 한국교회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이다. 교회를 개척할 때 교회설립에 필요한 여러 가지 수단과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하고 있다.


II. 교회개척을 해야 하는 이유

 

한국교회의 많은 교회들이 교인수 200명 미만의 교회들이다.5) 한국침례교회의 9할이 장년 교인 수 백명 미만의 교회들이다. 엘머 타운즈박사는 주일 날 미국교회의 장년 교인들의 평균 출석이 87명이라고 지적한다. 윈 안(Win Arn)은 “오늘날 미국의 약 35만 교회 중에 80퍼센트가 제자리걸음하고 있거나 퇴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6) 그는 “교회의 생애 주기에는 날 때와 죽을 때가 있다. 많은 교회들이 15년 내지 18주년이 될 대쯤 제자리걸음하거나 점차 느릿느릿 퇴보하기 시작한다.”고 지적한다.7) 미국교회들을 예로 들고 있지만, 보수적 교회들이 자유적인 교회들에 비할 때 성장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교회들이 여전히 자유적인 교회들보다 수적으로 더 성장하고 있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하나님의 성회, 하나님의 교회, 남침례교회는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8) 이런 교단들이 성장을 경험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이 교회를 개척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남침례교단은 1991년부터 2000년도까지 10년간 매년 1,500개의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여 1만5천 개의 새로운 교회를 설립하는 야심찬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남침례교단은 이를 “15,000 캠페인”이라고 부르고 있다.9) 피터 왜그너는 성장하는 교단은 예외 없이 교회개척을 강조하는 교단이라고 말한다.10) 교회 개척 전문가인 라일 샬러는 교회 개척이 어느 교단이든 교단의 성장에 가장 유용하고 생산적인 요소로 계속남아 있을 것을 지적한다.11)

1996년 통계청이 조사한 종교인구 보고는 각 종파간 교단간 큰 차이가 있다. 그 통계에 의하면 순수 기독교 인구를 18%로 보고 있고, 종교가 없는 사람의 수가 49%였다. 이 후로도 거의 같은 비율이다. 이는 기독교가 복음화 시켜야 할 숫자가 엄청나게 많은 것을 나타낸다.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복음을 전해야 하는 데 그 일을 중심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기관이 개척교회들이다. 예를 들면, 인구의 57%를 차지하는 20대와 30대를 중점적으로 회심시켜 급 성장하는 삼일교회,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분당중앙교회, 그리고 빈민을 대상으로 한 다일공체 등을 들 수 있다. 천하에서 유일하게 가장 효과적인 전도방법은 새로운 교회들을 개척하는 것이다.12)

 


1. 예수님의 지상 최대의 명령

 

 

예수님은 자신이 교회를 세우겠다고 말씀하셨다. 이 교회가 세워지면 결코 사탄이 무너뜨릴 수 없다고 하셨다(마 16:18).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목적은 교회를 개척하기 위해서 이다. 예수님은 12명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예루살렘교회를 세우셨다. 신약의 첫 번째 교회인 예루살렘교회는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이 있은 후에 12명의 제자들과 120명의 예수님을 따르는 성도들에 의해 세워졌다(행 2장).

주님께서 승천하시면서 우리에게 주신 명령은 성경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13) 이 성경 본문들을 주의 깊게 받아드리면, 최대 명령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들로 요약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잃어버린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찾아가는 것이다. 지상 최대의 명령을 시작하는 말씀은 “가라”로 시작된다. 예수님은 “찾아가라”는 말씀으로 의도하시고 있다.14) 20세기 말엽 아주 많은 교회가 잃어버린 영혼들이 교회를 찾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1970년대 80년대는 가능한 방법일지 모르나, 그러나 1990년대 무종교인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먹혀들지 않는 방법이다. 21세기 교회는 이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우선권을 두어 찾아 나가야 할 것이다.

지상 명령의 두 번째 요소는 전도이다.15) 지상최대 명령을 수행하는 교회는 가장 우선 순위를 전도에 두는 교회이다. 전도에 대해 단순히 말하는 개념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잃어버린 자들을 찾아 나가고 있다. 힘든 여건에도 성장하는 교회는 최상명령에 뿌리를 두고 있다. 잃어버린 영혼을 찾아 나가고 있지 않은 교회는 그 목적을 상실한 것이다.16)

지상명령의 다음 요소는 교육하여 세우는 일이다. 전도하여 교회에 오게 했으면, 새로운 신자들을 그리스도 형상으로 인도하는 것을 내포한다. 교육은 저들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성경공부, 교제, 봉사, 영적 성장을 하도록 개인적 헌신을 하게 하는 것이다. 헌신과 봉사사역과 사역자로 가게 하여 전도의 재생산의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이다.

이 말은 제자들에게 인종, 국가를 초월하여 도처에다 교회를 개척하라는 명령과 같다.

 


2. 지상명령을 수행하는 방법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땅끝 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도리라”(행 1:8). 이 명령을 받은 제자들은 성령의 능력을 입고 가는 곳마다 교회를 세우는 일을 하였다. 성령의 능력을 덧입지 아니하면 결코 교회를 세울 수 없다.

예수님의 제자들에 의해 개척된 예루살렘 교회는 성장하여 갔다. 이 예루살렘 교회에서 많은 초대교회들이 생겨났다. 이 초대교회들은 믿음 안에 든든히 서 갔으며, 그 수도 날마다 늘어갔다(행 16:5). 여기에서 말하는 수는 교인들의 수가 아니라 교회의 숫자이며, 교회의 숫자가 매일 더해갔다고 말한다.

교회를 개척하는 일은 전도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많은 교회가 세워짐으로 인해서 기독교는 유럽을 걸쳐 세계로 뻗어 갔고, 그리하여 어느 곳을 가든지 교회가 세워졌다. 새 교회가 개척되면서 하나님의 역사가 확장되어갔다.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대명령이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전도하라고 주어진 것임을 인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명령을 이행하도록 암시된 방법에 대하여 깨닫는 사람은 거의 없다.17) 이 대명령은 교회개척이야 말로 세상 사람을 복음화 할 수 있는 제일 가는 방법이라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초대교회들이 주님의 지상 명령을 수행한 경우를 보면 주로 교회를 개척함으로 명령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본다. 사도행전에 기록된 선교 여행들을 주의해 보면, 바울은 더베, 루스드라, 이고니온, 안디옥, 빌립보, 데살로니가, 베뢰아, 고린도, 에베소같은 중요한 도시에 교회를 개척하고 그 교회를 통해 큰 영향을 미치도록 하였다. 주님의 지상 명령에 환상을 가진 지도자들에 의해 교회들을 시작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이와 같은 인식은 한국교회에 필요하고, 그 인식이 확산되어 21세기 한국교회의 성장에 큰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3. 교회를 개척하는 이유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일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겨자씨와 같고 마치 잔치집과 같다.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이며, 하나님의 백성이 있는 곳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이 다스리는 곳이며, 그 백성이 하나님을 섬기는 곳이다. 하나님의 나라는 생명이 약동하는 곳이며, 하나님의 나라는 단지 하나 뿐이며, 하나님께 소속되어 있다. 하나님의 나라는 신약교회처럼 교회개척에 의해 이웃에게로 넓혀진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사도(보내심을 받은 자)가 되어 하나님 나라를 이루었다. 사도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기 위해 사람들과 관계성을 가졌고(행 1:14; 2:1, 46; 4:32), 약속의 사람들이었고(행 4:42), 이타적인 사람들이고(행 2:44-45), 기쁨과 순수한 마음으로 주님을 섬겼고(행 2:46),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들였고(행 2:47, 빌 1:21), 사도들은 성령에 의해 보내심을 받은 자들이며, 동시에 보내져야 할 사람들이었다.

많은 전통적인 교단들이 직면하는 심각한 문제들 하나는 목회자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신학교는 거의 동일한 비율로 학생들을 배출하고 있다. 1980년대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여러 가지 우려의 목소리에 대해, 왜그너는 그들의 제안들 중에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자는 제안이 없음에 놀라고 있다.18) 남침례교단은 이런 상황이 발생하도록 허용하지 않았다. 남침례교단은 교회개척자 훈련 프로그램으로 흡수하고 있다.19) 왜그너는 교회개척의 이유를 5가지로 요약한다.20)

 


1) 교회개척은 성경적이다.

2) 교회개척은 교단의 생존을 의미한다. 생존 이상을 의미한다.

3) 교회개척은 새로운 지도력을 개발한다.

4) 교회개척은 기존 교회들에게 자극을 준다.

5) 교회개척은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외에 그는 경험적 이유로 새로운 교회는 전도의 열쇠이고, 더욱 빨리 성장하고,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에게 더 많은 선택의 기회를 주고, 항상 필요하며, 교단이 생존하도록 도와주며, 기존의 교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고 한다.

멜퍼스는 교회개척의 장점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1)

첫째 장점은, 새로운 교회들은 기존 교회들보다 더 빨리 성장한다. 둘째 장점은 오래되고 안정된 교회들보다는 더 빨리 성장한다. 윈 안은 이 장점의 증거로 미남침례교의 보고를 인용한다. 라일 샬러는 교회개척을 희생시켜 가면서 기성교회들을 갱신하려는 것은 잘못된 것임을 상기시킨다.

셋째 장점은 새로운 교회들이 오래되고 터를 잡은 교회들보다 더 잘 복음화 한다는 것이다. 3년 된 교회들은 1년에 교인 100명당 10명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한 것을 보여준다. 3년에서 15년 된 교회들은 교인 100명당 5명을 인도하고, 15년 된 교회는 1년에 교인 100명당 3명을 인도하는 데도 감소된다는 것이다.

넷째 장점은 교회 개척자들이 전통적 교회 목회자들보다 개척된 교회들에서 더 빨리 지도자들로서 신임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준켈(Zunkel)은 <작은 교회를 성장시키라>라는 책에서 교회 지도자의 세 가지 단계를 말한다.22) 교육자급지도자, 목회자급 지도자와 영향력 있는 지도자 단계로 나눈다. 1단계는 1년에서 3년 사이로 때때로 “목사”로 부리며, 교육자 혹은 군목들로서 역할을 하며 설교하고 목회적 돌봄을 하나, 지도자로 큰 영향력이 없는 단계이다. 2단계는 목회자 단계로 3년에서 최고 5년까지 지속된다. 이 때 사람들은 지도자를 종종 “우리 목사”로 부른다. 신임과 신뢰가 증가된다. 마지막 단계는 지도자 단계인데 목사들은 큰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다. 저들의 비전을 행사할 수 있는 입지에 오르는 시점의 패턴이다. 개척교회에서는 가능한 패턴이다.

다섯째 장점은, 교회의 개척에 참여한 사람들이 기성교회, 곧 전통 있는 교회에 있는 사람들보다 변화에 더 열려 있는 것이다. 이것은 낡은 부대와 새 부대 사이의 차이와 상관 있다. 교회개척의 장점은 사람들이 “낡은 부대”를 과감히 내버리고 열려있는 새로운 상황에 뛰어 드는 것이다.

 


4. 교회개척을 해야 하는 신학적 이유

 


교회개척을 반대하는 사람들을 보면 신학적인 훈련이 되어있는 사람들이다. 우리 지역에 많은 교회들이 있고, 먼저 서 있는 교회가 강해야 하고, 우리는 자원이 없다고 한다. 모교회에 어려움을 준다거나, 재정적인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나, 개척자의 자질문제나, 실패한 경험이 있거나, 많은 교회가 난립하는 지역적인 윤리 문제 등이다.

그러나 우리는 아이를 낳지 못하는 나귀 교회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영적인 맛을 잃어버려 교회를 개척하고자하는 마음이 없고, 하나님이 주신 비전을 상실하여 영적인 눈이 없고, 손과 발을 움직이지 않으려는 게으름 때문인지를 알아야 한다.

교회성장을 비판하는 그룹을 보면 복음의 가치성과 삶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교회성장의 배경에 질보다는 양에 더 치우치는 경우에 대한 비판이다. 교회성장에는 부분적으로 인본주의와 상업주의가 들어 있다. 하나님의 은혜에 대해, 지도력, 은사등과 같은 인간의 노력을 첨가하고 있다. 가장 좋은 위치, 가장 좋은 방법, 가장 좋은 시기와 목회자에게 가장 알맞은 목표 그룹 등인데 이는 백화점 경영 방법과 비슷하다. 정일웅은 “한국 교회는 교회성장이라는 말을 바로 개 교회의 수적인 증가를 중심으로 한 교세확장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23) 이와 같은 이해는 교회론에 입각한 바른 교회성장을 이해하지 못하는데 있다.

하나님이 세우신 교회의 성장에 목회자들은 분명하고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마태복음 16장 18절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고 말하고 있다. 교회의 주인은 예수님이며, 예수님이 세우셨고 그 분이 운영하신다는 고백이 늘 필요하다. 교회성장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교회를 균형 있고, 건강하게 할 것이다.

교회성장은 질적이며 양적이다. 교회성장은 기독교인들이 잃어버린 자들을 찾는 신실성을 보여 주는 곳에서 따라오는 것이다. 질적 성장은 양적 성장과 함께 가는 것이다.24)

교회성장은 복합적이다.25) 성장을 비판하는 부류는 성장에 다양한 방법을 간과한 데서 나타난다. 교회성장은 백 사람이면 백 사람의 모습이 다르듯이 원리는 같으나 방법들은 다양하다.

교회성장은 대가를 요구한다.26) 교회성장은 값싼 것이 아니다. 먼저 목회자가 교회성장을 원해야 하고 기꺼이 대가를 지불해야한다. 두 번째는 성도들이 교회성장을 원하고 기꺼이 대가를 지불해야한다. 왜그너는 하나의 예로 흥미로운 설문 내용을 공개하고 있다. 전국의 5,000명 목회자에게 “당신의 교회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답한 결과는 우리가 생각하는 대로 교회성장이라고 할 것 같으나 그 대답이 아니였다. 대답자들 중 반이 넘는 목회자들이 “현상 유지”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27)

교회성장은 건강한 교회의 결정적 표적이다. 성장하는 교회든 성장하지 않는 교회든 모두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설교하고 말씀에 충실할 수 있다. 맥가브란은 그 두 교회를 비교하면서 똑 같이 열심히 할 수 있으나 결정적인 차이는 “적용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8) 그는 건강한 교회의 7가지 결정적 표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9) (1) 목사: 목사가 맡은 역할을 하는가? (2) 성도: 목회자를 협력하는 교인들인가? (3) 교회 크기: 교회가 건강하고 성장할 수 있는 크기인가? (4) 교회조직과 기능: 좋은 조직을 가져서 교회의 모든 기본 기능이 최상의 능률을 올리는가? (5) 소그룹: 동질성을 가지는 소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가? (6) 방법들: 가장 효과적인 전도방법을 가지고 있는가? (7) 우선 순위: 교회성장을 위해 성경적인 원리에 따라 몇 가지 우선 순위를 둘수 있는가?

교회성장은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다. 성공적인 교회성장은 신약성경의 말씀에 절대 순종하는 것이다. 성경은 교회성장을 암시한다. 예수님은 내 교회를 세우리라고 말씀하셨다. 교회는 믿는 자들로 구성된다. 성경은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롬 12:5)이라고 한다. 성경은 교회는 두 가지 외적 성장과 내적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30)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복음의 선포를 통해 외적으로 성장한다.31) 그리고 교회는 구성원들이 믿음, 지식, 사랑과 다른 면으로 성숙해 지면서 내적으로 성장한다.32)

교회성장은 하나님을 섬기는데 있어서 과학이다. 교회성장은 과학적인 조사에 의해 볼 수 있다. 교회성장의 과학적인 방면은 복음 전도의 장단점의 모든 요소들을 이해하고 기술하는데 관심이 있다. 과학은 이론적이면서 조직적인 방법으로 현상들을 설명한다.

교회성장의 신학적 이유를 왜그너는 첫째 원리는 각각의 새로운 세대는 그들 자신의 언어로 복음화 되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척 스미스(Chuck Smith)는 히피족에게, 존 윔버(John Wimber)는 “락 세대”(rock generation)에게, 릭 왜런(Rick Warren)은 그들의 이웃에 살고 있으면서 베이비 세대들을 구원하고 있다. 두 번째의 신학적 문제는, 많은 양떼들이 있는 곳에는 잃어 버렸거나 방황하는 양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벧후 3 : 9).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도 양 우리 밖에 있는 70마리의 양을 찾아야 할 상태이다.

 


III. 교회개척 원리

 


1. 교회개척의 원리

 


교회개척은 개척교회만이 아니라, 또한 기성교회들을 위해서 갱신과 실험의 기회를 준다. 교회의 개척은 개척교회의 신학적 목적뿐만 아니라 교회와 지역사회의 관계, 교회에서 행해온 역사적 전통, 사람들이 교회에서 하나님을 만나야할 기본적인 욕구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1) 교회의 유형.  대도시, 소도시와 시골 지역은 많은 점에서 서로 다르다. 가족이 세운 교회, 성경을 공부하다 이념이 같아 세운 교회, 분파 되어 세운 교회 등에 건물이 있고 없고, 전세 혹은 빈 장소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개척교회의 특성은 빨리 변화가 올 것이다. 교회에 있어 목회자의 특성 때문에, 교회는 다른 목회자 밑에서 보다 한 목회자 밑에서 매우 다를 것이다.33) 개척교회의 설립자가 어떻게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속성들의 교회 유형을 결정할 것인가? 사람들이 교회를 택하는 근거와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정보를 가지고 교회는 효과적으로 교회의 모습, 조직, 사역, 및 전도를 계획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도록 대처해 갈 수 있다.

교회의 위치이다. 교회는 교회의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택지, 상가, 산업지역에 연관된 지역에 위치해야 한다.

교회의 유형이다. 교회는 지역사회에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외부의 평가는 교회 건물, 지도자, 교인, 사업계획, 목적의 전체에서 형성된다. 이 형상은 옳게 반영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유형은 그런 유형을 바라는 사람들을 끌어들인다.

새 신자이다. 교인들의 지역적인 분포에 따라 교회의 특성이 생기게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개념이다. 서울 대림동의 경우를 예로 들면, 큰 도로로 구분되어 있는 지역들이 지식 수준, 생활과 소비 형태가 다르고, 복음을 접하는 강도도 서로 다르다.

사회적인 연대이다. 한국의 실정은 교파관념이 강하나 점차 약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요즈음 교파간판 보다는 교회 이름을 부각하는 교회를 점점 많이 보게된다.

교회의 크기이다. 교인들은 서로가 충분이 알고, 보다 많은 활동을 원한다. 교인들은 선택에 있어서 분명한 성격을 알고자 한다. 개척자는 이에 상응한 준비가 필요하다.

에즈라 존스(Ezra Jones)는 교회의 유형을 6가지로 구분하고 있다.34) a) 옛 도심지에 있는 교회-정부청사, 상가지역, 소매상가 지역인 도시의 중심 가에 있다. b) 주택지역의 교회-도시 혹은 변두리 주택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주택지역이 성장할 때 성장한다. c) 도심지 교회 - 도심지 교회는 전략적으로 도시경제지역, 혹은 도시주변이든지 도심지역의 성장하는 곳에 위치한다. d) 특수목적을 표방하는 교회 - 신학적인 강조, 특별한 은사 활용, 독특한 목회방법이다. 한정적 지역사회보다도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하다. e) 중소도시 교회-인구 3만 내외의 도시로, 이 교회는 상가지역에 일반적으로 위치한다. 다양한 행정을 하는 도심지 교회와 유사하다. f) 농촌지역 교회이다.

2) 사회변화의 과정 중에 있는 교회임을 알아야 한다.  정부의 주도적인 정책이나 환경보호 등 많은 변화를 예상해야 한다.

3) 교회는 생활주기의 조직적 성장이 있다. 교회성장은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이다. 그러나 이 은혜를 받는 시기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4) 개척교회는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개척교회가 세워질 때 새로운 환경이 나타난다. 협력할 사람들이 나타나 그 지역을 변화시키는 일과 닫혀진 단체로 남는 일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기관에는 계획성 있는 지도자, 활동과 봉사, 개별 접촉이다. 가난한 자와 소외된 자에 대한 관심이다. 예배는 구도자를 위해 잘 준비된 찬양, 고백, 감사, 설교와 헌금 순서로 되어야 한다.

5) 개척교회는 교회구성원의 성분을 미리 생각하라.  개척교회를 벗어나 당면하는 문제는 교회의 구성원의 성분이다. 사회 신분 계층에 의해 분류될 수 있고, 연령, 지역연고, 독신자 등에 의해 나눌 수 있다. 부정적인 측면으로 볼 수도 있으나, 동질집단의 모임은 활발할 수 있다.

6) 교회개척은 조직체로서의 존재냐 섬김을 위한 확장인가에 대한 바른 대답이다. 개척교회나 기성 교회나 각 교회는 교회의 존재 이유에 관한 목적과 교회를 지원하고 발전시켜야 할 기구의 연속성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멜퍼스는 교회개척 원리를 7가지로 언급한다.35) (1) 지상 최대 명령에 대한 비전이 있어야 한다. (2) 강하게 섬기는 지도력이 필요하다. (3) 잘 동원된 평신도 그룹이 필요하다. (4) 문화적으로 상관된 교역이 필요하다. (5) 총체적이고 권위 있는 예배가 있어야 한다. (6) 열정적으로 잃어버린 사람을 찾아가는 성경적, 문화적으로 상관 된 전도가 있어야 한다. (7) 소그룹들의 강한 조직망이 필요하다.

교회개척은 교회의 내적 준비와 사회 환경적 준비가 동시에 필요하다.

 


2. 교회개척의 본질적 요소들

 


어느 사람은 활동적이고 어느 사람은 사색적이다. 행동을 먼저 하는 사람이나 혹은 행동을 느리게 하는 사람이나, 교회개척을 하는데는 최선의 방법은 먼저 계획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다. 계획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있으나, 적절한 계획은 일의 효과를 높이고, 자신감을 준다. 새로운 교회를 시작하기 전에 두 가지 중요한 측면이 있는데, 즉 영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이다.

영적인 면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본인은 기도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교회성장에 비판을 가하는 그룹의 옳은 충고를 들어보면, 성장 지지자들은 예외 없이 인간적인 요소들만을 강조하고 신적 요인은 간과했다는 말을 듣는다.36) 그것을 고치려다 보니, 이번에는 은사주의가 되었다고 걱정을 한다.37) 신유사역은 새로운 사역을 시작할 때 적절한 수단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타이밍이 대단히 중요하다. 더욱 보편적이고도 즉각적인 영적 측면은 기도이다. 교회성장의 원리를 깊이 연구하면 연구할수록 진정한 전투는 영적 전투이다. 우리의 주된 무기는 기도임을 더욱 철저히 확신한다. 지도자들은 개척 전에 기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룹기도의 습관을 개발하고, 교회개척자들과 다른 지도자들을 위한 개인적인 중보 기도자를 모집하고, 영적인 전쟁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필요하다.

기술적인 측면은 교회개척자, 준비된 교인, 목회 철학과 연구자세이다.38) 이 4가지 분야는 연구를 계속하면서 교회개척의 기본 훈련에서 구체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3. 교회개척을 위한 교회성장 이론에 대한 이해

 


1) 미남침례교단의 교회성장 계획서

미남침례교단은 이에 대해 교단 적으로 철저한 분석과 준비를 하고 있다. 그들의 교회성장의 이론은 균형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균형 성장은 교회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며, 이는 예배39), 선포와 전도, 양육과 교육, 봉사이다.40)그들은 기도와 영적 은사의 활용, 지도력, 친교, 태도, 분석하고, 의도적인 목적을 정하고, 조직하고, 전도하고, 선교하고, 교리와 정책을 정해 실행한다.41) “남침례교 교회 성장 계획서”는 기본 원리들을 다루고, 교회의 현 상황을 판단하게 하고, 교회가 미래에 완수할 일들을 평가하게 한다. 이 계획서는 교회를 개척할 지도자들에게 교회를 어떻게 이끌어 갈 가를 보여 주고 있다.42)

(1) 남침례교회들과 그들의 신자들이 교회성장에 관한 신학적 확신들을 새롭게 하기 위함이다. “밭에 추수할 곡식이 희어졌다”라는 믿음과 하나님의 성령이 이 땅위에 역사 하시기에 수많은 사람이 복음에 접할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해서 전도의 우선 순위를 만들기 위함이다.

(2) 실제적인 회중 성장에 기여하는 전도, 제자훈련, 선교와 행정에 주의를 집중케 하기 위함이다.

(3) 전도의 목적이 제자 삼는 것 즉 성서에 뿌리박고 교회인 그리스도인의 몸에 포함된 예수님의 실제적인 추종자가 되는 교회성장 배경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4) 근거가 있고 균형 잡힌 성서적이고 역사적인 교회 성장의 원리를 설명하고 남침례교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산출하기 위함이다.

(5) 교회성장을 비난하고 교회성장을 억제하는 태도, 낡은 사고, 막연한 세력과 요인들을 깨닫게 하고 최소화하게 하기 위함이다.

(6) 지역사회의 유형과 교회의 여러 가지 크기와 종류를 포함해서 문화에 공유하면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러 가지 문화와 보조 문화를 말하도록 추구하기 위함이다.

(7) 단편적인 교회성장이 아니라 교회성장이 될 전략과 모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와 같은 모형을 교회가 자체적인 목적으로 세우고 목적에 평가 조직을 세우고 목적에 평가 조직을 세우게 하고 통일성과 단순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8) 필요성과 자료 발견, 목표 설정, 목표 발전 평가에 있어서 꼭 필요하고 계획된 접근을 하기 위함이고 과거 교회 기록과 현재 상황을 신중히 분석하여 필요한 전략과 도표를 그리기 위함이다.

(9) 새로운 학급에서 새로운 전도 사역, 개척교회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사역에 대해 강조하기 위함이다.

(10) 남침례교회가 균형을 이루고 교육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교회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 어떻게 방법들을 발전시키고 적용하고 입증 하나를 보여 주기 위함이다.

(11) 지도자들에 의해 소외를 느낄 수 있는 신자들을 조심스럽게 계속적으로 보살필 전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사람을 보살피는 일은 사역을 행하는 것과 동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람을 살피는 일은 교회목적을 방해하는 개인적인 관심과는 달라야 한다.

 


2) 교회성장의 원리

교회가 성장하는 길은 네 가지가 있다. 내적 성장(E-0 내적 회심), 외적성장(E-1), 확장성장(지 교회, E-2), 가교성장(외국선교, E-3)이다.43)

(1) 공통적인 성장원리(작은 교회, 중간교회, 대 교회).44) 찰스 찬니(Charles Chaney)는 교회성장의 분위기를 창조하고, 성장을 정착시키고, 일생 지속 될 공통적인 원리를 소개한다. 첫째 원리는 성경공부에 우선 순위를 둔다(행 2:42). 둘째는 지도력이다(엡 4:11). 셋째 원리는 평신도 사역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넷째 원리는 성장할 분위기가 일어나는 것이다. 다섯째 원리는 소그룹의 활성화이다. 여섯째는 평가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다. 일곱째는 전도를 통한 새로운 기구로의 분할이다.

(2) 작은 교회와 개척교회의 성장 원리. 작은 교회들은 지역의 위치 문제, 사회의 인식문제, 부흥의 “활기찬 정신”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칼 두들리(Carl Dudley)는 소형교회의 문제점을 이렇게 설명한다. “소형 교회는 가장 소중한 친밀함을 벗어나기까지는 회원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45) 크로포드(D. R. Crawford)는 “교회성장의 가장 어려운 한계는 어른 출석 교인 200명을 돌파하는 것이다“라고 한다.46) 그는 전체 세계교회의 80-85%가 어른 출석 인원수가 200명 미만이라고 산정 한다.47) 엘머 타운즈 교수는 미국교회의 장년 평균 출석 인원이 87명으로 말하고 있다.  어떤 성장 원리가 적용되든지 간에, 우리는 네 가지 균형에 특별한 주위를 드려야 한다.48) 첫째, 교회는 말씀 선포와 교육을 통해 영적으로 깊게 성장해야 한다. 둘째, 교회는 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 사회에 초점을 맞춘 전도 열정이 자라나야 한다. 셋째, 비신자들에게 전도와 봉사를 할 평신도를 준비시켜 성장케 해야 한다. 넷째, 교회는 그들의 교구 밖에 있는 즉 땅 끝까지 있는 사람들에 대한 선교의 꿈을 자라게 해야 한다.

(3) 교회성장 원리. 미남침례신학교의 토마스 레이너(Thomas S. Rainer) 교수는 과거 40년간 적용 되여 오는 중요한 성장원리들을 요약하고 있다.49) 그것들은 a) 기도(원리 전에 있어야 하는 능력), b) 지도력, c) 훈련된 평신도, d) 교회개척, e) 전도, f) 예배, g) 태신자 찾기 h) 복음의 수용성, i) 계획과 목표설정, j) 시설, k) 동화와 교화, l) 소그룹, 그리고 m) 표적과 기적이다.

(4) 교회 성장학 창시자가 본 성장원리. 맥가브란과 윈 안(Donald A. McGavran and Winfield C. Arn)은 교회성장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50) a) 교회는 그 교회가 성장원리를 발견할 때 성장한다. b) 교회는 그 교회가 성경적 성장원리를 존중할 때 성장한다. c) 교회는 그 교회가 하나님의 확고한 목적에 굴복할 때 성장한다. d) 교회는 효과적인 전도에 우선 순 위를 둘 때 성장한다. e) 교회는 그 교회가 지역사회에 대해 올바르게 관심을 가질 때 성장한다. f) 교회는 그 교회가 새로운 그룹을 찾아 제자로 삼을 때에 성장한다. g) 교회는 그 교회가 부모의 역할을 통해 재생산 할 때에 성장한다. h) 교회는 성장할 구조를 가질 때에 성장한다. I) 교회는 그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 대가를 지불할 때 성장한다.

(5) 미남침례교단에서 제일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교회들의 성장 원리.51) a) 도시의 인구 밀집지역(미국의 경우는 시외각 지역임). b) 인구가 성장하는 지역. c) 경제적으로 성장하는 지역. d) 자녀들을 가진 결혼한 성년들이 있는 지역. e) 개척 된지 10년이 덜 된 교회. f) 교회 재임기간이 보통보다 긴 목회자(미국의 경우 평균 재임기간이 4.7년이다). g) 담임목사가 이 중직이 아니고 전임인 경우. h) 젊은 층이 많은 교회. i) 학력이 비교적 높은 교회. j) 사무직종이 많은 지역. k) 전도와 수적 증가를 강조하는 교회. l) 지역적으로 시 전체를 포용하는 교회(이웃이나 지역에 국한되기보다).

(6) 교회성장의 일반적 특징. 본인은 이 성장 원리를 지지한다. 교회의 수적 성장은 교회의 목표가 아니다. 교회성장은 효과적으로 활동하고, 건강한 교회의 선물이다. 교회는 어느 곳에서나, 어느 때나 성장할 수 있다. 오늘날은 전문가, 전문 사역자의 시대이다. 정말 필요한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님은 세계의 모든 교회를 축복하시고 부흥하기를 원하신다. 본인은 활동적이고, 건강한 교회의 열쇠를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a) 교인들이 전도하는 일에 최우선을 두는 교회. b) 목사, 직원과 평신도들이 교회성장에 헌신하고, 철저히 계획하는 교회. c) 기도사역에 의도적으로 강조 점을 두는 교회. d) 주일학교와 교회 기관이 중요하게 전도와 동화의 기관으로 사용하는 교회. e) 예배가 부흥정신에 입각하여, 즐겁고, 축제 적이며, 기대를 가지게 하는 교회. f) 설교와 공부가 성경 중심적이며, 설교가 필요에 강하게 적용되는 교회. g) 새 신자 양육이 계획적으로 잘 되는 교회. h) 모든 사람에 대한 영접과 관심과 사랑이 표현되는 친교가 있는 교회. i) 건강한 교회는 지역사회와 세계의 필요를 이해하고, 반응하는 기독교적 관심을 가지는 교회이다.

 


IV. 개척자의 태도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농부가 부지런히 일을 해야 한다. 농부는 씨앗을 뿌리고, 김을 매고, 걸음을 주고 보살핀다. 그와 같은 농부는 좋은 결실을 가지게 된다. 교회개척자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하나님의 일도 마찬가지로 일 잘 하는 일꾼들을 찾으신다. 교회개척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5가지 우선적으로 가져야 할 것이 있다. (1) 개척자의 개인 생활이 하나님과의 깊은 만남이 있어야 한다. (2) 개척자는 음식 조절, 휴식, 및 운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3) 개척자는 아내와 자녀들을 잘 양육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다는 인정이라도 받아야 한다. (4) 개척자는 주위 사람들과 개인적인 친분을 배양해야 한다. (5) 개척자는 안식을 통해 영적, 감정이 새로워져야 한다.

 


1. 알버트 개미지

 


그는 일군의 자격을 5가지로 요약한다.52) 일꾼의 자격-(1) 복음적인 신앙. (2) 교회개척의 은사와 소명-교회 개척자는 모두 목회자의 은사를 받아야한다. 그 외에 다양한 종류의 사람과 장소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다. 다른 관습을 이해하고 용납하는 능력, 무던히 참고 기다리는 자세, 개척 정신이다. (3) 좋은 건강. (4) 올바른 교육과 훈련. (5) 경험의 요소를 들고 있다. 일꾼 선택 방법-(1) 지원서. (2) 개인 면담. (3) 건강 진단. (4) 그룹 면담. (5) 임명이다.

 


2. 오브리 맬퍼스

 


그는 개척자의 평가를 5가지로 나눈다.53) (1) 영적 은사들로 판정한다. - 이 영역은 가르침, 봉사, 권면, 구제, 인도함, 행정, 목회 등을 포함한다. (2) 열정을 파악한다.-열정은 열심을 포함하고, 목적을 갖고, 장기간 있을 수 있으며, 강한 인내를 발전시킨다. (3) 기질이다-답즙질, 다혈질, 점액질, 우울질에 대한 판정이다. (4) 좋은 지도력이다. (5) 어떤 사람이 교역의 생명주기와 가장 잘 어울리는 가이다. 생명은 탄생하고, 자라고, 제 걸음하고, 죽는다. 평가에서는 다양한 개인이 어떤 사역에 가장 어울리나 이다.

 


3. 한국적 상황

 


(1) 최기채 목사-첫째로 개척정신이 투철한 인물이어야 한다. 개척자로 만족하고 사명의식이 투철해야 한다. 둘째로 선한 목자다운 사랑으로 충실해야 한다. 셋째로 사람에게 기대를 걸어서는 안되고, 하나님만 의지해야 한다.54)

(2) 림인식 목사-첫째 사명의식이 투철한 인물이다. 둘째 성령에 의한 증인이다. 셋째 개척 전도에 적성이 맞는 인물이다. 넷째 노동 정신과 활약이 있는 자이다. 다섯째 깨끗한 그릇이다. 여섯째 위대한 신앙과 넓은 사랑의 소유자 여야 한다. 일곱째 기도의 사람이다.55)

(3) 한국의 선배 목사님들. 그들은 목회자의 준비 자세로 영력, 지력, 체력과 지도력을 가지도록 권하셨다.56)

 


4. 개척의 기본 준비

 


정신적, 영적 준비가 필요하다. 개척의 좋은 동기가 필요하다. 가족들의 준비는 개척교회의 반을 이룬 것처럼 준비해야 한다. 영적인 싸움에서 사탄은 개척자의 약점을 알고 있는데, 가정의 약점이 있을 때 많은 고난과 성장의 지연을 볼 수 있다. 헌신된 부인과 부모를 이해하는 자녀들은 개척교회의 향기이고 안식이다. 기본 구성원의 준비, 성경공부 교재준비, 경력 준비, 설교 준비, 평상시에 모아 놓는 자료가 필요하고 계속 쌓아 가야한다.

 


V. 교회개척의 과정

 


1. 교회개척 방법

 


교회를 개척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몇 가지 내용을 찾아 보고자 한다.

 


1) 엘머 타운즈의 교회개척 6가지 방법57)

(1) 모-자 교회관계에서의 지 교회 개척형. 약간의 교인이 지원 가능하고, 재정, 기도의 지원이 가능하다. 개척교회의 신뢰성을 따질 경우는 신뢰에 도움이 되고, 알려지는데 도움이 된다. 좋은 모 교회는 많은 필요를 채우는데 도움이 된다.

(2) 선교팀 혹은 주교팀이 세움. 약간의 인력 동원, 재정, 기도 등에 도움이 되고, 전도에 매우 활발하다.

(3) 성경공부로 시작되는 개척. 성경공부 모임이란 대체로 지도력이 교회를 개척하기에는 약하다. 성경공부와 교회는 다르기 때문에 성경공부에 참석해서 시작하는 교회에 가담하지 않는다. 성경공부 모임의 참석자들은 교회의 성도와는 달리 그냥 공부와 친교를 위해 온 것이지, 교회의 양육, 출석, 재정부담에 대해 부담스럽게 여긴다. 진척이 늦다.

(4) 연합개척. 교단이나 지방회, 혹은 몇 교회가 계획에 의해 개척을 할 경우이다. 상당한 보상이 있다. 인적지원은 별로 없다. 독자적 계획보다는 그 연합의 결정에 의해 움직여진다. 기계적일 수도 있다.

(5) 분리개척(갈라져 나와서 개척하는 형태). 재정이 유리하다. 구성원에 유리하다. 팀워크에 유리하다. 그러나 고질성과 상처, 윤리성 문제, 갈라지는 교회의 숫자의 한계가 있다.

(6) 개척자적 개척. 전무상태에서 시작하고, 매우 힘이 드나, 가장 보람이 있다.

 


2) 왜그너의 12가지 교회개척 방법58)

(1) 분봉-지교회 설립. (2) 식민지화-분봉보다 더 철저한 방법으로 이사 등을 통해 새롭게 지역을 옮기는 설립. (3) 입양-죽어 가는 교회를 살리는 방법. (4) 우연한 기회에 모 교회가 되는 경우. (5) 인공위성 모델 - 모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경우. (6) 다중교회들-한 교회 안에 여러 종족으로 된 교회. (7) 복수 캠퍼스 모델. (8) 선교팀. (9) 촉매적 교회개척자. (10) 설립목사. (11) 독립적인 교회 개척자-독립 교회. (12) 사도적 교회개척자-은사운동 내부에서 발전되었다.

 


2. 교회개척의 잉태단계

 


교회개척에서 질문할 상황은, 우리는 어디서 시작할 것인가 이다. 한 가정을 시작하는 부부의 영역과 같은 잉태로부터 시작한다. 잉태단계는 한 교회를 개척하는 개념의 탄생이다.59) 교회개척의 잉태단계는 첫째 비전을 발전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팀을 양성하고, 셋째는 전략을 계획하는 것이다.

 


3. 교회개척의 발달단계

 


교회는 사람과 함께 시작된다. 발달 단계는 새 교회를 시작하는데 관심 있는 핵심그룹을 모으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는 교회를 완전 백지상태에서 차갑게 시작 할 수 있고, 혹은 교회 개척 팀이 그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거주하는 한 그룹과 더불어 사람들을 모으고 시작하는 뜨거운 방법이다.

소그룹이나 성경공부 반에서 개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확보하고, 개척 팀은 네 명만 있어도 가능하다. 이 네 사람을 최선의 4인방 이라 부른다. 예배, 전도, 조직, 양육이 가능하다. 채니는 5-8가정이 교회개척 팀으로 이상적인 규모라고 보았다.60) 단 몇 명이라도 하나님께 헌신한다면 지역사회에 엄청난 영향을 줄 것이다.

 


4. 실제적 준비

 


최소 준비기간은 1년이 필요하다. 6개월은 준비 기간, 3개월 위치 선정, 나머지 3개월은 실제 사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준비기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다. 교회의 정착 해 수를 3년에서 5년으로 보고,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 1) 교회 이름 정하기. 2) 교회 장소 - 지역진단은 사업성 조사보다 중요하다. 교통량, 주민인구, 인구이동 상태, 도시계획, 타 교회계획, 및 특징 파악이다. 3) 목회자 자신을 토양과 비교하여 진단 필요함. 4) 재정은 월세로 하지 말라. 더 준비하면서 기다리라. 5) 기자재들을 준비할 목록을 만들라. 소요기재 목록표는 물품명, 소요수량, 단가, 총액, 해결여부를 파악한다. (강단, 강단의자, 성찬기, 성찬단, 피아노, 올겐, 엠프 마이크 ?, 개인의자, 교회의자, 식탁, 주방시설, 에어콘, 환풍기, 공기청정기, 온풍기, 차량, 헌금함, 복사기, 테이프 복사기, 목양실 사무기기, 쏘파?, OHP ?, 케비?, 실내장식, 카텐, 전화기, 십자가, 간판, 전도지, 시계, 거울, 성가대 까운, 전기 트랜스, 켐퓨터 ?, 등). 6) 동역자의 결정. 7) 교회 주보와 기초 안내서. 8) 목회방향의 준비. 9) 예산과 결산을 작성하라. 10) 계약과 건물 준비(등기부등본, 주민등록증, 근저당, 가등기, 가압류확인, 도시계획확인서,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계약조건은 분명히 해야 한다).

 


5. 창립예배

 


창립예배는 지금까지 준비한 일의 공식 출발이기 때문에 영적 분위기가 적절해야 한다. 창립예배는 지금까지 준비한 비전, 전략, 개척팀, 지역, 교회건물 등이 잘 나타나게 해야한다. 하나님의 교회는 반드시 성장한다는 확신과 안목이 필요하다. 창립예배의 준비과정은 충분한 준비, 세부 계획, 적극적인 홍보, 초청자 확보, 동역자들의 협력, 예배 예행연습, 은혜롭게 드리는 것이다.

 


6. 엘머 타운즈의 교회개척과 성장시키는 모든 것61)

 


교회개척에서부터 성장과 성숙의 단계를 간단히 밝힌다. 상황이 각자 다르기에 전체를 다 밝힐 수는 없으나 필요한 모든 단계를 종합하여 제시한다.

(1) 교회의 비전을 마음에 가져라. (2) 하나님의 부르심을 확실히 하라.62) (3) 부인의 확신이 필요하다. (4) 설교, 성경공부를 준비하라. (5) 교회론을 알라. (6) 목양에 성경적 철학을 가지라. (7) 올바른 도시를 선정하라. (8) 최상의 것을 선택하라. (9) 긍정적 자세를 가져라. (10) 한사람의 목사가 이끌라. (11) 하나님과 동행하라. (12) 영적 승리자가 되라. (13) 일군들의 영적 기준에 성경적 기준을 정하라. (14) 보다 위대한 인물들로부터 배우라. (15) 성경적으로 재정을 사용할 줄을 배우라. (16) 돈을 중요시 말고 신앙으로 하라(돈으로 짐 되게 말라). (17) 재정은 공개적으로 집행하라. (18) 교회 운영기준이 될 정관을 첫 해에 만들라 (한국적 상황은 여유 있게 할 것). (19) 청지기 훈련을 1년에 1회를 가질 것. (20) 첫 것을 드리게 하라. (21) 재정보고를 잘 하라. (22) 재정을 지불하기 쉽게 하라. (23) 지역을 연구하라. (24) 교회이름 선정 (25) 선전용 교회 그림 혹은 로고. (26) 살집준비. (27) 은행구좌. (28) 기본 재정준비. (29) 아는 이들에게 연락하기. (30) 전망을 보고 함께 결정하라. (31) 교회정관을 만들라. (32) 첫 장소선정. (33) 우편활용. (34) 찬송가, 헌금 통. (35) 지역침투. (36) 복사, 인쇄기. (37) 사역의 목표. (38) 목표 위한 단계. (39) 로고선정. (40) 표어 선정. (41) 임시교회표시/교회간판. (42) 내부 표시. (43) 유인물인쇄. (44)방문. (45) 방문 동조자. (46) 모임. (47) 기도모임. (48) 헌금봉투, 방문자카드. (49) 케이블 TV사용. (50) 공공 광고. (51) 편지 띠우기. (52) 타 교회와 좋은 관계 유지. (53) 새교회의 자부심을 심기. (54) 성공은 말하고, 실패는 잊어 지게 하라. (55) 비전을 사람들과 나누라. (56) 예배를 잘 계획하라. (57) 자발적인 봉사를 하게 하라. (58) 첫 예배에는 헌금케 하라. (59) 주일학교시작. (60) 방문자도 서신으로 양육하라. (61) 교회조직을 만들라. (62) 교인들의 주의 사항/ 교회입장을 정리해서 만들라. (63) 양질의 중진을 모으라. (64) 건물을 위해 헌금을 시작하라. (65) 심방계획수립. (66) 개인 훈련을 위한 영적 승리 훈련계획을 세우라. (67) 새 교회의 권위와 신뢰도를 세우라. (68) 라디오 사용. (69) 12명이 넘으면 조직된 예배를 드려라. (70) 선교에 동참하라. (71) 집사를 기다려 임명하라. (72) 영구 건물을 위한 대지를 찾아라. (73) 건축은 속히 끝내라.

 


7. 교회개척의 실제

 


교회개척이 없었으면 다음의 교회들이 이 땅에 세워질 수 없었고, 귀하고 아름다운 빛을 발할 수가 없었다. 한 사람의 개척자는 작은 교회든지 큰 교회든지 주님의 위대한 일을 행하고 있다.

 


1) 명성교회(새벽기도)

1980년에 창립하여 명성교회가 세계적인 교회로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김삼환 담임목사의 목회 철학 “새벽을 깨우리로다”라는 말씀에 기초한다. 즉 새벽기도가 명성교회의 성장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많은 교회와 목회자들이 마찬가지로 새벽기도에 심혈을 기울이지만, 명성교회의 새벽기도가 1만 5천 명이 모이는 특징으로 자리잡기에는 담임목사의 설교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그의 설교는 아주 평이하면서도 위로와 힘을 준다. 그래서 그 설교는 아주 친근감이 있다. 바로 나의 이야기, 나에게 주는 메시지라는 느낌을 갖게 한다. 그의 설교는 원고에 얽매이지도 않고 주제를 벗어나지도 않는다. 새벽기도회의 그의 설교는 이토록 부담 없고 친근한 설교로 회중에게 다가간다. 그래서 그의 새벽설교는 매일 매일에 필요한 힘을 교인들에게 주고 있다.

 


2) 사랑의 교회(제자훈련)63)

사랑의 교회는 해마다 300여명의 제자를 훈련시키고 있다. 그래서 약 반 수 정도를 순장으로 연장 교육시켜 평신도 목회자로 만든다. 현재 다락방 순장들이 550명이 된다. 이들 외에도 3백여 명의 대학청년부의 리더들이 있고, 600여명의 주일학교 교사들이 있다. 이런 평신도의 제자화는 옥한흠 담임목사의 목회철학인 에베소서 4장 12절에 기초한다. 성도를 온전케 하는데 우선 순위를 두는 담임목사의 목회방향에 따라 “평신도를 깨우자”는 운동이 제자훈련으로 나타났다. 제자훈련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한국교회의 풍토에 그래서 사랑의 교회는 제자훈련의 교회로 부각되었다. 옥 목사 자신이 제자훈련이 교회성장의 유일한 요인이라고 보지 않듯이 더 많은 성장 요인들이 있으나 제자 훈련에 담긴 목회철학은 교회를 성격 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3) 온누리교회(경배와 찬양, 단계 양육체계)

예배에 찬양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한 교회가 온누리 교회이다. 예배 전부터 찬송과 복음 송으로 온 교인들이 입석 하여 예배를 드리는 분위기는 이 교회의 큰 특징을 이룬다. 또한 목요 경배와 찬양은 청소년 선교에 단단한 몫을 하고 있다. 이 찬양의 분위기는 주일의 예배에까지 이어진다. 사랑의 교회와 마찬가지로 온누리 교회 역시 제자와 훈련을 중시하는데 이는 일곱 단계의 양육체계로 설명된다. 첫째, 매일 큐티의 생활화. 둘째, 일대일의 양육과 소그룹의 성경공부 실시. 셋째, 제자도. 넷째, 전도폭발훈련. 다섯째, 지도자론. 여섯째, 파견전도. 일곱째, 선교이다.

 


4) 중문교회64)

중문침례교회는 침례교회 중 급 성장하는 교회로 유명한 교회이다. 개척한 지 15년 정도 된 교회가 5,000명 재적에 2,500명 출석을 하게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한 영혼이라도 그냥 보내시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서 뜻이 있고 목적이 있어 그 교회의 장점을 사용하신다. 첫째, 목사님의 설교가 살아 있고 재미있다. 둘째, 기도가 살아 있는 교회다. 셋째, 전도와 심방이 살아 있다. 넷째, 교육하는 교회가 되려고 노력한다. 다섯째, 성장을 지향한다. 여섯째, 성도들의 기도에 귀를 기울인다. 일곱째, 영적으로 재충전하는 교회이다. 여덟째, 교역자들이 열심이다. 아홉째, 새신자 등록 수가 많다. 열째, 교회의 중심 멤버가 젊다. 열 한 번째, 평신도 사역이 활발하다. 열 두번째, 구제하고 선교하는 교회이다. 열 셋째, 새로운 건축을 위해 나아간다.

 


5) 수원 영락교회(영성목회와 행함 있는 부지런함)65)

정말 큰 승리의 교회사를 쓰는 교회이다. 영적인 강함이 있고, 목회자와 성도 모두가 부지런한 교회이다. 교회를 개척하면서 시작한 저녁 9시 기도회는 한국의 많은 교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영적으로 성장한 교회이다. 기도하는 교회, 생활 속에 나타나는 능력 있는 교회로서 교회의 본을 보이고 있다. 둘째, 질적으로 성장하는 교회이다. 주님의 지상명령인 복음선교를 위해 원대한 계획을 실천하고 있다. 셋째, 양적인 성장을 가져온 교회입니다. 10년만에 2,000명의 교인 수. 대지 1,170평에 5,000명을 수용하는 건평 1,800평의 예배실. 그리고 200여 평의 교육관 3개를 가지고 있다.

영락교회는 21세기의 새로운 요람으로 영적인 모델, 성경 적인 모델, 성장의 모델, 축복의 모델 교회가 되길 원한다. 초대교회처럼 기도와 말씀, 성령으로 영성훈련을 쌓아 세계 속의 교회로 힘찬 전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교회이다.

 


VI. 교회개척의 기본 훈련 전략

 


교회성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이다.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축복하셔서 놀라운 성장을 주셨고 부흥케 하셨다. 본인은 현 한국교회의 정체를 하나님께서 한국교회에 인간이 몸을 만들 때에 일시 정지 상태에 있는 것처럼 숨 고르는 기회로 생각한다. 교회지도자의 자만을 회개하고, 전도에 힘쓰며, 기도의 불을 높이고, 개척교회를 잘 돌보면 다시 하나님은 한국교회에 성장과 성숙을 주실 것을 믿는 소망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가 다시 부흥의 길을 가기 위한 대안은 건전한 교회관에 입각한 교회 기능들의 회복이다. 우리 주님이 하라고 한 교회의 기능들을 충실히 수행할 때, 건강하고 균형 있는 교회가 된다. 성장하는 교회와 침체하는 교회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교회의 기능들, 즉 예배, 전도, 교육, 봉사와 친교에 차이가 있다.66)

하다 웨이는 500개 미남침례교회들을 조사하여 교회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는 교회가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67)

크리스챤 쉬와츠(Christian Schwarz)는 독일의 교회발전 연구소의 소장이며, 최근 교회성장의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책을 펴냈다. 그는 32개국 1000개 이상의 교회를 연구하여 실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원리를 8가지로 요약한다.68) (1) 일꾼을 키우는 지도력을 개발하라(Empowering Leadership).69) 성장하는 교회는 반드시 목회자가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성을 잘 이루어야한다. 성장하는 목회자일수록 그의 지도력을 분담한다. 목회자들은 리더들에게 그들의 은사에 따라 하나님이 주신 가능성을 가지고 도우시는 분입니다. 성장하는 교회는 목회자의 지도력이 사람중심, 관계성 중심, 그리고 팀 중심이 되어 있다. 성장하는 교회는 목회자가 제자훈련, 위임, 재생산에 시간과 물질을 투자한다. 본 지도력은 목회자가 여러 방면에 은사를 가지고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합니다. 능력 있는 지도자를 도와 그들을 무장시키고, 동기부여하고, 인도해서 하나님의 일을 이루는 지도력을 말한다. (2) 은사중심으로 사역하라(Gift-Oriented Ministry). 성장하는 교회 목회자는 교인들과 함께 일한다. 그는 각 교인의 은사를 찾아 주고, 적재적소에 배치한다. 성령의 원하심은 은사에 따라 역사함이지, 직분에 따라 일하는 것이 아니다. 쉬와츠박사는 교회마다 은사에 따라 일하는 사람들이 무척 적은 것을 발견했다. 유럽, 독일의 경우 조사한 1,600명 중 80%의 성도들이 자기의 은사를 알지 못했다. 은사에 따라 일하지 않으면, 기쁨이 없고, 마지못해 할 수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 행복하고 효과적인 사역을 하게 한다.70) (3) 열정적인 영성을 가지라(Passionate Spirituality). 영성은 기도와 말씀을 통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나타나는 영성의 모습보다 중요한 것은 영성의 결과로 나타나는 교인들의 삶이다. 영성의 결과로 얼마나 교회에 헌신하고, 열성적으로 살고, 열매를 맺는 가이다. 믿음의 열정과 복음의 순수함만으로 교회가 성장하지 않는다. 쉬와츠박사는 영성을 살리는 일이 일어나야 하고, 영을 죽이는 일 즉, 성도들끼리 시기하고, 미워하고, 참아주지 못하는 일을 버릴 것을 강조한다.71) (4) 기능적인 구조를 만들라(Functional Structure). 성장하는 교회의 구조는 항상 유동적이지, 고정적이지 않다.72) 다음의 내용은 기본훈련 부분에서 좀 더 언급하고자 한다. (5) 영적인 예배를 드려라(Inspiring Worship Service).73) (6) 경건한 소그룹을 형성하라(Holistic Small Group).74) (7) 필요중심의 전도를 하라 (Need-Oriented Evangelism).75) (8) 사랑의 관계를 만들라(Loving Relationship).76)

개척교회가 건강한 교회가 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10가지 요소가 있다. (1) 미래를 바라보는 눈과 기도. (2) 효과적인 목회자의 리더쉽. (3) 훌륭한 목회자의 목회 철학. (4) 축제 분위기와 마음에 파고드는 예배. (5) 전 인격적인 제자 훈련. (6) 소그룹의 활성화. (7) 개발되고, 항상 자료를 찾는 지도자. (8) 영적인 은사에 따라서 그들을 동력화 시키는 목회. (9) 적합하고 생산적인 프로그램. (10) 재생산하는 교회이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교회개척의 기본 훈련 전략을 세우고자 한다.

 


1. 교회개척과 기도

 


예수님은 산상수훈에서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임이요”(마 5:6)라고 하셨다. 교회 개척자들은 기도에 주리고 목말라야 한다. 물이 없어 죽을 것 같은 자세로 기도에 목말라야 한다.

예수님은 포도나무요 우리는 가지다. 우리가 예수님 안에 예수님이 우리 안에 있으면 우리는 과실을 많이 맺고 예수님을 떠나서는 우리가 아무 것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요 15:5). 교회개척자는 예수님 안에 거하기 위해 기도해야 한다. 잠시도 그 분을 떠날 수 없기에 기도해야 하고, 그 분 안에 있어야 과실이 맺히기에 기도해야 한다.

 


1) 기도의 의미

기도는 초대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원동력이었다.77) 오순절이전에 120명의 작은 무리들이 끊임없이 기도하고 있었다. 초대교회의 계속된 성장물결에서 중요한 요인은 기도하는 신자들의 헌신이었다.78) 기도는 다음 다섯 가지의 의미를 가진다.79)

(1) 기도는 하나님과 함께 세상의 운명을 바꾸는 일에 참여하는 것이다.

(2) 기도는 우리 주 예수님이 우리를 위하여 기도하시는 주님의 기도에 동참하는 것이다.

(3) 기도는 하나님과의 교제이다.

(4) 기도하는 동안에 성령은 우리의 기도를 중보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우리를 위해 기도하신다.

(5) 기도는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2) 기도의 중요성

교회개척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기도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기도는 영혼의 호흡이며, 영적인 대화이다. 그리고 주님은 기도하도록 명령하신다.

(1) 하나님은 그의 교회를 세우셨다(마 16:18; 고전 3:6). 사도행전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넓히는 일은 사람의 일이 아니라 성령님의 일임을 말한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 기도하면 성령님은 우리를 도와주신다.

(2) 기도는 하나님과 교회 개척자 사이에 매우 중요하다. 기도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것이 아니고, 기도는 절대적이다. 우리의 기도를 통해 하나님은 자기의 뜻을 이루어 가신다(요 15:5). 성경은 우리가 기도해야 한다고 말한다.80) 우리는 영적 전쟁을 하기 위해 기도해야 한다.81) 그리고 빌립보 교회가 개척되기 위해 필수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행 16:13, 16, 25).

 


3) 개인적인 기도 생활

교회개척을 하던 바울은 에베소 교회에 복음이 전파되기 위해 자신을 위해 기도를 부탁하고 있다(엡 16:19). 교회를 개척하는 사람은 먼저 기도를 부탁해야 합니다. 기도 지원을 받기 위해 기도팀을 구성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기도지원을 받기 위해 전략을 짜야 한다. 기도전략은 다음과 같다. (1) 개인적인 기도시간을 만들어라. 개인 기도시간을 위해 경건의 시간을 가지라. (2) 개인적인 기도 구룹을 만들어라. 교회개척을 위한 기도 구룹을 만들고 시간을 정해 기도한다. (3) 기도 동역자를 만들어라. 함께 기도할 일생 기도 동역자를 만들고, 정기적으로 영적 모임을 가지라. (4) 가족과 함께 기도시간을 만들어라. 자녀들의 합심 기도는 개척의 힘이 되며, 자녀들은 생각 보다 빨리 성장하기에 같이 기도해야 한다. (5) 기도 수첩을 만들어라. 또 기도가 이루어졌을 때에 승리의 축하를 해야 한다.

 


4) 기도팀의 구성

기도팀의 구성은 개인적으로 부탁하는 방법이 있으나, 먼저 중보기도를 드리기 위해 특별한 기도팀을 초청한다. 교회개척자를 위해 기도팀으로 수고해 줄 수 있는 교인 명단, 타교인 명단과 친구와 가족들 중에서 명단을 작성한다. 계절 말 혹은 정기적으로 기도팀을 만나서 기도 제목을 나눈다. 응답 받은 기도 제목을 나누고, 감사할 일도 나눈다.

 


5) 교회의 기도생활

개척자가 교회를 개척하였다면 먼저 기도 전략을 짜야 한다. 기도가 교회 개척의 중요한 전략이 되어야 한다. 교회가 기도할 때 많은 교회가 효과적인 사역을 감당할 수 있다. 연쇄기도 사역을 만들어 교인들이 24시간 혹 12시간 조를 짜서 기도활동을 하게 한다. 기도에 대한 세미나나 기도를 위한 수양회를 가져야 한다. 특별 기도시간을 만들고, 기도 사역자를 정해 기도가 교회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개척자는 기도 전략을 짜고, 실행해야 한다.

 


2. 교회개척과 비전

 


1978년 본인은 유럽 여행을 하면서 한국교회의 성장에 대해 생각한 일이 있다. 전통 있고 역사를 일으킨 유럽교회가 교인이 감소되고, 관광지화 되고, 노령화된 모습을 보면서, 한국교회가 성장을 하지만 언젠가 성장의 한계에 부디 칠 때를 생각하게 했다. 내게 하나님께서 주신 비전이 25년의 세월 속에서 구체화되는 것을 개인적으로 본다.

예수님은 “내가 교회를 세우겠다”(마 16:18)라고 했을 때, 주님은 교회를 세우기 위해 12명의 제자들을 훈련하는 비전을 가졌다. 개척자는 주님의 교회를 세우기 위해서 비전을 가져야 한다. 만나는 사람에게 자신의 비전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1) 비전을 이루는 요소들

비전은 마치 한 나무가 우뚝 서 있는 것과 같다. 비전은 이미지요 그림이다. 비전은 미래교회의 중심이다. 한 나무가 땅에 깊이 뿌리 박고, 튼튼한 둥치, 가지들과 열매가 매친 것을 그린 그림과 같다. 나무가 자라는 주위 환경과 기후가 있는 것처럼 목회대상자가 있다. 나무 잎의 흔들 임은 목회의 즐거움이기도 하다.

비전은 나무가 땅에 뿌리를 내리는 것처럼 성경 말씀에 근거해야 한다. 나무의 뿌리들은 땅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다섯 뿌리들은 성경에서 나온 5가지 교회의 목적이 되어야 한다. 예배, 전도, 교육, 봉사, 친교가 되어야 한다. 이 뿌리를 통해 둥치가 커가는데 둥치는 목회자의 사명선언이 되어야 한다. 목회가 어떤 교회가 되겠다는 선언이며, 교회 철학이며, 성도들과 꿈을 함께 할 수 있는 목표이다. 나무의 가지들은 교회의 기본적인 사역들과 보충사역들을 나타낸다. 이 결과로 아름다운 목회의 열매를 맺게 된다.

 


2) 비전의 정의

교회의 비전은 교회의 개척자가 어떤 교회를 만들어 보겠다는 청사진, 즉 그림을 말한다. 어떤 교회를 만들어 보겠다는 그림이 비전이라면, 그 비전은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나와야 한다. 교회의 비전은 미래의 확실하고 도전적인 그림이 되어야 하며, 교회의 지도력은 그것이 되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믿어야 한다.

개척자는 자신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고, 하나님께서 주신 비전을 구체화 할 수 있고, 목회 현장에서 행할 구체적인 내용을 가지고 인도해야 한다.

 


3) 비전의 중요성

교회를 개척하는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의 비전을 가져야 한다. 비전이 없으면 교회를 개척해 갈 수 없다. 교회를 성장하게 하는 일은 목회자나 교회 개척자 자신의 개인적인 비전이며, 또한 그 비전을 전달하는 능력이다.82) (1) 비전은 미래 교회에 중심이다. (2) 비전은 이미지요, 그림이다. (3) 비전은 하나님의 구원사역의 목적에서 나와야 하며, 자기 백성을 축복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열망에서 나와야 한다. (4) 비전은 교회를 개척하는 사람에게 힘과 자원이 된다. (5) 비전은 교회의 프로그램, 사역의 방향을 결정하는 잣대가 된다. (6) 확실한 비전이 교회를 하나되게 하는 길이다. (7) 비전은 교회생활의 가장 중요한 것들을 취급한다.

비전은 예측할 수 없는 난관에 부딛쳤을 때, 그것을 뚫고 나가도록 만든다. 너무 지쳐 있을 때 떨쳐버려 일어나도록 격려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 단계에 취해야 할 적절한 행동을 가르쳐 주는 내적인 힘이다. 비전은 지도자의 책임에 속하는 것이며, 지도자는 추종하는 자들과 구분시켜 주는 특징이다. 지도자는 비전을 품고 이것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며, 추종자들은 이 비전을 받아 드려서 실현하는 활동을 한다.

 


4) 비전의 개발

지도자가 교회를 위해 하고자 하는 모든 일은 비전에 의해 결정이 된다. 비전이 분명하지 않으면 목회자의 사역도 분명해지지 아니하며, 리더쉽도 흔들린다.

목회자는 분명한 소신을 가지고 성서적 기초에서 비전을 가져야 한다. 목회자가 없으면 교회의 리더들이라도 가져야 한다. 교회의 리더는 교인들과 함께 교회 전체가 다듬어진 비전을 가져야 한다.

목회자는 그 비전을 교회의 중요한 리더들과 시간시간 나누어야 한다. 교회의 리더들이 목회자의 비전을 이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목회자는 리더들이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하고, 리더는 반대 의사를 나타내서는 아니 된다.

목회자는 리더뿐 아니라 전 교인들과도 자신의 비전을 나누어야 한다. 교인들이 목회자가 제시한 비전을 이해 못한다면 그 비전은 결코 현실적으로 나타낼 수 없다.

 


5) 비전의 구체화 작업

로버트 로간은 비전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83) (1) 기도와 묵상으로 시간을 가진다. (2) 하나님께 마음이 준비 되도록 기도한다. (3) 자신의 필요에 맞춘다. (4)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자신의 꿈을 가진다.

 


6) 비전에 대한 평가

자신의 비전을 평가 할 때, 다음의 질문들은 비전의 평가를 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1) 당신이 만든 비전은 하나님께 영광이 됩니까? (2) 당신이 만든 비전은 두려움보다는 믿음에 근거합니까? (3) 당신이 만든 비전은 사역 자체만을 위한 일보다는 사람들을 위한 일입니까? (4) 당신이 만든 비전은 당신의 믿음을 세우는 일입니까? (5) 당신이 만든 비전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사람들에게 맞는 것입니까?

 


3. 교회개척과 교회의 목적(핵심가치)

 


교회를 개척할 때 개척자는 “나는 어떤 교회를 만들고자하는가”라는 질문을 자신에게 해야한다. 교회를 개척하면서 이 질문은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개척사역 중에서 교회의 목적들, 즉 핵심 가치가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 개척자는 이런 목회를 하다가 죽겠다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 주님이 주신 생명을 다하여 완수하고자 하는 목회가 있다.

개척자의 핵심가치는 말과 행동을 결정하고, 개척자가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를 결정한다. 교회의 목적은 교회의 조직, 사역과 전략을 발전시키는 기초가 된다. 핵심가치인 교회의 목적은 교회를 어떻게 운영할까를 결정하고, 목회 하는데 목회신학의 기초가 된다.

 


1) 교회의 목적

교회의 기능인 목적은 예배, 전도, 교육, 봉사, 친교로 나눈다.84)

2) 새들백 교회의 핵심가치들

새들백교회는 교회의 목적 5가지를 요약할 5가지 중요한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다.85)

(1) 찬미(Magnify) : 우리는 예배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찬양한다.

(2) 선교(Mission) : 우리는 전도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

(3) 소속(Membership) : 우리는 하나님의 가족을 교제로 끌어들인다.

(4) 성숙(Maturity) : 우리는 제자훈련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을 교육한다.

(5) 사역(Ministry) : 우리는 봉사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나타낸다.

 


3) 남가자주 사랑의 교회 핵심가치들

(1) 성경 적용 (2) 섬김 (3) 탁월성 (4) 사람들의 은사 (5) 신실한 지도력 (6) 계속적인 배움 (7) 팀워크 (8) 창의성 (9) 자유로움과 융통성 (10) 성장 (11) 헌신.

 


4) 목적 진술과 목회 철학

목회 철학은 목회자가 목회 현장에서 자신이 세운 주요한 목회 목표나 목회신념이나 비전 등을 일컫는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교회의 목적 진술이나 목회철학, 혹은 목회의 비전은 같은 맥락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지구촌 교회(이동원 목사)의 비전은 “민족 치유, 세상 변화”이고, 사명은 “목장교회를 통한 평신도 선교사 육성과 파송”이다. 이 비전을 위해 10대 전략을 가지고 있다.86)

온누리 교회(하용조 목사)는 기본 목회 철학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1) 성경 중심의 교회이다. 성경은 구원과 생활의 기준으로 오류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으며, 모든 성도는 성경을 배우든지 가르치든지 한다. (2) 복음 중심의 교회이다. 하나님을 경외하고 복음적인 교리 위에 경건한 삶을 추구한다. (3) 선교 중심의 교회이다. 복음을 땅 끝까지 전하는 선교는 교회의 최대의 관심이며 존재 목적이다. (4) 긍휼을 베푸는 교회이다. 긍휼을 베풂으로써 세상의 고난에 동참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이룩하려 한다. (5) 예수 그리스도의 문화를 심는 교회이다. 그리스도 중심의 역사와 문화를 이룩하기 위해 음악, 미술, 연극, 문화 등으로 예수님이 왕이심을 확인하려 한다.

대구신암 교회(윤의근 목사)의 목적 진술. “우리는 사람들을 인도(전도)하여 교인이 되게 하며, 그들이 그리스도를 닮는 데까지 성장하게(교육)하며, 경건한 예배(예배)와 사람의 교제(친교)를 통하여 건강한 교회를 이루고, 서로 받은 은사를 다라 섬김의 삶(봉사)을 살게 한다”87)

 


4. 교회개척과 사명선언

 


교회의 일은 하나님의 은혜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목회는 이루시는 분이 하나님이시기에 그분에게 모든 목회를 맡겨야 한다. 잠언 16장 9절 “경영은 사람에게 있을지라도 그 일을 이루시는 분은 하나님이라”라고 한다. 우리가 목회방향을 분명히 정하더라도 그 목회를 이루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다.

개척 교회 목회자는 자신의 목회 방향이 있어야 한다. 목회자는 방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목회를 하고자 하는 분명한 결단이 있어야 한다.

 


1) 사명 선언의 정의

목회 사명 선언은 목회 목적 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에 따라 우리가 무엇이 되고자하는 행동선언이다. 목회 사명 선언은 목회의 비전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이고 방향을 규정해 준다. 목회 사명 선언은 교회를 개척하는 사람이 이미 가진 사실을 기초하여 장차 어떤 교회가 되고 싶다는 것을 간단히 서술한 것이다. 목회 사명 선언은 몇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핵심 사역, 대상, 장소, 방향이 있어야 한다.

 


 2) 사명 선언의 중요성

사명선언은 특별한 교회의 목적을 설명해 준다. 사명선언은 교회의 비전, 핵심 가치와 사역들의 성경적 명령을 반영한다. 이것들은 반드시 성경에 기초해야 한다.

사명 선언은 개척교회의 계획을 세우는데 기본적인 것이다. 모든 진행과정에 대한 기초이며, 이 계획은 끊임없이 중요한 전략계획으로 발전 시켜야 한다. 목회의 목적과 목표에 맞고 예산과 일정에 맞추어서 해 나가야 한다.

목회 비전과 목회 사명 선언은 서로 비슷하다. 둘 다 성경에 기초하며, 미래의 방향과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서로가 다른 점은 비전이 목회를 담은 한 장의 사진이고, 대화이고, 영감이고, 보게 하는 것이라면 사명선언은 정의이고, 계획이고, 사실을 알리는 것이고, 행동하는 것이다. 비전이 마음으로부터 나오고, 집중이 넓고, 도전적이라면, 사명 선언은 머리로부터 나오고, 집중이 좁고, 구체적이다.

 


3) 사명 선언 세우기

목회 사명 선언은 명확하고, 짧고, 그리고 간단해야 한다. 사명 선언은 성경에 기초하여 목회자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 계획이다. 글로 쓸 수 있어야 하고, 개척하는 교회에 특별한 것이어야 한다. 사명 선언은 목회자와 잘 어울려야 한다.

 


4) 사명선언 만들기

(1) 사명선언을 만들기 위해 목회자는 먼저 목회 사명 선언에 맞는 성경 구절을 찾는다.

(2) 목회에 필요한 교회의 5가지 목적이나 이에 종속된 핵심가치인 중요한 단어들을 적어 본다(예, 찬미, 전도, 회원의 소속감, 성숙, 봉사, 선교, 친교 등이다).

(3) 목회자의 교회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구절들을 기록한다(기쁨, 기도와 감사. 시냇가에 심긴 나무 등).

(4) 위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만든다. 이 문장 속에는 교회이름, 장소, 전도대상, 전도사역 방법, 목회방향 등이 들어가야 한다.88)

 


5) 사명 선언문 평가

목회 사명 선언은 목회자가 하고 있는 목회 핵심 사역들을 나타내야 한다. 목회자가 하고자하는 사역을 정확히 알려주어야 한다. 목회 사명 선언문에 세 가지에서 다섯 가지 사역이 집중되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5. 교회개척과 집중 대상

 


도시와 농촌, 도시에도 강남과 강북지역이 다르듯이 지역마다 사는 사람의 특성이 다르다. 인구, 직업, 지역분포, 교육수준, 수입, 취미 등등이 다르다. 개척자는 개척하고자하는 지역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기록해야 한다.

 


1) 인구 분포.

개척을 원하는 지역에 인구는 얼마이며, 교회에 연관된 사람들이 얼마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사과정에서 복음이 전달되지 못한 나이 그룹이 나타나고, 인구가 계속 성장할 것인가 아니면 감소할 지역인가를 알게 된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을 집중적으로 전도할까를 파악해야 한다. 상업지역, 공장지역, 주택지역, 농촌지역은 집중전도 대상자가 확실히 차이가 있다.

 


2) 종교적인 조사

개척할 지역의 종교인구 조사를 통하여 신앙이 절실히 필요한가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개척할 지역이 어떤 사역이 필요한지를 알아야 한다. 일반적 사역, 어린이 사역, 청소년 사역, 청년 사역, 혹은 빈민 사역이 필요한 지역인가를 알기 시작할 때, 그 지역이 요구하는 필요한 사역을 감당할 수 있다.

 


3) 지역적 특색

개척할 지역의 경제적 형편, 지역의 교육 수준, 직업 분포, 지역 주부들의 직업, 집값 및 주거 형태, 오락이나 여가, 노래방 분포와 전자 전기 기구의 사용을 알아보면서 개척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

 


4) 목회 집중 대상 선정

새들백 교회의 릭 웨렌 목사는 집중대상 그룹을 30대, 결혼하여 두 자녀가 있고, 화이트칼라 계층을 선정했다. 그는 이를 새들백 샘이라고 부르고 있다.89)

개척자가 개척할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척하면 집중 대상이 누구인가를 알아야 한다. 개척자의 수준에 맞추어 볼 때, 그들의 삶의 수준에 맞는 목회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개척자의 수준에 맞는 이유를 자세히 기록해야 한다.

 집중 대상자의 특성이 파악되었으면, 예배 형태, 모임의 형태, 미디어의 활용, 장소를 선정해야 한다.

 


6. 교회개척과 관계성

 


잠언 27장 17절은 “철이 철을 날카롭게 하는 것 같이 사람이 그 친구의 얼굴을 빛나게 하느니라”고 한다.

직장에서 실패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인간 관계의 잘못에 있다.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게 어떤 말을 할지라도, 당신이 사업에 실패했다면 그것은 언제나 인간 관계에 실패했기 때문이다.”90) 교회개척에 있어서 인간관계는 중요하다. 특히 개척목회자와 리더들과의 관계는 수직관계보다는 수평적인 관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개척자는 개척교회를 돕는 중심 리더들, 즉 전도사들, 주일학교 교사들, 목장 사역자들, 재정, 선교, 교육, 예배 및 전도 담당요원들과 이 이외에 개척교회를 돕는 교회 성도들과의 관계가 원만해야 한다. 예수님은 계명을 주셨는데 예수님이 우리를 사랑하신 것처럼 우리가 서로 사랑하는 것이다. 예수님이 명한 대로 행하면 친구라고 하셨고, 종이 아니고 친구의 관계에서 사역을 같이 하고 계심을 보여 주고 있다.91)

인간 관계를 원만히 하는 목회자는 몇 가지 명심할 일이 있다.92) 인간관계에 성공하는 목회자는 자신을 개방하고, 남을 탓하지 않고, 자기 이기심이 없고, 교주심리를 버리는 사람들이다. 인간관계의 기초는 사랑이고, 인간관계는 단기간보다는 장기간의 시간이 걸린다. 개척교회의 비전, 목회 사명, 교회의 목적, 집중 대상 등 목회 방향에 대해 대화를 통해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

인간 관계의 개선은 형식적이거나, 비 형식적인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인간관계의 갈등이 해소 되도록 해야 한다. 교회를 개척하면서 관계되는 리더들과 약정서를 정하여 원칙들을 정할 필요가 있다.

 


7. 교회개척과 전도 전략

 


성령님은 불신자들의 삶에 역사하시여 마음의 문을 두드리시며, 성령님은 우리를 통하여 일하실 때 전도인인 우리에게 능력을 주시며, 성령님은 우리가 불신자들에게 복음을 전 할 때 불신자들이 진리를 깨닫게 하신다.93)

교회에는 전도를 담당하는 사역자가 필요하고, 적어도 반 이상의 교인들이 전도사역 쎄미나를 받게 하고, 구역 조직 중 한 달에 한 번은 전도 모임을 가지게 하고, 1년에 한 번은 전도를 특별 집회를 계획해야 한다. 성도 중 전도 은사를 가진 10%의 명단을 파악하고 적극활용하고, 태신자 명단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기도하게 한다. 그리고 전도 사역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찾아 해결해야 한다.

1) 전도 전략

(1) 지역 주민의 종교 분포를 파악한다. 어디에 교회도 가지 않고, 믿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가를 파악한다. 누가 교회도 가지 않고, 믿지도 않는가를 파악한다. 왜 그들이 교회도 가지 않고, 믿지도 않는가를 파악한다. 가정 방문을 통해 파악하고, 교회도 가지 않고 믿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할 일을 교회가 선정한다.

(2) 지역에 교회의 이미지를 창조해야 한다. 지역사람들이 그 교회를 말하면 “아! 그 교회”라고 할 수 이는 이미지가 필요하다. 모든 자료를 믿지 아니하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고, 불신자들에게 방해되는 장애물을 제거한다. 불신자들과 관계성을 가지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있다. 시장 점포를 돌면서 전도지 배부, 취미를 가진 분들을 위한 꽃꼬지 모임, 교회 노인학교 운영, 무료 진료소 실시, 무료 급식 제공 등이다. 교회는 지역 주민들의 의식 구조의 변화에 눈을 떠야 하고, 불신자들이 실제적으로 느끼고, 교회가 정말 해주기를 원하는 일들에 사역의 중심을 두어야 한다.

(3) 전도에 포함시킬 그룹들을 구성한다. 믿지 않는 사람들을 찾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고, 믿지 않는 사람들의 중요한 관심사를 찾고, 믿지 않는 사람들과 관계성을 수립하고, 믿는 사람들과 관계를 가지도록 가능한 방법을 동원한다.

(4) 섬김을 통해 지역 사회 안에 신용을 쌓아 간다. 섬김을 통한 전도는 행동을 통해 친절함을 보여주고, 어떤 대가를 생각하지 않고 겸손하게 섬기는 것이다.

(5) 전도를 위해 특별한 관계성을 개발한다. 전도 대상자를 정했으면 사랑을 베푸는 일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주님의 사랑으로 하는 것이다. 나중에 전도가 되지 않을 때에도 감사할 수 있는 자세이면 전도를 통해 영적으로 성숙해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전도를 위해 관계를 만들어 갈 때 영적인 것을 나눌 기회를 만들고, 예수님이 자신에게 해주신 일을 나누고, 중요한 성경 구절을 인용하고, 마음에 결정할 수 있도록 여유를 주어야 한다. 태신자를 만나 사랑을 베푸는 방법을 소개한다.94) 사랑 베풀기는 베푸는 사랑, 띄우는 사랑과 만나는 사랑으로 나눈다. 베푸는 사랑은 음식나누기, 선물(책, 테이프)과 축하(생일, 졸업) 등이다. 띄우는 사랑은 사랑의 편지, 전도지, 전도 테이프 보내기 등이다. 만나는 사랑은 식사 초대, 반상회, 취미 활동, 구역 목장 등의 활동이다.

(6) 공인된 전도인을 훈련시킨다. 제자훈련을 통해 양육된 전도인이 필요하다. 공인된 전도인은 모범을 보이고, 전도 과정을 지켜보고, 상대편을 훈련시킨다.

 


2) 새신자 정착의 방법

(1) 새신자를 환영하는 교회가 되라.

(2) 새신자 정착의 장애물을 제거하라.

(3) 새신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하라.

(4) 새신자 특공대를 조직하라(6명이 새신자와 인사하라).

(5) 새신자 양육자를 키우라.

(6) 충분한 재정을 투자하라.

새신자를 환영하는 교회의 확인 목록 표는 다음과 같다. 충분한 주차시설을 가지고 있는가? 주차장 안내 위원이 있는가? 성전 안내 표시가 있는가? 새신자 지정좌석이 있는가? 새신자 옆에 새신자 담당위원이 앉아 있는가? 교회의 주보는 새신자가 보아도 부담이 없는가? 교인들의 미소와 인사가 있는가? 새신자에게 환영의 표시(명찰, 꽃, 뺏지 등)를 하는가? 등록 카드를 기록하고 있는가? 예배 중에 새신자 환영식을 하는가? 새신자 옆에 있는 담당위원이 대화를 유도하는가? 예배 후에 다과 모임에 참여시키는가? 교회 시설에 대한 안내를 실시하는가? 유아실을 갖추고 있는가? 예배 후 여러 사람이 관심과 인사를 건네는가? 목사님을 만날 기회를 제공하는가? 다음 주 예배에 초대하는가? 새신자 반에 참석시키는가?

 


8. 교회개척과 소그룹

 


성경에서는 초대교회의 구성을 두 가지 구조인 것으로 보여 준다. 큰 그룹의 회의와 소그룹의 회의를 볼 수 있다.95) 성전에서 모인 회의와 집에서 모인 회의가 있었다. 초대교회의 소그룹의 기능을 알 수 있다. 개인의 필요를 채워주는 모임,96) 예배를 드리는 모임,97) 돕는 사역을 하는 모임,98) 사역과 격려하는 모임,99) 제자를 훈련하는 모임이었다.100)

한국교회는 전통적으로 소그룹 활동에 강한 교회이다. 소그룹은 구역, 속회, 순이라고 하고 요즈음은 셀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셀은 한국교회의 장점인 구역조직을 잘 활용하여 작은 교회개념을 도입한 소그룹이다.

건강한 소그룹의 특징은 하나님께 영광 돌리고 모든 족속을 제자를 삼기 위해 관계성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이며, 목적을 가지고 나가는 사람들이고, 소그룹은 관리할 수 있는 4명에서 10명 정도의 사람들로 구성한다. 건강한 소그룹의 특징은 숫자를 배가시키는 사람들이고, 그들은 새로운 그룹을 재생산시키는 사람들이고, 새 그룹들을 융화시키는 사람들이다.

소그룹의 형성은 주일학교 그룹, 가정교회 그룹, 제자훈련 그룹, 불신자 전도 그룹과 사역팀 그룹이 있다. 소그룹의 참여자들은 소그룹 지도자, 부 리더, 성장하는 그리스도인, 불신자, 전도 대상자로 구성한다.

 


1) 건강한 소그룹의 형성과 개발

(1) 소그룹의 형성 방법. 필요에 따라 소그룹을 만들고, 인도할 리더를 훈련시키고, 리더들은 관계성을 가지기 위해 6-12개월 동안 사람들에게 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2) 그룹이 시작되고 난 후 그룹의 개발. 서로 서로 취미나 직업 등을 알게 하는 단계, 긍정하고 받아 드리는 단계, 그룹의 사명 인식 단계, 돕고 인정해주는 단계를 통해 그룹을 성장하도록 한다.

(3) 그룹의 재생산. 재생산을 위해 제자 훈련하고, 큰 모임을 적은 그룹으로 만들고, 불신자를 인도할 터를 만들고, 리더쉽 그룹을 개발한다. 2년 동안 실적이 없으면 폐쇄시킬 수 있으며, 동질성의 그룹은 작은 그룹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2) 소그룹의 역할

보통 교회는 목회자를 중심으로 단 세포 조직으로 되어 있다. 큰 소그룹과 같은 형태이다. 그러나 현대는 많은 변화가 있으며, 교인들에게 다양한 변화에 적응하게 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한 사람의 목회자가 전체교인을 돌볼 수 없다. 다양한 교육기관, 다양한 교인 그룹, 지역적, 문화적, 지적인 차이를 한 사람의 목사가 감당하기는 한계가 있다. 소그룹은 다양한 요구를 포용할 수 있고, 소그룹의 결합은 하나의 큰 회중이 될 수 있다. 소그룹은 하나의 회중을 만들어 개척 교회가 될 수 있으며, 교회의 힘이 된다.

 


3) 소그룹 사역

교회에 등록한 사람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소그룹 모임을 시작한다. 소그룹을 시작하면, 소그룹 안에서 인도자로서의 자질을 가진 사람을 찾는다. 또 다른 소그룹을 만들기 위해 인도자 훈련전략을 개발하고, 훈련을 받게 한다. 소그룹 인도자들을 지속적으로 훈련하고 격려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교제하고, 중요한 교인들과 제자관계를 가진다.101)

 


9. 교회개척과 가정교회

 


목장사역은 가정교회 사역을 의미한다. 목장 사역은 전통적인 교회 형태에서는 시작될 수 없는 사역이다. 전통적인 교회 형태는 계급적인 요소가 성도들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목장사역은 현대적인 교회에서만 가능하다. 담임 목사는 목장 사역의 인도자들을 도와, 그들이 가정 교회를 이루고, 목장 사역을 인도하는 목자들이 가정 교회의 심방, 전도, 교육, 선교 등을 감당하게 하는 사역이다. 구역을 구역 중심의 작은 교회가 되게 하는 개념이다.102)

가정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중심으로 가정에서 모이는 모임이다. 가정교회는 그 기원이 초대교회에 있었던 교회들이라 할 수 있다. 가정교회는 가정에서 모여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떡을 떼면서 하나님을 찬양하는 모임이다. 가정교회는 그 구성이 목자, 교사, 및 각 부장으로 구성한다. 모든 사람은 은사에 따라 한 가지 이상씩을 맡아 가정 교회를 섬기고, 어느 정도 크면 분가할 준비를 한다. 분가할 때는 목자가 한 가구를 데리고 나가서 가정교회를 만든다. 가정교회는 그 이름을 선교지역 나라를 따서 지어도 좋고, 가정 교회의 진행은 찬양, 기도, 말씀, 친교 및 선교 사역을 위한 기도로 진행한다. 가정교회의 목적은 회원끼리의 아픔과 상처를 치유해 주는 방향으로 인도한다.

 

 

 

10. 교회개척과 팀 사역

 


개척교회는 모든 형태와 조직이 교회가 가장 유용하게 사역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팀 사역은 교회의 기능 조직에서 시대에 맞는 조직이다. 모세는 혼자 일하다 팀 사역의 중요성을 알고 십 부장, 오십 부장, 백 부장과 천 부장을 세웠다. 예수님은 팀 사역을 하신 분으로 수제자와 12명의 제자들과 함께 일했다.

팀 사역자들은 개척교회를 할 때 같은 비전, 같은 핵심가치, 또한 같은 사명선언을 가져야 한다. 팀 사역자들은 자주 만나 교회의 비전을 나누고 서로의 자신들의 의견을 다른 사역자들과도 나누어야 한다. 팀 사역자들 속에 목사와 사역자들의 부인들을 참석시키고, 담임목사가 지킬 수 없는 일은 팀 사역자들과 약속을 하지 말아야 한다.

교회의 비전, 목회자의 철학에 따라 팀 사역자들의 역할이 다르게 정해 질 수 있다. 팀 사역자들은 전도 사역자들, 찬양과 예배 사역자들, 어린이 사역자들, 청소년 사역자들, 행정 관리자들, 재정담당자들, 주일 학교 교사 사역자들, 목장 사역자들과 구역 담당자들이다.

팀 사역자를 선임 할 때 주의 사항은 몇 가지가 있다. (1) 자기의 역할을 분명하게 한다. (2) 각자의 역할을 알아야 한다. (3)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숙지시킨다. (4) 기간을 분명히 해둔다. (5) 각자가 서로 서로 협력자임을 주지시킨다. (6) 자리를 대신 할 사람을 준비한다. (7) 교회의 비전과 목적을 마음에 간직하게 한다.

 


11. 교회개척과 예배

 


예배는 우리의 마음과 뜻, 그리고 몸과 시간 등 우리의 삶 전체를 하나님 앞에 드리는 것이다. 예배는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의하여 양심을 각성시키고, 하나님의 진리로서 지성을 기르는 것이며, 하나님의 아름다움에 의하여 상상력을 맑게 하는 것이고, 하나님의 사랑에 마음을 여는 것이다.103) 예수님은 신령과 진정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라야 참된 예배라고 말씀하신다.104)

불신자들을 교회에 오게 하기 위해 그들이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하였다.105) 불신자들의 대답은 다음과 같다. (1) 교회들은 항상 돈을 요구하고 있다. (2) 교회 예배의식은 지루하다. (3) 교회 예배의식들은 예전적이고 반복적이다. (4) 설교들은 실제적인 일상생활과 동떨어져 있다. (5) 목사는 나에게 죄책감과 무지를 느끼게 하고, 나는 내가 교회 문턱에 들어갈 때보다 교회를 더 나쁘게 느낀채 떠난다. 개척자들은 불신자의 마음을 파악하고 성령님께 의지하면서, 의미 있고 감동적인 예배가 되도록 해야 한다.

 


 1) 예배를 위한 준비.

목회자는 먼저 개인적인 예배시간을 가지면서 예배를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교인들도 개인의 경건 시간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예배를 사모하도록 해야 한다.

예배위원을 세우는 일을 해야 한다. 예배에 관계가 있고 은사가 있는 분들을 참석시켜야 한다. 예배위원은 예배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예배위원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배의 주제는 교인들이 현실적으로 느끼고, 필요한 내용이어야 한다. 주제와 조화하도록 사전에 충분한 주제를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

 


2) 목회자의 태도

예배시 목회자의 말이나 행동이 청중의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목회자가 인도하는 예배가 분명하고 개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예배가 긍정적이고 실제적이 되어야 한다. 예배가 대화식이 되고 말씀과 적용의 관계가 자연스럽고 올바른 선택이 되도록 해야 한다.

 


3) 예배시에 유의 할 사항

레이너는 예배시에 유의할 사항을 6가지로 지적하고 있다.106)

(1) 질을 높이고 평범함을 거절하라.107)  보통 사람들은 이제 질에 익숙해져 있다. 헌신적인 그리스도인은 훌륭하지 못한 예배의식을 관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교인이 아닌 사람들은 깨어져 있는 음향 체제, 편치 않은 긴 의자, 상관성 없는 설교, 제멋대로 울리는 피아노 등은 비신자들을 교회에 영원히 오지 못하게 할 것이다.

(2) 예배 때마다 하나님이 함께 계심을 느끼게 하는 분위기가 되게 하라. 화이트는 성장하는 교회에 나타나는 분위기를 5가지로 들고 있다. 축제적, 우정적, 휴식적, 긍정적, 희망적 분위기이다108). 예배가 침울하지 않아야 하며, 친절은 목사로부터 나와 성도들에게로 자연스럽게 번져야 한다. 긍정적인 정신과 기대감은 성장하는 교회의 분위기를 고양시킨다. 즐거워하고 웃음 있는 교인들과 성가대는 예배 때마다 하나님이 함께 계심을 느끼게 한다.

(3) 손님을 환영하라. 익명성과 자원성을 부여하고, 주차나, 교회 소개, 식당 안내든지 친절하고 즐겁게 그리고 예의 있게 해야한다.

(4) 음악. 화이트는 예배의식에 나타난 음악의 네 가지 주요한 추세를 지적한다.109) 음악은 현대적이고, 경쾌하고, 가장 높은 질에 속하며, 풍부한 음악이 있으며, 혁신적인 방법들도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교회는 당대 음악을 파악하여 “내 주는 강한 성이요”와 같은 서정시도 채용하였다.110)

(5) 다양성과 계획성. 성장하는 교회들은 불신자들이 가장 선택할 수 있도록 시간과 요일을 정한다. 성장하는 교회들은 예배시 자체에서 미디어와 강사를 준비시킨다. 비디오, 오버헤드 프로잭트 스크린으로 비추어지는 찬송 가사와 합창이다.

(6) 설교. 성장하는 교회의 설교의 7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111)  설교에서 설교의 목표를 분명히 한다, 성경적이다, 실천적이다, 삶과 상관적이다, 흥미 있고, 즐겁다,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하다, 설교가 긍정적이고 고무적이다.

 


4) 예배주보 만들기

주보에는 예배를 어떻게 시작하고, 마치고, 어떤 요소들이 들어가야 하는 지를 알아야 한다. 예배의 목적을 뚜렷이 하고, 어떤 분위기를 창출할 가를 생각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효과적으로 예배드리는 교회의 주보를 찾아보고, 자기와 같은 스타일의 주보들을 검토하고, 자기의 스타일에 맞는 주보를 작성한다.

 


5) 예배의 평가

예배가 축제적이 되고 감동적이기 위해 예배위원들은 정시에 도착하고, 예배드리기 전에 기도하고, 예배 드리는 동안에 서로 서로 지지하고 보충한다. 예배는 예행 연습을 통해 완전히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영적인 준비를 위해 시간을 할당해야 한다.

예배에 대한 평가기준을 가지며, 예배 평가는 예배 위원들과 예배 참석자들로부터 그들의 의견을 모은다.

 

 

 

12. 교회개척과 재정

 


개척교회의 재원은 개척교회 성도의 헌금, 모교회의 지원, 지방회의 도움, 총회 국내 선교부의 지원과 개인 후원자들로 구성한다.

개척교회는 십일조 교육을 교인들에게 하고, 매 모임 때에 헌금을 하게 한다. 헌금을 하게 하는 것이 무거운 짐일 수 있으나, 성경의 물질관을 바로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며, 교인들이 축복 받는 최선의 길이다.

교인의 청지기 봉사는 신자의 개인이나 권력이나 소유물에 대한 하나님의 소유를 말한다. 이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를 건설하고 확장하기 위해 물질과 시간과 재능을 충실하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물질을 드리는 방법은 기쁨으로, 자원하여, 정규적으로, 희생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드려야 한다.

개척교회시 물질관리는 믿을 수 있는 회계를 세우는 것이 좋다. 실제적으로 개척교회를 하다보면 목사 자신이나 사모가 맡는 고통스러운 기간이 있을 수 있으나, 가급적 성경적으로 목사와 집사의 임무를 분리하는 것이 좋다. 개척교회라도 간단한 예산을 세우고, 회계는 두 사람이 계산하고, 회계는 월말에 한 번씩 재정을 보고한다.

목회자는 늘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된다. 어렵고 힘든 가운데서도 정말 하나님의 일을 할 때 물질에 부요한 것을 알게 된다. 목회자가 양들에게 풍성한 꼴인 은혜로운 하나님의 말씀을 배부르고, 만족하게 먹이면 양들은 풍성한 젖을 내게 된다. 목회자는 자신의 양떼와 소떼를 부지런히 살피고 보살펴야 한다.112)

목회자는 교인들에게 청지기 훈련을 일년에 한 번씩 실시하는 것이 좋다. 청지기 훈련은 재능, 시간, 재물, 전도와 십일조 훈련이 포함된다.

 


VII. 결  론

 


한국교회는 현대 한국인의 의식구조가 개인적인 문제 뿐 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엄청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문화적인 면, 조직적인 면, 예배 형태와 교육적인 면에서도 변하고 있다.

이 변화의 과정에서 21세기에 번창할 교회는 어디서 올 것인가? 많은 수의 교회가 개척될 것이다. 피터 왜그너가 말했듯이 하늘 아래서 유일하게 가장 효과적인 전도 방법은 새로운 교회를 개척하는 것이다. 찰스 챤니는 교회개척의 중요성을 3가지로 요약해서 말하고 있다. 개척교회의 시작이 기성교회에 크게 자극을 주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집중적으로 전하고, 교회 성장의 정체와 수적 감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

많은 전통적인 교단들이 직면하는 심각한 문제들 중의 하나는 목회자의 수가 점점 많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신학교는 동일한 비율로 학생들을 배출한다. 우리와 같은 상황이 1980년대 미국의 상황과 같으며, 현상 유지만을 바라는 목회자들에게 피터 왜그너는 교회개척에 대한 제안 없이 우려하는 목소리에 놀라고 있다. 다른 교단과 다르게 남침례교단은 교회개척자 훈련 프로그램을 흡수하고 실천하여, 미국사회에서 계속 성장하고 있는 교단이 되고 있다. 지난 10년(1991-2000) 간 남침례교단은 매년 1500교회를 개척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교회를 개척할 이유는 교회개척이 성경적이고, 교단의 생존 뿐 만 아니라 그 이상의 일이며, 새로운 지도력을 개발하고, 기존 교회에 자극을 주며, 교회개척은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외에 경험적 이유로 (개척)교회는 전도의 열쇠이고, 더욱 빨리 성장하고, 교회에 다니지 않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선택의 기회를 주고, 항상 필요하며, 교단이 생존하도록 도와주며, 기존 교인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교회개척은 목회진단, 교회성장의 한계 극복하기 등과 함께 새롭게 주목받고 시작해야 할 학문이다. 교회 성장학이 한국교회에 많이 영향을 준 학문이지만 보수교단에서 몇 권의 책을 가지고 비판하는 입장에서 끝난 감이 있다. 교회성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요 사도행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성령님의 활동하시는 표적이다. 한국교회는 1990년대 중반에 들어와서 교회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아직도 구원할 75%의 사람들이 있다. 한국교회의 현 상황을 바라볼 때, 한국교회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목회의 대안을 위해 우리는 다시 이 개척 학문 분야에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

본인은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백 개가 넘는 개척교회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여하여 왔다. 열성, 용기, 기도, 헌신, 놀라운 능력으로 교회를 개척하는 목회자들을 보아 왔다. 기도와 눈물로 교회를 이루는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교회개척은 영광된 일이나, 쉽지 않다. 개척교회는 경제적 어려움, 부족한 인적 자원, 참기 힘든 어려움과 고독, 정착 율의 하락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기에 개척자는 믿음과 열정의 사람이어야 하고, 사람을 좋아하는 성품이어야 한다. 개척자는 목회의 은사를 깊이 확인하고, 사람을 키우는 지도력을 가지며, 복음 전도와 교회성장에 확신을 가져야 한다. 교회개척자는 생사결단의 기도와 가족이 함께 부름을 받아야 한다.

이제는 한국의 개척교회가 잉태과정에서부터 힘든 일에 막혀 있다. 좋은 위치에 건물만 얻어 개척하면 그만 이라는 생각은 지나간 세대의 일이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말씀, 분명한 대상, 관계조성, 큰 믿음과 비전, 기도, 대담한 전도열, 구령에 대한 불타는 사랑, 팀 목회, 장기계획, 교회 건축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초창기에 기도 부흥, 멤버 구성, 지역설정, 사람의 동원과 무장, 전도전략, 예배와 성장 프로그램, 치유 접근법, 어느 하나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교회개척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의 개척이 되어야 하고, 확실한 자기 진단이 요구된다. 개척교회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에 고생의 각오와 함께 인력 낭비와 사회적 낭비가 되지 않도록 확실한 준비, 확인, 진단을 통한 지혜로운 대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개척 전의 일들과 개척과정과 개척 후 교회의 성장과정을 제시하고, 현 교회의 어려운 상황을 돌파하고, 미래를 대비할 타개책을 제시했다. “교회개척의 시대는 지났다”라는 말이 나오고 있으나, 결코 그렇지 않다. 교회의 개척은 하나님의 뜻이고, 교회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교회개척은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도로 하는 것이며 비전으로 하는 것이다.

현 한국침례교회들이 10년 안에 한 교회씩을 개척할 계획을 완수한다면 100년에 이룬 침례교단의 부흥을 10년 안에 5,000개 교회로 배가시킬 수 있다. 현재 사역하는 부사역자들과 배출되는 신학생들을 강하게 훈련시키면 개척자들을 확보할 수 있다. 교회는 재산 증식이나 권력기구가 아니다. 교회개척은 복음확장과 부교역자들의 사역을 만들러 주는 면에서도 중요하다. 평신도들이 안일하고 게으르지 않고, 평생 개척 교회 한 곳을 세우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주님을 섬기도록 교육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5년 이상 기간 동안 성장이 주춤하고 침체되어 있는 고원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이 현상을 극복하는 대안은 교회가 예수님이 원하는 교회의 기능을 감당하는 것이다. 교회가 성경대로 그 기능을 균형 있게 감당하며, 예수님의 지상명령 대로 교회를 개척할 때, 그런 교회는 작든 크든 세상이 감당하지 못하는 교회로 성장하여, 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고문헌

 


명성훈. 「교회개척의 원리와 전략」. 서울 : 국민일보사, 1997.

이상대. 「개척교회를 벗어나는 일곱가지 방법」. 서울 : 요단출판사, 1997.

최영기. 「구역조직을 가정교회로 바꾸라」. 서울 : 나침반출판사, 1996.

최현서. 「건강한 교회와 아름다운 목회」. 서울 : 서로사랑, 2003.

Arn, Win. The Pastor's Church Growth hand Book. Pasadena : Church Growth Press, 1988.

Barna, George. Marketing the Church. Colorado : NavPress, 1988.

Chaney, Charles L. Design for Church Growth. Nashville ; Broadman Press, 1977.

       . Church Planting at the end for Twentieth Century. Wheaton : Tyndale House Publishers, 1982.

Crawford, D. R. Church Growth Words From The Risen Lord.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0.

Dudley, Carl S. Making the Small Church Effective. Nashville : Abingdon Press, 1990.

Faircloth, Samuel D. Church Planting for Reproduction. Grand Rapids : Baker Books, 1991.

Gammage, Albert W. How to Plant a Church, 고용남 역, 교회개척론. 서울 : 요단출판사, 1993.

Green, Hollis. Why Churches Die. Minneapolis : Bethany Fellowship Inc., 1975.

Hadaway, C. Kirk. Church Growth Principles : Separating Fact form Fiction.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1.

Jones, Ezra Earl. Strategies for New Churches, 고민영 역. San Francisco : Harper & Row, 1976.

Kane, J. Herbert. The Christian World Mission Today and Tomorrow.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81.

Malpurs, Aubrey. Planting Growing Church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Grand Rapids : Baker Book House, 1992.

MaCoury, D. G. and May, Bill. The Southern Baptist Church Growth Plan. Nashville : Convention Press, 1991.

McGavran, Donald A. Understanding Church Growth. Grand Rapids : Eerdmans, 1990.

MaGavran, Donald A., and Win Arn. How to Grow a Church. Ventura : Regal Books, 1973.

Miles, Delos. Church Growth : A Mighty River. Nashville : Abingdon, 1987.

Rainer, Tom. The Book of Church Growth. Nashville : Broadman Press, 1993.

Schaller, Lyle E. Growing Plans. Nashville : Abingdon, 1983.

Schwarz, Christian A. Natural Church Development. Carol Stream : Church Smart Resources, 1996.

Towns, Elmer. A Practical Encyclopedia : Evangelism and Church Growth. Ventura : Regal Books, 1995.

       . Getting a Church Started. Nashville : Impact Company, 1975.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Glendale : Regal Books, 1979.

       . Your Church Can Be Healthy. Nashville : The Parthenon Press, 1979.

       . Church Planting for a Greater Harvest. Ventura : Regal Books, 1990.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