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학

[스크랩] 변증학(辨證學)과 험증학(驗證學)의 기본적 차이점

수호천사1 2016. 10. 24. 10:12

변증학(辨證學)과 험증학(驗證學)의 기본적 차이점

 

 

이 두 용어는 구분이 없이 동일하게 쓰여지기도 합니다. 그만큼 두 단어의 의미가 긴밀하고 가깝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용어가 다른 만큼 엄밀히 말하면 구분이 가능하겠지요.


기독교 변증학(Christian Apologetics, 辨證學)은 비기독교철학에 대응하는 기독교 철학의 증명을 말합니다. 즉 변증학의 목표는 성경이 말하는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함으로써 기독교의 유신론(theism)을 증명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변증학의 영역은 어떤 한 부분(예를 들면 과학적 변증)만이 아니라 기독교 전체라고 보면 됩니다. 기독교 유신론의 본질은 창조와 타락과 구속으로 이어지는 전우주적인 면을 다루며 통일체적이므로 변증학은 매우 포괄적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변증학은 모든 신학의 공동 관심사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 면에서 변증과 교리(敎理)는 상호 협조적인 관계를 가진 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변증학과 신학은 서로 상호의존적인 것입니다.


반면에 기독교 험증학은 기독교의 사실성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을 말합니다. 좁게 말하면 기독교 변증학에서 그 존재를 증명한 하나님이 인류에게 베푸시는 기독교의 ‘구원 교리’의 타당성과 참됨을 변증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버나드 램(Bernard Ramm)은 험증학이 철학적이거나 이론적이라기보다는, 과학적이며 역사적인 영역에서 기독교의 사실성의 증명에 관심을 가지는 학문이라 하였습니다. 기독교의 전제론적(presuppositional) 변증학자인 코넬리우스 반 틸(Conelius Van Til)도 험증학을 과학(여기서 과학은 자연과학만이 아닌 광범위한 의미의 과학을 말함, 즉 학문에 가까운 말)의 공격으로부터 기독교 유신론을 변호하는 학문이라 정의 하였습니다.


박형룡 박사는 “변증학은 특히 기독교 신론의 지위를 확보하기를 목적하고 험증학은 주로 기독교의 경험 사실에 관한 정해(正解)를 유지하기에 노력한다. 따라서 전자는 사실보다 철학에 관심을 갖고, 후자는 철학보다 사실을 더 많이 취급하게 된다.”(<험증학>, 박형룡 저작 선집 Ⅻ,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78, 23)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반 틸(Conelius Van Til)의 견해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변증학과 험증학의 기본적인 유사한 측면과 서로 다른 면이 무엇인지 아셨을 거라고 봅니다.

조덕영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

'교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광(榮光, glory)  (0) 2016.10.24
[스크랩] 조직신학(組織神學)  (0) 2016.10.24
[스크랩] 조직신학 개론  (0) 2016.10.24
[스크랩] 일반은총과 특별은총  (0) 2016.10.24
[스크랩] 예정과 자유의지  (0) 2016.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