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ble and
Archaeology
Section 1-12
성경과
고고학
섹션 1-12
Can You Believe the Bible?
당신은 성경을 믿을수 있습니까?
William Ramsay didn’t set out to prove the Bible’s accuracy. In fact, the young Oxford graduate and budding scholar set sail in 1879 from England for Asia Minor convinced that, based on his university studies, the New Testament—and the book of Acts in particular—was largely a hoax. After all, his professors had taught him that the Bible had been written much later than it claimed to be, so its stories had been fabricated long after the fact and weren’t to be taken seriously.
윌리암 람세이(William Ramsay)는 성경의 정확성을 밝히기 위하여 나서지 않았습니다. 사실은 금방 옥스포드르 졸업하여 학자의 길을 새로이 걷게된 이 젊은이는 1879년에 영국에서부터 소아시아까지 그가 대학교에서 배운 것, 신약—특히 사도행전—이 가짜라는 것에 근거하여 떠나게 되었습니다. 뭐라고 해도 그의 교수들은 성경이 쓰여진 시대는 지금 주장되고 있는 시대보다 훨씬 후에 쓰여졌다고 말하였고, 그 이야기들도 오랜시간에 걸처서 만들어진 이야기이므로 중하게 여지기 않아도 된다고 가르쳤습니다.
The focus of his work was ancient Roman culture. But the more he dug into it, literally and figuratively, the more he came to see that the myriad of tiny details in the book of Acts—place names, topography, officials’ titles, administrative boundaries, customs and even specific structures—fit perfectly with newly discovered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finds. He was gradually convinced that, to use his own words, “in various details the narrative showed marvelous truth.”
그의 일의 중점은 고대로마의 문화였습니다. 하지만 그가 더욱더 파고 들어갈수록 문자적으로, 그리고 모형적으로 사도행전에 나오는 수많은 조그마한 정보들—지역이름, 지형, 관직명, 행정 경계, 문화와 심지어는 상세하게 기록되어있는 건물까지—모든것이 역사적, 그리고 고고학적으로 새로 발견된 자료와 일치했습니다. 그는 조금씩 납득하였고, 그가 말하기를, “많은 자료에서 이 이야기는 놀라운 진실을 보였다.
Contrary to all his earlier education, he was forced to conclude that Luke, the author of Acts, was “a historian of the first rank” and that “not merely are his statements of fact trustworthy; he is possessed of the true historic sense…This author should be placed along with the very greatest historians.”
그가 배운 모든것과는 정 반대로, 그는 강제적으로 누가(Luke), 사도행전의 저자, 가 “제 일급의 역사학자”라고 인정하게 되었고, 그뿐만 아니라 “그가 서술한것은 단순히 사실적인것뿐 아니라, 그는 사실적인 역사를 보는 능력을 지녔다…이 저자는 세계 최고의 역사학자들과 같이 기록되어야할 것 이다.”
In an outstanding academic career Ramsay was honored with doctorates from nine universities and eventually knighted for his contributions to modern scholarship. He shocked the academic world when in one of his books he announced that, because of the incontrovertible evidence he had discovered for the truthfulness of the Bible, he had become a Christian. Several of his works on New Testament history are considered classics.
그의 뛰어난 학업으로 인하여 람세이는 9개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대 학문에 대한 공헌으로 인하여 기사직을 임명받았습니다. 또한 그가 쓴 책에서 그가 발표한 내용, 그가 성경의 진실성에서 밝혀낸 명백한 진실들로 인하여 그가 기독교 인이 되었다는것이 학문계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신약에 관한 그의 많은 업적들은 고전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When confronted with evidence of years of travel and study, Sir William Ramsay learned what many others before him and since have been forced to acknowledge: When we objectively examine the evidence for the Bible’s accuracy and veracity, the only conclusion we can reach is that the Bible is true.
몇년동안의 여행과 공부를 통한 증거와 직면하면서 윌리암 람세이경은 그가 있기 전에도 그리고 또한 그 후로부터의 사람들이 강제적으로 인정할수 밖에 없었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우리가 객관적으로 성경의 정확성과 진실성에 대한 증거를 살펴보면 성경이 진실이라는 결론밖에 낼수가 없습니다.
The evidence from archaeology is only one proof of Scripture’s accuracy, and that’s the focus of this series of articles. We offer you a sampling of the evidence that’s available—documentation showing that details of the people, places and events described in the Bible, many of them mentioned only in passing, have been published in recent years that verify the dependability of Scripture, and no doubt more will follow as new discoveries come to light.
고고학에서 부터의 증명이 성경의 정확성을 밝힐수 있는 유일한 단서입니다, 그리고 이 연제의 중점도 그것입니다. 이 기사는 현재로써 가능한 증명들의 샘플을 보입니다—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문서 제시, 성경에만 쓰여있는 장소와 일어난 일들, 그저 지나가는 이야기로만 했던것에 대한것이 요즘에 책으로 출간되면서 성경에 대한 확실성을 증명하였습니다. 그리고 또한 어김없이 새로운 발견들이 나올것 입니다.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for you? All the evidence in the world does us no good if we are not willing to believe the Bible enough to put it to the ultimate test—that of doing what it tells us to do.
이것이 당신과는 무슨 상관이 있습니까? 이 세상의 모든 증거들도 만약에 여러분이 성경을 궁극적으로 실험할만큼—성경에 쓰여져 있는데로 행하는것-- 믿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는것 입니다.
James, the half brother of Jesus, reminds us that mere belief is not enough, because even the demons believe. Instead he tells us we must put our beliefs into action if we are to please God (James 2:19-26)
야고보, 예수님의 이복형제, 는 단순히 믿는것은 충분치 않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마귀들도 믿기때문입니다. 그 대신 그는 우리가 하나님을 기쁘게 해 들릴 것이면 우리의 믿음을 행동으로 옮기라고 말합니다. (야고보서 2:19-26)
In The Good News we regularly offer articles such as those in this issue to help build your faith. But be sure that you don’t neglect the articles that show you how to put your faith and belief into action. God is interested to see how you respond to the truth He makes known to you. Ultimately that is the far more important.
우리 Good News에서는 이러한 기사 같이 여러분의 믿음을 성장시킬수 있는 여러 기사들을 드립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믿음과 신앙을 행동으로 옮기게 도와주는 글들을 무시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요. 하나님은 하나님이 여러분에게 진실을 보여주셨을때 여러분들의 반응에 관심이 있으십니다. 궁극적으로 이것이 가장 중요한것 입니다.
How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Record
“I tell you that if these should keep silent, the stones would immediately cry out,” said Jesus (Luke 19:40). He was referring to what would happen if His disciples did not bear testimony of Him.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만일 이 사람들이 침묵하면 돌들이 소리 지르리라 하시니라” (눅 19:40) 예수님은 만약에 그분의 제자들이 그분에 관해 증거하지 않니하면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The original disciples aren’t around to provide their eyewitness accounts of Jesus Christ, but we do have the inspired Word of God, which they, along with many others, wrote.
최초의 신자들은 이제 더이상 예수 그리스도의 증거를 하기 위해서 주위에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영감으로 쓰여진 하나님의 말씀이 있습니다.
Significantly enough, we also have the testimony of stones that really can bear witness to the veracity and inspiration of God’s Word. The physical evidence unearthed by present-day scientists can and does speak to us through biblical archaeology.
확연하게도,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의 진상과 영감에대한 증거를 해줄 돌들이 있습니다. 현제 시대에 과학자들에 의하여 발견된 이 물적 증거는 우리에게 성경적 고고학에대하여 말을 할수도 있고 하고 있습니다.
Archae, which comes from the Greek, means “ancient,” and ology, which comes from the Greek logia, means “science.” Archaeology, then, is the scientific study of ancient things.
Archae, 라는 이 단어는 그리스어로 “고대”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ology, 라는 단어는 logia 라는 그리스어에서 나온 단어로서 “과학”이라는 뜻입니다. Archaeology(고고학), 이라는 단어는 고대의 물건들을 과학적으로 공부하는것을 뜻합니다.
Unearthing the origins of archaeology
고고학의 기원 찾아내기
Englishman Flinders Petrie is generally considered the individual who put archaeological methodology on a scientific footing. He is credited with transforming archaeology from a treasure hunt into a disciplined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the past. It was not until the 19th century that scientific methods were rigorously applied to excavations of historical sites.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라하는 영국사람은 보통적으로 고고학의 방법론을 과학계에 들여논 유일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고고학을 단순한 보물찾기가 아닌 과거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는 훈련된 집단으로 만들어낸 것에대한 공적이 있습니다. 19세기 이전까지는 역사적 유적지 발굴에 과학적인 방법이 정밀하게 쓰이지 않았습니다.
A curious fact of history is that the person who indirectly contributed to this process was not a scientist but the French emperor and conqueror Napoleon Bonaparte. During his conquests of Europe and Middle East, Napoleon arrived in Egypt in the late 1700s hoping to build the Suez Canal and drastically reduce the navigation time for the trade route from France to India. In Egypt, before a battle in the vicinity of the famous pyramids of Gizeh, he told his soldiers, “Forty centuries are looking down upon you from these pyramids.”
역사의 신기한 점은, 이 일의 진행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도움을 준 사람은 과학자가 아닌, 프랑스의 황제이면서 정복자였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였습니다. 그가 유럽과 중동지역을 정복할때에 나폴레옹은 1700년도 말에 이집트에 도착하여 수에즈 운하(Suez Canal)를 만들어서 프랑스와 인도의 무역거리를 굉장히 줄이고 싶어했습니다. 이집트에서, 유명한 기제의 피라미드에 근접한곳에 전쟁이 있기전, 그는 그들의 병사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40세기가 당신들을 피라미드에서 내려다보고 있다.”
His inquisitive mind led him to study the Egyptian culture and try to decipher strange drawings he saw in the ancient monuments. For that purpose, he brought along 175 French scholars and researchers, and together they set up an institute in Egypt to study the writings and ancient relics of the area.
그의 탐구심이 그를 이집트의 문화를 공부하게하고 그가 고대 기념비에서 보았던 이상한 그림들을 해독하게 하였습니다. 그 이유로 그는 175명의 프랑스 학자와 연구원을 데려와서 이집트의 글과 그 지역의 고대 유물을 공부하기 위한 학회를 설립하였습니다.
The deciphering of the Egyptian hieroglyphics (a word meaning priestly or sacred writings) can be attributed mostly to a young scientist of that time, Jean Francois Champollion. Accurate translations were made possible largely by the discovery in 1799 of a large black basalt rock by French soldiers at the town of Rosetta. Later to be known as the Rosetta Stone, it bore a trilingual inscription in Old Egyptian hieroglyphic, demotic (a later, simplified form of Egyptian hieroglyphics) and Greek. With this stone as a key, Champollion in 1822 could finally decipher the ancient hieroglyphics.
이집트의 상형문자(Hieroglyphics: 신성한 언어)를 해석하는데에서 가장 큰 공을 세운사람은 그 당시의 젊은 과학자, 샹폴리온 (Jean Francois Champollion)이였습니다. 정확한 번역이 가능할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1799년 로세타에서 프랑스 군인들에의해 발견된 거대한 검은 현무암 덕분이였습니다. 나중에 로세타 스톤으로 불리게 되는 이 돌에는 세가지 언어로 고대 이집트어, 옛 이집트의 민용문자(이후에 이집트 상형문자를 간단화 시킨단어) 그리고 그리스어로 새겨져있었습니다. 이 돌을 열쇠로 삼아서 샹폴리온은 1822년에 마침내 고대 상형문자를 해석할수 있었습니다.
The deciphering of the Egyptian hieroglyphics brought the culture of the Pharaohs to light, and the educated classes of Europe gained insight into this fascinating subject. Soon, many amateur archaeologists were on their way to fame and fortune, finding fabulous monuments and other treasure. Museums throughout Europe and America vied with each other to house these marvelous finds. The treasure-laden tomb of Tutankhamen, discovered in 1922, was one of the most spectacular. Many early archaeologists would be honored for their efforts and would become a part of history in their own right.
고대 이집트의 상형문자 해석은 바로(Pharaoh)들의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유럽에서 고위층 사람들은 이 매혹적인 화제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곧, 많은 아마추어 고고학자들이 전설에나 나오는 기념비나 보물들을 찾으며 그들의 부귀와 명예의 길에 들어섰습니다. 영국과 미국에 있는 모든 박물관들은 서로 이 엄청난 보물을 차지하기 위하여서 경쟁했습니다. 1922년 보물이 싸여있는 투탕카멘의 무텀의 발견은 가장 위대한 발견중 하나였습니다. 많은 초기 고고학자들은 그들의 노력으로 명예를 얻고 역사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Deciphering ancient writing
고대글자 해석
Elsewhere in the region, strange writings on monuments and other objects were waiting to be deciphered. Curious scratches, resembling bird footprints, were found on thousands of hardened clay tablets. Initially, some scientists thought they were decorations rather than writing. Since the marks had apparently been made with a wedge-like knife in soft clay, the experts called them cuneiform, or letterforms made by cunei, Latin for “wedges.”
여러 다른 지역에서도, 기념비에
쓰여있는 고대 문자와 다른 물건들이 해석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또한 새의 발모양과 비슷하게 기묘하게
긁혀있는 자국은 몇 천개의 굳은 점토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이것이 글씨라기보다는
장식으로 보았습니다. 또한 이 문자가 쐬기모양의 칼로 연한 점판에 새겨진것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이것을 쐐기문자,
또는 cunei(쐐기라는 뜻의 라틴어) 모양의 글자, 라고 했습니다.
The credit for the deciphering of cuneiform would go mostly to an agent of British government, Henry C. Rawlinson, stationed in Persia. He began a systematic study of cuneiform writing found on the Behistun Rock inscription, sometimes known as “Rosetta Stone of cuneiform”
쐐기문자를 해석하는 것에서 가장 큰 공을 세운사람은 페르시아에 있던 브리튼 정부의 요원인 H.C. 롤린슨(Henry C. Rawlinson)이였습니다. 그는 쐐기문자의 로세타 스톤이라고 불리는 비히스턴 석에서 발견된 쐐기문자로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Thousands of years earlier, Darius the Great, king of Persia, had on the face of this 1,700-foot cliff overlooking a valley engraved an account of his exploits. The inscription appeared in three scripts: Persian, Elamite and Babylonian in the cuneiform style of writing.
몇 천년전에, 다리오 대왕, 페르시아의 왕은 계곡을 바라보고 있는 1,700피트(대략 510미터)높이의 절벽에 그의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 절벽에 새겨놓은 문자는 3종류로: 페르시아어, 엘람어, 바벨론어로 쐐기문자형이였습니다.
Over a period of two years, Rawlinson traveled to the site and made the perilous climb, dangling from a rope while painstakingly transcribing the inscription. By 1847, he had deciphered cuneiform writing, opening understanding of Babylonian culture and history to the world. For his effort, Rawlinson received a knighthood from Queen Victoria in 1855.
2년을 넘게 롤린슨은 이 유적에 다니면서 위험한곳을 오르며 밧줄에 매달려서 힘들여 그 절벽에 쓰여있는 글자를 모두 베꼈습니다. 1847년, 그는 마침내 쐐기문자를 해석하였고, 그것은 바벨론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렸습니다. 그의 수고로 인하여 빅토리아 여왕은 1855년에 롤린슨은 기사직분을 받았습니다.
Digging up forgotten cities
잃어버린 도시 파내기
Another young British subject, Austen Henry Layard, drew inspiration from such discoveries and the fame it had brought men like Champollion and Rawlinson. Layard began digging in Iraq, home of Assyrian and Babylonian empires thousands of years before. He unearthed great cities mentioned in the Bible, including the ancient Assyrian capital, Nineveh, and Calah. Many of his finds, including enormous winged bulls and other important Babylonian and Assyrian artifacts, made their way to the British Museum. He, too, was knighted by Queen Victoria.
또 다른 한 브리튼 사람, 오스턴 레이어드(Austen Henry Layard), 에 대한 것인데, 그는 그가 발견한것으로 인하여 샹폴리온이나 롤린슨이 얻은 명성을 얻었습니다. Layard는 몇 천년전에 앗수르와 바빌론 제국의 집이였던 이라크서부터 파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성경에 나와있는 많은 위대한 도시들, 앗수르의 수도, 니느웨와 칼라를 파내었습니다. 거대한 날개달린 소와 같이 다른 바벨론과 앗수르의 중요한 가공품은 그가 찾은것중 하나로 모두 브리튼 박물관으로 갔습니다. 그도 또한 빅토리아 여왕에 의하여 기사직을 받았습니다.
Not to be outdone by the French and British, German archaeologists also began their quest for riches and fame. One such explorer, Heinrich Schliemann, began searching for the legendary city of Troy, described by the ancient Greek poet Homer. Believing Homer’s sagas to be pure imagination, contemporaries ridiculed Schliemann’s efforts, thinking him to be on a fanciful search. But incredibly enough, heeding the descriptions in Homer’s Iliad and those by other Greek writers, Schliemann began to excavate. In 1871, he found the remains of the ancient city of Tro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se dashing adventurers came the patient archaeologists who would study and classify these discoveries in a systematic way, giving birth to the scientific methodology of field archaeology.
프랑스와 브리튼에 못지않게, 독일의 고고학자들또한 부귀와 명예를 위하여 길을 떠났습니다. 그중 한 탐험가,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은 고대 그리스의 시인 호메로스(Homer; Homeros)가 비유한 전설속에 나오는 도시, 트로이를 찾아나섰습니다. 호메로스의 모험담을 순수 상상으로 생각하여 그가 공상에 잠긴 일을 한다고 생각한 동기생들은 슐리만의 수고를 비웃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호메로스의 일리아드(Iliad)와 다른 그리스의 작가들이 쓴 글에 쓰여있는 비유를 청종하여 슐리만은 발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871년, 그는 고대 도시 트로이의 잔재물들을 찾아냈습니다. 이 성급한 모험가를 뒤따른 기민한 고고학자들은 이것을 공부하고 또한 이 발견한 것 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현장 고고학의 과학적인 방법을 만들어냈습니다.
The age of skepticism
무신론의 시대
Unfortunately, the zeal or fame and treasure of many of these early archaeologists also led to unfounded claims of the discoveries of biblical sites. Some of these claims, such as the supposed discovery of King Solomon’s mines and David’s tomb, were later proved false. Seeds of doubt began to be planted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 biblical account.
애석하게도 명예와 보물을 위한 열정은 많은 초기 고고학자들이 사실 무근의 성경 유적지를 주장하였습니다. 그 주장한것중 솔로몬의 광산이나 다윗의 무덤은 나중에 거짓으로 판단이 내려졌습니다. 그리하여 성경의 근거의 정확성에 대하여 의심의 씨가 심어졌습니다.
The 20th century inherited the skepticism of the preceding hundred years. Charles Darwin and others, espousing theories of evolution, had posited explanations for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living creatures apart from a divine Creator. Such notions encouraged a questioning of the historicity of the Bible.
20세기는 몇백년동안 이어져온 무신론의 사상을 이어 받았습니다. 찰스 다윈과 다른사람들은 진화론을 도입했고, 이것은 모든 살아있는 생물은 진화해온것으로 전능하신 창조주와는 관계가 없다라는 것 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성경의 사실성에 대한 의문을 더욱 불러왔습니다.
Also strong in Europe was the thinking inspired by Karl Marx, who in an economic, materialistic interpretation of history, discounted God and miracles. Many scholars ridiculed the biblical accounts as myth. The Bible became fair game for higher criticism; a tugging match ensued between believers in the inspiration and accuracy of the Bible and scoffers.
또한 유럽에서 강했던것은 칼 마르크스의 사상이였습니다. 그는 경제와 유물론으로 역사를 해석하여 하나님과 그분의 이적을 무시했습니다. 또한 많은 학자들또한 성경은 그저 단순한 신화라하며 비웃었습니다. 성경이 더 많은 비판을 받는것이 당연해졌습니다; 성경의 감화와 정확성에 대하여 신도들과 비평가들의 줄다리기 싸움이 시작했습니다.
Biblical and theological scholars of the day declared the Bible was more recent in origin than it claimed; some argued the people of the Old Testament did not even know how to read and write. Some scholars concluded that most of the Old Testament was little more than myth.
그 시대의 성경과 신학 학자들은 성경은 주장하는 것보다 더 후에 쓰여졌다고 주장했습니다; 몇몇사람들은 구약시대의 사람들은 읽거나 쓰줄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어떠한 학자들은 구약은 신화라고 했습니다.
Authors Norman Geisler and Paul Feinberg observe: “Perhaps the best example of those who hold the ‘reason over revelation’ view are known as ‘liberals’ or ‘higher critics.’ Roughly speaking, this refers to a theological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seventeenth-and eighteenth-century European thought. It was influenced by Spinoza, Kant, and Hegel, who concluded by human reason that parts or all of the Bible are not a revelation from God. Other higher critics have included men such as Jean Astruc (1684-1766) and Julius Wellhausen (1844-1918).
저자 노르만 가이슬러(Norman Geisler)와 폴 파인버그(Paul Feinberg)는 유심히 살피면서 말한것이: “아마도 ‘계시위에 이유’를 고집하는 사람들의 가장 좋은 예제는 ‘자유주의’아니면 ‘비평가’입니다. 거짓없이 말하여서, 이것은 유럽에서 17-18세기때 일어나기 시작한 신학적 움직임을 말합니다. 이것은 인간적인 이유로 성경의 일부분이나 전채가 하나님의 계시가 아니라고 믿엇던 스피노자, 칸트와 헤겔에 의해서 전파되었습니다. 또 다른 비평가들은 쟌 아스트룩(Jean Astruc) (1584-1766)과 율리우스 벨하우젠(Julius Wellhausen) (1844-1918)
“In contrast to the historic, orthodox view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liberals believe that the Bible merely contains the Word of God. When they apply the canons of human reason or modern scholarship to the Bible they feel that some parts of it are ‘contradictory,’ and others are simply myths or fables. Some Old Testament stories are rejected by these critics because the events seemed to be ‘immoral’” (Introduction to Philosophy, a Christian Perspective, 1980, p.261)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역사적, 그리고 정통적인 관념과는 달리, 자유주의 사람들은 단순히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을 포함하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인간의 이유나 현대 학문의 표준으로 성경을 보면 어떠한 부분들은 서로 ‘반대극부적’이고 나머지는 신화나 우화같이 들릴것입니다. 또한 구약의 일부분은 이러한 비평으로 거부당했는대, 그 이유는 그것이 너무 ‘부도덕적’이였기 때문입니다. (Introduction to Philosophy, a Christian Perspective, 1980, p.261)
Rejecting the divine inspiration of the Bible, archaeologists from liberal biblical institutes allowed themselves to be influenced by the age of skepticism in theology.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y became biased against the biblical account.
성경의 감화를 부인하면서, 자유주의 성경학회의 고고학자들은 무신론 시대의 신학에 빠져들었습니다. 자기도 알게 모르게 그들은 성경의 기록에 대하여 부인하게 되었습니다.
Skeptical of fall of Jericho
여리고의 함락에 대한 무신론
An example of such bias surfaced recently in the matter of dating the fall of Jericho. According to the biblical record, Jericho was destroyed by the Israelites under Joshua when they began their conquest of the Promised Land. However, excavations of the site of Jericho led some-most notably, renowned British archaeologist Kathleen Kenyon-to reject the biblical version.
최근에 이러한 비판이 있던 예제로는 여리고성 함락에 대한 연대기의 대한 문제입니다. 성경에 의하면 여리고성은 여호수아가 약속의 땅을 정복하기 시작할때 이스라엘 사람에 의해서 함락된것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리고성 유적지에서 발굴을 하는 동안 어떠한 사람들-특히 브리튼의 유명한 고고학자 케슬린 케년(Kathleen Kenyon)-이 성경의 기록을 거부하기 시작했습니다.
I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aeologist Bryant Wood explains the earlier anti-biblical view: “The archaeological evidence conflicted with the Biblical account—indeed, disproved it. Based on [archaeologist Kathleen] Kenyon’s conclusion, Jericho has become the parade example of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attempting to correlate the findings of archaeology with the biblical account of a military conquest of Canaan. Scholars by and large have written off the Biblical record as so much folklore and religious rhetoric. And this is where the matter has stood for the past 25 years” (Bryant Wood,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rch-April, 1990, p.49)
성서고고학 평론에서 고고학자 브라이언트 우드(Bryant Wood)는 성경반대적 의견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고고학적 증거가 성경의 기록과 불일치하였고 또한 논박하였다. [고고학자 케슬린] 케년의 결론에 의한다면, 여리고성이 성경에 나오는 가나안의 정복기에 대한 기록을 고고학하고 연결하려는 대에서 이 두가지의 연관성을 부인하는 가장 대표적 예제라 했다. 또한 많은 학자들이 성경의 기록은 전설이나 신화로 글을 썼습니다. 그리고 이것또한 지난 25년동안 있던 문제입니다” (브라이언트 우드, 성서고고학평론, 3월-4월, 1990, p.49)
Evidence reexamined
물증 재검토
Yet a reevaluation of Kenyon’s work showed that her conclusions challenging biblical chronology were suspect, while the biblical account gained the strongest supporting evidence. Wood observes that Kenyon’s “thoroughgoing excavation methods and detailed reporting of her findings, however, did not carry over into her analytical work. When the evidence is critically examined there is no basis for her contention that City IV [the level of the city that was thought to correspond to Joshua’s time] was destroyed…in the mid16th century B.C.E. [Before the Christ era]” (ibid, p.57)
하지만 케년의 성경 역대기에 도전에 대한 그녀의 결론에 대하여 재검토가 들어감으로 인하여 그녀의 결론은 의심을 받게 되었고, 또 한편 성경적 기록은 더욱 강한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우드는 케년의 철저한 발굴 방법과 그녀의 발견에 대한 상세한 보고들이 있었어도 이것으로 그녀는 분석적으로 일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만약에 이 증거들이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면 IV도시[여호수아 시간대에 일치한다고 생각되었던 도시] 가 B.C.E.[그리스도의 시대전]16세기 중에 무너졌다는 그녀의 논쟁의 이유가 없다고 했습니다.” (같은책 p.57)
Time magazine added the following: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e consensus has gone against the biblical version [of the fall of Jericho]. The late British archaeologist Kathleen Kenyon established in the 1950s that while the ancient city was indeed destroyed, it happened around 1550 B.C., some 150 years before Joshua could have shown up. But archaeologist Bryant Wood … claims that Kenyon was wrong. Based on a re-evaluation of her research, Wood says that the city’s walls could have come tumbling down at just the right time to match the biblical account…Says Wood: ‘It looks to me as though the biblical stories are correct’ (Time, March 5, 1990, p.43).
타임 잡지에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지난 30년간 여론에서는 여리고 성의 함락에 대하여 성경의 버전에 대하여 반대했습니다. 또한 최근 브리튼 고고학자 케스린 케년또한 1950년대에 그녀가 그 고대성이 무너진 것은 대락 1550B.C.이므로 여호수아가 태어나기 150년전 일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고고학자 브라이언트 우드는 … 케년이 틀렸다고 했습니다. 그녀의 조사에 대한 재검사를 토대로 하여 우드는 성경의 기록된 시간과 일치하게 그 성이 무너져 내렸을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우드는: ‘내가 보기에는 성경에 나온 이야기가 옭게 보였다’ (타임, 3월 5일, 1990, p.43)
And so, the lively debate regarding the Bible’s accuracy continues between conservative and liberal archaeologists.
그리하여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고고학자들 사이에 성경의 정확성에 대하여 아직도 싸움은 계속되고있습니다.
Discoveries verify biblical
accounts
발견물들이 성경의 기록을 증명하다
As the 20th century has progressed, several archaeological finds verifying the biblical record have come to light. In the early 1900s, German excavators under Robert Koldewey mapped the ancient capital of Babylon and found that it closely corresponded to the biblical description. Egyptian history and culture generally matched the biblical accounts.
20세기가 다가오면서, 많은 고고학자들은 성경의 기록이 진실적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1900년도 초기에는, 로버트 콜데바이(Robert Koldewey)와 함께 독일의 발굴자들에 의해 고대 바빌론의 수도를 지도로 만들었고 그것이 성경에 나오는 설명과 일치하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집트의 역사나 문화들 또한 성경의 기록과 굉장히 일치했습니다.
The archaeologist’s spade has uncovered evidence of other ancient peoples mentioned in Scripture. One such example is the Hittite kingdom, mentioned only in the Bible, which had been dismissed by many critics as mythological. As Gleason Archer mentions: “The references [in the Bible] to the Hittites were treated with incredulity and condemned as mere fiction on the part of late authors of the Torah”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1974, p. 165) Yet, excavations in Syria and Turkey revealed many Hittite monuments and documents. These discoveries proved the Hittites to have been a mighty nation, with an empire extending from Asia Minor to parts of Israel.
또한 고고학자들의 삽이 성경에서만 언급되는 많은 고대 문명들의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그중 하나가 성경에서만 언급되어 많은 비평가들에 의하여 신화로 인지된 히타이트 왕국입니다. 글리슨 아쳐(Gleason Archer)가 말하듯이: “성경에서의 히타이트족에 관한 참조는 모두 거짓으로 간주 되었고 나중에 토라의 저자들에 의하여 나중에 덧붙여진 이야기로 간주되었다”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1974, p.165) 하지만 시리아와 터키에 발굴로 인하여 히타이트 족에 관한 많은 기념물과 자료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자료들은 히타이트족이 한때는 굉장히 강한 족속으로 소아시아에서부터 이스라엘의 일부분까지 뻗어있던 제국인것을 증명했습니다.
Also important was the discovery of the Dead Sea Scrolls, written in ancient Hebrew script. The scrolls were found in caves near the Dead Sea in 1947. Some of them are books of the Old Testament written more than 100years before Christ’s time. Nevertheless, questions raised by earlier critics about the Bible’s authenticity have shaken the faith of many.
고대 히브리어로 쓰여진 사해 사본 (Dead Sea Scroll)또한 중요한 발견이였습니다. 이 사본들은 1947년도에 사해 가까이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되었스니다. 어떤것들은 그리스도가 오시기 100여년전에 쓰여진 구약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평가들에 의하여 일찍이 성경의 신빙성에 대한 질문들이 많은 사람들의 믿음을 흔들어 났습니다.
Added dimension in
understanding
이해에 더해진 차원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xplains: “There were nineteenth-century scholars who were convinced that Abraham, Isaac, Jacob, and perhaps even Moses were simply imaginary creations of later Israelite authors. But archaeology has put these persons in a real world. As a result, a scholar such as John Bright, after devoting thirty-six pages to the subject, can write, ‘the Bible’s picture of the patriarchs is deeply rooted in history’ … Archaeology supplies means for understanding many of the biblical situations; it adds the dimension of reality to picture that otherwise would be strange and somewhat unreal, and therefore it provides an element of credibility. While the person of faith does not ask for proof, he does want to feel that his faith is reasonable and not mere fantasy. Archaeology, by supplying him with material remains from biblical times and places, and by interpreting these data, provides a context of reality for the biblical story and reasonability for biblical faith” (1979, Vol. 1, p. 244)
국제 표준 성경 백과사전에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19세기의 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 그리고 어쩌면 모세까지도 이스라엘 저자에 의하여 나중에 만들어진 인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고고학자들은 이 사람들을 진짜 세계로 대려왔습니다. 그 결과로, 존 브라이트(John Bright)와 같은 학자들은 36장의 원고를 이 주제에 대하여 쓴 다음 이렇게 쓸수 있었습니다, ‘성경의 족장에 대한 그림들은 역사에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 고고학은 성경의 많은 상황들을 알수 있게 합니다; 이것은 그 그림에 진실성을 부여하여 그 이야기가 이상하거나 진실적이지 않게 다가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리하여 신빙성을 부여합니다. 믿음의 사람은 증거를 원하지 않지만, 그는 그의 믿음이 단순한 망상이 아니라 그의 믿음이 타당하다는 것을 알고 싶어합니다. 고고학은 성경 시대의 물건들을 그들에게 보여주고 이것을 해석하여 이 데이타로 성경의 이야기의 진실성과 성경의 믿음에 대한 타당한 이유를 보여줌니다” (1979, Vol. 1, p. 244)
Archaeological discoveries in Egypt and Iraq have been valuable in confirming the biblical account. However, much evidence still remains beneath the surface. Much of the territory of the biblical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remains to be archaeologically explored.
이집트와 이라크에서 발견된 많은 고고학적 물건들은 성경의 기록을 확정하는대에서 중요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증거들이 땅 밑에 뭍혀있습니다. 아직도 성경의 나오는 이스라엘과 유다왕국의 땅에서 고고학적으로 찾아낼것은 많습니다.
Not until the end of World War I, when some of this area came under British control, did prolonged scientific surveys and excavations begin.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영국이 일부분을 장악하기 전까지는, 오랜시간 기대했던 과학적 조사와 발굴을 할수 있었습니다.
After the Balfour Declaration in 1917, Jews began to arrive in Palestine; the British, Americans and others were joined in digs by Jews in their ancestral homelands. Today there are some 300 sizable excavations underway in Israel, and extraordinary number for a country only 200miles long and 60miles wide.
1917년에 벨푸어 선언이 이루어진 다음, 드디어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에 가기 시작했습니다; 브리튼과 미국사람들도 유대인들이 그들의 조상이 살던곳을 발굴하는데 동참했습니다. 오늘날에는 300군데가 넘는 유적기가 있습니다, 이것은 200마일 길이에 60마일 넓이를 가진 나라로서는 대단한 양입니다.
Archaeology makes a believer
고고학은 신자들을 만들어 냅니다.
The abundance of archaeological evidence in support of the bible can strengthen faith, and in some cases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giving birth to belief where none existed before.
성경에 대한 많은 고고학적 물증들은 믿음을 굳건케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느 때에는 믿음이 없었던 곳에 믿음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And example of physical evidence building one’s faith is the life of Englishman William M. Ramsay (1851-1939). Born in the lap of luxury, Ramsay was dutifully raised as a nonbeliever by his atheist parents. He graduated from Oxford University with a doctorate in philosophy and became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Aberdeen.
또한 믿음을 만들어내는 것에 대한 증거의 예제이기도 한것은 윌리엄 램지(William Ramsay) (1851-1939) 라는 영국인입니다. 부귀하게 태어나서 램지는 의무적으로 그의 무신론 부모를 통하여 무신론자로 키워졌습니다.
Determined to undermine the historical accuracy of the Bible, he studied archaeology with the aim of disproving the biblical account. Once ready with the necessary scientific tools and learning, he traveled to Palestine and focused on the book of Acts, which he fully expected to refute as nothing more than myth.
성경의 역사적 정확성을 파내기 위하여 그는 성경의 이야기들이 거짓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고고학을 공부하였습니다. 충분한 공부와 필요한 과학적 도구가 준비되자, 그는 팔레스타인으로 가서 그가 신화에 불과하다고 믿고있던 사도행전에 중심을 두었습니다.
After a quarter-century of work, Ramsay was awestruck by the accuracy of the book of Acts in his quest to refute the Bible, Ramsay discovered many facts which confirmed its accuracy.
25년의 일을 한 후에, 램지는 성경을 부인하기 위하여 일을 하다가 사도행전의 정확성을 보고 놀랐습니다, 램지는 사도행전의 정확성을 밝힐수 있는 많은 진실을 발견하였습니다.
He had to concede that Luke’s account of the events and setting recorded in the narrative were exact even in the smallest detail. Far from attacking the biblical account, Ramsay produced a book, St. Paul, the Traveler and Roman Citizen, which supported it.
그는 누가가 쓴 기록과 그가 말로써 서술해 놓은 모든 것일 가장 조금한 기록조차도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했습니다. 성경의 기록을 공격하기는 컨녕 램지는 성경의 기록의 진실성을 뒷바침하는 St. Paul, the Traveller and the Roman Citizen, 라는 책을 섰습니다.
Eventually, William Ramsay shook the intellectual world by writing that he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Ironically, this man who set out to refute the Bible, found himself accepting the Bible as God’s Word because of his explorations and discoveries. For his contribution to biblical knowledge with his many books, he was knighted also.
당연히 윌리엄 램지는 그가 기독교로 계종한은 문학계의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상하게도 성경을 부인하기위하여 나선 이가, 그가 발견한것으로 인하여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정하게되는 일이 생긴것 입니다. 그의 성경의 지식과 그의 많은 책에 대한 그의 기부로 인하여 그또한 기사직을 받았습니다.
The study of archaeology can help fortify faith. It allows us to take a fascinating journey back in time to study the stones and artifacts that bear mute but compelling witness to the truth of Scripture.
고고학의 공부는 믿음을 굳건케 할수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로금 성경의 진실성에 대하여 말할수는 없지만 강력한 증거를 댈수 있는 돌들과 가공품들을 공부할수 있는 굉장히 멋진 영행을 할수 있는 시간이 되기때문 입니다.
What else has been found? Future articles in The Good News will describe discoveries that parallel and illuminate the biblical account.
이 외에 무엇이 발견?營윱歐?? The Good News의 미래에 출간될 기사들은 발견물들이 성경의 기록들과 어떻게 일치하고 보여주는지에 대하여 출간할것 입니다.
Two Jigsaw Puzzles, Two Purposes
두개의 조각 그림 맞추기, 두개의 목적
What can we sa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and archaeology? An illustration can help. Let us imagine two jigsaw puzzles. The first is the Bible, put together under the inspiration of God Himself. The pieces fit together perfectly. As God’s Word says, “All Scripture is given by inspiration of God, and is profitable for doctrine, for reproof, for correction, for instruction in righteousness, that the man of God may be complete, thoroughly equipped for every good work” (2 Timothy 3:16, 17, emphasis added).
우리는 성경과 고고학에 대하여 어떠한 관계성을 얘기할수 있을까요? 여러 삽화들이 도와줄수 있습니다. 2개의 조각 그림 맞추기가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첫번째 것은 성경입니다, 이것은 하나님 자신의 감화로 합쳐졌습니다. 그리고 모든 조각 또한 완벽하게 서로 맞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쓰여있기를, “
The first puzzle’s primary purpose is to reveal not science and history per se but the record of God’s dealings with humankind. Much of this revelation is knowledge that cannot be examined under a microscope or perceived through our senses. It is knowledge revealed by God.
첫번째 퍼즐의 근본적인 목적은 과학과 역사를 근본으로 하여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인간들에게 행하신 것에 대한 기록입니다. 여기의 많은 계시들은 현미경이나 우리의 감각으로 알수 있는 지식이 아님니다. 이것은 하나님이 들어내시는 지식입니다.
Throughout the Bible, a common theme is God’s participation in human history. Whether it be the creation account, His dealings with Israel or the early New Testament Church, God is central.
성경 전체를 봐보면, 대부분의 주제가 인간의 역사에 하나님이 계입하시는 것입니다, 그것이 창조에 대한 기록이든, 이스라엘을 다루시는 방법이나 신약의 초기 교회들이나, 모두 하나님 중심입니다.
Much of this information is not the kind that archaeology can discover through the study of ancient remains. Yet God’s inspired account of His interaction with living, breathing people is inserted into writings about the physical surroundings of those people. Such information is genuine and true, since God “cannot lie” (Titus 1:2)
여기에 있는 많은 정보들은 고대 유물들을 공부하여 고고학적으로 밝혀낼수 있는 것들이 아닙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살아있고 숨쉬고 있는 사람들에게 대한 상호작용은 하나님의 감화를 받은 기록에 이 사람들에 대한 물리적인 주위에 기록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성실적이고 진실적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거짓말을 못하시기 때문입니다” (디도서 1:2)
Limits of archaeology
고고학의 제한
The physical evidence can be likened to a second jigsaw puzzle, on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that is valuable to our faith by its ability to confirm the veracity of the biblical accounts.
물리적 증거는 두번째 그림 맞추기 퍼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것은 과학적인 증거를 토대로 하고 있으며 이것은 성경의 기록의 정확도를 확신해줄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우리의 믿음에게 소중한것 입니다.
The second jigsaw puzzle concerns how archaeology and related disciplines can reveal physical evidence concerning biblical history. The picture presented is partial; not all archaeological evidence has survived. Conclusions derived from archaeological discoveries are necessarily uncertain. Like a puzzle, pieces can be initially misplaced. As new discoveries are made or better interpretations are offered, the position of some pieces can shift. Many pieces are faded and worn, making placement difficult.
두번째의 그림 맞추기 퍼즐은 고고학과 연관된 훈련들이 성격적 역사에 관련된 물리적 증거를 보여줄수 있는것을 알려줍니다. 여기에 나오는 사진은 부분적입니다; 모든 고고학적 증거가 살아남은것은 아닙니다. 고고학적 발견으로 지어진 결론은 항상 불분명 합니다. 퍼즐처럼, 그 그림조각이 잘못 놔질수도 있습니다. 새로운 것이 발견되거나 더 나은 해석이 나온다면 퍼즐의 위치또한 바뀔수도 있습니다. 많은 조각들의 그림이 희미해지고 닳았기 때문에, 자리를 배치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Dating of biblical sites is based primarily on surviving pottery, with its distinctive styles associated with specific historical periods. What remains is an incomplete picture of the past. As archaeologist Paul W. Lapp commented, “Palestinian archaeology may be past infancy but has hardly gotten beyond childhood.” Archaeology is a developing and imperfect science.
성경에 나오는 장소의 시간대는 어떠한 역사적 시대를 나타내고 있는 도기를 최우선 하여 정해졌습니다. 남아있는 것은 확실하지 않은 과거의 모습입니다. 고고학자 폴 W. 랩(Paul W. Lapp)이 말했듯이, “팔레스타인인들의 고고학은 갓 난 애기는 아닐찌 몰라도 유아시절을 지나지는 않았다.” 고고학은 발전하고 있고 완벽하지 않은 과학입니다.
Some archaeologists estimate that only one thousandth of the original artifacts have survived. Some 5,000 sites are known to scientists in Palestine, and only about 350 have been excavated. Of these, fewer than 2 percent have been extensively excavated. All conclusions, then, are based on small amounts of evidence.
어떠한 고고학자들은 아마도 1,000여개의 천연적 유물밖에 남아있지 않을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략 5,000여 군대의 유적지가 팔레스타인 과학자들에게 알려져 있지만, 대략 350군데밖에 발굴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오직 2퍼센트 정도만 광대하게 발굴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결론은 굉장히 적은 양의 물증을 토대로 한 것 입니다.
Significant portion of the Bible now corroborate
이미 확증된 성경의 중요 부분
How should the relative scarcity of evidence affect our Christian beliefs? Our faith should not be based on possession of all the material and historical evidence. Definitive analysis is not a prerequisit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ible is historically accurate and true.
이렇듯이, 이 비교적 적은 물증들이 우리 기독교인들의 믿음을 어떻게 영향을 줄까요? 우리의 믿음은 모든 물질의 소유나 역사적 증거를 토대로 해서는 않됩니다. 완벽한 해석은 성경이 역사적으로 정확하고 진실적인지를 결정하는대에 있어서 필요조건이 아닙니다.
In spite of the relatively small amount of material that has been excavated and analyzed, considerable evidence confirming the biblical account is available. More is being uncovered all the time. Significant portions of the Old Testament historical record have now been corroborate by archaeology.
비교적으로 적은 양의 유물이 발굴되고 해석된 것이지만, 성경의 기록의 진상을 밝히기에는 충분한 양의 증거가 있습니다. 이 왜에도 더 많은 것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구약 역사적 기록의 중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이미 고고학적으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Bryant Wood notes the consensus of archaeologists on the following point: “The purpose of Biblical archaeology is to enhance our comprehension of the Bible, and so its greatest achievement, in my view, has been the extraordinary illumination of the … time of the Israelite monarchy”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y-June, 1995, p.33)
브라이언트 우드 (Bryant Wood)는 지금 나오는 포인트에 대하여 고고학자들의 일치함을 말한다: “성경적 고고학의 이유는 우리가 성경적 이해를 향상하기 위해서다, 내가 보기에는 이스라엘의 왕권시대의 특별난 조명이 가장 위대한 성취라 본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y-June, 1995, p.33)
From c. 1000 B.C. through the New Testament period, the archaeological evidence is strong. Before that time, it is sparse. This is quite natural,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s Wood explains: “Exploring that pre-history [before 1,000B.C.] is challenging: It requires tracing the archaeological record of a pastoral community, rather than an agrarian-based political entity that built cities and made contacts with surrounding nations” (ibid., p.35)
1,000 B.C.에서부터 신약의 시대까지, 모든 고고학적 증거는 강합니다. 그 전 시간대에 대한 기록은 희미합니다. 이것은 환경을 고려해 봤을때 당연한것 입니다. 우드가 설명하듯이: “[1,000 B.C. 이전의] 고대역사에 대하여 파해처 나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것은 토지를 근본으로 하여 집적 도시를 짖거나 주변 국가와 연락을 하는 정치적인 진실보다는 목사 공동사회의 고고학적 기록의 추측을 필요로 한다” (같은책., p.35)
We will never possess all the physical evidence. Most has been destroyed by time and wear. We cannot reproduce miracles, nor can God’s presence be examined and confirmed in a laboratory. Faith will always be based primarily on spiritual discernment and trust in God’s Word.
우리는 모든 물리적인 증거를 절대로 얻지 못합니다. 이미 많은 양이 오랜 시간에 걸처 닳아있습니다. 우리는 기적을 재현해 낼수도 없고, 하나님의 존재를 실험실에서 연구하거나 확인할수도 없습니다. 믿음은 언제나 영적인 분별과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의지를 토대로 삼을것 입니다.
Archaeology and Genesis:
What Does the Record Show?
고고학과 창세기:
기록은 무엇을 보여주는가?
A century ago Charles Darwin advanced an alternative to be biblical account of creation. About the same time, Karl Marx made use of the theory of materialism, which stated that matter has always existed and doesn’t need a Creator. This provided his followers with an alternative to belief in God. Then literary criticism focused its sights on the Bible and slowly began to attempt to tear it to pieces. Literary critics claimed that the Bible is filled with myths and is of much more recent origin than the Bible itself claims to be.
한 세기 전에 찰스 다윈은 성경의 창조론을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이와 동일한 시간에 카르 마르크스는 항상 물질은 존재 하였고 창조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하는 유물론주의의 이론을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그들의 추종자들에게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꺽었습니다. 그리하여 문학의 비평은 서서히 성경을 집중하게 되었고 천천히 이것을 갈기갈기 찢으려 했습니다. 문학의 비평은 성경은 그저 단순하 신화로 이루어져 있고 성경이 주장하는 시대보다 후에 쓰여졌다고 말했습니다.
As one scholar explains, man began to think of himself, rather than God,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The idea of evolution had captured the thinking of that day, and was thought to furnish the best key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as well as of nature. Religion was discussed from the standpoint of its subjective benefits to man. All possibility of special revelation from a personal God was discounted, and the religious side of man was to be explained by a natural process…They concluded that Israel’s religion must have developed along similar lines” (A. Noordtzy, Bibliotheca Sacra, Vol. 98-99, pp.388-390, 1940-1941)
한 학자가 말했듯이, 사람은 하나님보다 자신이 우주의 중심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진화론의 아이디어는 그날에 사람의 관심을 받았고, 이것이 역사와 자연을 이해하는데 가장 좋은 열쇠를 재공한다 생각했다. 종교는 자기의 입장에서 주관적으로 사람의 이익을 중심으로 논하게 되었다. 자기의 하나님에게서 부터 받을수 있는 특별계시의 모든 가능성도 무시당했고 사람들의 종교적인 면은 자연적 진행으로 설명될수 있다… 그들은 이스라엘의 종교또한 비슷한점에서 시작했을것이라 결론을 내렸다” (A. Noordtzy, Bibliotheca Sacra, Vol. 98-99, pp.388-390, 1940-1941).
When the 20th century dawned, the tide of criticism eroded belief in the literal truth of the biblical accounts. Then came a series of remarkable archaeological discoveries. Archaeology began in the 19th century but came to full force in the 20th. Critics of the historical accuracy of the Bible were confronted with physical evidence attesting the truthfulness of certain accounts.
20세기가 들어섰을때, 비판의 물결이 성경의 문자적 기록의 진실성에 대한 믿음을 부식시켰습니다. 그리고 그 뒤를 이어서 놀랄만한 고고학적 발견이 있었습니다. 고고학 19세기에 시작하였지만 제대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입니다. 성경의 역사적 정확성을 비판하던 자들은 성경의 기록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물리적인 증거와 맞서게 되었습니다.
As author John Elder comments, the study of archaeology had much to do with tipping the scales, in many people’s minds, back in the favor of biblical credibility. “Little by little, one city after another, one civilization after another, one culture after another, whose memories were enshrined only in the bible, were restored to their proper places in ancient history by the studies of the archaeologists…Nowhere has archaeological discovery refuted the Bible as history” (Prophets, Idols and Diggers, 1960, p.16).
John Elder작가가 말하듯이, 고고학의 공부는 많은 사람들이 생각해 봤을때 성경의 신용성을 되찾기 위해서 껍질을 벗겨내는 일을 합니다. “조금씩 조금씩, 한 도시 잇따라서 또 하나, 한 문명을 잇따라서 또 다른 문명, 한 문화를 잇따라서 또다른 문화, 성경에서만 기록되어있는 이 모든것들이 고고학자의 공부로 인해서 그들이 고대 역사에 있어야 하는 자리로 돌아갔다…고고학의 발견중에서 성경이 역사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없다.” (Prophets, Idols and Diggers, 1960, p.16).
In this article we take a look at some of the astounding discoveries of the last two centuries and show how physical evidence confirms aspects of the biblical record.
이 기사에서 우리는 지난 2세기 동안 성경의 기록의 모습을 증명할수 있는 놀라운 발견들을 살펴볼것 입니다.
When Luke wrote the Gospel that bears his name, he carefully laid out the evidence in favor of the historicity of Jesus Christ and His miracles, including His resurrection. He wanted his account to meet the scrutiny of doubters. Luke said he intended to write “an orderly account” (Luke 1:1-4) so his readers could “know the certainty of those things in which you were instructed” (emphasis added throughout)
누가가 자기의 이름을 따서 복음서를 만들었을때, 그는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기적, 그리고 그의 부활의 사실성을 부여하기 위한 배경을 조심히 깔아놨습니다. 그는 그의 기록이 의심하는 자의 불확신을 없에기를 바랬습니다. 누가는 “차례대로 써 보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누가복음 1:1-4) 그리하여 독자들이 “그 배운 바의 확실함을 알게 하려 함이로라” (강조문 추가됨)
Luke then proceeded to augment his account with historical references mentioning, for example, the contemporaneous rulers of Judah and the emperor of the Roman Empire (Luke 1:5; 2:1)
누가는 그리한 다음 역사적 기록의 참조를 넓힙니다, 예를 들어서, 그는 그 시대에 공존하던 유다의 통치자나 로마 제국의 황제에 대하여 말합니다. (누가복음 1:5; 2:1)
Because of the number of discoveries, we cannot examine all of the evidence here. We will discuss, however, some of the principal finds that corroborate parts of the biblical record of Genesis.
수 많은 유물이 있기에, 모든 증거를 살필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성경의 기록에서 창세기의 일부분을 확증하는 중요한 유물들만 살펴볼것 입니다.
Temptation Seal
유혹 인장
Seals made use of some of the most ancient forms of writing. They were used to certify documents, to show authority and, on occasion, as amulets. The earliest seals were made of clay impressed with markings or writing, and some of them became hardened with time or were baked when fires swept through a city. Since they are made of clay, they have survived much longer than records written on papyrus or parchment.
인장은 고대의 문자로 쓰였습니다. 인장들은 문서를 봉하거나, 권세를 보이거나, 어떤때는 부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초기의 인장은 점토로 만들어져서 그 위에 마크나 글자를 새겨놓았습니다, 그리고 어떤 인장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굳어졌거나 도시를 휩쓴 불에 의해 구워진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점토로 만들어 졌기에, 이 인장들은 파피루스나 양피지 위에 쓴 문서보다 오래 남을수 있었습니다.
Archaeologists’ dating of some seals has found them to be more than 5,000 years old. They are among the few surviving materials that provide firm evidence of people’s beliefs at the dawn of civilization. Seals have been uncovered that confirm several biblical accounts, including some in Genesis.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인장들 중에서 5,000년이 넘게 된 인장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문명이 시작할때에 그들이 무엇을 믿고 있었는지에 대한 물리적인 증거중 하나입니다. 이 발견된 인장들에서 성경의 기록, 창세기를 포함한, 을 확증시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
The first chapters of the book of Genesis cover the creation of humans and the temptation that induced Adam to sin. God had given Adam certain laws to keep and explained the consequences of disobedience. “And the LORD God commanded the man, saying, ‘Of every three of the garden you may freely eat, bu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you shall not eat, for in the day that you eat of it you shall surely die’” (Genesis 2:16-17)
창세기의 첫 장은 인류의 창조와 아담이 죄로 빠지는 유혹에 대하여 나옵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일정한 법을 주셨고 그것을 어겼을때의 결과를 말씀해 주셨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그 사람에게 명하여 가라사대 동산 각종 나무의 실과는 네가 임의로 먹되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실과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하시니라” (창세기 2:16-17)
Genesis depicts the tempter, Satan, influencing Eve and in turn her husband, Adam, to disobey their Creator. God had told Adam and Eve they would die if they ate of the tree. But the serpent said to Eve, “You will not surely die.” So Eve partook, found the fruit pleasant, then offered it to her husband, “and he ate” (Genesis 3:1-6)
창세기는 시험자, 사탄,이 하와를 꼬시면서 그로 인하여 그녀의 남편, 아담,이 그들의 창조주를 거역하게 하는 그림이 그려져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담과 하와에게 그들이 그 실과를 먹으면 죽을거라 하셨습니다. 하지만 뱀은 하와에게, “너희가 결코 죽지 아니하리라” 그리하여 하와는 그 실과를 먹었고 그녀의 남편에게도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도 먹은지라” (창세기 3:1-6)
Is this account only a myth? Many critics thought so. Yet archaeology has unearthed, not in biblical Israel, but in site of the most ancient civilization known, Sumer, a seal depicting this very sequence of events described in the book of Genesis. This find, known as the Temptation Seal, is in the British Museum. It dates to the third millennium before Christ, some 5,000 years ago. This artifact shows a man and a woman viewing a tree, and behind the woman is a serpent. The man and woman are both reaching for fruit of the tree.
이 기록은 단순히 신화일까요? 많은 비평가들은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고고학자들은 성경적 도시 이스라엘이 아니라, 가장 초대의 문명으로 알려져있는, 수메르에서 창세기의 기록과 일치하는 그림이 세겨져있는 인장을 찾아냈습니다. 이 발견, 유혹 인장은 지금 브리튼 박물관에 있습니다. 이 인장은 그리스도가 오시기 대략 3,000년전 것으로, 지금으로부터 한 5,000년전의 물건입니다. 이 유물은 남자와 여자가 나무를 바라보고 있으며 여자 뒤에 뱀이 있는 그림입니다. 그리고 남자와 여자가 모두 나무의 실과를 향해 손을 뻣고 있습니다.
The Genesis account of the temptation was believed to be a fabrication by Jewish writers, yet this graphic portrayal of events described in Genesis existed thousands of years before critics believe the book of Genesis was written. This artifact, one of the earliest surviving records, demonstrates that humans knew the essentials of the temptation incident, and not only from the biblical account written in Genesis.
창세기에 유혹에 관한 이야기는 유대인 작가들이 삽입한것으로 믿어져 왔지만 이 인장에서는 비평가들이 창세기가 쓰여졌다 하는것 보다 몇 천년전에 이미 이 인장에 세겨져 있었습니다. 이 유물은 고대역사에 대한 기록이 있는 몇 않되는 유물중 하나로, 사람들이 유혹에 대한 사건을 근본적으로 알고 있었으며, 그저 성경에만 쓰여있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보였습니다.
The Adam and Eve seal
아담과 하와 인장
Another Sumerian seal, dated ca. 3,500B.C. and now housed in the museum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hows events that took place after the man and woman ate the forbidden fruit. This seal depicts the naked figures of a male and a female, bowed in humiliation, being driven out, followed by a serpent. This seal also describes the story of the expulsion from the Garden of Eden: “…Therefore the LORD God sent him [Adam] out of the garden of Eden to till the ground from which he was taken” (Genesis 3:23)
또다른 수메르 인장에 대한것으로, 대략 3,500B.C.의 물건으로 보이며 지금은 펜실베니아 대학의 박물관에 있습니다, 이것은 남자와 여자가 금단의 열매를 먹은 후의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인장은 벌거벗은 남자와 여자가 수치로 몸을 구부리며 쫓겨나고 그 뒤에 뱀이 쫓아서 나오는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인장은 에덴동산에서 부터의 추방을 그리고 있기도 합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에덴 동산에서 그 사람을 [아담] 내어 보내어 그의 근본된 토지를 갈게 하시니라” (창세기 3:23)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at the three figures, engraved on a seal dating from the beginnings of human antiquity, are doing if the artifact is not another depiction of Genesis account.
여기에 있는 이 3 모습이 창세기의 기록을 그린것이 아니라면 이 인장에 대하여 왜 고대 사람들이 이것을 만들었는가를 설명하기가 곤란하게 됩니다.
The flood epic
홍수 서사시
“And the waters prevailed exceedingly on the earth, and all the high hills under the whole heaven were covered…And all flesh died that moved on the earth” (Genesis 7:19, 21)
“물이 땅에 더욱 창일하매 천하에 높은 산이 다 덮였더니…땅 위에 움직이는 생물이 다 죽었으니…” (창세기 7:19, 21)
One of the most questioned accounts of the Bible is the flood of Noah’s time. A century ago liberal critics considered it one of the most fanciful biblical myths. Yet more than a century of archaeological digging has revealed accounts of the flood in the earliest of civilization.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성경의 기록중 하나가 노아 시대의 홍수입니다. 일세기전에 자유주의 비평가들은 이것이 성경의 가장 공상적인 전설일 했습니다. 하지만 한 세기를 걸친 고고학적 도굴이 고대 문명에서 홍수에 대한 기록을 찾아냈습니다.
One of the most astounding finds is the Gilgamesh Epic, recorded on clay tablets that were translated in 1872 by George Smith of the British Museum. The tablets narrate the flood accou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cient Babylonians. A similar account was found on Sumerian tablets, which are the earliest writings yet discovered.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것은 길가메시 서사시 입니다, 이것은 점토판에 쓰여있고 브리튼 박물관의 조지 스미스(George Smith)가 1872년에 번역하였습니다. 이 점토판에는 고대 바벨론의 관점에서 홍수에 대한 기록을 적고있습니다. 또한 가장 오래된 언어로 생각되는 수메르 점토판에서도 이것과 비슷한 기록을 발견했습니다.
Which one is more authentic account of the flood? That is easily answered. Professor Gleason Archer notes that the difference in the Gilgamesh and Genesis narratives are too great to allow one to have been borrowed from the other.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passion-driven, quarrelsome, greedy gods of the Babylonian pantheon and the majestic holiness of Jehovah is most striking and significant,” he writes. “Likewise the utter implausibility of a cube-shaped ark and an inundation of the entire world by a mere fourteen-day downpour [of Gilgamesh Epic] stand in opposition to the seaworthy dimensions and the gradual sinking of the waters in the Biblical record”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1974, p.211).
이중 어떤것이 가장 신뢰할만한 기록일까요? 이것은 간단히 답할수 있습니다. Gleason Archer교수는 길가메시 서사시와 창세기에 적혀있는 내용이 서로 너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배꼈다고 볼수 없다고 말합니다. “감정에 의지하고, 타툼이 많으며, 욕심이 많은 바벨론의 신들의 판테온과 장엄하고 거룩하신 여호와의 순전한 대조는 가장 멋있고 인상적인 것이다,” 그가 서술했습니다. “이와 같이 큐브모양의 방주를 믿기 힘든것 과 14일 만에 비로 온 세상을 덮어버린 홍수는 [길가메시 서사시에 의하여] 항해적, 그리고 성경의 기록대로 물이 점점 잠기는 것으로 봤을때 반대적입니다”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1974, p.211).
Clearly, the Gilgamesh Epic shows evidence of corruption.
확연하게, 길가메시 서사시는 인간의 타락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습니다.
These ancient tablets are by no means the only external corroboration of the biblical flood narrative. An enterprising historian, Aaron Smith, is said to have patiently tallied all the flood stories he could find. He came across 80,000 works in 72 languages about the deluge (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1980, p.38)
이 고대 점토판에는 외부적으로 성경적 홍수를 설명한것 이라고 볼수 밖에 없습니다. 모험적인 역사학자 아론 스미스(Aaron Smith)는 그가 찾을수 있는 모든 홍수에 대한 기록을 인내하며 모두 대조해 봤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그는 대홍수에 대하여 80,000여개의 작품과 72개의 언어를 찾아냈습니다. (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1980, p.38)
Certainly if Noah’s flood were just a local event affecting people in a limited geographic region, its impact would not have been etched indelibly into the minds of so many far-flung peoples.
만약 노아의 홍수 얘기가 오직 한 지역, 한 지리적인 위치만 영향을 주었다면, 멀리 있는 지역의 사람들이 이 충격적인 사건을 알수 없을것 입니다.
One historian notes: “The Sumerians, Babylonians and Assyrians of Mesopotamia might well be expected to cherish a similar tradition to that of the Hebrews, since they lived so close to the presumed seat of antediluvian civilization…But what shall we say of the legend of Manu preserved among the Hindus…or of Fah-he among the Chinese…or of Nu-u among the Hawaiians; or of Tezpi among the Mexican Indians; or of Manabozho among the Algonquins? …All of these agree that all mankind was destroyed by a great flood (usually represented as worldwide) as a result of divine displeasure at human sin, and that a single man with his family or a very few friends survived the catastrophe by means of a ship or raft or large canoe of some sort” (Archer, p. 209).
한 역사학자가 말했습니다: “수메르 사람, 바벨론 사람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의 앗수루 사람들은 히브리 사람들과 항상 가까이에서 살아왔기에 비슷한 문화를 받아들였다 합시다…하지만 힌두 사람들이 보존하는 마누…아니면 중국의 Fah-he나… 하와이 사람들의 Nu’u (Nu-u)나; 멕시코 인디안의 Tezpi나; Algonquin사람들의 Manabozho는 어떻게 설명할까요? …여기의 모든 기록이 사람의 죄악에 대하여 신이 진노하여 인류가 대홍수(보통 온 세상을 표현해서)로 인하여 사라지고, 오직 한 사람과 그의 가족 아니면 몇몇의 친구와 함께 배나, 뗏목, 아니면 아주 커다란 카누로 인해서 살아 남았다는 기록이 일치합니다.” (Archer, p.209)
The Tower of Babel
바벨 탑
“Then they said t one another, ‘Come, let us make bricks and bake them thoroughly.’ They had bricks for stone, and they had asphalt for mortar. And they said, ‘Come, let us build ourselves a city, and a tower whose top is in the heavens…’” (Genesis 11:3-4).
Many of us have heard about the Tower of Babel, but few know solid evidence behind the Bible account.
우리중 많은 사람들이 바벨탑에 대해서 들어 봤을것 입니다, 하지만 성경의 기록에 있어서 그 배후의 고체적 물증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Excavations in Iraq at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revealed that an enormous tower had existed in Babylon at one time. Werner Keller writes: “In 1899 the German Oriental Society equipped a large expedition under the direction of Professor Robert Koldewey, the architect, to examine the famous ruin mound of ‘Babil’ on Euphrates. The excavations, as it turned out, took longer than anywhere else. In eighteen years the most famous metropolis of the ancient world, the royal seat of Nebuchadnezzar, was brought to light, and at the same time, one o the Seven Wonders of the World, the ‘Hanging Gardens’ … and ‘E-temen-an-ki,’ the legendary Tower of Babel…
20세기의 초반에 이라크에서 시작한 도굴은 바벨론에 한때 커다란 탑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 했습니다. Werner Keller가 쓰기를: “1899 German Oriental Society는 Robert Koldewey교수, 건축가, 의 지시 아래 유브라데스에 있는 유명한 유적지 ‘바빌 (Babil)’을 조사하는 커다란 원정을 지게 되었습니다. 이 도굴은 다른 곳 보다 훨씬 오래 걸렸습니다. 18년의 작업으로 고대 세계에 가장 유명한 수도, 느브갓네살의 왕좌등이 발견되었고, 그와 동시에, 세계 7대 불가사리중 하나인, “바벨론의 가공원’ … 그리고 ‘E-temen-an-ki,’ 전설속의 바벨탑…
“The bricklaying technique described in the Bible at the building of the Tower of Babel corresponds with the findings of the archaeologists. As the investigations confirmed, actually only asphalted bricks were used in the construction, especially in the foundation. That was clearly necessary for the security of th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building regulations…Foundations and stonework were therefore made waterproof and damp-proof with ‘slime,’ i.e., asphalt…Seven stages, ‘seven squares,’ rose one above the other. A little tablet belonging to an architect which was found in the temple expressly mentions that length, breadth and height were equal…The length of the sides and at the base is given as being rather more than 290 feet. The archaeologists measured it as 295 feet. According to that the tower must have been almost 300 feet high” (The Bible as History, 1980 edition, pp. 302, 317-318)
“고고학자들이 찾아낸 것과 벽돌을 쌓아 올린 방법은 성경에서 바벨탑을 만들때에 쓴 방법과 똑같은것을 발견했습니다. 조사 결과와 같이, 특히 기초 부분은 아스팔트를 입힌 벽돌만이 사용 되었습니다. 이것은 건물 건축 규정에 따라 건물의 안전을 위하여서 확연하게 필요한 것 이였습니다…그리하여 기초와 석조물은 모두 차진 흙, 즉 아스팔트로 방수와 습기에 강하게 만들어 졌다…일곱 마루, 일곱 광장, 은 하나 위에 또다른 하나가 올라갔다. 건축자가 쓴것으로 보이는 조금한 점토판이 어느 한 사원에서 발견 되었고, 그 점토판에는 명백하게 길이와 넓이와 높이가 일정하다는 것이 써있었습니다…옆면의 길이와 토대의 넓이는 290피트 (대략 88.39미터)보다 큰것으로 적혀있습니다. 고고학자들은 295피트라 (대략 90미터) 봅니다. 이것에 의하면 이 탑은 아마 300피트 (대략 91.44미터)높이였을것 입니다.” (The Bible as History, 1980 edition, pp. 302, 317-318)
This means the tower rose to the height of a 20-story building.
즉 이 탑의 높이는 대략 20층 건물 높이였다는 것 입니다.
Further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original tower was destroyed, and on the same site a similar tower was later built at the time of Nebuchadnezzar.
더욱더 연구를 해본 결과 본래의 탑은 무너졌고, 똑같은 자리에 느브갓네살 왕의 시대에 의하여 비슷한 탑이 새워졌습니다.
D.J. Wiseman, professor of Assyriology, explains: “The tower was severely damaged in the war of 652-648 B.C. but restored again by Nebuchadnezzar II (605-562 B.C.). It was this building, part of which as recovered by Koldewey in 1899, which was described by Herodotus on his visit c. 460 B.C. … The base stage [of the later tower] measure 90 by 90 m[eters] and was 33m[eters] high … The ziggurat [a sacred tower] at Babylon was demolished by Xerxes in 472 B.C., and though Alexander cleared the rubble prior to its restoration this was thwarted by his death. The brick were subsequently removed by the local inhabitants, and today the site of Etemenanki is a pit as deep as the original construction was high” (New Bible Dictionary, 1982, p. 111)
앗수르 학과의 교수, D.J. Wiseman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B.C. 652-648년에 있던 전쟁은 이 탑을 심하게 손상시켰지만, 느브갓네살 2세 (B.C. 605-562)에 의해서 회복되었습니다. 이 건축물은 460B.C.에 Herodotus에 의해서 설명된바 있는 건축물로, 1899년에 Koldewey에 의해서 일부 복구되었습니다… [나중에 지어진 탑의] 기초의 대는 90대 90미터로 측정되며 높이는 33미터에 달한다… 옛 바벨론의 탑(ziggurat) [성스러운 탑]은 472B.C.에 고레스 왕에 의하여 많이 파손되었습니다, 그리고 알렉산더 대왕또한 이 탑을 재건축하기 위하여 잡석들을 모두 치웠지만 그의 죽음으로 인하여 좌절되었습니다. 이 벽돌들은 계속하여서 그 지역의 주민들에 의해서 치워졌고, 오늘날 Etemenanki 유적지는 본래의 탑의 높이만큼의 구덩이 입니다.” (New Bible Dictionary, 1982, p. 111)
Sacred tower were common in Mesopotamia. So far, the ruins of 35 such structures have been found. The first was the one at Babel.
성스러운 탑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일반적 인것 이였습니다. 여태까지 대략 35개의 이와 같은 건물의 유적지가 발견 되었습니다. 그중 바벨탑이 맨 처음입니다.
From the brief survey, we can see the light that archaeology has shed on questions about the veracity of the biblical record. Although doubters will always question the truthfulness of God’s Word, fewer and fewer now doubt its historical statements.
이 짧은 관찰에서, 우리는 성경의 진실성에 대한 질문에서 고고학이 어떠한 빛을 비추었는지를 살펴봤습니다. 하지만 의심하는 자들은 항상 하나님의 말씀의 진실성에 대하여 질문할 것이지만, 성경의 역사적 배경을 의심하는 사람은 적어지고 있습니다.
Many other exciting archaeological finds have helped confirm and shed light on the book of Genesis, and these will be examined in a future article.
많은 놀라운 고고학적 발견이 창세기의 기록을 확증하며 빛을 비추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에 더 살펴볼것 입니다.
Archaeology and Genesis:
What does the Record Show?
고고학과 창세기:
기록은 무엇을 보여주는가?
In the September-October issue, The Good News examined several archaeological finds that illuminate portions of the book of Genesis. In this issue we continue our exploration of discoveries that verify the accuracy of other aspects of the Genesis account, beginning with the biblical patriarch Abraham.
9월-10월 잡지에서 The Good News에서는 창세기의 일부분을 조명하고 있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잡지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족장 아브라함부터 시작하여 창세기의 다른 모습의 정확성을 증명하는 몇가지 증거들을 계속하여 살펴볼것 입니다.
Abraham and the city of Ur
아브라함과 우르도시
“And Terah took his son Abram and his grandson Lot, …and they went out with them from Ur of the Chaldeans to go to the land of Canaan” (Genesis 11:31)
“데라가 그 아들 아브람과 하란의 아들인 그의 손자 롯과… 갈대아인의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하더니…” (창세기 11:31)
A century ago, German liberal critics Theodor NOldeke questioned the historical existence of Abraham and of “Ur of Chaldeans.” He, along with others, regarded the Genesis account of Abraham and his descendants as fictional. Yet this century has brought to light an enormous amount of evidence to back the biblical record of Abraham.
일 세기전에, 독일의 자유주의 비평가 Theodor NOldeke는 아브라함과 “갈대아인의 우르”의 실존 여부에 대하여 질문하였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창세기에서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들에 대한 얘기는 모두 거짓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기에 아브라함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뒷받침 할만한 충분한 자료가 발견되었습니다.
In 1922 Leonard Woolley thoroughly excavated the city of Ur in southern Iraq and found it had been a thriving metropolis around 2,000 B.C., precisely the time of Abraham. Based on his findings, Woolley even drew a map of the city that showed its orderly boulevards and made up blueprints of spacious dwellings with indoor baths. Classrooms were excavated that yielded schoolchildren’s tablets with lessons on grammar and arithmetic still visible. In addition, variations on the name Abraham were found that dated to a century or two after his death.
1922년에 Leonard Woolley는 이라크의 남쪽에 위치하는 우르시를 발굴하기 시작하여 아브라함의 시대로 추정되는 2,000B.C.정도 까지는 이곳이 아주 활발한 지역이였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의 발견을 토대로 하여 Woolley는 그 도시의 지도까지 그려내서 질서 잡힌 큰 거리와 실내 욕조등 넓은 생활범위를 그려낼수 있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의 문법과 산수공부를 위한 아이들의 점토판이 발굴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아브라함 이름의 변화를 발견한 것은 그가 죽은지 1~2세기가 지난 다음이였습니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Encyclopedia, rejecting NOldeke’s theory that Abraham was a mythical figure, concludes: “From the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apparent that Abraham was the product of an advanced culture, and was typical of the upper-class patriarch of his day: His actions are set against the well-authenticated background of non-biblical material, making him a true son of his age who bore the same name and traversed the same general territory, as well as living in the same towns, as his contemporaries. He is in every sense a genuine Middle Bronze Age person, and not a retrojection of later Israelite historical thought, as used to be imagined…” (Vol. 1, 1979, p. 17)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에는, 아브라함이 가공적인 인물이라는 뇔데케의 이론을 거부하고 이렇게 말합니다: “고고학적 증거물로 하여금 아브라함은 발전된 문명의 생산물인 것은 확연한 사실이다, 그리고 전형적으로 그의 시대때 그는 상위층의 족장이였다: 비성경적인 물증으로 봤을때 그는 믿을 만한 모든 뒷배경을 거스르고 있고, 이것은 그가 그의 나이에 맞는 자기와 똑같은 이름을 가진 아들이었고 똑같은 영토를 가로질렀다, 이것은 똑같은 마을에서 살면서, 그와 동시대의 인물이다. 그는 어떻게 보든지 중청동기 시대의 사람이며, 사람들이 생각하던대로, 이스라엘 사람들에 의해서 나중에 더해진 인물이 아니다…” (Vol. 1, 1979, p.17)
“Now there was a famine in the land, and Abram went down to Egypt to dwell there, for the famine was severe in the land” (Genesis 12:10). “So they took their livestock and their goods, which they had acquired in the land of Canaan, and went to Egypt, Jacob and all his descendants with him” (Genesis 46:6)
“그 땅에 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로 내려갔으니 이는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음이라” (창세기 12:10). “그들의 가축과 가나안 땅에서 얻은 재물을 이끌었으며 야곱과 그의 자손들이 다함께 애굽으로 갔더라” (창세기 46:6)
What did the biblical patriarchs and their families look like? The Bible speaks of the wealth of Abraham in cattle and sheep (Genesis 12:16). Later it talks about the brother’s envy over the multicolored coat that Jacob gave to Joseph (Genesis 37:3). It tells about the sheep and goats the Jacob cleverly bred to avoid their being confiscated by his father-in-law (Genesis 30:33-43). Mentioned ar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the harp (Genesis 31:27) and weapons such as the bow and arrow used for protection (Genesis 27:3). Were all these only fabrications and the product of fables?
성경적 족장과 그들의 가족들이 어떻게 나옵니까? 성경은 아브라함의 가축이 얼마나 많았는지를 보여줍니다 (창세기 12:16). 이 후에는 야곱이 요셉에게 준 채색옷으로 말미암은 그의 형제들의 질투를 보여줍니다 (창세기 37:3). 성경에서는 야곱이 그의 장인에게 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가 얼마나 지혜롭게 양과 염소를 양육했는지 나옵니다 (창세기 30:33-43). 하프와 같은 음악 도구가 거론되고 (창세기 31:27) 보호차로 사용된 활과 화살등의 무기에 대하여 나옵니다. (창세기 27:3). 이 모든것이 제작된 것이고 그저 신화일까요?
At the turn of our century, several royal tombs were excavated 150 miles south of Cairo. There on one of the walls is a beautiful painting, later dated ca. 1900 B.C., of Semites entering Egypt to sell their wares. Men, women and children are pictured, some with multicolored clothing. They have harps, bows and arrows and spears. Accompanying them are goats and donkeys for food and conveyance. This painting shows people of the same lineage as Abraham, Isaac and Jacob wearing the clothing, caring for the same type of animals and using implements as described in the Bible record. It is an impressive find that backs the biblical description of that time, even in minute detail.
이번 세기가 들어스면서,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150마일 떨어진 곳에 다량의 황실무덤이 발견되었습니다. 그중 한 무덤에는 아름다운 그림이 있는데, B.C. 1,900년대로 추정되며, 셈족이 이집트로 그들의 물건을 팔러 들어가는 그림입니다. 남자, 여자 그리고 아이들이 그려져 있으며, 어떤이는 채색옷을 입고있습니다. 그들은 하프, 활과 화살과 창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또한 염소와 음식을 싣기위해서나 운반을 위한 당나귀가 있습니다. 이 그림은, 그들의 옷으로 아브라함, 이삭, 그리고 야곱과 똑같은 혈통의 사람이며, 똑같은 종류의 가축을 키우고 성경에 기록된것과 똑같은 도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소한것 하나하나가 성경이 그 시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것이 일치하는 유물을 찾은 것은 대단한 발견입니다.
Laban’s teraphim
라반의 드라빔
Some have puzzled over the biblical story of Rachel’s desperate attempt to hide her father’s household gods, even risking her life to carry them with her. We read in Genesis 31: “Then Jacob rose and set his sons and his wives on camels…Now Laban had gone to shear his sheep, and Rachel had stolen the household idols that were her father’s …And Laban was told on the third day that Jacob had fled. Then he took his brethren with him and pursued him for seven days’ journey, and he overtook him in the mountains of Gilead… “And Laban said to Jacob: ‘What have you done, that you have stolen away unknown to me, and carried away my daughters…? And now you have surely gone because you greatly long for your father’s house, but why did you steal my gods?’ “Then Jacob answered and said to Laban, ‘Because I was afraid, for I said, “Perhaps you would take your daughters from me by force.” With whomever you find your gods, do not let him live. In the presence of our brethren, identify what I have of yours and take it with you.’ “For Jacob did not know that Rachel had stolen them … Now Rachel had taken the household idols, put them in the camel’s saddle, and sat on them. And Laban searched all about the tent but did not find them. And she said to her father, ‘Let it not displease my lord that I cannot rise before you, for the manner of women is with me’” (verses 17-35).
어떤 이들은 성경의 이야기에서 어째서 라헬이 그녀 아버지의 가정 수호신을 숨기려고 자기의 생명까지 위태로워 지면서 애를 썼는지 궁급해들 합니다. 우리는 창세기 31장에서 이렇한 말을 볼수 있습니다: “야곱이 일어나 자식들과 아내들을 낙타들에게 태우고…그때에 라반이 양털을 깍으러 갔으므로 라헬은 그의 아버지의 드라빔을 도둑질하고…삼 일 만에 야곱이 도망한 것이 라반에게 들린지라 라반이 그의 형제를 거느리고 칠 일 길을 쫓아가 길르앗 산에서 그에게 이르렀더니… “라반이 야곱에게 이로되 네가 나를 속이고 내 딸들을 칼에 사로잡힌 자같이 끌고 갔으니 어찌 이같이 하였느냐… 이제 네가 네 아버지 집을 사모하여 돌아가려는 것은 옳거니와 어찌 내 신을 도둑질하였느냐 야곱이 라반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생각하기를 외삼촌이 외삼촌의 딸들을 내게서 억지로 빼앗으리라 하여 두려워하였음이니이다 외삼촌의 신을 누구에게서 찾든지 그는 살지 못할 것이요 우리 형제들 앞에서 무엇이든지 외삼촌의 것이 발견되거든 외삼촌에게로 가져 가로서 하니 야곱은 라헬이 그것을 도둑질한 줄을 알지 못함이었더라… 라헬이 그 드라빔을 가져 낙타 안장 아래에 넣고 그 위에 앉은지라 라반이 그 장막에서 찾다가 찾아내지 못하매 라헬이 그의 아버지에게 이르되 마침 생리가 있어 일어나서 영접할 수 없사오니 내 주는 노하지 마소서 하니라 라반이 그 드라빔을 두루 찾다가 찾아내지 못한지라” (17-35절)
Why were these “household gods” so important? Archaeology evidence reveals the answer. Many of these domestic idols, called teraphim, have been found in the Middle East. In the 1920s more than 20,000 tablets, now called Nuzi tablets, were discovered in northern Iraq. They include much information on law, commercial transactions and religion that has shed light on the customs of Abraham’s time.
이 ‘가정 수호신’이 왜 중요했을까요? 고고학이 그 질문의 답을 찾아냈습니다. 이렇듯이 많은 가정의 우상, 드라빔,이 중동에서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1920년대에는 누지 점토판(Nuzi tablet)이 20,000여개가 북 이라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것들은 법, 상업 거래나 아브라함 시대의 문화의 종교들을 많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The teraphim are mentioned as household gods that were used to determine the inheritance and titles of the sons of a family. Although scholars dispute how much the patriarchs were influenced by such practices, the biblical account fits this picture well. Clearly, Rachel was worried about leaving these idols behind. Laban certainly thought they were of great importance and traveled with his other sons for several days to recover them. These actions on their part make sense if the teraphim were used to help his other sons confirm their rights of inheritance.
드라빔은 그 가정의 아들들에게 상속하거나 직함을 결정할때 쓰인 가정 수호신입니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부족들이 이러한 풍습을 행했는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지만, 성경의 기록은 이것과 아주 잘 맞습니다. 당연히 라헬은 이 우상을 뒤로하고 오는 것이 불안했을것 입니다. 라반또한 이것을 굉장히 중히 여기고 그의 아들들과 이것을 찾기위하여 몇일을 돌아다녔습니다. 이 행동들은 만약에 드라빔이 진짜로 아들들의 상속에 대한 권위를 주는 것이라면, 이 모든 행동이 이해가 갑니다.
These idols were also used to bring good luck and even for calling upon other gods. After another encounter with true God, when Jacob found that Rachel had stolen the idols, he had her get rid of them. “And Jacob said to his household and to all who were with him, ‘Put away the foreign gods that are among you…” (Genesis 35:2)
이 우상들은 또한 행운을 가져다 주는 물건이기도 하며 또다른 신을 부를때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야곱이 라헬이 그 우상을 훔친것을 깨닫고 진정한 하나님과 다시한번 대면한 후, 그는 이 신상들을 없에게 했습니다. “야곱이 이에 자기 집안 사람과 자기와 함께 한 모든 자에게 이르되 너희 중에 있는 이방 신상들을 버리고…” (창세기 35:2)
Again, the biblical account fits with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customs of the people of that time.
다시한번, 성경의 기록이 사람들의 관습에 대한 고고학의 물증이 일치하는 것을 보였습니다.
Joseph in Egypt
에굽에 간 요셉
“Now Joseph had been taken down to Egypt” (Genesis 39:1)
“요셉이 이끌려 애굽에 내려가매…” (창세기 39:1)
Perhaps one can acknowledge that these findings fit Abraham and his descendants in Mesopotamia and Canaan, but do they confirm the abundant archaeological evidence of Egyptian life and culture?
아마도 어떠한 사람들은 이것이 메소포타미아와 가나안에 있는 아브라함의 자손들과 일치하다고 인정할수 있겠지만, 이집트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 대하여 충분한 고고학적 증거가 있을까요?
The Bible tells of a young Joseph who was sold into slavery and taken to Egypt as a young man. If this account is nothing more than myth, surely the biblical story could easily be refuted, since much more is known of Egyptian history and culture than of any other civilization of the Middle East of that time. The Egyptians left monument after monument, their tombs with walls full of pictures and writings of their daily lives. They inscribed in stone much of their history. If the biblical story is false, it should not be difficult to expose it as a fraud, since details in the account would surely be discovered to be out of place.
성경은 어린 요셉이 이집트로 젊은 사람으로서 노예로 팔려갔다고 말합니다. 만약 이 기록이 단순한 신화라면, 당연히 성경은 쉽게 이의가 제기될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시대에서 중동에 있는 문명중 가장 기록이 많은 것이 이집트의 역사입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기념비를 계속하여 새워나갔습니다, 그들의 무덤또한 그들의 일생에 대한 글과 그림으로 가득합니다. 그들은 돌에 그들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많이 남겼습니다. 만약에 성경의 이야기가 거짓이라면, 이것을 거짓이라고 밝혀내는대 어렵지 않을것 입니다, 왜냐하면 그 지역에서 발견된 기록이 일치하지 않을것 이기 때문입니다.
Yet the biblical account fits. In Egypt Joseph ended up as a slave in an important official’s home. Potiphar’s wife tried to seduce Joseph. When he fled from her, he was falsely accused by her and thrown into prison. These elements all reflect Egyptian customs as described in the monuments—the abundance of Semitic slaves and stories of frivolous Egyptian wives. Says one encyclopedia: “Egyptian sources indicate that both in literature and in daily life some other Egyptian women were no better than Potiphar’s wife”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 2, p. 1128).
하지만 성경의 기록은 일치합니다. 애굽에서 요셉은 중요한 공무원의 집의 노예로 팔려갑니다. 보디발의 아내는 요셉을 유혹하려 했습니다. 그가 그녀에게서 도망칠때, 그는 그녀에 의해서 거짓으로 고소되었고, 그는 감옥에 가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요소가 기념비에 새겨진 그대로의 애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셈족의 많은 노예와 애굽사람들 아내의 경솔한 이야기들. 한 백과사전에서 말하기를: “애굽의 역사의 기록과 그들의 일생을 살펴보면 애굽의 많은 여자들은 보디발의 아내와 똑같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 2, p.1128)
When God intervened and Joseph interpreted Pharaoh’s dream (literature of that time indicates that interpreting dreams was a common practice), he was placed as second in command under Pharaoh.
여기서 하나님이 역사하시고 요셉이 바로의 꿈을 해석했을때 (이 시대의 문화에서 꿈을 해석하는 것은 흔히 볼수 있는 일이다), 그는 바로에 의해서 제 2인자가 되었습니다.
The Egyptian ruler complimented him: “Inasmuch as God has shown you all this, there is no one as discerning and wise as you. You shall be over my house, and all my people shall be ruled according to your word; only in regard to the throne will I be greater than you.” And Pharaoh said to Joseph, ‘See, I have set you over all the land of Egypt.’ Then Pharaoh took his signet ring off his hand and put it on Joseph’s hand; and he clothed him in garments of fine linen and put a gold chain around his neck. And he had him ride in the second chariot which he had; and they cried out before him, ‘Bow the knee!’ So he set him over all the land of Egypt” (Genesis 41:39-43)
애굽의 통치자가 그를 칭찬하기를: “요셉에게 이르되 하나님이 이 모든 것을 네게 보이셨으니
너와 같이 명철하고 지혜 있는 자가 없도다 너는 내 집을 다스리라 내 백성이 다 네 명령에 복종하리니 내가 너보다 높은 것은 내 왕좌뿐이니라 바로가
또 요셉에게 이르되 내가 너를 애굽 온
땅의 총리가 되게 하노라 하고 자기의 인장 반지를 빼어 요셉의 손에 끼우고 그에게 세마포 옷을 입히고 금 사슬을 목에
걸고 자기에게 있는 버금 수레에 그를 태우매 무리가 그의 앞에서 소리 지르기를 엎드리라 하더라 바로가 그에게 애굽 전국을 총리로 다스리게 하였더라”
(창세기 41:39:43)
In one of the walls in a royal Egyptian tomb is a beautiful engraving of the investiture ceremony for a new prime minister. The official is clothed in a white linen gown and wears a gold chain around his neck. As Werner Keller maintains: “Joseph’s elevation to be viceroy of Egypt is reproduced in the Bible exactly according to protocol. He is invested with the insignia of his high office, he receives the ring, Pharaoh’s seal, a costly linen vestment, and a golden chain. This is exactly how Egyptian artists depict this solemn ceremony on murals and reliefs. As viceroy, Joseph rides in Pharaoh’s ‘second chariot.’ That could indicate the ‘period of the Hyksos’ at the earliest, for it is only during the period of the ‘rulers of the foreign lands’… that the fast war chariot reached Egypt… Before their days this had not been the practice on the Nile. The ceremonial chariot harnessed to thoroughbred horses was in those days the Rolls-Royce of the governors. The first chariot belonged to the ruler, the ‘second chariot’ was occupied by the chief minister” (The Bible as History, 1980, p.89)
어느 한 황실무덤에 새로운 총리를 임명하는 서임식이 그려져 있는 무덤이 있습니다. 이 관원은 하얀 새마포를 입고 그의 목에는 금 사슬이 있습니다. Werner Keller가 주장하듯이: “요셉이 에굽의 총독으로 진급하는 것은 원 문서에 따라 성경에 그대로 기록되었다. 그는 그의 높은 관직을 뜻하는 기장을 받고, 반지, 바로의 인장,이 주어졌고, 값비싼 새마포 의복과, 금 사슬이 주어졌다. 이것이 애굽의 예술가들이 벽과 조각에 이 서임식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그려넣은 그대로입니다. 총독으로서, 요셉은 바로의 ‘버금 수레’를 탔습니다. 이것은 최초의 ‘힉소스 시대’라고 쓸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이민족 통치자’의 시대였고…빠른 전투용 수레가 에굽에 도달했기때문입니다… 이들 시대 이전에는 나일에서 이러한 관습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의식의 사용되는 수레의 말들은 오랜시간 걸처온 순수 종자 말을 ?㎞? 이것은 정부의 롤스-로이스와 같은 것 이였습니다. 첫번째 수레는 통치자 것이고, ‘버금 수레’는 총리가 가지게 되어있습니다.” (The Bible as History, 1980, p.89)
From this brief survey we can see some of the light that archaeology has shed on the biblical record. Although doubters will always scoff at the truth of God’s Word – since God’s way of life and His laws are not easy to keep—fewer and fewer now doubt the Bible’s historical basis.
이 짧은 조사에서 우리는 고고학이 성경의 기록에 빛을 비추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심하는 자들은 언제나 하나님의 말씀의 진실성에 대하여 비웃을것 입니다.—하나님의 삶의 방향과 법도는 지키는 것이 쉽지 않기때문에—성경이 역사의 뒷배경이 된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적어지고 있습니다.
Such discoveries continue to verify the inspiration of God’s Word. As Paul said: “All Scripture is given by inspiration of God, and is profitable for doctrine, for reproof, for correction, for instruction in righteousness, that the man of God be complete, thoroughly equipped for every good work” (2 Timothy 3:16-17).
이러한 발견들은 하나님의 말씀의 감화를 증명합니다. 바울이 말하기를: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함이라.” (디모데후서 3:16-17)
Future issues of The Good News will present more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confirms the Bible account.
이 후에 발급되는 The Good News 에서는 성경의 기록을 증거하는 고고학적 물증을 더욱더 많이 제공할것 입니다.
Archaeology and the Book
Of Exodus: Exit From Egypt
고고학과 출애굽기: 애굽에서의 탈출
In earlier issues, The Good News examined several archaeological finds that illuminate portions of the book of Genesis. In this issue we continue our exploration of discoveries that illuminate the biblical account, focusing on Exodus, the second book of the Bible.
The Good News의 지난호에서는 창세기의 일부분에서 고고학이 증명하는 몇몇가지를 살펴봤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성경의 두번쩨 책인 출애굽기에 집중하여서 성경 기록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살펴볼것 입니다.
Exodus in English derives from the Latin and means simply “to exit.” The book of Exodus describes the departure of the Israelites from Egypt, an event distinguished by a mighty struggle between two unequal opponents. On the one hand was an oppressed nation of slaves and on the other the most powerful nation in the Middle East, if not the world. Viewed strictly physically the odds in this struggle between Israel and Egypt were stacked against the Israelites.
출애굽기 (Exodus)라는 영어는 라틴어 에서부터 단순히 ‘나오다’라는 뜻입니다.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애굽에서 떠나는 것과, 공펴하지 않은 두 상대의 어려운 싸움을 그려낸 것입니다. 한쪽은 항상 눌려살아 왔던 노예의 나라와 또다른 쪽은 세계에서가 아니면 중동에서 가장 강대국인 나라였습니다. 물리적으로 봤을때 모든 상황이 이스라엘에게 불리했습니다.
What has archaeology found that pertains to the Exodus and the Israelite’s time in Egypt? Scientists have made several significant discoveries that make this part of the Bible come alive.
고고학이 이스라엘 사람들이 출애굽기 시대때 애굽에 있을때에 속한 어떠한 물건을 찾아냈을까요? 과학자들은 성경의 이 부분을 살아나게 할수 있는 놀라운 발견을 했습니다.
Egyptian brick-making
애굽사람들의 벽돌 만들기.
In the book of Exodus we see the Egyptians forcing the Israelites to build great cities for Pharaoh: “Therefore they set taskmaster over them to afflict them with their burdens. And they built for Pharaoh supply cities, Pithom and Raamses” (Exodus 1:11)
출애굽기에서 우리는 애굽사람들이 이스라엘 사람을 강제로 바로를 위한 도시를 만들게 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감독들을 구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고롭게 하여 그들에게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출애굽기 1:11)
Most of us know a little about the Egyptian pyramids, which were built of stone. But not all Egyptian pyramids were made of stone; brick was the principal building material used in the country.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notes that “throughout Egyptian history sun-dried brick was the chief building material. Stone was reserved for temples and other monumental constructions” (Vol. 1, p. 546)
우리들중 대부분 사람들은 돌로 지어진 이집트의 피라미드에 대해서 조금 밖에 모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집트의 모든 피라미드가 돌로 만들어진것은 아닙니다; 벽돌이 이 나라에서 쓰던 주요된 건축 자제였습니다.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은 이렇게 서술합니다, “이집트의 역사에서 햇볕에 말린 벽돌들은 건축의 가장 중요시 되는 자재가 되었습니다. 돌들은 신전이나 다른 기념비를 새우기 위하여 남겨졌습니다.
Therefore the Egyptians needed millions of bricks, and the Israelites labored long and hard to supply the demand. The Egyptians “made heir lives bitter with hard bondage-in mortar, in brick, and in all manner of service in the field” (Exodus 1:14, emphasis added throughout).
그럼으로 이집트 사람들은 수 많은 벽돌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요구를 채우기 위해서 장시간 열심히 일해왔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고역으로 그들의 생활을 괴롭게 하니 곧 흙이기기와 벽돌 굽기와 농사의 여러가지 일이라 그 시키는 역사가 다 엄하였더라” (출애굽기 1:14, 강조문 추가됨)
When Moses and Aaron told Pharaoh that God wanted His people, the Israelites, to stop working and observe a religious festival in the wilderness, Pharaoh was incensed. Instead of yielding, he increased the work load: “So the same day Pharaoh commanded the taskmasters of the people and their officers, saying, ‘You shall no longer give the people straw to make brick as before. Let them go and gather straw for themselves’” (Exodus 5:6-7)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 이스라엘 사람들이 일을 멈추고 광야에서 종교적 의식을 행하게 하기를 원한다고 말을하자, 이것은 바로를 성나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순종하기는 커녕, 그는 일을 늘렸습니다: “바로가 당일에 백성의 간역자들과 패장들에게 명하여 가로되 너희는 백성에게 다시는 벽돌 소용의 짚을 전과 같이 주지 말고 그들로 가서 스스로 줍게 하라” (출애굽기 5:6-7).
This cruel measure added to the Israelites’ already arduous tasks. The Israelite slaves had to head for the fields to gather straw to mix with the mud.
이 잔혹한 양의 추가에 있어서 이 일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굉장히 힘든 것 이였습니다. 이스라엘 노예들은 들에 나가서 진흙에 섞을 짚을 찾아야만 했습니다.
The biblical detail about using straw in brick-making is puzzling to some. How, they ask, could addition of straw as an ingredient make bricks stronger?
성경에서 왜 벽돌을 만들때 짚을 썼는지에 대한 많은 의혹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짚을 섞음으로 인하여 어떻게 벽돌이 강해질수 있는지에 대하여 물어보고 있습니다.
In Egypt the mud-straw combination was commonly used to strengthen building blocks. It also prevented the bricks from cracking or losing shape. Modern investigators have run tests that show that when straw is mixed with mud the resulting bricks are three times strong as those made without straw. Fluids in the straw release humic acid and harden the bricks (Gerald Vardaman, Archaeology and the Living Word, 1966, p.37). To this day, after thousands of years, mud-brick monuments still stand in Egypt.
이집트에서 벽을 싸아올릴때에 쓴 진흙과 짚을 섞어서 만든 벽돌의 사용은 보통이였습니다. 이것은 벽돌이 갈라지거나 그 모양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쓰였습니다. 현대 조사원들은 짚을 섞어서 만든 벽돌과 섞지 않고 만든 벽돌의 강도가 3배 차이가 나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짚에 있는 유동체가 부식산을 만들어 내서 벽돌을 강화시킵니다 (Gerald Vardaman, Archaeology and the Living Word, 1966, p.37). 몇천년이 지난 지금도, 진흙벽돌로 만든 이집트의 기념비는 아직도 서있습니다.
The 10 plagues
10가지 재앙
Egyptology has illuminated our understanding of the Bible’s description of the plagues that struck Egypt and led to the Israelites’ departure from the land.
이집트학은 성경의 기록에 이집트를 처내고 이스라엘 사람들을 그 땅에서 이끌어낸 재앙에 대한 이해를 우리에게 조명했습니다.
The Egyptians were religious people. They had gods for everything and scrupulously tried to please them. They had 39 principal gods, many of them depicted in Egyptian art with animal bodies or heads. In Egyptian temples, priests cared for many types of sacred animals that represented deities.
이집트 사람들은 종교적인 사람이였습니다. 그들은 모든 것에 대한 신이 있었고 면밀하게 그들을 만족시킬려고 하였습니다. 그들에게는 39가지의 중요신이 있었고, 이집트의 예술로 그들 중 많은 수는 몸이나 머리가 동물의 모습이였습니다. 이집트의 사원에서, 제사장들은 그 신을 묘사하는 수 많은 성스러운 동물들을 지켰습니다.
In one respect the Israelites’ exodus out of Egypt was a confrontation between the true God, Yahweh, and the false gods of that land. It would remove any doubt in the Israelites’ minds as to who was the true God and which was the true religion. God had in mind not only to take His people from Egypt, but to discourage worship of the supposedly powerful Egyptian gods. He made this clear when He told Moses: “For I will pass through the land of Egypt on that might, and will strike all the firstborn in the land of Egypt, both man and beast; and against all the gods of Egypt I will execute judgment: I am the LORD” (Exodus 12:12)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집트에서 나오는 것은 진정한 하나님, 야훼,와 그 땅의 거짓 신들의 직면 이였습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누가 진정한 하나님이고 어떤것이 진정한 종교인지에 대한 의심을 사라지게 했습니다. 하나님은 단순히 그의 백성을 이집트에서 부터 이끌어내실 계획뿐만 아니라 강하다고 여겨져 왔던 이집트의 신들에 대한 경배를 없에기 위함도 있습니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씀하셨을때 이것을 알게 하셨습니다: “내가 그 밤에 애굽 땅에 두루 다니며 사람과 짐승을 무론하고 애굽 나라 가운데 처음 난 것을 다 치고 애굽의 모든 신에게 벌을 내리리라 나는 여호와로라” (출애굽기 12:12).
Later, in Numbers 33:4, we read that “on their gods the LORD had executed judgments.” God directed each of the 10 plagues against the Egyptian gods that ostensibly held sway over an aspect of nature. The plagues represented, collectively, a dramatic demonstration to Israelite and Egyptian alike that the gods were false; they were powerless to come to the aid of anyone who implored them.
이후에 민수기 33:4절에 우리는 이렇게 서술되어 있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신들에게도 벌을 주셨더라.” 하나님의 10가지 재앙은 외면적으로 자연의 양상의 권세를 잡고 있는 이집트의 신들에 반대되는 것입니다. 재앙들은 공동적으로 이스라엘인과 이집트인 모두에게 그들의 신은 거짓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였습니다; 그들은 그들에게 애원하는 누구에게든지 그들을 도와줄 힘이 없었습니다.
An ancient Egyptian calendar reveals numerous holidays dedicated to the gods—so many that it appears that not many working days remained in the year. When Moses told Pharaoh was indignant: “Who is the LORD, that I should obey His voice to let Israel go? I do not know the LORD, nor will I let Israel go …Moses and Aaron, why do you take the people from their work? Get back to your labor” (Exodus 5:2, 4)
고대 이집트 달력을 보면 그들의 신들에게 받처진 공휴일이 굉장히 많습니다—너무 많아서 일년에 일하는 날은 얼마 남지 않아있을 정도입니다. 모세가 말했을때 바로는 성냈습니다: “바로가 가로되 여호와가 누구관대 내가 그 말을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겠느냐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니 이스라엘도 보내지 아니하리라 …애굽 왕이 그들에게 이르되 모세와 아론아 너희가 어찌하여 백성으로 역사를 쉬게 하느냐 가서 너희의 역사나 하라”(출애굽기 5:2, 4)
Pharaoh apparently thought that the Israelites enjoyed plenty of free time, so he refused the petition. Observing Pharaoh’s recalcitrance, God acted.
바로는 아마도 이스라엘인들이 충분한 휴식시간을 즐겼다고 생각했을것 입니다, 그리하여 그는 그 청원을 거절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바로의 그 고집을 보시고 행동하셨습니다.
Plagues against the deities
신들에 대한 재앙
The first plague was aimed at the most venerable and valuable resource of Egyptian civilization, the powerful Nile River, along with the gods the Egyptians associated with it. Egypt’s food supply depended on the flooding of the Nile, as well as its annual deposits of silt to replenish the fertility of the soil. Sometimes, as in Joseph’s day, failure of the Nile to overflow its banks would result in a famine. So the Egyptians prayed regularly to their gods for abundant water. The first plague made the water undrinkable and rancid. The fish, a valuable source of food, perished.
첫 번째 재앙은 이집트 문명에게 있어서 가장 고귀하고 중요한 근원인 나일강과 이집트인이 교제하고있던 신들을 향한것 이였습니다. 이집트의 식품 공급량은 나일강의 범람함과 흙의 비옥함을 채우기 위한 침니가 매년 얼마나 싸여있는가에 달렸습니다
The Egyptians counted on the Nile goddess Hapi and the powerful Osiris to protect the Nile. Nothing resulted from the clamor and prayer of the Egyptians that their gods would purify the Nile. Only when Moses and Aaron prayed to the true God were the waters refreshed. Yet Pharaoh remained proud. He believed a host of powerful gods were waiting to do his bidding; indeed Pharaoh himself was considered a god by most Egyptians.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강의 수호여신 하피와 강한 신으로 믿어지고 있던 오시리스에 의해 수호되고 있었다. 이집트인들이 그들의 신에게 나일 강을 정화해 달로고 부르짓은 것과 기도한 것은 모두 헛수고 였습니다. 오직 모세와 아론이 진정한 하나님에게 기도했을때만 물이 정화되었습니다. 하지만 바로는 아직도 거만했습니다. 그는 강력한 신들의 머리가 그의 움직임을 만들기를 기다렸습니다; 사실상 대부분의 이집트 사람들은 바로를 신으로 여겼습니다.
The second plague targeted one of the creatures the Egyptians associated with the Nile. Egyptians worshiped the frog in the form of Heqt, whose statue bore the head of frog. This god was symbolic of good crops and blessings in the afterlife. Egyptians noticed that, when the Nile reached a certain level and overflowed, frogs abounded. Their presence was an omen of bountiful crops and control of insect population. A low Nile with few frogs meant a lack of silt, poor crops and many insects.
두번째 재앙은 이집트 사람이 나일과 교제하던 생물이였습니다. 이집트인 들은 개구리를 개구리의 얼굴의 모양을 가진 헤크트를 섬겼습니다. 이 신은 좋은 수확과 사후의 복을 주는 증표였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나일강이 어느 정도 넘쳐 흐르면 개구리가 많아진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들의 존재는 많은 수확과 곤충 수의 조절의 징조였습니다. 나일강의 수심이 낮고 개구리가 적은 것은 적은 침니, 적은 수확 그리고 많은 곤충을 뜻했습니다.
Heqt, god of the frogs, supposedly controlled the frog population. When the second plague produced too many frogs, it appeared to the Egyptians that the god who governed them had lost control. No amount of prayers and incense altered the situation. Only when the true God intervened did the frogs die and the crisis end.
헤크트, 개구리의 신은 개구리의 수를 조정하는 신입니다. 두 번째 재앙때, 개구리가 너무 많이 나오자, 이집트인들은 개구리를 통치하는 신이 그들의 제어를 잃어버렸다 생각했습니다. 그들의 기도나 분향이 얼마든지 상관없이 상황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오직 진정한 하나님이 관여하셨을때 개구리가 죽고 이 위기가 끝이 났습니다.
The third and fourth plagues featured another favorite god of the Egyptians, Kheper, the scarab deity represented by beetles and other insects. The image of the scarab god appeared frequently on amulets. “The cult to flies, and especially of the beetles,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ancient Egyptian religion” (Jamieson, Fausset and Brown, Exegetical Commentary of the Bible, Vol. 1, p. 67) “Various types of beetles were venerated in Egypt; among them the dung beetle [which] became the emblem of resurrection and continual existence…”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4, p. 258).
세 번째와 네번째 재앙 또한 이집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신 중에 풍뎅이신이며 풍뎅이나 다른 곤충의 모습을 하고 있는 케페르에 대한것 이였습니다. 풍뎅이신의 모습은 부적에서 자주 볼수 있습니다. “파리 숭배, 특히 풍뎅이 숭배에 있어서, 이것은 이집트의 종교에 굉장히 중요한 것 이였다” (Jameson, Fausset and Brown, Exegetical Commentary of the Bible, Vol. 1, p. 67) “많은 종류의 풍뎅이들이 이집트에서 모셔지고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 왕쇠똥구리는 부활과 지속적인 존재의 상징이 되었다…”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4, p. 258)
When a swarm of lice or gnats (or possibly mosquitoes) and horseflies stung the populace, the court magicians asked the insect god to control them, but to no avail. Only when Pharaoh pleaded with Moses to ask the God of Israel to remove the pests did the plague abate.
이가 아니면 각다귀 (아니면 모기) 와 말파리때가 민중들을 쏘을때, 궁중 마법사들은 곤충의 신에게 그들을 조절해달라고 했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오직 바로가 모세를 통해서 이스라엘의 하나님에게 이 문제를 옮겨달라고 했을때 이 재앙이 멈췄습니다.
Sacred bull
신성한 소
The next plague affected cattle, which the Egyptians considered to be under the control of Apis, the bull god, and Hathor, the cowlike mother goddess. The bull was considered sacred. When the bull in a temple died, it was mummified and buried with great pomp. The fifth plague struck at this mode of worship. “So the LORD did this thing on the next day, and all the livestock of Egypt died; but of the livestock of the children of Israel, not one of them died” (Exodus 9:6). No amount of pagan prayer could alter the outcome.
그 다음 재앙은 소의 신인 아피스와 소의 모양을 한 어머니 여신인 하토르에 의해서 관리된다고 이집트인들은 생각했습니다. 소는 거룩하게 여겨졌습니다. 성전에 있는 소가 죽으면, 그 소는 미라로 만들어서 굉장히 화려하게 매장?營윱求?. 다섯 번째 재앙은 이러한 숭배를 처버렸습니다. “이튿날에 여호와께서 이 일을 행하시니 애굽의 모든 가축은 죽었으나 이스라엘 자손의 가축은 하나도 죽지 아니한지라” (출애굽기 9:6) 아무리 많은 양의 이교도 기도가 이 결과를 바꿀순 없었습니다.
Next came a plague with boils, which the Egyptians thought they could cure by resorting to their god of medicine, Imhotep, a legendary Egyptian physician who came to be worshiped. They also revered Thoth, the god of magic and healing. But again in this case the boils did not go away. Even worse, the court magicians who besought these entities were themselves covered with the pestilence: “And the magicians could not stand before Moses because of the boils, for the boils were on the magicians and on all the Egyptians” (verse 11).
그 다음에는 종기로 재앙이 왔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그들의 약의 신이자 전설적인 의술사인 임호텝에 의해서 이 병을 고칠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마법과 치유의 신인 토트를 섬겼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종기는 가시지 않았습니다. 더 심한것은, 이들의 존재를 믿고 있던 궁중 마법사들 또한 종기로 덮였습니다: “요술사들도 악성 종기로 말미암아 모세 앞에 서지 못하니 악성 종기가 요술사들로부터 애굽 모든 사람에게 생겼음이라” (11절)
Again, Pharaoh and other Egyptians pleaded with Moses that God would take away the problem. God’s power to remove this plague served as a witness not only to the Egyptians and the Israelites, but to the rest of the world. God told Pharaoh: “But indeed for this purpose I have raised you up, that I may show My power in you, and that My name may be declared in all the earth” (verse 16). This witness remains with us today through the Bible account.
다시한번, 바로와 다른 이집트 사람들이 모세를 통해서 하나님에게 이 문제를 옮겨달라고 청원을 했을때 옮겨졌습니다. 이러한 재앙을 옮기실수 있는 하나님의 능력은 이집트 사람과 이스라엘 사람뿐 아니라 전 세계에 보여졌습니다. 하나님은 바로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를 세웠음은 나의 능력을 네게 보이고 내 이름이 온 천하에 전파되게 하려 하였음이니라” (16절). 이 증거는 성경의 기록을 통해서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 있습니다.
The seventh and eighth plagues struck Egypt’s crops. First, a horrible hailstorm hit the harvest, then a horde of locusts completed the destruction. The crops were supposed to be guarded by Seth, the harvest god, and it was up to Nut, the sky goddess, to prevent weather disasters. Yet the pleas of the Egyptians fell on deaf ears. Pharaoh was running out of gods to protect his people.
일곱 번째와 여덜 번째 재앙은 이집트 사람들의 곡식을 첬습니다. 처음은 엄청난 폭풍과 우박이 곡식을 첬고, 그 다음은 엄청난 수의 메뚜기들이 완전히 파멸시켰습니다. 곡식들은 추수의 신, 세트의 몫이였고, 날씨의 재앙을 막는 것은 하늘의 여신인 누트의 의무였습니다. 하지만 이집트 사람들의 청원은 귀머거리 귀에 떨어졌습니다. 바로는 그의 백성을 지키는 수호신이 없어져 가고 있었습니다.
God strikes the mightiest
하나님이 가장 강력한 자들을 치시다.
The final two plagues were directed at the two mightiest gods of the Egyptians, Ra the chief god, represented by the sun, and Pharaoh himself.
마지막 2 재앙은 이집트의 가장 강력한 신을 향한 것 이였습니다, 우두머리 신이자 태양을 묘사하는 라, 그리고 바로, 자신입니다.
Egyptians believed Ra to be the source of life, bringing light and heat to the earth. The ninth plague brought three days of no sunlight. The darkness was so “thick,” says the Scripture, that even lamps could not dispel the blackness. “So Moses stretched out his hand toward heaven, and there was thick darkness in all the land of Egypt three days. They did not see one another, nor did anyone rise from his place for three days. But all the children of Israel had light in their dwellings” (Exodus 10:22-23).
이집트인들은 라가 생명의 근원이자, 빛과 온기를 이 땅에 가져다 주는 신이라 믿었습니다. 9번째 재앙은 3일간 빛이 없었습니다. 어둠이 너무 “두터워서’ 등불조차 비추지 않았다고 성경에선 말합니다. “모세가 하늘을 향하여 손을 내밀매 캄캄한 흑암이 삼 일 동안 애굽 온 땅에 있어서 그동안은 사람들이 서로 볼수 없으며 자기 처소에서 일어나는 자가 없으되 온 이스라엘 자손들이 거주하는 곳에는 빛이 있었더라” (출애굽기 10:22-23).
In spite of the prayer and supplications the Egyptians must have offered up to Ra, the sun god did nothing.
그들이 태양신 라에게 기도나 탄원을 올린 양과는 상관없이, 태양신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The final god in dire need of humbling was Pharaoh himself, who supposedly descended from the god Ra. Pharaoh’s patron gods were Osiris, the judge of the dead, and Horus, the god of light. Egyptian worship of the Pharaohs found expression in the construction for their leaders of great pyramids as tombs. The 10th plague struck even the offspring of the Egyptians’ man-god.
겸손이 가장 급히 필요했던 마지막 신은 태양신 라의 후손으로 알려진 파라오 자신입니다. 바로의 수호신은 죽음의 심판자인 이시리스와 빛의 신 호루스 였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이 파라오 숭배를 하던 것은 그들의 인도자들의 무덤으로 만든 거대한 피라미드를 보면 알수 있습니다. 10번째 재앙은 이집트의 사람-신의 자식도 죽였습니다.
Pharaoh himself was powerless to stop the death of his firstborn son, who was next in line to sit worthy of Egyptians’ worship. “And it came to pass at midnight that the LORD struck all the first born of Pharaoh who sat on his throne to the firstborn of the captive who was in the dungeon, and all the firstborn of the livestock” (Exodus 12:29). With his gods impotent and humiliated, mighty Pharaoh finally relented, and the Exodus of the children of Israel began.
파라오 자기 자신조차도 그의 장자, 이집트 사람의 다음 숭배 대상의 죽음을 막을수 없었습니다. “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왕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가축의 첨은 난 것을 다 치시매” (출애굽기 12:29). 그의 신들이 무능한 것을 알고 굴복당하자, 위대한 파라오조차 누그러 졌습니다, 그리하여 이스라엘 사람들의 출애굽이 시작되었습니다.
Future issues of The Good News will present more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illuminates the historical account of the book Exodus.
이 후에 출간될 The Good News에서는 출애굽기의 역사적 기록을 뒷받침 하는 고고학적 증거들을 더 제시할것 입니다.
Archaeology and the Book
of Exodus: Exit From Egypt
By Mario Seiglie
고고학과 츨애굽기: 애굽에서의 탈출
By: Mario Seiglie
In earlier issues, The Good News examined archaeological finds that illuminate portions of the books of Genesis and Exodus. In this issue we continue our exploration of discoveries that help us understand other aspects of the Exodus account, beginning with the incident of the Israelites’ worship of the golden calf.
지난 호에는, The Good News에서 창세기와 출애굽기의 일부분을 증명하는 고고학적 발견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이스라엘인들이 금 송아지 숭배서부터 시작해서 출애굽기의 양상을 이해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견들을 살펴볼것 입니다.
The Golden calf
금 송아지
After crossing the Red Sea (see “The Red Sea or the Reed Sea?,” p.24) The Israelites made their way to Mount Sinai. The account of Israel’s appropriation of a golden calf to worship was long questioned by secular scholars. They noted that bull-worship was common in both Egypt and Canaan, but not calf-worship. However, in 1991 a silver statue of a calf was found in an excavation of ancient Ashkelon on Israel’s coast. Authorities dated this calf to more than 100 years before the Exodus.
홍해를 건너고 나서 (“The Red Sea or the Reed Sea?,” 페이지 24를 보십시요) 이스라엘인들은 시내산을 향했습니다. 세속적인 학자들에 의해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금 송아지를 섬긴 기록에 대하여 많은 의문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소 숭배는 이집트와 가나안에 일반적으로 있었던 일이지만, 송아지 숭배는 아니라는 것이라 했습니다. 하지만 1991년에 이스라엘 지역의 고대 아스글론을 발굴하는 도중에 은으로 만든 송아지 상이 나왔습니다. 사람들은 이것이 출애굽기 사건이 일어나기 100년 전의 물품이라고 말했습니다.
When Aaron shouted to people, “This is your god, O Israel, that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Egypt!” (Exodus 32:4), he knew well how popular calf-worship was. Four centuries later, almost the same words were uttered by King Jeroboam when he made two golden calves and told the people, “Here are your gods, O Israel, which brought you up from the land of Egypt!” (1 Kings 12:28). I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n extensive article on the discovery of the silver calf notes: “The Golden Calf worshipped at the foot of Mt. Sinai by impatient Israelites (Exodus 32) may have resembled this statuette” (March-April 1991, p.1)
아론이 백성들에게 이렇게 외첬을때,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 하는지라” 그는 송아지 숭배가 얼마나 잘 알려져 있었는지 알았습니다. 4세기 후, 여로보암 왕이 두 마리의 금송아지를 만들어서 백성들에게 말할때 거의 똑같은 말이 전해졌습니다.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의 신들이라” (열상 12:28). Biblical Archaeology Review에서는 은 송아지의 발견에 대한 광범위한 기사에 이렇게 서술합니다: “성급한 이스라엘인들이 시내산 밑에서 섬긴 금 송아지는(출애굽기 32)는 아마도 이 작은 조각과 닮았을것이다” (3월-4월 1991, 페이지 1)
The eating of quail
매추라기를 먹는것
During their wilderness years the Israelites complained to God that they had only manna to eat: “Now the mixed multitude who were among them yielded to intense craving; so the children of Israel also wept and said: ‘Who will give us meat to eat? We remember the fish which we ate freely in Egypt, the cucumbers, the melons, the leeks, the onions, and the garlic; but now our whole being is dried up; there is nothing at all except this manna before our eyes!’” (Numbers 11:4-6)
이스라엘 사람들이 광야 생활을 하는 동안, 그들은 먹을 것이 만나밖에 없다면서 하나님께 불평을 했습니다: “그들 중에 섞여 사는 다른 인종들이 탐욕을 품으매 이스라엘 자손도 다시 울며 이르되 누가 우리에게 고기를 주어 먹게 하랴 우리가 애굽에 있을 때에는 값없이 생선과 오이와 참외와 부추와 파와 마늘들을 먹은 것이 생각 나거늘 이제는 우리의 기력이 다하여 이 만나 외에는 보이는 것이 아무 것도 없도다 하니” (민수기 11:4-6)
This list represents one of the 10 major murmurings of the Israelites against God and Moses (Numbers 14:22) God decided to give the people what they asked for: “Therefore the LORD will give you meat, and you shall eat. You shall eat, not one day, nor two days, nor five days, nor ten days, nor twenty days, but for a whole month, until it comes out of your nostrils and becomes loathsome to you, because you have despised the LORD who is among you, and have wept before Him, saying, ‘Why did we ever come up out of Egypt?’” (Numbers 11:18-20)
이 목록은 이스라엘의 10가지 하나님과 모세에 대한 대표적인 불평중 하나입니다 (민수기 14:22). 그리하여 하나님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주기로 결정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고기를 주어 먹게 하실 것이라 하루나 이틀이나 닷새나 열흘이나 스무 날만 먹을 뿐 아니라 냄새도 싫어하기까지 한 달 동안 먹게 하시리니 이는 너희가 너희 중에 계시는 여호와를 멸시하고 그 앞에서 울며 이르기를 우리가 어찌하여 애굽에서 나왔던가 함이라 하라” (민수기 1:18-20).
The next day, quail descended on the Israelite camp to a depth of 12 inches. These fowl were common in biblical times and remain so in the Middle East. They are migratory birds that fly at the end of European summer to the Sinai peninsula, where they remain for six months.
그 다음날, 매추라기가 이스라엘 진영에 12인치의 깊이로 싸였습니다. 이 새는 성경 시대때 굉장히 흔한 것으로 아직도 중동에서는 흔한 새입니다. 그들은 철새로서 유럽의 여름이 끝날즘에 시내(Sinai) 반도로 이주하며 거기서 대략 6개월 정도 머물게 됩니다.
“The old world quail …a small, mottled brown game bird about 18cm. (7 in.) long, is the only member of the [pheasant] subfamily …that is migratory. The routes of migration run from southern Europe, along the eastern Mediterranean coast, through the Sinai Peninsula, to Arabia or West Africa. The quail travel southward in the late summer and northward in early spring (the time of the Israelite exodus from Egypt) …As recently as the early decades of the 20th cent[ury], migrating quails were killed by Egyptians at the rate of two million annually; in 1920 a kill of three million was recorded”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Grand Rapids, 1988, Vol. 4, pp.4-5)
“고대 시대의 매추라기… 조금하고, 얼룩이 있는 엽조로 대략 18cm (7인치)정도 길이에 꿩에 유일한 아과이다 …또한 이것은 철새이다. 이주의 경로는 남유럽에서부터 동지중해령을 통해서, 시내 반도(Sinai Peninsula)로 날아서 아라비아나 서아프리카로 날아갑니다. 매추라기들은 늦은 여름에 남쪽으로 날아가고 봄 초기때 (이스라엘 사람들이 출애굽 하던 시기) 북쪽으로 날아갑니다 …20세기 초에는 이집트 인들에 의해서 이주하다가 죽임을 당한 새가 매년 2,000,000마리에 달했습니다, 1920년에는 3,000,000까지 도달했습니다”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 Eerdmans, Grand Rapids, 1988, Vol. 4, pp. 4-5)
The miracle of God was to bring these quail to the Israelite camp and deposit them in huge numbers in that precise location.
하나님의 기적은 이 매추라기들을 이스라엘 진영으로 몰고 오셔서 특정한 지역에 엄청난 수를 모으신것 입니다.
Evidence of the prophet Balaam
발람 선지자의 증거
When the Israelites began their final journey to the Promised Land, they passed through the land of the Ammonites close to Moabite territory. They needed passage through this area to enter Canaan by way of Jericho. But King Balak of the Moabites refused to let the Israelites enter peacefully. He restored to a known pagan prophet of the times, Balaam, to prevent them from entering his land.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위해서 마지막 여정을 시작했을때, 그들은 모압영역에 가까운 암몬사람들의 지역을 통해서 갔습니다. 여리고 성의 길로 가나안을 들어가려면, 그들은 이 길을 지나가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모압왕 발락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평화롭게 지나가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그는 그 시대에 잘 알려진 이교도 선지자, 발람에게 의탁해서 그들이 그의 땅에 들어 오는 것을 방지하게 했습니다.
“Then he sent messengers to Balaam the son of Beor at Pethor, which is near the River [Euphrates in the land of the sons of his people, to call him, saying: ‘Look, a people has come from Egypt. See, they cover the face of the earth, and are settling next to me! Therefore please come at once, curse this people for me, for they are too mighty for me’” (Numbers 22:5).
“그가 사자를 브올의 아들 발람의 본향 강변 브돌에 보내어 발람을 부르게 하여 가로되 보라 한 빈족이 애굽에서 나왔는데 그들이 지면에 덮여서 우리 맞은편에 거하였고 우히보다 강하니 청컨대 와서 나를 위하여 이 백성을 저주하라” (민수기 22:5)
Apparently, Balaam’s renown was such that a Moabite king would pay a considerable sum for his services. In 1967 archaeologist digging up the remains of Deir Alla, an ancient Ammonite city on the east bank of the Jordan, found an inscription that mentioned Balaam, the son of Beor. The 16 lines of an incomplete inscription on a wall turned out to be part of one of Balaam’s prophecies, in language similar to that is recorded in Numbers.
명백히, 발람의 명성은 이미 자자해서 모압왕이 그의 수고한 대가로 엄청난 액수를 지불한다고 했습니다. 1967년 고고학자들은 데이르 알라, 고대 암몬 족속의 도시로 요단 동쪽에 위차한 잔존물들을 파내는 동안 그들은 브올의 아들 발람에 대한 기록을 발견했습니다. 이 16줄의 불완전한 벽에 있는 이 기록은 발람의 예언중 하나인것으로, 신명기를 쓴 언어와 비슷한 언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The Bible describes God’s censure of Balaam. One night God forbade him to curse the Israelites. Disappointed, he told Moabite messengers he could not help them. “So Balaam rose in the morning and said to the princes of Balak, ‘Go back to your land, for the LORD has refused to give me permission to go with you’” (verse 13).
성경은 발람에 대한 하나님의 비난을 설명합니다. 하루 저녁은 하나님이 그가 이스라엘 사람들을 저주하는 것을 막으셨습니다. 실망하면서 그는 모압의 사신들에게 그가 도와줄수 없다고말합니다. “발람이 아침에 일어나서 발락의 귀족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너희의 땅으로 돌아가라 내가 너희와 함께 가기를 여호와께서 허락지 아니하시느니라” (13절).
Later God forced Balaam to prophesy of Israel’s blessings and victories. “Then he took up his oracle and said: ‘The utterance of Balaam the son of Beor…who hears the words of God, who sees the vision of Almighty, who falls down, with eyes wide open: How lovely are your tents, O Jacob! …God brings him out of Egypt; he has strength like a wild ox; he shall consume the nations, his enemies; he shall break their bones and pierce them with arrows’” (Numbers 24:3-8).
나중에는 하나님이 발람이 억지로 이스라엘 사람들의 복과 승리에 대해서 예언하게 하셨습니다. “그가 노래를 지어 가로되 브올의 아들 발람이 말하며 눈을 감았던 자가 말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자, 전능사의 이상을 보는자, 옆드려서 눈을 뜬 자가 말하기를 야곱이여 네 장막이, 이스라엘이여 네 거처가 어찌 그리 아름다운고 …하나님이 그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셨으니 그 힘이 들소와 같도다 그 적국을 삼키고 그들의 뼈를 꺽으며 화살로 쏘아 꿰뚫으리로다” (민수기 24:3-8).
Shortly after these events Balaam, greedy for money (2 Peter 2:15), helped the Moabites induce Israel to sin. Nor surprisingly, he perished after the defeat of the Moabites and Midianites (Numbers 31:8).
이 일이 일어난다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돈에 눈이멀자 (벧후 2:15), 그는 모압 사람들을 도와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죄를 짖게 했습니다. 놀랍지 않게, 그는 모압인들과 미디안 사람들이 패배하자 그도 죽임을 당했습니다 (민수기 31:8).
The restored text discovered in Deir Alla reads: “Inscription of Balaam, son of Beor, the man who was a seer of the gods. Lo, the gods came to him at night and spoke to him. According to these words, and Balaam said, son of Beor thus: ‘There has appeared the last flame, a fire of chastisement has appeared!’ And Balaam arose the next day and he could not eat and he wept intensely. And his people came to him and said to Balaam, son of Beor: ‘Why do you fast and why do you weep?’ And he said to them: ‘Sit down! I shall show you how great is the calamity! And come, see the deeds of the gods!...’”
데이르 알라에서 복구된 문서에 기록되있기를: “신들의 예언자, 브올의 아들 발람의 기록. 보라, 신들이 그에게 저녁에 임하여서 그에게 말하였도다. 브올의 아들 발람의 말에 의하면: “내 앞에 마지막 화염이 나타났도다, 응징하는 화염이 나타났도다!’ 발람이 그 다음날에 일어나서 먹지도 아니하고 심하게 울었더라. 사람들이 브올의 아들 발람에게 와서 말하기를: ‘어찌하여 당신은 금식을 하며 울고있는가?’ 그리고 그가 그들에게 말하기를: ‘앉으라! 내가 너희들에게 이 재앙이 얼마나 두려운지 보이리라! 와서 보라, 신들의 행동을!...’”
These words are strikingly similar in detail to the biblical account. Apparently the memory of what happened to his seer remained in the memory of the Ammonites and was recorded in their version.
이 말은 성경의 기록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합니다. 당연하게도 그의 예지 능력은 암몬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있어서 그들의 방식으로 적어나갔습니다.
Archaeologist Andre Lemaire, who pieced together the incomplete script, wrote: “…The inscription from Deir Alla, dated to about the middle of the eighth century B.C. and written on the wall of what may have been some kind of religious teaching center, is very likely the earliest extant example of a prophetic text. The principal personage in the Deir Alla text is the seer Balaam, son of Beor, well known to us from the stories in Number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September-October 1985, p. 39).
이 불완전한 문구들을 맞추어 나간 고고학자 Andre Lemaire는 이렇게 서술합니다: “…데이르 알라에 있던 이 문구들은 대략 8세기 B.C.정도로 추정되며 어떤 종교의 가르침을 주는 시설로 보이는 곳의 벽에 쓰여진 이 문구는 아마도 현존 하는 것중 가장 오래된 예언의 예중 하나일 것이다. 데이르 알라에서 발견된 이 문구의 중심 인물은 민수기를 통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브올의 아들 발람 선지자이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9월-10월 1985, p. 39)
Here we have another biblical figure who cannot be dismissed as myth.
여기에 그냥 꾸며진 이야기로 남을수 없는 또 하나의 성경적 인물이 있습니다.
The route from Egypt
이집트에서 부터의 행로
Another source of scholarly controversy concerns the route the Israelites took to enter the Promised Land. “The Bible is very specific in its list of places along the final stage of Exodus route taken by the Israelites on their way to the Promised Land. Yet it is this very specificity that has made it vulnerable to criticism from some scholars. Many of the places in question, they say, did not exist when Exodus is said to have occurred” (Biblical Archaeology Review, September-October 1994, p. 5).
또 다른 학문적 논쟁의 여지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기 위하여 갔던 행로입니다. “성경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갈때까지 그 들이 지나간 곳을 굉장히 세부하게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명확해서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기가 쉬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말이, 어떠한 지역은 출애굽기 시절에 존재하지 않았던 곳이라는 것입니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9월-10월 1994, p.5)
Yet three lists showing the very route the Israelites took to enter Canaan have been found in Egyptian monuments.
하지만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나안땅에 들어가기 위하여서 사용한 이 행로중 3군데가 이집트의 기념비에서 발견?營윱求?.
Numbers 33:45-49 describes the Israelites passing through Ijim, Dibon Gad, Almon Diblataim, Nebo, Abel and finally Jordan. The route the Egyptians took to supervise the area, which they ruled for many centuries, includes eight places, of which six appear in the same sequence mentioned primarily in Numbers 33: Melah, Ijim, Heres-Hareseth (mentioned only in Judges 8:13), Dibon, Abel and the Jordan.
신명기 33:45-49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임, 디본갓, 알몬디블라다임, 느보, 아바림, 그리고 결국에는 요단으로 갔다는 설명이 나옵니다. 이집트 인들이 몇 세기동안 그들의 구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녔던 이 행로는 8군데가 나오는데, 이중 6군데는 민수기 33장에 나오는 중요 위치와 일치합니다: 맬라, 이짐, 헤레스 비탈 (사사기 8:13절에만 언급함), 디본, 아바림과 요단입니다.
Charles Krahmalkov, a professor of ancient Near Eastern language, speaks of the accuracy of the biblical account: “In short, the Biblical story of the invasion of Transjordan that set the stage for the conquest of all Palestine is told against a background that is historically accurate. The Israelites invasion route described in Numbers 33:45b-50 was in fact an official, heavily trafficked Egyptian road…” (Biblical Archaeology Review, September-October 1994, p. 58).
고대 근동지역 언어의 교수인 Charles Krahmalkov는 성경의 정확도에 대해서 말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역사적으로 맞는 배경과 성경에서 팔레스타인 정복의 계기가 된 트랜스요르단의 침략은 서로 예기가 다르다. 민수기 33:45b-50절에 나와있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침략 루트는 사실상 공식적이며, 이집트 사람들이 자주사용하던 길이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9월-10월호, 1994, p. 58).
Thus, archaeology, notwithstanding scholarly criticism, confirms another part of biblical history.
그리하여, 고고학은 학자들의 비평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또 다른 부분을 증명해냈습니다.
The
Red Sea or
the Reed Sea?
홍해 아니면 갈대 바다?
For many years scholars have disagreed over the identity of the sea the Israelites crossed and thus the site of the drowning of Pharaoh’s army. Three routes for the Exodus have been proposed and continue to be debated.
오랜 시간동안 학자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건너 바다의 이름과 바로의 군대가 침수된 그 지역에 대하여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출애굽을 위하여는 3개의 행로가 알려져있고 아직도 이것으로 논쟁을 버리고 있습니다.
Some believe that the Israelites path took them north to the coast and that took them north to the coast and that the “sea” they crossed was part of Lake Sirbonis, an arm or bay of the Mediterranean, after the crossing of which they turned south into the Sinai Peninsula.
어떤이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해안의 북쪽으로 올라가서 그들이 해안의 북쪽에 그들이 ‘바다’라고 생각한 것은 지중해의 내포 아니면 만(灣)인 시르보니스 호수의 일부를 건너서 남쪽으로 꺾여서 시내 반도로 들어갔다고 믿고있습니다.
Others have adopted the idea that the Israelites took a central route and crossed a shallow lake north of the Red Sea called the Reed Sea. The term in Hebrews is yam suph. Yam means “sea,” and suph is generally thought to mean “reeds,” “rushes” or possibly “seaweed.” That is why some versions of the Bible call it “The Sea of Reeds” or “Reed Sea” instead of Red Sea. (See Exodus 15:4 in the Revised Standard Version, New American Bible and Jerusalem Bible.)
다른 이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중간행로를 통해서 홍해의 북쪽에 있는 얕은 호수인 갈대 바다를 지나 갔다는 설도 있습니다. 히브리어로는 yam suph (얌 수프)입니다. Yam이라는 단어의 뜻은 “바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suph라는 단어는 보통 “갈대,” “수풀” 또는 “해초”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 때문에 성경의 어떤 버젼에서는 “홍해”라 하지 않고 “갈대 바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Revised Standard Version, New American Bible 과 Jerusalem Bible로 출애굽기 15:4절을 봐보십시요)
Some scholars prefer the translation “Reed Sea,” nothing that lakes north of the Red Sea are abundant with reeds. They usually designate one of these shallow bodies of water as the site of the Israelites crossing but say that the Egyptians, with their heavy chariot, got bogged down and somehow drowned.
몇몇 학자들은 “갈대 바다”라고 쓰여있는 번역본을 선호합니다, 허나 홍해의 북쪽으로는 갈대가 풍성한 지역이 없습니다. 그들은 대부분 물이 얕은 곳을 지명하여서 이스라엘인들이 건넜지만, 이집트 사람들은 그들의 무거운 병거로 인하여 꼽짝도 하지 못하고 어떻게 하여서 수장 ?榮鳴? 봅니다.
Other scholars prefer a southern route, pointing to evidence that they feel demonstrates that yam suph may mean “sea at the end of the world,” as some conceive it to have been. Says theology professor Bernard F. Batto: “What we call the Red Sea…was regarded by the ancients as the sea at the end of the world. Interestingly enough, the Greeks applied the name Red Sea not only to our Red Sea but also to the Indian Ocean and, later when they discovered it, even the Persian Gulf…Yam suph came to refer to the Red Sea because like other ancient peoples, the Israelites did not distinguish the Red Sea from oceans further to the south. To their way of thinking, the Red Sea—the yam sup—was the sea at the end of the earth”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uly-August 1984, p. 59)
다른 학자들은 yam suph가 “세상 끝에 있는 바다”라고 해석이 될수도 있다는 것을 가만하여 남부의 항로를 택하였다는 주장을 선호합니다. 고고학교수 Bernard F. Batto가 말하기를: “우리가 지금 홍해라고 부르는 것은…고대시대때 세계 끝에 있는 바다로 여겨졌습니다. 신기하게도, 그리스 인들은 홍해라는 이름을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홍해뿐만이 아니라 인도양 또한 홍해라고 했습니다, 나중에 그들이 페르시아 만을 발견했을때도 같았습니다…Yam suph가 홍해를 뜻하게 된 일은 이스라엘과 같은 고대 민족들은 홍해와 그 밑에 뻗은 남쪽의 바다와 구분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의 생각으로서는 홍해—yam sup—는 세계 끝에 있는 바다였습니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uly-August 1984, p. 59)
In other biblical references, yam suph means Red Sea or its arms, the Gulf of Suez and Gulf of Aqaba. In 1 Kings 9:26 we read: “King Solomon also built a fleet of ships at Ezion Geber, which is near Elath on the shore of the Red Sea [yam suph], in the land of Edom.” If this were marshy lake close to Egypt, this would certainly be a strange place for Solomon to build his great fleet. But geographers know Elath is a port at the northernmost end of the Gulf of Aqaba.
또 다른 성경적 비유로는, yam suph는 홍해 아니면 그의 둘레, 수에즈 만 이나 아카바 만 입니다. 열왕기상 9:26에 보면: “솔로몬 왕이 에돔 땅 홍해[yam suph] 물가의 엘롯 근처에 시온게벨에서 배들을 지은지라”만약에 이 지역이 단순히 이집트 가까이에 있는 얕은 호수라면, 이곳은 당연히 솔로몬 왕이 많은 함척을 지을만한 곳이 못됩니다. 하지만 지리자들은 엘롯이 아카바 만 의 북쪽끝에 있는 항구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Notice also Numbers 33, which mentions the stops the Israelites made in the wilderness of the Sinai. After crossing “the sea,” they camped in Marah, then Elim. And “they moved from Elim and camped by the Red Sea [yam suph]” (verse 10). How could they have crossed a “sea of reeds” and, after many days of travel, still camped by that same “sea of reeds”? No body of water in the region except the Red Sea would have been large enough for the Israelites to have traveled so long and still be close to its coast. Other references that support the Red Sea are Numbers 21:4 and Jeremiah 49:21.
또한 민수기 33장을 보면 이스라엘 사람들이 시내광야에서 떠돌아다닐때 그들이 멈췄던곳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바다”를 건넌다음에 마라, 그리고 엘림에 거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엘림을 떠나 홍해[yam suph] 가에 진을 치고” (10절) 라고 기록되어있습니다. 그들이 “갈대 바다”를 건넌다음에 어떻게 몇일이 지난다음에도 “갈대 바다”에 거했을까요? 이 지역에 물이 고여있는 곳중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오랜시간 여정을 한 다음에도 아직도 그 곳에 거할수 있는 곳은 오직 홍해밖에 없습니다. 홍해를 지지하는 다른 예제로는 민수기 21:4와 예레미야 49:21에 있습니다.
Which route did the Israelites take, and at what point did they cross the sea? We cannot know for sure. However, one author of several works on biblical history offers this perspective: “The crossing of Israel …cannot be explained as a wading through a swamp. It required a mighty act of God, an act so significant both in scope and meaning that forever after in Israel’s history it was the paradigm against which all of his redemptive and saving work was measured” (Eugene Merrill,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1987, p. 66)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떤 항로를 택했고, 어디에서 이 바다를 건넜을까요? 우리는 이것에 대해서 확실하게 말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성경의 역사에 대하여 많은 업적을한 한 작가는 이러한 조명을 시사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건넌것에 대해서는… 마치 늪을 해쳐나가는 것과 같이 설명을 할수 없는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전능하신 손길을 필요로 했고, 이와 같은 전능하신 행동은 범위와 뜻에서 모두 중대한것이기 때문에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속죄와 구원의 역사의 신중한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Eugene Merrill,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1987, p. 66)
Archaeology and the Book
Of Joshua: The Conquest
고고학 과 여호수아: 정복기
In earlier issues The Good News examined archaeological finds that illuminate portions of the biblical books of Genesis, Exodus, Leviticus, Numbers and Deuteronomy. In this issue we continue that series, focusing on the book of Joshua, which chronicles Israel’s entrance into the Promised Land.
The Good News에서 일전에 발간된 호들은 성경에서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그리고 신명기의 일부분을 증명하는 발견들을 살펴봤습니다. 이번호에서는 그 이야기에 이어서 여호수아를 중심으로 두면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역대기를 살펴볼것 입니다.
After wandering in the desert for 40 years, the Israelites were finally permitted to cross the Jordan River and enter the Promised Land. Moses was about to die, and God instructed him: “Behold, the days approach when you must die; call Joshua, and present yourselves in the tabernacle of meeting, that I may inaugurate him” (Deuteronomy 31:14). Shortly afterwards, Joshua was named as the new leader, and Moses died on top of Mount Nebo (Deuteronomy 34:1, 5). Thus begins the story of the Israelites conquest of Canaan.
광야에서 40년의 시간을 보낸다음,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제서야 요단강을 건너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이 허락됐습니다. 이때, 모세는 죽을기한이 가까웠고, 하나님이 그에게 명령하시기를: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네가 죽을 기한이 가까웠으니 여호수아를 불러서 함께 회막으로 나아오라 내가 그에게 명령을 내리리라” (신명기 31:14). 그리고 얼마후, 여호수아는 새로운 인도자가 되었고, 모세는 네보산에서(Mount Nebo) 죽었습니다 (신명기 34:1, 5). 따라서 이스라엘 사람들의 가나안 정복기가 시작됩니다.
Debated dates of Jericho
여리고성 연대기의 논쟁
“Now Jericho was securely shut up because of the children of Israel; none went out, and none came in” (Joshua 6:1)
“이스라엘 자손들로 말미암아 여리고는 굳게 닫혔고 출입하는 자가 없더라” (여호수아 6:1)
The first city the Israelites faced was Jericho. According to the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one of the oldest settlements in the world. How accurate is the biblical description of Jericho’s destruction?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장 먼저 접한 도시는 여리고였습니다. 고고학적 증거에 의하면, 여리고는 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이기도 합니다. 성경의 기록은 여리고의 멸망에 대하여 얼마나 정확하게 서술하고 있을까요?
The question spurred a lively debate throughout this century after several major excavations of the city took place.
이 질문은 이 도시에서 몇몇가지의 중요 발굴을 한 뒤에 그 시대의 가장 큰 논쟁이 되었습니다.
The first extensive dig employing modern techniques was conducted by British archaeologist John Garshtang in the 1930s. After six years of excavations he reported:
“In a word, in all material details and in date the fall of Jericho took place as described in the Biblical narrative. Our demonstration is limited, however, to material observations: the walls fell, shaken apparently by earthquake, and the city was destroyed by fire, about 1400 B.C.” (“Jericho and the Biblical Story,” Wonders of the past, Wise, New York, 1937, p. 1222).
광범위하게 발굴하는 것에서 현대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한것은 1930년대의 영국의 고고학자 John Garshtang이였습니다. 6년의 발굴후 그가 발표하기를: “서술하면, 모든 자제와 모든 증거가 성경에 기록 된것과 같이 역사적으로 여리고가 멸망한 시기는 일치한다. 우리가 보여줄수 있는것은 소수지만, 증거물들의 관찰로 살펴보면: 대략 1400 B.C.에 지진으로 인하여 벽이 무너??고, 도시는 불에 탔다.” (“Jericho and the Biblical Story,” Wonders of the past, Wise, New York, 1937, p. 1222).
In the 1950s Garstang’s conclusion was rejected by another British archaeologist, Kathleen Kenyon. She placed the destruction of this stage of the city 150 years earlier than Joshua’s time and believed that no 15th-century city existed for him to conquer. This argument lent support to many scholars who dismissed the biblical story as a myth. Archaeologist and pottery expert Bryant Wood observed: “Scholars by and large [had] written off the Biblical record as so much folklore and religious rhetoric. And this is where the matter had stood for the past 25year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rch-April 1990, p. 49).
1950년대에 Garstang의 결론은 다른 영국의 고고학자 Kathleen Kenyon에 의해서 제재 당했습니다. 그녀는 이 도시가 여호수아가 있기 150년전에 무너??고 15세기에는 여호수아가 정복할 성이 없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논쟁은 성경을 단순한 신화로 보는 학자들을 지지하게 ?營윱求?. 그리고 고고학자이며 도기 전문가인 Bryant Wood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많은 학자들은 성경이 단순한 신화나 어느 종교적 우화라고 믿고 글을 썼다. 그리고 이 것은 지난 25년간 지속 ?榮? 문제였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rch-April 1990, p. 49)
Evidence examined and evaluated
검토되고 평가된 증거
Unfortunately, Kathleen Kenyon died before her work could be published, making careful evaluation of her report difficult. Fifteen years later her findings were published, and task fell to Bryant Wood to methodically review them.
불행히도, Kathleen Kenyon은 그녀가 작업한것이 출판되기 전에 죽었기에, 그녀의 발표에 대헤 평가를 하기가 어렵게 ?營윱求?. 15년뒤, 그녀의 작업은 출판되었고, 조직적으로 이것을 재검토 하는 것은 Bryant Wood에게 맏겨졌습니다.
After studying her work and taking into account new discoveries, his startling conclusion was that Kenyon had been completely wrong on her date of the fall of Jericho. He foun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nd the biblical account.
그녀의 연구를 공부하고 새로운 발견들을 조사해본 결과, 그가 처음부터 내린 결론은 Kenyon이 여리고의 함락에 대하여 예측한 날짜는 틀렸다는 것입니다. 그는 고고학적 증거와 성경의 기록에서의 집적적인 대비 관계를 찾아냈습니다.
What led to such a turnabout?
무엇이 이러한 반전을 불러일으켰을까요?
First was the use of a tool not available in Kenyon’s days—radioactive dating. When a piece of charcoal from the burned city was examined by carbon-14 testing—generally reliable for materials up to 4,000 years old—it yielded the date of 1410 B.C., almost precisely the time of the conquest and burning of Jericho as determined from biblical chronology. (According to 1 Kings 6:1, Solomon’s temple was inaugurated 480 years after the Exodus, which would place this event at approximately 1443 B.C. After 40 years in the wilderness, the Israelites would have entered the Promised Land around 1403 B.C.)
처음으로는 Kenyon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방사선연대측정—을 사용했습니다. 이 도시가 불탈때 만들어진 숯을 탄소-14로—보통 4000년 정도 된 물건 검사에는 믿을만한 검사—검사하면 1410 B.C.로 성경의 역대에서 여리고 성이 정복당한 시기와 비슷합니다. (열왕기상 6:1절에 의하면, 솔로몬의 성전이 봉헌된것은 출애굽기로 부터 480년후로 대략 1443 B.C.입니다. 40년의 광야 생활을 한뒤 대략 1403 B.C.정도에 약속의 땅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Concerning the evidence that the city was incinerated, Kenyon found a layer of ash and burnt debris a yard thick in this level of the city. “The destruction was complete,” she reported. “Walls and floors were blackened or reddened by fire …In most rooms the fallen debris was heavily burnt…” (“Excavation at Jericho,” Palestinian Exploration Quarterly, 1955, p. 370)
이 도시가 화재(火災) ?榮募? 것을 감안해서, Kenyon은 1야드(대략 90cm)정도의 재와 타버린 잔재들로 이루어진 층을 발견했습니다. “파멸은 완전했다,” 라고 그녀는 발표했습니다. “벽과 바닥은 불에 그을려서 검거나 붉게 변했으며 …대부분의 방에서는 떨어저 나온 잔재들은 극심하게 타 있었다…” (“Excavation at Jericho,” Palestinian Exploration Quarterly, 1955, p. 370)
This description of the devastation fits the biblical account of the fate of the city: Israel “burned this city and all that was in it with fire” (Joshua 6:24)
이 황폐함에 대한 설명은 성경에서 이 도시의 운명에 대하여 서술한 것과 동일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든것을 불에 살랐습니다. (여호수아 6:24)
Moreover, evidence included three Egyptian scarabs—beetle-shaped amulets—discovered in a cemetery inside the city. These bore the names of three pharaohs who ruled from 1500 to the 1380s B.C. Such dates clearly contradict Kenyon’s belief that the city had been abandoned around 1550 B.C.
그것에 앞서서, 물증에는 이집트인의 스카라베—풍뎅이 모양의 호부(護符)--3개가 이 도시에 있는 무덤에서 발견 되었습니다. 이것은 1500년 부터 1380년대까지 다스렸던 3명의 파라오의 이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도시가 1550B.C.에 무너졌다는 Kenyon의 신의를 무너트렸습니다.
Biblical details confirmed
성경적 증거가 확인됨
A third type of evidence was the unusual amount of stored grain found in the ruins of Jericho. “The most abundant item found in the destruction apart from pottery,” says Wood, “was grain…In her limited excavation area, Kenyon recovered six bushels of grain in one season! This is unique in the annals of Palestinian archaeology. The presence of these grain stores in the destroyed city is entirely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account. The city did not fall as a result of a starvation siege, as was so common in ancient times. Instead, the Bible tells us, Jericho was destroyed after but seven days (Joshua 6:15, 20)
3번째 종류의 증거는 여리고성의 유적지에서 가이할 정도로 많은 양의 곡식이 발견되었다는 것입니다. “도기들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발견된 물건은,” Wood(브라이언트 우드.-영국의 고고학자)가 발표하기를, “그것은, ‘곡식’이였습니다…그녀의 한정적인 발굴 위치에서, Kenyon은 6부셸(약 12말)의 곡식을 첫발굴때 찾아냈습니다! 이것은 팔레스타인 의 고고학에서 굉장히 특별한 일입니다. 이 곡식들이 멸망한 이 도시에서 발견이 ?榮募? 것은 성경의 기록과 일치합니다. 이 도시는 고대에 많이 쓰였던, 포위 공성을 써서 성 안에 있는 사람들이 굶어 죽게 하는것으로 이 성을 공략한것이 아닙니다. 이와 반대로, 성경은 여리고 성이 7일 만에 점령당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호수아 6:15, 20)
“Successful attackers normally plundered valuable grain once they captured a city. This of course would be inconsistent with the grains found here. But in the case of Jericho the Israelites were told that ‘the city and all that is within it shall be devoted to the Lord for destruction,’ and was commanded, ‘Keep yourselves from the things devoted to destruction’ (Joshua 6:17-18). So the Israelites were forbidden to take any plunder from Jericho. This could explain why so much grain was left to burn when [the city] met its end”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rch-April, 1990, p. 56).
“승리를 거둔 공격자들은 먼저 그 도시의 성에서 곡식을 약탈하는게 보통이였습니다. 그렇지만 여기서 발견된 곡식에 대하여는 완전히 반대가 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여리고성의 경우에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 성과 그 가운데에 있는 모든 것은 여호와께 온전히 바치되,” 라는 명이 있었습니다, ‘오직 너희는 그 바친 물건에 손대지 말라’ (여호수아 6:17-18). 그리하여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리고성의 약탈물에 손대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이것이 어째서 이렇게 많은 양의 곡식이 이 도시가 멸망 했을때 이 도시와 같이 타버렸는지를 설명할수 있습니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rch-April, 1990, p. 56).
Finally, the type of pottery found confirmed the traditional date of the conquest, since some bore a style that appeared only during the period of 1450-1400 B.C. Wood concludes: “Despite my disagreements with Kenyon’s major conclusion, I nevertheless applaud her for her careful and painstaking field work …Her thoroughgoing excavation methods and detailed reporting of her findings, however, did not carry over into her analytical work.
마지막으로, 여기서 발견된 도기들중 몇점은 1450-1400 B.C.에서만 존재했던 유형이였기 때문에 정복기의 연대를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Wood는 이렇게 결론을 지었습니다: “내가 Kenyon의 결론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것과는 상관없이, 나는 그녀의 조심성 있고 힘들인 그 현장 조사에 박수를 보내준다 …하지만 그녀의 새심한 발굴방법과 세부적인 보고서는 그녀의 일에 세부적인 조사를 하지 못했습니다.
“When the evidence is critically examined there is no basis for her contention that City IV [the level corresponding to a violent destruction and burning of the city] was destroyed by the Hyksos or Egyptians in the mid-16th century B.C.E. The pottery, stratigraphic considerations, scarab data and a Carbon-14 date all point to a destruction of the city around the end of Late Bronze I, about 1400 B.C.E. Garstang’s original date for this even appears to be the correct one!” (ibid., p. 57)
“물증들이 정밀하게 연구됐을 경우에는 그녀가 주장하는 것 같이 도시 IV [이 도시의 폐허함과 소화된 정도의 등급] 가 16 세기 B.C.E.때 힉소스나 이집트에 의해서 멸망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도기, 층의 분류, 스카라베 정보와 탄소-14의 연대기는 모두 청동말기인 1400 B.C.E.정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Garstang이 처음 제시한 연대가 맞는것 같습니다!” (같은책 p.57)
When Time magazine published an article about these new conclusions on Jericho, the evidence appeared so convincing that Time writers remarked, “Score one for the Bible” (Michael D. Lemonick, Time, March 5, 1990, p. 43)
타임잡지에서 여리고 성에 대한 새로운 결론을 발표하자, 이 증거들이 놀라웠는지, 타임잡지의 작가들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성경에 한 득점을 준다” (Michael D. Lemonick, Time, March 5, 1990, p. 43)
Unusual remains discovered
특별난 잔재들의 발견
“Now Joshua built an alter to the LORD God of Israel in Mount Ebal, as Moses the servant of the LORD had commanded the children of Israel, as it is written in the Book of the Law of Moses: ‘an altar of whole stones over which no man has wielded an iron tool.’ And they offered on it burnt offerings to the LORD, and sacrificed peace offerings” (Joshua 8:30-31).
“그 때에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에발 산에 한 제단을 쌓았으니 이는 여호와의 종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한 것과 모세의 율법책에 기록된 대로 쇠 연장으로 다듬지 아니한 새돌로 만든 제단이라 무리가 여호와께 번제물과 화목제물을 그 위에 드렸으며” (여호수아 8:30-31)
The barren region of Mount Ebal had lain undisturbed for centuries. In 1982 a team of archaeologists began to scratch its surface. This was in the West Bank area and had not been explored until 1967, when Israel occupied the territory.
에발산의 황량한 지역은 몇세기가 넘도록 인적이 없었습니다. 1982년에 몇명의 고고학자들이 같이 이 표면을 긁어내기 시작했습니다. 요단강 서안 지구에 있는 이 지역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1967년에 점령하기 까지는 아무도 탐험한 사람이 없었습니다.
Adam Zertal, an Israeli archaeologist, supervised the excavation of a strange mound found on top of Mount Ebal. Slowly, after months of work, the site began to yield its secrets.
이스라엘인 고고학자, Adam Zertal은 에발산 정상에서 발견된 이상한 토루를 파헤치는데 감독을 했습니다. 몇달간의 작업후, 그 지역은 천천히 그 비밀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It was a rectangular structure made of large, uncut stones with a ramp leading to the center. It was quite a massive formation, 28 feet by 24 feet and 9 feet tall. Inside the construction was fill of ashes, rocks, dirt, potsherds and animal bones. More than 4,000 animal bones were found and sent to a laboratory for analysis.
이것은 직사각형 모양의 건물로 크고 다듬어지지 않은 돌과 중간으로 이끄는 가파른 길이 있었습니다. 이 규모는 꽤나 큰 크기입니다, 가로 28피트, 세로 24피트, 높이 9피트에 달합니다. 이 건축물 안에는 재, 돌, 먼지, 질그릇 조각과 동물들의 뼈가 발견되었습니다. 4,000개가 넘는 동물의 뼈가 발견되었으며 연구되기 위해서 연구소로 보내졌습니다.
At first Zertal thought the structure had been a farmhouse, but it had no doors and no floor. All the houses in that period had floors, even if only compressed earth.
처음에 Zertal은 이 건물이 단순한 농가인줄 알았으나, 문도 없고 바닥도 없었습니다. 이 시대의 모든 집은 바닥이 있었습니다, 설령 그것이 그저 땅은 다진 것이라도 말이죠.
From nearby Jerusalem came the analysis of the animal bones. Almost all of them were from bulls, sheep and goats, precisely the animals prescribed for sacrifice in the book of Leviticus. None of the bones came from typical farm animals that the Bible defines as unclean—horses, donkeys, pigs, dogs and cats. After further examination, this did not look like the remains of a farmhouse at all. What could it be?
예루살렘 근처에서 이 뼈에 대한 분석이 나왔습니다. 그들은 대부분 황소, 양과 염소로 레위기에서 제물로 쓰여지던 동물들이였습니다. 전형적인 농장에서는 성경에서 부정하다 한 동물—말, 나귀, 돼지, 개와 고양이—들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더 검사를 한 결과, 이 유적지는 다른 농가와 전혀 비슷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이것이 무엇일까요?
Based on four more years of excavations, Zertal finally completed the picture of the structure. The resulting illustration bore a striking resemblance to the biblical specifications of an altar.
4년 동안 발굴을 더한뒤, Zertal은 드디어 이 건축물의 그림을 끝낼수 있었습니다. 결과로 나온 삽화는 성경에서 나오는 제단의 모양과 거의 일치할 정도로 비슷했습니다.
As per God’s instruction, the stone ramp did not have steps: “And if you make Me an altar of stones, you shall not build it of hewn stone; for if you use your tool on it, you have profaned it. Nor shall you go up by steps to My altar, that your nakedness may not be exposed on it. (Exodus 20:25-26). This was a precaution so the priest’s tunic would not expose his legs as he ascended the altar.
하나님의 지도에 따라서, 돌로 만들어진 경사로에는 계단이 없었습니다: “네가 내게 돌로 제단을 쌓거든 다듬은 돌로 쌓지 말라 네가 정으로 그것을 쪼면 부정하게 함이니라 너는 층계로 내 제단에 오르지 말라 네 하체가 그 위에서 드러날까 함이니라” (출애굽기 20:25-26). 이것은 제사장이 제단을 오를때 그의 다리가 드러나지 않도록 주의하신 것 입니다.
Also, the Bible describes an altar with four surrounding walls and completely filled with earth and rocks. On top of this fill a fire could be lighted for the sacrifice. This is precisely what was found.
또한 성경에서는 사방에 벽이 있고 흙과 돌로 채워진 제단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이것이 채워진 그 위는 제사를 위해서 불이 짚여졌습니다. 바로 이것이 발견된 것입니다.
Around this altar Zertal discovered a small wall that apparently served to define a perimeter of an area for many people to congregate. He concluded that this area was a prototype of an Israelite worship center with an altar and an openair meeting place. He thinks this could be the altar built by Joshua at Mount Ebal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anuary-February 1986).
이 제단 주위에서 Zertal은 많은 사람들이 모일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만들어 내는 조금한 벽들을 발견해냈습니다. 그는 이 건축물이 이스라엘 사람들의 경배 장소나 야외회의 장소가 되기도 하는 본보기가 되는 건물로 판정했습니다. 그는 아마도 이것이 여호수아가 에발산(Mount Ebal)에 쌓아올린 제단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월-2월 1986).
On God’s instructions Moses had said: “Therefore it shall be, when you have crossed over the Jordan, that on Mount Ebal you shall set up these stones, which I command you today, and you shall whitewash them with lime. And there you shall build an altar to the LORD your God, and altar of stones; you shall not use an iron tool on them. You shall build with whole stones the altar of the LORD your God, and offer burnt offerings on it to the LORD your God. You shall offer peace offerings, and shall eat there, and rejoice before the LORD your God” (Deuteronomy 27:4-7).
하나님의 지시에 따라서 모세가 말하기를: “너희가 요단을 건너거든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하는 이 돌들을 에발 산에 세우고 그 위에 석회를 바를 것이며 또 거기서 네 하나님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 곧 돌단을 쌓되 그것에 쇠 연장을 대지 말지니라 너는 다듬지 않은 돌로 네 하나님 여호와의 제단을 쌓고 그 위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 번제를 드릴 것이며 또 화목제를 드리고 거기에서 먹으며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하라” (신명기 27:4-7).
Therefore, there is strong evidence that God’s orders were solemnly carried out by Joshua. An altar at Mount Ebal was built with the unusual specifications of uncut stones and a ramp instead of steps. At this site only remains of animals biblically approved for sacrifice were found.
그러므로, 하나님이 명령하신 것이 여호수아에 의해서 확실하게 실행되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습니다. 에발산에 있던 이 제단은 보통과는 다른 방식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돌들과 계단 대신 경사로로 만들어 놨습니다. 그리고 이 유적지에서 발견된 동물들의 잔해물들은 모두 성경에서 제사때 쓰이는 동물들이였습니다.
Future issues of The Good News will examine other archaeological finds that confirm and illuminate biblical history.
이 후에 발간될 The Good News는 성경적 역사를 확인하며 보여주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살펴볼것 입니다.
Archaeology and
the Book of Judges
고고학과
사사기
Previous issues of The Good News have examined archeology finds that illuminate sections of the five biblical books of Moses and the book of Joshua. In this issue we focus on a tumultuous time in ancient Israel’s history, the era covered by the book of Judges.
The Good News의 저번 호는 모세 5경과 여호수아를 증거하는 고고학적 발견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이스라엘 역사의 환난기, 사사기 시대를 살펴볼것 입니다.
Judges begins by describing the settlement of the Israelite tribe in Canaan. The aged Joshua distributes the territory among the tribes. A short while later he dies at the age of 110 (Judges 2:8). Then comes a period during which faithful elders who had lived over from Joshua’s time governed Israel. When they died, no leader immediately succeeded them. A dangerous political void existed.
사사기는 우선 이스라엘 족속들이 가나안에 정착 하므로서 시작됩니다. 이제 수명을 다한 여호수아는 이 족속들에게 땅을 분배해줍니다. 그리고 얼마후 그는 110세의 나이로 죽습니다 (사사기 2:8). 그리고 여호수아 때부터 이스라엘을 같이 통치해오던 충직한 장로들의 시대가 찾아왔습니다. 그들이 죽고 난 다음에 그들을 이어갈 사람이 없었습니다. 이러므로 위험한 정치적 빈자리가 나오게 됩니다.
Man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born in the land of Canaan, had largely forgotten the miracles accomplished during Moses’ and Joshua’s time. “When all that generation had been gathered to their fathers, another generation arose after them who did not know the LORD nor the work which He had done for Israel” (Judges 2:10).
가나안 땅에서 태어난 새로운 세대들은 모세와 여호수아 시대때 일어났던 모든 기적들을 잊고 살았습니다. “그 세대의 사람도 다 그 조상들에게로 돌아갔고 그 후에 일어난 다른 세대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며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행하신 일도 알지 못하였더라” (사사기 2:10).
The new generation found itself surrounded by many Canaanites who adhered to their own popular religion. Instead of eliminating this foreign influence, as God had commanded, in many instances the Israelites simply coexisted with those holding false beliefs. God had warned them what would occur if this situation were allowed to continue: “Then the Angel of the LORD came up from Gilgal to Bochim, and said: ‘I led you up from Egypt and brought you to the land of which I swore to your fathers; and I said, “I will never break My covenant with you. And you shall make no covenant with the inhabitants of this land; you shall tear down their altars.” But you have not obeyed My voice. Why have you done this? Therefore I also said, “I will not drive them before you; but they shall be thorns in your side, and their gods will be a snare to you”’” (Judges 2:1-3).
신세대의 사람들은 그들 사이에 유명한 종교를 덧붙이고 있던 가나안 사람들 사이에 있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명하신 것을 행하지 아니하고 그들을 멸하지 아니하였으며, 이들은
순간적으로 많은 이스라엘 사람들을 거짓된 믿음을 가진 가나안인 들과 동거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나님은 이 일이 지속되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날지 알려주셨습니다: “여호와의 사자가 길갈에서부터 보김에 이르러 가로되 내가 너희로 애굽에서 나오게 하고 인도하여 너희 열조에게 맹세한 땅으로 이끌어 왔으며 또 내가 이르기를 내가 너희에게 세운 언약을 영원히 어기지 아니하리니 너희는 이 땅 거민과 언약을 세우지 말며 그들의 단을 헐라 하였거늘 너희가 내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였도다 그리함은 어찜이뇨 그러므로 내가 또 말하기를 내가 그들을 너희 앞에서 쫓아내지 아니하리니 그들이 너희 옆구리에 가시가 될것이며 그들의 신들이 너희에게 올무가 되리라 하였노라” (사사기 2:1-3).
During this period of more than 300 years, God periodically raised up judges—we find at least 12 of them described in the biblical account—to rescue and rule over Israel as the Israelites struggled with indigenous peoples over control of the land. Judges rul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in various regions of Israel. The surviving Canaanites frequently attacked and re-conquered territory taken by the Israelites.
300년이라는 기간동안, 하나님은 간헐적으로 사사들을 세우셔서—우리는 성경의 기록에서 적어도 12사사들을 볼수 있습니다—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지역의 원주민들과 싸울 때 그들을 구하고 다스리시게 하셨습니다. 사사들은 동시에 각기 다른 지역을 다스렸습니다. 살아남은 가나안 사람들은 가끔식 이스라엘 사람들을 공격하여 그들의 영토를 되찾기도 했습니다.
What do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reveal about this time?
이번에는 고고학이 무엇을 입증할까요?
A change in culture
문화의 변화
The extensive scientific evidence points to a gradual change from a Canaanite building-and-pottery culture to a less-advanced Israelite cultural style.
광범위한 과학적 증거는 가나안인 들의 건물-그리고-도자기의 문화에서 이스라엘인 들의 미흡히 발전된 문화 스타일로 조금씩 바꿨습니다.
Charles Fensham, a professor of Semitic languages, argues that “archaeology has shown that [around] 1200B.C. certain cities in Palestine were demolished. A flowering culture of Late Bronze [Canaanite] was obliterated. The new developments…were of a lower culture than the preceding. The break is thus obvious and points to seminomadic group in progress of settling down. This evidence is clearly to be connected with the invading Israelite trib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Grand Rapids, 1982, Vol. II, p. 1158).
셈족 언어의 교수, 찰스 펜샴(Charles Fensham) “고고학은 1200 B.C.정도에 팔레스타인에 있는 몇몇 도시가 파괴되었다고 보여주고 있다. 가나안인 들의 후청동기 시대의 꽃피는 문화는 사라졌다. 새로운 발전들은 모두 그 전의 문화보다 못한것이였다. 이것이 깨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 되었고 반 유목민 생활을 하던 사람들은 정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증거는 확실히 이스라엘 족속을 공격한 것과 관계가있다” 라고 발표했습니다. (국제 표준 성경 백과사전, Eerdmans, Grand Rapids, 1982, Vol. II, p. 1158).
This is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record, which shows that the Israelites, initially slaves in Egypt and culturally impoverished, at first simply took over the existing Canaanite cities as they conquered them. God had told them, “So it shall be, when the LORD you God brings you into the land of which He swore to your fathers, to Abraham, Isaac, and Jacob, to give you large and beautiful cities which you did not build, house full of all good things, which you did not fill, hewn-out wells which you did not dig, vineyards and olives trees which you did not plant—when you have eaten and are full—then beware, lest you forget the LORD who brought you out of the land of Egypt, from the house of bondage” (Deuteronomy 6:10-12)
이는 이집트에서 이스라엘인 들이 노예였고 문화적으로 미비하였으며, 그곳에 살고 있던 가나안 사람들의 땅을 정복하면서 그들의 도시를 차지하는 성경의 기록과 일치합니다
Gradual replacement
점차적인 교체
The book of Judges indicates that this cultural change was gradual. “And it came to pass, when Israel was strong, that they put the Canaanites under tribute, but did not completely drive them out” (Judges 1:28). The Canaanite culture survived for many years until the Israelites finally replaced it.
사사기에서는 이 문화의 변화가 조금식 일어났던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강성한 후에야 가나안 족속에게 노역을 시켰고 다 쫓아내지 아니하였더라” (사사기 1:28). 이스라엘 사람들이 완전히 문화를 교체하기 전까지는 가나안 사람들의 문화가 수십년간 지속되었습니다.
“The Israelites had lived in Egypt as enslaved [people], and then spent 40 years as seminomads before entering Canaan; this makes it unlikely that they brought a distinctive material culture into Canaan…At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and the start of the Iron Age, around 1200 B.C., a major change occurred in settlement patterns [in Canaan]…While we do not believe the new settlements mark the arrival of the Israelites, we are still happy to call them ‘Israelite’ settlements. This is because, in our view, the Israelites had been in the land for some two centuries by 1200B.C. and were therefore involved in the changes that took place at the time” (John Bimson and David Livingston, “Redating the Exodus,” Biblical Archaeological Review, September-October 1987, pp.52-53).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집트에서 노예로 살았고, 가나안에 들어가기 40년전 동안 반유목민 생활을 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가나안으로 그들의 독특한 문화를 보여줄 어떠한 것을 가지고 왔다는 것을 부정합니다…1200B.C.에 후청동기 시대가 끝나면서 철기 시대가 들어올때, 가나안에서는 커다란 정착의 변화가 있었습니다…그렇지만 우리는 아직도 이 사건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도착한 시기라 생각지 아니하고, 그저 그곳을 ‘이스라엘인’들의 주거지 라고 부르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것이 그러한 이유는, 이스라엘 사람들은 1200B.C.서부터 대략 2세기 동안 그 땅에 살고 있었고, 그 지역의 변화에 동참했기 때문입니다” (John Bimsom and David Livingston, “Redating the Exodus,” Biblical Archaeological Review, 9월-10월 1987, pp. 52-53).
Here, then, is additional evidence from archaeology that appears to confirm the biblical account. It shows a gradual supplanting of Canaanite culture by Israelite settlers.
여기에 성경의 또 다른 기록을 증명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습니다. 이것은 가나안인의 문화가 이스라엘 정착자들에 의해서 서서히 사라져 가기 시작한 것을 보여줍니다.
Worship of Baal and Asherah
바알과 아세라의 숭배
After Joshua’s generation had died out, “the children of Israel did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and served the Baals, and they forsook the LORD God of their fathers, who had brought them out of the land of Egypt; and they followed other gods from among the gods of the people who were all around them, and they bowed down to them; and they provoked the LORD to anger. They forsook the LORD and served Baal and the Ashtoreths” (Judges 2:11-13).
여호수아의 시대가 죽고 난 다음에,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바알들을 섬기며 애굽 땅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신 그들의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신들 곧 그들의 주위에 있는 백성의 신들을 따라 그들에게 절하여 여호와를 진노하시게 하였으되 곧 그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겼으므로” (사사기 2:11-13).
Why the seemingly irresistible tendency for the Israelites to worship Baal over Yahweh? Again, archaeology shed much light on the Canaanite religion and helps us understand the deadly allure the indigenous religious practices held for the Israelites.
왜, 변하지 않을것 같던 이스라엘 사람들의 경향이 여호와를 섬기는 것에서 바알을 섬기게 ?瑛뺑楮?? 다시한번, 고고학이 가나안족 종교에 많은 발견을 해냈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을 위해서 이루어진 종교적 의식이 그들을 죽음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In 1929 excavation began in Ras Shamra (the ancient port town of Ugarit) in northern Lebanon. This work continues. The remains of a palace discovered in the first year of excavation yielded a library containing hundreds of ancient documents that provided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Canaanite religion. What did these tablets reveal? “The texts show the degrading results of the worship of these deities; with their emphasis on war, sacred prostitution, sensuous love and the consequent social degradation” (The New Bible Dictionary, Tyndale House Publishers, 1982, p. 1230).
1929년에 레바논 북쪽에 위치한 라스새르마(Ras Shamra) (우가리트도시의 고대 항구)를 발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작업은 아직도 이루어 지고 있는 가운대 있습니다. 발굴 첫해에 찾아낸 궁궐의 유물들은 가나안 민족들의 종교에 관한 많은 자료들을 지원했습니다. 이 점토판은 무엇을 보여줄까요? “기록들은 이 신성 숭배의 타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들이 전쟁을 추구한것, sacred prostitution, 감각적인 사랑과 사회의 타락으로 일어난 결과였습니다” (The New Bible Dictionary, Tyndale House Publisher, 1982, p. 1230)
Forbidden Worship
금지된 숭배
The pagan religion was enticing to the Israelites for two primary reasons. First, it was not as morally demanding as the biblical religion. Second, the Israelites fell victim to a superstitious respect for the gods that supposedly controlled the land of the Canaanites.
이교도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을 미혹하기 시작한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수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이것은 성경적 종교에서 요구하는 만큼 도덕성을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로는, 가나안의 땅을 수호한다고 여겨진 미신적 경의에 빠졌습니다.
“The Canaanite religion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sraelite. So far, no evidence has been found in Canaanite culture of a series of rules of conduct similar to the Ten Commandments…It was a great temptation for the Israelite invaders to respect the existing gods of the land which were regarded as being responsible for the country’s fertility. In addition, the worship of these gods was much less demanding than the rigid Israelite laws and rituals. Consequently, many of God’s people yielded to this temptation. The result was a gradual moral decline of the nation” (The Lion Encyclopedia of the Bible, Lion Publisher, 1983, p. 153).
“가나안인들의 종교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종교와 확연하게 달랐습니다. 아직까지 발견된 유물중에서, 가나안 민족이 십계명과 비슷한 법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은 없었습니다…이것은 침략자인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이 땅의 비옥함을 책임지고 있다라고 믿었던 신들의 경외는 엄청난 유혹이였습니다. 또한 이 신들을 섬기는 것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완고한 법과 의식보다 적게 요구했습니다. 그 결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유혹에 넘어졌습니다. 이것의 결과는 국가의 윤리을 지속적으로 하락시켰습니다” (The Lion Encyclopedia of the Bible, Lion Publisher, 1983, p. 153).
Recognizing the great danger to fledgling Israel, God insisted that His people destroy every aspect of the degenerate native religion. “According to the doings of the land of Egypt, where you dwelt, you shall not do; and according to the doings of the land of Canaan, where I am bringing you, you shall not do; nor shall you walk in their ordinances. You shall observe my judgments and keep My ordinances, to walk in them: I am the LORD your God” (Leviticus 18:3-4).
아직 햇병아리였던 이스라엘의 거대한 위험을 감지하신 하나님은 그의 백성이 퇴보되는 토착민 종교의 모든 양상을 파멸시키라 하셨습니다. “너희는 너희가 거주하던 애굽 땅의 풍속을 따르지 말며 내가 너희를 인도할 가나안 땅의 풍속과 규례도 행하지 말고 너희는 내 법도를 따르며 내 규례를 지켜 그대로 행하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18:3-4).
“And you shall not let any of your descendants pass through the fire [be sacrificed] to Molech…You shall not lie with a male as with a woman. It is an abomination…Do not defile yourselves with any of these things; for by all these the nations are defiled, which I am casting out before you. For the land is defiled; therefore I visit the punishment of its iniquity upon it, and the land vomits out its inhabitants” (verses 21-25).
“너는 결단코 자녀를 몰렉에게 주어 불로 통과하게 함으로 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지 말라…너는 여자와 동침함 같이 남자와 동침하지 말라 이는 가증한 일이니라…너희는 이 모든 일로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내가 너희 앞에서 쫓아내는 족속들이 이 모든 일로 말미암아 더러워졌고 그 땅도 더러워졌으므로 내가 그 악으로 말미암아 벌하고 그 땅도 스스로 그 주민을 토하여 내느니라” (21-25절).
Sexual perversion as
religion
종교로서의 성적 도착(倒錯)
The corruption found expression in grotesque cultic sexual practices. “The pagan world of the ancient Near East worshipped and defied sex.” So intertwined were sex and religion that “the term ‘holy ones’ [was used] for its cult prostitutes” (Interpreter’s One-Volume Commentary on the Bible, Abingdon Press, 1971, p. 79).
이 타락은 그로테크스풍(인간이나 동물을 풀이나 꽃에 환상적으로 결합시킨 장식예술의 양식)의 성(性)적 활동이 있으면서 발견되었습니다. “고대 동부족의 이교도는 성(性)적관계를 섬기며 문제를 삼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성적관계와 종교가 혼합되어 “’거룩한자’ 라는 호칭이 매춘부들에게 붙여졌습니다” (Interpreter’s One-Volume Commentary on the Bible, Abingdon Press, 1971, p. 79).
Although the details are crude, they reveal why biblical proscriptions against the Canaanite perversions are so pervasive. “[A] ritual involved a dramatization of the myth…[and] centered in sexual activity since the rainfall attributed to Baal was thought to…fertilize and impregnate the earth with life just as he impregnated Asherah, the goddess of fertility, in the myth. Canaanite religion, then, was grossly sensual and even perverse because it required the service of both male and female cultic prostitutes as the principal actors in the drama.
증거들이 확실함에도 불구하고, 가나안인들의 성(性)적도착(倒錯)에 반대하는 성경적 추방이 왜 널리퍼졌는지 보여줍니다. “의식은 신화를 성적 행동으로 희극화하는 것이 포함되어있었습니다…왜냐하면 바알이 이 땅에 내리는 비는 신화에 의하면 비옥의 여신인 아세라를 임신시키는 것과같이, 이 땅을 비옥하게 하고 수정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가나안의 종교가 심하게 호색적이며 심하게는 사악했던 이유는 이 연극에 예식에 쓰이는 남자와 여자 매춘부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Unlike the requirements in Israel, there was no one central sanctuary. Baal could be worshipped wherever there was a place especially visited by the numinous presence of the gods. These places were originally on hills (hence, ‘high place’) but later could be found in valleys or even within the cities and towns” (Eugene Merrill, Kingdom of Priest, Baker Book House, 1987, pp. 160-161).
“이스라엘에서 꼭 필요로 했던 중심 성소는 없었습니다. 바알은 어디서든지, 특히 신들의 초자연적인 자리에서 경배할수 있었습니다. 이 지역들은 보통 언덕(그후로는, ‘높은 곳’)이였지만 나중에는 골짜기나 심지어는 도시와 읍 내에서도 발견이 되었습니다” (유진 메릴, Kingdom of Priest, Baker Book house, 1987, pp. 160-161).
Infants sacrificed to Molech
몰렉에게 받쳐진 신생아 제물
Included in these Canaanite practices was child sacrifice, described in the Bible as having children to “pass through the fire to Molech” (Jeremiah 32:35). The Ras Shamra tablets also mention the god Molech. Some unrighteous kings in Israel instituted the practice of sacrificing infants to Molech. God, through the prophet Jeremiah, denounced this ghastly ritual. “For the children of Judah have done evil in My sight,” and “they have built the high places of Tophet [related to Molech worship]…to burn their sons and their daughters in the fire, which I did not command, nor did it come into My heart” (Jeremiah 7:30-31).
가나안족의 의식중에 하나는 성경에서 나오는 대로 자식들을 “몰렉 앞으로 지나가게 하였느니라” 처럼, 신생아의 희생이였습니다. 라스새므라(Ras Shamra)는 몰렉신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옳바른 길을 따르지 행하지 않은 이스라엘의 왕들은 신생아들을 몰렉에게 받치는 의식을 행했습니다. 하나님은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하여서 이 소름끼치는 의식에 대해서 비판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유다 자손이 나의 눈 앞에 악을 행하여,” 그리고 ”골짜기에 도벳 사당을 건축하고 그들의 자녀들을 불에 살랐나니 내가 명령하지 아니하였고 내 마음에 생각하지도 아니한 일이니라” (예레미야 7:30-31).
In the ancient Phoenician city of Carthage—part of the Canaanite culture—some 20,000 urns containing the remains of sacrificed children were found. The archaeologists at the site apprise us that “the Carthaginian Tophet is the largest of these Phoenician sites and indeed is the largest cemetery of sacrificed humans ever discovered. Child sacrifice took place there almost continuously for a period of nearly 600 years” (Lawrence Stager and Samuel Wolff, Biblical Archaeological Review, January-February 1984, p. 32).
고대 카르타고 도시의 페니키아 사람들의—가나안족의 문화중 일부분—유적지에서 희생당한 아이의 잔재를 담고 있는 20,000여개의 항아리를 발견했습니다. 유적지에 있는 고고학자들은 우리에게 말하기를 “카르타고의 도벳은 페니키아 유적지중에서 가장 크며 아마도 사람을 희생한 잔제를 놔두는 묘지중에서 가장 클것입니다. 신생아의 희생은 이곳에서 600여년간 지속적으로 이어졌습니다.” (Lawrence Stage and Samuel Wolff, 성서 고고학 평론, January-February 1984, p. 32).
Kleitarchos, a Greek from the third century B.C., described this sacrifice as the heating up of a bronze statue with out stretched arms. Infants placed into these red-hot arms quickly perished.
3세기 B.C.에 살던 그리스인, 클레이타르코스(Kleitarchos), 는 이 제사를 손을 뻗고 있는 동상(像) 을 뜨겁게 달굶으로서 이루어진다 했습니다. 신생아들은 이 붉게 달아오른 팔에 올려졌고 곧 소멸되었습니다.
Struggle for a nation’s
heart
국가의 마음을 위한 몸부림
Obviously, God did not want the Israelites to destroy their own offspring. When righteousness kings such as Josiah ascended the throne, they obeyed God and abolished the practice. “And he defiled Topheth, which is in the Valley of the Son of Hinnom [in Jerusalem], that no man might make his son or his daughter pass through the fire of Molech” (2 Kings 23:10).
당연히, 하나님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자기 자손을 파멸시키는 것을 바라지 않으셨습니다. 요시아 같은 의로운 왕이 왕좌에 등위하자, 그들은 하나님께 복종하고 이러한 의식을 금지시켰습니다. “왕이 또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을 더럽게 하여 어떤 사람도 몰록에게 드리기 위하여 자기의 자녀를 불로 지나가지 못하게 하고” (열와기하 23:10).
Some might think the prophets were overly harsh in condemning the Canaanite religion. Yet now, with detailed evidence of Canaanite practices found by archaeologists in this century, it is clear why the prophets were uncompromising.
어떤 사람들은 선지자들이 가나안 민족들의 종교를 탄압하는 것에 대해서 심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지금 이 시대에 가나안 족속 의식에 대한 증거를 고고학자들이 찾아냈을때, 왜 선지자들이 그렇게 완고했는지를 알수 있었습니다.
“The prophets and chroniclers tended to be thought of as men who, in their zeal for Yahweh and their anger against foreign religions, had probably gone too far,” writes one author. “This objection was leveled at the Bible right up to the present day…With us it is accepted as a matter of course that every half civilized community controls the morality of its citizens. But in Canaan in those days the cult of sensuality was regarded as the worship of the gods, men and women prostitutes ranked as ‘sacred’ to the followers of the religion, the rewards for their ‘services’ went into the temple treasuries as ‘offerings for the god.’
한 저자가 말하기를, “선지자들과 역대 기록자들은, 그들의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과 이방 종교의 증오로 가득 찬 사람들로, 도를 너무 넘어섰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혐오감은 성경시대때의 그 마음이 그대로 현재 시대까지 이어졌습니다…지금 시대의 사람들은 반 문명을 이룬 사회에서 시민들의 도덕성을 다스리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 시대의 가나안 에서는 음란(淫亂)은 신들을 섬기는 뜻이였고, 남자와 여자 매춘부들은 그들의 ‘의식행위’로 받은 포상들은 ‘신들에게 받치는 예물’이라 하여 신전의 금고로 들어갔기 때문에, 그 종교의 추종자들에게는 ‘거룩한 자’ 라는 호칭을 받았습니다.
“The last thing the prophet and chroniclers did was to exaggerate. How well founded their harsh words were has only become fully understood since the great discoveries of Ras Shamra…What temptation for as simple shepherd folk, what perilous enticement!...Without its stern moral law, without its faith in one God, without the commanding figures of its prophets, Israel would never have been able to survive this struggle with the Baals, with the religions of the fertility goddesses, with Asherim and the high places” (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Bantam Books, New York, 1980, pp. 286, 289).
“선지자들과 역대 기록자들은 과장(誇張)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이 말한 극심한 말들은 Ras Shamra의 위대한 발견 이후에나 완전히 이해가 되었습니다…몰각한 목자들에게는 상당한 유혹이며 위험한것 이였습니다….엄격한 율법이 없이는, 이스라엘은 바알과 비옥함의 여신, 아세림과 높은 곳과의 싸움에서 이길수 없었습니다” (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Bantam Books, New York, 1980, pp. 286, 289).
Thus the periodic backsliding of Israel into Baal worship described in the book of Judges is a realistic depiction. The description draws support from the archaeological finds that document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Israel. God persevered in sending His messengers to warn His people of the dangers of Baalism. An apt description of this struggle was penned by Nehemiah:
그러므로, 사사기에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점점 바알을 섬기게 되어져 가는 것을 기록한 것이 진실적으로 서술된것 입니다. 이 기록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혼을 위하여 몸부림 친것에 대한 기록이라는 것에 대해 고고학적 발견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사자(獅者)들을 보내는 것을 인내하시며 그의 백성들에게 바알을 섬기는 것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셨습니다. 이러한 몸부림에 대한 간단한 기록은 느헤미야에 의해서 기록 되었습니다:
“And they took strong cities and a rich land, and possessed houses full of all goods, cisterns already dug, vineyards, olive groves, and fruit trees in abundance. So they ate and were filled and grew fat, and delighted themselves in Your great goodness. Nevertheless they were disobedient and rebelled against You, cast Your law behind their backs and killed Your prophets, who testified against them to turn them to Yourself, and they worked great provocations.
“그들이 견고한 성읍들과 기름진 땅을 점령하고 모든 아름다운 물건이 가득한 집과 판 우물과 포도원과 감람원과 허다한 과목을 차지하여 배불리 먹어 살찌고 주의 큰 복을 즐겼사오나 그들은 순종하지 아니하고 주를 거역하며 주의 율법을 등지고 주께로 돌아오기를 권면하는 선지자들을 죽여 주를 심히 모독하였나이다.”
“Therefore You delivered them into the hand of their enemies, who oppressed them; and in the time of their trouble, when they cried to You, You heard from heaven; and according to Your abundant mercies You gave them deliverers [judges] who saved them from the hand of their enemies. But after they had rest, they again did evil before You. Therefore You left them in the hand of their enemies…Yet when they returned and cried out to You, You delivered them according to Your mercies” (Nehemiah 9:25-28).
“그러므로 주께서 그들을 대적의 손에 넘기사 그들이 곤고를 당하게 하시매 그들이 환난을 당하여 주께 부르짖을 때에 주께서 하늘에서 들으시고 주의 크신 긍휼로 그들에게 구원자들을 주어 그들을 대적의 손에서 구원하셨거늘 그들이 평강을 얻은 후에 다시 주 앞에서 악을 행하므로 주께서 그들을 원수들의 손에 버려 두사 원수들에게 지배를 당하게 하시다가 그들이 돌이켜 주께 부르짖으매 주께서 하늘에서 들으시고 여러 번 주의 긍휼로 건져내시고” (느헤미야 9:25-28).
A nation’s early years
국가의 초기
The book of Judges is not just documentation of ancient victories and heroic acts. It represents a realistic description of a fledgling nation that began to assimilate the perverse culture of its defeated foes. The book candidly reveals Israel’s struggle—not always successful—against the barbaric Canaanite religion. It explains Israel’s frequent relapses and resultant humiliating defeats at the hands of its enemies. Through it all one constant factor shows through: God, who is concerned about the moral and spiritual life of His people.
사사기는 단순히 옛적의 승리와 영웅적인 행동을 기록해놓은 문서가 아닙니다. 이것은 신생국가가 패배한 그 주변 민족들의 사악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하여 진실적으로 기록한것을 나타냅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야만적인 가나안의 종교에 대한 진실적인 싸움—매번 승리한것은 아니지만—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빈번한 퇴보와 그들의 적에 의해서 패배한 결과로 나오는 수욕를 왜 자주 겪었는지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이 모든 것을 통해 한가지 사실이 드러납니다: 그분의 백성들의 도덕과 영적인 삶에 대해서 신경을 쓰고 계시는 하나님.
Future issues of The Good News will examine additional archaeological finds that confirm and help us understand the biblical record.
The Good News에서 미래에 발간될 호들은 우리에게 성경적 기록을 증명하고 이해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더 살펴볼것 입니다.
The First Mention of Israel
이스라엘에 대한 첫번째 언급
During most of the last century, many liberal critics believed the history of Israel as recorded in the Old Testament was little more than the fabrication of later Jews from around the sixth century B.C. For instance, they believed there was no solid evidence of Israel being a nation at the time of the events described in the biblical book of Judges.
현세기 전의 자유주의 비평가들은, 구약에 기록된 역사가 위조보다는 약한 것으로, 6 B.C.때에 현존하던 유대인들에 의해서 기록된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예를들면, 그들은 사사기에 적혀있는 그 사건들이 일어났을때, 이스라엘이 국가였다는 물질적 증거는 없다고 믿었습니다.
Yet, in 1896, British archaeologist Sir Flinders Petrie found evidence of Israel’s existence as far back as 1200 B.C, precisely the time of the events of in Judges. In the ruins of an Egyptian temple, he discovered a monument that narrated the military victories of Merneptah, an Egyptian pharaoh. In this beautifully carved pillar, dated around 1207 B.C, the monarch mentions the nation of Israel.
하지만, 1896년, 영국의 고고학자 플린더스 피트리(Flinders Petrie)경은 사사기의 시대인 1200B.C.에 이스라엘이라는 국가가 존재하였다는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그는 이집트 신전 유적에서 이집트의 파라오였던 메르넵타의 군사적 승리를 기록한 기념비를 발견했습니다. 아름답게 다듬어진 이 기둥은 대략 1207B.C.의 것으로 추정되며 제왕은 이스라엘이라는 나라에 대하여 언급합니다.
For this reason the monument, technically termed a stele, is called “the Israel Stele.” It can be seen in the Cairo Museum. On it Merneptah recorded his victories in Canaan and mentioned Israel as one of his vanquished enemies. This would place the battle during the time of the judges of Israel, when Israel was continually being attacked and invaded by nearby peoples and then liberated by the judges God chose and used to deliver His people.
그리하여 이 기념비, 확실히 말하자면 석비, 는 “이스라엘 석비”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카이로 박물관에서 볼수 있습니다. 메르넵타는 여기에 그가 가나안에서 승리를 얻은 나라중에서 이스라엘을 그가 정복한 나라중 하나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전쟁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주변의 민족들에게로 부터 지속적인 공격과 침략을 받을때마다 하나님이 택하신 사사들을 보내셔서 그들의 백성을 구원하시던 사사시대의 일로 추정이 됩니다.
In the last two lines of the text, the stele mentions four of Merneptah’s defeated foes in Canaan: “Ashkelon has been overcome. Gezer had been captured. Yanoam was made non-existent. Israel is laid waste, [and] his seed is not.”
이 석비의 마지막 두 줄은 메르넵타가 가나안에서 패배시킨 네개의 국가를 말하고 있습니다: “아스글론은 정복했다. 게제르은 붙잡혔다. 야노암은 존재하지 않게 ?榮?. 이스라엘은 황폐케 되었고, 그의 씨는 없게 되었다.”
The reign of Merneptah is dated around 1212-1202 B.C. By recording his victory over Israel, Merneptah shows that during this time the Israelites were already in possess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and.
메르넵타의 통치는 1212-1202 B.C.정도 였습니다. 그가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승리한것을 기록함으로서, 메르넵타는 이스라엘이 이미 그 땅의 중심부중 하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Of the other place mentioned on the monument, Ashkelon was one of the coastal cities of the recently arrived Philistines. Gezer and Yanoam were in the lowlands, still under the possession of the Canaanites. As recorded in Bible, Gezer was not conquered by the Israelites under Joshua. “Nor did Ephraim drive out the Canaanites who dwelt in Gezer among them” (Judges 1:29). Thus Merneptah’s conquests in Syria-Palestine is Ysr’r (Egyptian for Y’sr’l), clearly recognizable as ‘Israel’…Thus the Israel Stele provides a terminus ad quem [limit from which to date] for the presence of the Israelites in Palestine…” (Eerdman’s, Grand Rapids, 1986, Vol. 3, p. 324).
기념비에서 언급된 다른 지역들 중에서, Ashkelon은 갓 도착한 필리스틴 사람들의 해안 도시중 하나였습니다. 게제르와 야노암은 저지(低地)였으며, 아직도 가나안인들의 수중에 있습니다. 성경에서 언급된대로, 게제르는 여호수아 시대때 이스라엘 사람들에 의해서 완전히 정복되지 않았습니다. “에브라임이 게셀에 거주하는 가나안 족속을 쫓아내지 못하매 가나안 족속이 게셀에서 그들 중에 거주하였더라” (사사기 1:29). 그러므로 메르넵타의 시리아-필리스틴 정복은 Ysr’r(Y’sr’l의 이집트식)로 확실히 ‘이스라엘’이였습니다…그럼으로 이스라엘 석비는 이스라엘이 언제서 부터 필리스틴에 있었는지에 대한 토론의 종지부를 찍었습니다…” (Eerdman’s, Grand Rapids, 1986, Vol. 3, p. 324).
King David’s Reign:
A Nation United
다윗왕의 통치(統治):
통일된 국가
In earlier issues The Good News had examined archaeological discoveries that confirm and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biblical accounts in the five books of Moses and Israel’s history as recorded in Joshua and Judges. In this issue we focus on the beginning of the Israelite monarchy, the time of King David. The Bible discusses this period in the book of 1 and 2 Samuel and 1 Chronicles.
이 전에 발간 되었던 The Good News에서는 모세 오경과 여호수아와 사사기에 기록된데로 이스라엘 역사에 대해 성경적 기록을 증명하며 이해할수 있게 하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살펴봤습니다. 이번호에서는, 이스라엘의 군주 정치, 다윗왕의 시대, 를 살펴볼것 입니다. 성경에서는 사무엘상.하와 역대상에서 언급하고 있습니다.
When the period described in the book of Judges ended, a new age arrived with the kings of Israel, an era lasting more than 400 years. (It came to a tragic close with the kingdoms of Israel and Judah both being taken into captivity and exile.)
사사기에 기록된 시기가 끝나자, 400년 이상 지속된 이스라엘의 새로운 왕정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 시대는 이스라엘과 유다왕국이 모두 사로잡히고 망명하게 되는 비참한 끝을 맞이했습니다.)
The monarchy lacked an auspicious beginning. God eventually rejected Saul, the first king, because of his continual disobedience. David, the son of Jesse, replaced Saul.
군주제는 시작부터 순조롭지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첫번째 왕이였던 사울이 계속 불순종 하자 마침내 그를 버리셨습니다. 그리고 이세의 아들인 다윗이 사울을 대신했습니다.
David’s reign began the golden age of Israel. This powerful king wisely governed the tribes of Israel, forging them into a unified nation. God blessed this obedient and multitalented man. David was not only a valiant soldier, but a great military strategist, able administrator, diplomat, composer and musician.
다윗의 통치는 이스라엘의 황금기를 개시했습니다. 이 강력한 왕은 이스라엘 지파를 지혜롭게 정계해가며, 하나의 통일국가로 이끌어 나갔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순종적이고 자기 재능에 충신한 자에게 복을 내리셨습니다. 다윗은 용감한 군인이였을 뿐 아니라, 대단한 군사적 전략가이기도 했으며, 유능한 행정관인 동시에, 유능한 외교관이며, 작곡가와 음악가였습니다.
Under David’s inspired leadership, Israel soon became powerful, extending its northern frontiers to the River Euphrates and its southern borders to the Red Sea. “And David defeated Hadadezer king of Zobah as far as Hamath, as he went to establish his power by the River Euphrates…So David reigned over Israel, and administered judgment and justice to all his people” (1 Chronicles 18:3, 14).
다윗의 영감을 받은 지도 아래, 이스라엘은 곧 강력해졌고 그들의 북쪽 국경은 유프라테스 강까지 뻗고 남쪽의 국경은 홍해까지 뻗었습니다. “소바 왕 하닷에셀이 유브라데 강 가에서 자기 세력을 펴고자 하매 다윗이 그를 쳐서 하맛까지 이르고…다윗이 온 이스라엘을 다스려 모든 백성에게 정의와 공의를 행할새” (역대상 18:3, 14).
After centuries of Israelite struggle against the Canaanites and Philistines, it was David who finally triumphed decisively over Israel’s enemies. The ensuing peace freed the Israelites to make full use of the formidable natural resources of the area. This liberty produced great prosperity. From their humble beginning as a slave people, then as pastoral tribes, they ascended to great heights. David transformed Israel into a highly organized state that would later leave a lasting mark on Western civilization.
이스라엘인 들이 수 세기동안 이스라엘의 적인 가나안과 필리스틴과의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취한 것은 다윗이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찾아온 평화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주위에 엄청난 양의 자연의 자원들을 충족히 쓸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자유의 권리는 엄청난 부를 불러왔습니다. 그들이 노예로 겸손하게 시작을 하고, 목자의 지파와 같이 변했으며, 그들은 높은 자리까지 오르게 되었습니다. 다윗은 이스라엘 국토를 높이 평가하는 조직체를 이루었으며 나중에 서양 문화에 사라지지 않을 흔적을 남겼습니다.
“The reign of David,” comments one authority, “marks—politically speaking—Israel’s golden age. A power vacuum in both Egypt and Mesopotamia made it possible for the tribes that had entered Canaan under Joshua a few centuries earlier to become a mighty nation…David was king of an area extending from the Red Sea to the Euphra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Grand Rapids, 1982, Vol. II, p. 915).
한 권위자가 논평하기를, “다윗왕의 통치는—정치적으로 말해서—이스라엘의 황금 시대를 나타냈습니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힘에 공백이 생겼기 때문에 몇 세기 전에 여호수아의 지위하에 들어온 족속들이 강력한 나라가 될수 있었습니다…다윗은 홍해서부터 유브라데스강 까지를 통치하는 왕이였습니다”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 Eerdmans, Grand Rapids, 1982, Vol. II, p. 915).
With the flourishing of the material culture of Israel comes enough physical evidence of Israelitish greatest achievement, in my view, had been the extraordinary illumination of …the time of the Israelite monarchy, c. 1000-586 B.C.E… [whereas] exploring that prehistory [the premonarchic age] is challenging: It requires tracing the archaeological record of a pastoral community, rather than an agrarian-based political entity [as in David’s time] that built cities and made contacts with surrounding natio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y-June 1995, pp. 33, 35).
이스라엘의 물물의 문화가 번영하면서 나의 견해로는, 이스라엘 사람들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이스라엘 사람들의 군주제 시대의 조명(照明)이였고, c. 1000-586 B.C.E. 전의 역사 [군주제전 시대]를 살펴보는 것은 매력적입니다. 이는 [다윗의 시대때와 같이] 도시를 세우며, 그 주변 국가들과 연락을 하는것과 농지를 토대로 하는 정치적 본질을 찾는 것이 아니라, 목자의 공동체의 기록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Jerusalem as Israel’s
capital
이스라엘의 수도로서의 예루살렘
David was originally headquartered in Hebron, in southern Judah, but now, with all 13 tribes accepting his rulership, he needed a central base from which to govern. An ideal place was on the northern border of Judah, the city of Jebus, also called Jerusalem, but it was in the hand of the Jebusites, a remnant Canaanite tribe that had heavily fortified the city. “And David and all Israel went to Jerusalem, which is Jebus, where the Jebusites were, the inhabitants of the land” (1 Chronicles 11:4).
다윗은 보통 유다의 남쪽인 헤브론을 본거지로 두었으나, 지금 13개의 족속이 모두 그의 통치권을 인정한 상태에서, 그에게는 통치 할수 있는 중심기지를 필요로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장소는 유다의 북쪽에 위치하며, 여부스의 도시인 예루살렘이였지만, 이 도시는 여부스족, 가나안 족속에서 살아남은 족속 수중에 있었습니다. “다윗이 온 이스라엘과 더불어 예루살렘 곧 여부스에 이르니 여부스 땅의 주민들이 거기에 거주하였더라” (역대상 11:4).
A few centuries earlier, Joshua had attempted to conquer the city of Jebus but had failed. “As for the Jebusites,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the children of Judah could not drive them out; but the Jebusites dwell with the children of Judah at Jerusalem to this day” (Joshua 15:63).
수 세기전에, 여호수아는 여부스의 도시를 정복하려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예루살렘 주민 여부스 족속을 유다 자손이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여부스 족속이 오늘까지 유다 자손과 함께 예루살렘에 거주하니라” (여호수아 15:63).
After Joshua’s death the Israelites briefly conquered Jerusalem. “Now the children of Judah fought against Jerusalem and took it; they struck it with the edge of the sword and set the city on fire” (Judges 1:8). Yet the surviving inhabitants soon rebuilt the city. From that moment they successfully resisted Israelite attacks until the time of David. “But the children of Benjamin did not drive out the Jebusites who inhabited Jerusalem; so the Jebusites dwell with the children of Benjamin in Jerusalem to this day” (Judges 1:21).
여호수아가 죽고 난 다음, 이스라엘은 잠시간 예루살렘을 정복 했습니다. “유다 자손이 예루살렘을 쳐서 점령하여 칼날로 치고 그 성을 불살랐으며” (사사기 1:8). 하지만 살아남은 거주자들은 곧 이 도시를 재건축 했습니다. 그 이후로, 그들은 다윗의 시대까지 이스라엘인 들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 해냈습니다. “베냐민 자손은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여부스 족속을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여부스 족속이 베냐민 자손과 함께 오늘까지 예루살렘에 거주하니라” (사사기 1:21).
The city was built on a mount in the midst of a large valley in the Judean mountains. It seemed impenetrable. When the Jebusites noticed David and his men were ready to attack them, they mocked their feeble efforts. “And the king and his men went to Jerusalem against the Jebusites, the inhabitants of the land, who spoke to David, saying, ‘You shall not come in here; but the blind and the lame will repel you,’ …” (2 Samuel 5:6).
이 도시는 유대의 산에 있는 커다란 골짜기 중심에 있는 산에 세워졌습니다. 이것을 점령한 다는 것은 불가능 하게 보였습니다. 여부스 사람들은 다윗과 그의 사람들이 공격할 준비를 갖추자, 그들은 그들의 미약한 노력을 조롱했습니다. “네가 결코 이리로 들어오지 못하리라 맹인과 다리 저는 자라도 너를 물리치리라…” (사무엘하 5:6).
Yet David did not attempt a frontal attack on the fortress. Instead, he found the Achilles’ heel of the Jebusite defenses, a hidden water shaft that wound its way up into the city. Such a shaft for transporting water was a common feature of many fortified cities of that time. “As was characteristic of all the great walled cities of Canaan,” notes Eugene Merrill, “Jerusalem had a vertical water shaft connecting with a tunnel leading to an underground water supply outside the walls. As necessary as these systems were for the survival of a city under siege, they also constituted a major weakness in that they provided access into the city for anyone who could find the entrance”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Co., Grand Rapids, 1987, p. 236).
하지만 다윗은 이 요새를 정면으로 공격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 대신에, 여부스족 방어의 유일한 약점으로 그 도시까지 올라가게 되어있는 물을 조달하는 하수였습니다. 이 시대의 요새로 있어서는, 이러한 물을 조달하는 하수는 통상적으로 있었습니다. 유진 메릴이 말하기를, “가나안에서 성벽이 견고했던 모든 성들의 특징이였던것 처럼, 예루살렘은 수직의 물 하수에 성벽 외각으로 이끄는 지하 하수가 있었습니다. 포위공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가장 필요했던 이 요소는 또한, 이 입구를 찾아내는 자에게는 성 안을 들어갈수 있게 하는 위험도 있었습니다”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Co., Grand Rapids, 1987, p. 236).
When David discovered the entrance, he realized it was a way to secretly enter the city and open its gates. “Whoever climbs up by way of the water shaft and defeats the Jebusites,” he told his men, “shall be chief and captain” (2 Samuel 5:8).
다윗이 이 입구를 찾아내자, 그는 이 길이 도시를 비밀리에 들어가서 성문을 열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다윗이 그의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누구든지 물을 긷는데로 올라가서 여부스족을 물리치는 자는 우두머리가 되며 장군이 될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사무엘하 5:8).
In 1 Chronicles 11:6-7 we find who gained the honor: “And Joab the son of Zeruiah went up first, and became chief. Then David dwelt in the stronghold; therefore they called it the City of David.”
역대상 11:6-7절에 누가 이 명예를 얻었는지 알수 있습니다: “스루야의 아들 요압이 먼저 올라갔으므로 우두머리가 되었고 다윗이 그 산성에 살았으므로 무리가 다윗 성이라 불렀으며.”
More than a century ago Charles Warren, a British officer, found a water shaft in Jerusalem with features of the discovery. “The capture of Jerusalem by David is of interest to archaeologists,” he wrote, “since he used a strategy which involved the Gihon Spring, on the eastern slope of Mount Zion…Joab went up first and was rewarded by becoming commander of David’s army…
대략 1세기 전 정도에 영국의 훈공장을 수여받은, Charles Warren은 예루살렘의 물을 길어내는 곳과 그 특징을 발견했습니다. 그가 말하기를, “다윗이 예루살렘을 정복한것은 고고학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가지게 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시온산 오른쪽 경사로에 있는 기혼 샘을 이용했기때문 입니다…요압이 먼저 올라갔으므로 다윗의 부대의 총사령관이 되는 명예를 얻었습니다…
“This tunnel has been identified with Warren’s Shaft. The shaft was dug through the limestone above the Gihon Spring all the way up to the surface, a distance of 24 meters…The discovery of Jebusite wall farther down the slope toward the Gihon Spring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Joab could have secretly entered this city…through Warren’s Shaft” (The Biblical World: A Dictionary of Biblical Archaeology, 1966,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p. 373).
“이 터널은 워렌 수직통로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물 수갱은 기혼 샘 위에 24미터 길이로 하여 석회석으로 만들어져서 표면까지 이르도록 되어있습니다…여부스인들 성벽이 기혼샘(Gihon Spring)의 비탈까지 발견이 되었다는 것은, 요압이 이 도시를 워렌 수직통로를 통해서 비밀리에 들어갔다는 가능성을 높였습다” (The Biblical World: A Dictionary of Biblical Archaeology, 1966,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p. 373).
King David’s Jerusalem
다윗왕의 예루살렘
After David conquered the Jebusite fortress, it became known as the City of David. As his reign prospered he soon began building to extend the city. “Then David dwelt in the stronghold, and called it the City of David. And David built all around from the Millo and inward. So David went on and became great, and the LORD God of hosts was with him” (2 Samuel 5:9-10).
다윗이 여부스족의 요새를 정복한뒤, 그 요새는 다윗의 도시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의 통치가 순조로워 지기 시작하자 그는 도시를 확장하기 위하여 건물을 짖기 시작했습니다. “다윗이 그 산성에 살면서 다윗 성이라 이름하고 다윗이 밀로에서부터 안으로 성을 둘러 쌓으니라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함께 계시니 다윗이 점점 강성하여 가니라” (사무엘하 5:9-10).
The mount on which the Jebusite fortress stood was called Mount Zion. “Nevertheless David took the stronghold of Zion (that is, the City of David) (verse 7). Close by, to the north, as a hill called Mount Moriah, which David bought from Oman the Jebusite.
여부스인 들의 요새가 있던 산의 이름은 시온산 이였습니다. “다윗이 시온 산성을 빼앗았으니 이는 다윗 성이더라” (7절). 그의 북쪽 가까이에는, 다윗이 여부스인인 오르난(현 한영 성경에서 쓰는 것은 Araunah로 쓰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Oman으로 나타나고 있음—번역자) 에게로 부터 산 모리아 산이 이었습니다.
“Therefore, the angel of the LORD commanded Gad and say to David that David should go and erect an altar to the LORD on the threshing floor of Oman the Jebusite…So David gave Oman six hundred shekels of gold by weight for the place. And David built there an altar to the LORD, and offered burnt offerings and peace offerings, and called on the LORD; and He answered him from heaven by fire on altar of burnt offering” (1 Chronicles 21:18, 25-26).
“여호와의 천사가 갓에서 명령하여 다윗에게 이르시기를 다윗은 올라가서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으라 하신지라…그리하여 다윗은 그 터 값으로 금 육백 세겔을 달아 오르난에게 주고 다윗이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제단을 쌓고 번제와 화목제를 드려 여호와께 아뢰었더니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부터 번제단 위에 불을 내려 응답하시고” (역대상 21:18, 25-26).
Eventually David moved the tabernacle and the Ark of the Covenant to this area, and later King Solomon built his magnificent temple on Mount Moriah. “Now Solomon began to build the house of the LORD at Jerusalem on Mount Moriah, where the LORD had appeared to his father David, at the place that David had prepared on the threshing floor of Oman the Jebusite” (2 Chronicles 3:1).
그리하여, 다윗은 결국 이 지역으로 언약궤를 옮겼으며, 나중에 솔로몬 왕에 의해서 그의 장대한 성전을 모리아 산에 건축했습니다. “솔로몬이 예루살렘 모리아 산에 여호와의 전 건축하기를 시작하니 그곳은 전에 여호와께서 그의 아버지 다윗에게 나타나신 곳이요 여부스 사람 오르난의 타작 마당에 다윗이 정한 곳이라” (역대하 3:1).
In Solomon’s time the Israelites finally completed an earthwork that filled the area between the two mounts, making them one. The whole area was then called Mount Zion and was no more known as Moriah.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rk first in the Jebusite fortress and then in the newly built temple,” according to one source, “Zion became known as the sacred dwelling place of Israel’s Lord, the One ‘who dwells in Zion’ (Ps. 9:11)”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982, Vol. 4, p. 1198).
솔로몬의 때가 되어서야, 이스라엘 사람들은 두개의 산을 하나로 잇는 토목공사를 끝냈습니다. 그리하여 이 지역은 더이상 모리아가 아니라 시온산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어느 출처에서 말하기를, “먼저 여부스인의 요새에 세워진 궤와 새로 지어진 성전으로 인하여, 시온은 이스라엘의 주님, ‘시온에 계신 여호와’(시편 9:11)께서 계시는 거룩한 곳으로 불렸습니다”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 1982, Vol. 4, p. 1198).
Eventually Zion would be used not only to denote the temple area, but as a symbol for Jerusalem, its inhabitants and, finally, the people of God.
시온은 점점 이 성전 위치를 뜻하는 것 뿐아니라, 예루살렘의 상징이 되었고, 그의 거주자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하나님의 백성입니다.
Confirmation of David’s
existence
다윗의 존재의 확인
Some historians and critics have questioned the existence of King David and have relegated Old Testament accounts about him to the status of mythology. “I am not the only scholar,” remarks Philip Davies, “who suspects that the figures of King David is about as historical as King Arthur”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uly-August 1994, p. 55). Such professors cast doubt on the reliability of the biblical record and undermine the faith of others. They also rarely acknowledge the many discoveries that have corroborated the biblical account.
몇몇 역사학자들과 비평가들은 다윗왕의 존재여부를 거론하며 구약에서 그에 대한 기록을 신화로 좌천(左遷)시켰습니다. 필립 데이비스(Philip Davies)가 말하기를, “다윗왕이 아더왕같이 역사적 인물인지에 대하여 의심하는 학자는 나 혼자가 아니다” (성서 고고학 평론, 7월-8월 1994, p. 55). 이러한 교수들은 성경적 기록의 신빙성에 대하여 의심하게 하였고 다른 사람들의 믿음을 무너트렸습니다. 또한 그들은 성경적 기록을 증명하는 많은 발견들을 드물게 인정합니다.
For instance, in 1993 archaeologists discovered the names of David and Israel in an inscription carved in stone only 100 years after David’s death. Report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It’s not often that an archaeological finds makes the front page of the New York Times (to say nothing of Time magazine). But that is what happened last summer to a discovery at Tel Dan, a beautiful mound in northern Galilee, at the foot of Mount Hermon beside one of the headwaters of the Jordan River.
예를 들자면, 1993년, 고고학자들은 다윗이 죽은뒤 100년후에 다윗과 이스라엘의 이름을 돌에 기록하고 있는 문서를 발견했습니다. 성서 고고학 평론에서 보도하기를: “보통 고고학적 발견은 New York Times (Time잡지에 대하여서는 언급하지 않을것 입니다)의 일면은 장식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Tel Dan, 요단강의 상류중 하나의 옆에 있는 헤르몬 산기슭에서 갈릴리 북부에 있는 뛰어난 흙무덤, 의 발견으로 인하여 지난번 여름에 일면을 장식하게 되었습니다.
“There Avraham Biran and his team of archaeologists found a remarkable inscription from the ninth century B.C.E. that refers both to the ‘House of David’ and to the ‘King of Israel.’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name of David has been found in any ancient inscription outside the Bible” (Biblical Archaeological Review, March-April 1994, p. 26). More and more extrabiblical evidence involving Bible names and places is being discovered as the years go by. The skeptics are gradually having to retreat.
“그곳에서 Avraham Biran과 그의 고고학자 팀들은 9세기 B.C.E.정도에 ‘다윗의 집’과 ‘이스라엘의 왕’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는 놀라운 기록들을 발견했습니다. 성경외에 고대 기록에서 다윗에 대하여 언급하는 기록은 이것이 처음입니다” (성서 고고학 평론, 3월-4월 1994, p. 26). 성경외의 증거들 중에서 성경에서 언급되는 이름이나 장소의 이름을 기록하는 발견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많은것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신론자들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습니다.
Later another scholar found the name “House of David” in the inscriptions of the famous Moabite Stone, also called the Mesha stela, dated to the ninth century B.C., about 100years after David’s reign.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David’s name could appear in historical records if he were nothing but a later literary creation.
얼마후, 또 한 학자가 다윗의 통치가 끝나고 대략 100년 후인 9세기 B.C.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명한 모압 돌, 또는 메사의 석비, 에서 “다윗의 집”이라는 이름을 찾아냈습니다. 만약 다윗이 단순히 나중에 덧붙여진 인물이라면, 어떻게 역사적 기록에서 이렇게 많이 언급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기가 힘들어집니다.
Anson Rainey, professor of ancient Near Eastern cultures, cautions the unwary about believing that the accounts of David and other biblical characters are but legends. “As someone who studies ancient inscriptions in the original, I have a responsibility to warn the lay audience that the new fad, the ‘deconstructionist school,’ … is merely a circle of dilettantes. Their view that nothing in Biblical tradition is earlier than the Persian period [540-330 B.C.], especially their denial of the existence of a United Monarchy, is a figment of their vain imagination. The name ‘House of David’ in the Tel Dan and Mesha inscription sounds the death knell to their specious conceit. Biblical scholarship and instruction should completely ignore the ‘deconstructionist school.’ They have nothing to teach u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November-December 1994, p. 47).
고대 근동문화의 교수, Anson Rainey는 다윗에 대한 기록이나 다른 성경적 기록을 단순히 전설로 믿는 부주의한 믿음에 대하여 경고합니다. “고대 기록의 원본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저는 새로운 유행, ‘해체 구축자 학교’(deconstructionist school), 에 대하여 청중들에게 경고할 의무가 있습니다…’해체 구축자 학교’는 그들의 헛된 망상의 모임입니다. Tel Dan과 Mesha의 기록에서 ‘다윗의 집’이라는 이름은 허울좋은 자부심에게 죽음의 종소리와 같은 것이였습니다. 성경적 학문과 교훈은 ‘해체 구축자 학교’를 완전히 무시해야 합니다,’ 그들은 우리에게 가르칠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Biblical Archaeology Review, November-December 1994, p. 47).
Although some critics will not admit as much, the accumulating physical evidence confirms rather than denies what is written in God’s Word. But, for those who have faith in what God has said in the Bible, it is not necessary to find material remains to corroborate these accounts. The apostle Paul boldly affirms that God “cannot lies” (Titus 1:2).
비록 몇몇 비판가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을지라도, 점점 모이고 있는 물리적 증거는 하나님의 말씀을 부인하기 보다는 수긍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이 성경에 말씀하신것에 대하여 믿음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 기록을 증명하는 물건들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사도 바울은 확실히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라고 못박고 있습니다 (디도서 1:2).
However, in some cases physical evidence of the events and people described in the Scripture has survived the ravages of time and serves as a witness to His faithfulness. This comforts and consoles us in our faith, as Paul wrote, “for whatever things were written before where written for our learning, that we through the patience and comfort of the Scriptures might have hope” (Romans 15:4).
어찌?永?, 몇몇 가지 경우에서는 성경의 사건이나 사람들에 대한 물질적 증거는 시간의 황폐를 인내하므로서 그분의 신실하심에 대하여 증거로 섬기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믿음의 위로와 힘이 됩니다, 바울이 서술하기를,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성경의 안위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로마서 15:4).
The Good News will continue to examine archaeological finds that verify the accuracy of the Bible and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biblical record.
The Good News에서는 계속 성경의 정확성을 증명하며, 우리에게 성경의 기록을 더 잘 이해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살펴볼것 입니다.
The Battle at the Pool of Gibeon
기브온 못에서의 전투
In 1956 another remarkable discovery was made that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of the authenticity of the biblical accounts of David’s days.
1956년, 다윗의 시대에 대한 성경적 기록의 신빙성을 더하는 놀라운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Before David had secured leadership over all the tribes of Israel, Abner, who had been Saul’s general, served one of Saul’s sons. Abner brought his army to fight David’s army, led by Joab. Abner’s and Joab’s troops met beside a famous water supply of that day called the pool of Gibeon.
다윗이 이스라엘의 모든 족속의 지도력을 확보하지 못했을때, 아브넬, 사울의 장군이였던 이가, 사울의 아들중 한명을 섬겼습니다. 아브넬은 요압이 이끄는 다윗의 군대와 싸우기 위해서 그의 군대를 동원했습니다. 아브넬과 요압의 군대는 그 시대의 물의 공급처로 유명한 기브온 못에서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And Joab the son of Zeruiah, and the servants of David, went out and met them by the pool of Gibeon. So they sat down, one on one side of the pool and the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pool. Then Abner sad to Joab, ‘Let the young men now arise and compete before us.’ And Joab said, ‘Let them arise.’ So they arose and went over by number, twelve from Benjamin, followers of Ishbosheth the son of Saul, and twelve from the servants of David. And each one grasped his opponent by the head and thrust his sword in his opponent’s side; so they fell down together. Therefore that place was called the Field of Sharp Swords, which is in Gibeon. So there was a very fierce battle that day, and Abner and the men of Israel were beaten before the servants of David” (2 Samuel 2:13-17).
“스루야의 아들 요압과 다윗의 신복들도 나와서 기브온 못가에서 저희를 만나 앉으니 이는 못 이편이요 저는 못 저편이라 아브넬이 요압에게 이르되 청컨데 소년들로 일어나서 우리 앞에서 장난하게 하자 요압이 가로되 일어나게 하자 하매 저희가 일어나 그 수효대로 나아가니 베냐민과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의 편에 열둘이요 다윗의 신복 중에 열둘이라 각기 적수의 머리를 잡고 칼로 적수의 옆구리를 찌르매 일제히 쓰러진지라 그러므로 그곳을 헬갓핫수림이라 일컸었으며 기브온에 있더라 그날에 싸움이 심히 맹렬하더니 아브넬과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윗의 신복들 앞에서 패하니라” (사무엘하 2:13-17).
James Pritchard conducted an exploration of this site from 1956 to 1962. He discovered 31 jar handles bearing the Hebrew name Gibeon, which confirmed the site. Early in his search archaeologist Pritchard located a round water shaft, 37 feet in diameter, that led to a pool used by the city. This shaft, comment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was cut into the limestone bedrock to a depth of over 82 feet. Also cut into the level floor about halfway to the bottom of the shaft. From there, the stairs drop straight down another 45 feet—to the level of the water table” (May-June 1995, p. 43).
제임스 프리차드(James Pritchard)는 1952년서 부터 1962년도 까지, 이 지역의 발굴을 지휘했습니다. 그는 이 유적지를 증명할 히브리어로 기브온이라고 쓰여진 손잡이 달린 항아리 31개를 발견했습니다. 그의 초기 발굴때, 고고학자 프리차드는 도시에서 쓰이는 못으로 이끄는 37피트 (대략 11미터) 지름을 가진 원형 물 수갱을 찾아냈습니다. 이 수갱에 대해서 성서 고고학 평론에서 말하기를, “이것은 82피트(대략 24미터) 깊이로 석회석 기반을 깎아낸 것입니다. 또한 이 shaft의 바닥까지의 반정도 까지 깎였습니다. 거기서 부터, 계단은 45피트 (대략 13미터)정도로 곧장 밑으로 내리게 되어있습니다” (5월-6월 1995, p. 43).
In the same issue archaeologist Bryant Wood concludes: “A large pool at Gibeon is no doubt the pool where the forces of Israel’s second king, David, fought under Joab against the forces of Saul’s son Ishbosheth under Abner” (p. 33).
똑같은 호에서, 고고학자 브라이언트 우드가 결론짖기를: “기브온에 있는 커다란 못은, 의심없이 이스라엘의 두번째 왕 다윗의 군대가 요압의 지휘하에, 그리고 사울의 아들 이스보셋의 군대가 아브넬의 지휘하에 싸운곳이 확실하다” (p. 33).
This find was listed by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s one of the top 10 discoveries in biblical archaeology. It reveals yet another example of the accuracy of even the incidental details of the biblical account.
이 발견은 성서 고고학 평론에서 성경적 고고학 발견의 탑 10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성경의 기록에서 부수적인 면에서도 정확한 기록을 하고 있다는 증거가 ?營윱求?.
King Solomon’s Reign:
Israel’s Golden Years
솔로몬 왕의 통치:
이스라엘의 황금기
In earlier issues The Good News had discussed various archaeological finds that illuminate and verify the biblical record. In this issue, we focus on the reign of Solomon, successor of David as king of Israel.
The Good News의 저번 호에서는 성경의 기록에 대하여 조명하는 것과 증명하는 여러가지 고고학적 발견에 대하여 토론해 보겠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다윗왕에 이어서, 이스라엘의 왕이된 솔로몬의 통치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Once David had consolidated the Israelite empire, under the guidance of God he chose his son Solomon to be his successor. The reign of this young man became truly legendary. Under Solomon’s rule Israel reached the pinnacle of wealth and power. Tragically, the glory of Solomon’s kingdom barely outlasted his own lifetime.
다윗이 이스라엘 제국을 하나로 연합시킨 다음,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그는 솔로몬을 그의 후계자로 삼았습니다. 이 젊은 사람의 통치는 진정한 전설이 되었습니다. 솔로몬의 통치하에, 이스라엘은 부와 권력의 정점(頂點)에 달했습니다. 애석하게도, 솔로몬 왕국의 영광은 오로지 그 자신의 생애에서 밖에 잇지 못했습니다.
What has archaeology revealed about King Solomon’s reign in the 10th century B.C.? Remarkably, there is much evidence to corroborate the biblical account.
10세기 B.C.때 솔로몬 왕의 통치에 대하여 고고학은 무엇을 드러낼까요? 놀랍게도, 성경의 기록을 증명할수 있을 만큼의 증거가 있습니다.
Unusual period of peace
여느 때와 다른 평화의 시대
What does the Bible say about the wider international condition during Solomon’s time? God had told David: “Behold, a son shall be born to you, who shall be a man of rest; and I will give him rest from all the enemies all around. His name shall be Solomon [meaning ‘peaceful’], for I will give peace and quietness to Israel in his days” (1 Chronicle 22:9, emphasis added throughout).
솔로몬의 시대때, 성경은 그 주변 국가들의 상태에 대하여 무엇이라 말하고 있을까요? 하나님이 다윗에게 말씀하시기를: “보라 한 아들이 네게서 나리니 그는 온순한 사람이라 내가 그로 주변 모든 대적에게서 평온을 얻게 하리라 그의 이름은 솔로몬[‘평화롭다’ 라는 뜻]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그의 생전에 평안과 안일함을 이스라엘에게 줄 것임이니라” (역대상 22:9, 강조문 추가됨).
Was this a time of peace in Israel? What do the archaeological records show? From contemporary Egyptian, Assyrian and Babylonian inscriptions, we find these once-powerful kingdoms afflicted by military weakness.
이것이 이스라엘의 평화기였을까요? 고고학적 기록은 무엇을 보여줄까요? 동시대에, 한때는 강대국이 었던 이집트, 앗수르 그리고 바벨론 왕국이 군사적 결점을 보이고 있는 것을 우리는 기록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
Assyria was occupied with constant battle against the Arameans. Internal strife over dynastic disputes further weakened the kingdom. “These Assyrian preoccupations,” states Donald Wiseman, professor of Assyriology, “left David and Solomon free to extend their own territory into south Syria. The intruders from the Syrian desert impoverished Assyria under the aged Ashurnasirpal I…”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Grand Rapids, 1979, Vol. 1, p. 334). Meanwhile, the Assyrians held the Babylonians in check, blocking any Chaldean intrusion into Israelite territory.
앗수르는 아라미아인 들과의 지속적인 전쟁으로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내부에서 왕조에 대한 내란으로 인하여 왕국을 약화시켰습니다. 앗수르학의 교수, 도날드 와이즈맨(Donald Wiseman) 이 말하기를, “앗수르인 들의 이 선취는, 다윗과 솔로몬에게 그들의 영토를 남쪽의 시리아로 뻗어나갈수 있도록 했습니다. 노년기의 아수르나시르팔 1(Ashurnasirpal 1)세하에 있던 앗수르는 시리아 사막의 침략자들로 인해서 무력해졌습니다”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erdmans, Grand Rapids, 1979, Vol. 1, p. 334). 이러는 동안에, 앗수르인 들은 바벨론인 들을 저지해서, 칼데아인이 이스라엘 영토를 침입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On Israel’s southern flank, the Egyptians were also experiencing a general decline. Commenting on the beginning of this long period of weakness, one authority observes: “After the empire [of the previous centuries], Egypt never regained her former dominanc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world…In large part this foreign weakness arose from domestic weakness. Egypt kept breaking up into smaller states…From the time of Samuel to the fall of the kingdom of Israel, Egypt was normally in a state of divided weakness”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Abingdon, Nashville, 1962, Vol. 2, p. 52).
이스라엘의 남쪽 측면에서, 이집트 또한 지속적인 쇠퇴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 장시간의 퇴세기의 시작에 대한 의견으로, 한 권위가 말하기를: “[이 전세기의] 제국이후, 이집트는 지중해 동쪽의 예전과 같은 지배를 하지 못했습니다…이 국가의 약점중 많은 부분이 내부의 약점에서 생겨난 것이였습니다. 이집트는 지속적으로 더 작은 상태로 분열이되고 있었습니다…사무엘의 시대부터 이스라엘왕국의 멸망까지, 이집트는 분열된 상태의 약함으로 지속되었습니다”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Abingdon, Nashville, 1962, Vol. 2, p. 52).
This international backdrop is faithfully reflected in the biblical account. In fact, the weak priestly dynasty ruling Egypt made great concessions to Solomon because of his increasing power and influence.
국제적 배경은 성경의 기록에서 신실히 비추어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실, 이집트를 다스리는 약한 성직제국은 솔로몬에게 그의 권력과 영향력을 늘리는데 많은 이권이 ?營윱求?.
Opinion among scholars is divided over which pharaoh was Solomon’s contemporary. Eugene Merrill believes it was Siamun. “…Siamun soon realized that Solomon was to be ruler of a kingdom which would rival or even exceed his own in power and influence. He therefore decided it was to his best advantage to cultivate amicable relations with the young monarch, even to the extent of recognizing him as an equal. That this is the case is clear from his willingness to provide his own daughter as a wife for Solomon, a concession almost without parallel in Egyptian history since it was a candid admission to the world of Egypt’s weakness and conciliation. Normally Egyptian kings took foreign princesses but did not give up their own daughters to foreign kings” (Kingdom of Priests, Baker, Grand Rapids, 1987, p. 292. Compare to David Rohl, A Test of Time: The Bible—From myth to History, Arrow Books, London, 1996, pp. 173-185).
솔로몬과 동시대의 파라오가 누구인지에 대하여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합니다. 유진 메릴은 그것이 시아문이였다고 믿고 있습니다. “…시아문은 곧 솔로몬이 다스리는 왕국이 그의 권력이나 영향력과 적수가 되거나 그보다 더 뛰어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이 어린 주군과 먼저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라 생각하여 그를 그와 동일시 시키기 까지 했습니다. 여기에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자발적으로 그의 딸을 솔로몬의 아내로 삼았습니다, 이집트에 역사에서 이러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이것은, 이집트의 약점과 화해를 공식적으로 세계에 선포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보통 파라오들이 다른 나라의 공주를 맞이하는 경우는 많았지만, 그들의 딸들을 다른나라 왕에게 주는 일은 없었습니다” (Kingdom of Priests, Baker, Grand Rapids, 1987, p. 292. Compare to David Rohl, A Test of Time: The Bible—From myth to History, Arrow Books, London, 1996, pp. 173-185).
It is clear from the history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that an unusual era of peace enveloped Israel, enabling Solomon to greatly develop and enrich his nation through many profitable commercial alliances.
이웃나라의 역사에서 확실하게 이스라엘 주위에는 여느 때도 없던 평화의 시대가 찾아온 것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솔로몬이 이로운 상업 동맹을 통해서 그의 나라를 크게 발전시키고 부하게 하는 것을 가능케 했습니다.
Prosperous alliance with
Phoenicia
페니키아와의 부유한 동맹
Not only did Solomon lack foreign enemies, he found a powerful ally in King Hiram, a faithful friend of his father, David. “Now Hiram king of Tyre sent his servants to Solomon, because he heard that they had anointed him king in place of his father, for Hiram had always loved David…So the LORD gave Solomon wisdom, as he had promised him; and there was peace between Hiram and Solomon, and the two of them made a treaty together” (1 Kings 5:1, 12).
솔로몬에게는 적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아버지 다윗의 신실한 친구였던 히람왕과 같은 강력한 동맹도 찾았습니다. “솔로몬이 기름 부음을 받고 그의 아버지를 이어 왕이 되었다 함을 두르 왕 히람이 듣고 그의 신하들을 솔로몬에게 보냈으니 이는 히람이 평생 다윗을 사랑하였음이라…여호와께서 그의 말씀대로 솔로몬에게 지혜를 주신 고로 히람과 솔로몬이 친목하여 두 사람이 함께 약조를 맺었더라” (열왕기상 5:1, 12).
Regarding this treaty, a thousand years later the Jewish historian Josephus noted that copies of this alliance could be read in the public archives in Tyre. “The copies of these epistles,” writes Josephus, “remain at this day, and are preserved not only in our books, but among the Tyrians also; insomuch that if any one would know the certainty about them, he may desire of the keepers of the public records of Tyre to shew him them, and he will find what is there set down to agree with what we have said”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VIII, Chapter II, Section 7).
이 약조에 대해서는, 몇 천년 후 유대 역사학자 요세푸스 (Josephus)는 이 약조의 복사본이 튀루스(Tyre-현 한글 성경에는 ‘두르’로 서술되고 있음-번역가)의 공문서 보관소에서도 읽어볼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세푸스가 기록하기를, “이 편지의 복사본은 지금까지 남아있고, 우리의 책에만 기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튀루스인 들의 책에도 기록이 되어있다; 만약 누군간가 이 사실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튀루스의 공문서 보관자에게 이 것을 그에게 보여달라고 할만큼, 그는 우리가 말한것에서 동의된것을 찾을수 있을것이다”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VIII, Chapter II, Section 7).
In Solomon’s day, the Israelites were just beginning to clearly define their own culture. To initiate such vast projects as the temple (see G. Ernest Wright, “The Stevens’ Reconstruction of the Solomonic Temple,” Biblical Archaeologist, Vol. 18, 1955, pp. 41-44), fortified towns and maritime trade, Solomon could have found no more enterprising a people to help than the Phoenicians.
솔로몬 시대때,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를 확실히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성전 건축(see G. Ernest Wright, “The Stevens’ Reconstruction of the Solomonic Temple,” Biblical Archaeologist, Vol. 18, 1955, pp. 41-44) 과 요새화한 도시와 해상무역을 시작하려는 광대한 계획에서, 그의 사람들을 페니키아 사람들보다도 더 도와줄수 있는 사람을 솔로몬은 찾지 못했을 것 입니다.
One author explains, “Solomon was a thoroughly progressive ruler. He had a flair for exploiting foreign brains and foreign skill and turning them to his own advantage. That was the secret, otherwise scarcely understandable, of how the [nation]…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into a first class economic organism. Here also was to be found the secret of his wealth which the Bible emphasizes. Solomon imported smelting technicians from Phoenicia. Huram…, a craftsman from Tyre was entrusted with the casting of the Temple furnishings (1 Kings 7:13, 14). In Ezion-Geber Solomon founded an important enterprise for oversea trade…The Phoenicians had behind them practical experience accumulated over many centuries. Solomon therefore sent to Tyre for specialists for his dockyards and sailors for his ships: “And Hiram sent in the navy his servants, shipmen that had knowledge of the sea…’ (1 Kings 9:27)” (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Bantam, New York, 1980, pp. 211-212. On Ezion-Geber, see Gary D. Pratico, “Where is Ezion-Geber?”, Biblical Archaeology Review, September/October 1986, pp. 24-35; Alexander Flinder, “Is This Solomon’s Seaport?”,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uly/August 1989, pp. 31-42).
한 작가가 설명하기를, “솔로몬은 철저히 진취적인 통치자였다. 그는 다른 나라의 두뇌와 재능을 그들의 것으로 전환시켜 그들에게 유익할수 있도록 하는 날카로운 눈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이 비결, 최소한 우리가 이해할수 있도록 하는, 이유였습니다, 어떻게 한 나라가 갑자기 한계를 넘어서 제 1등급 수준의 경제적 조직으로 급성장 되었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여기서, 성경에서 강조하는 그 부에 대한 비결이 나옵니다. 솔로몬은 페니키아에서 용해하는 기술을 받아들였습니다. 히람…,튀루스의 대장장이에게 성전의 뒤틀림을 다듬는 일이 맏겨졌습니다 (왕상 7:13, 14). 에시온게벨에서 솔로몬은 해외무역을 위한 중요한 기획을 찾아냈습니다…페니키아 사람들에게는 오랜시간동안 그들에게 누적되온 실전의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솔로몬은, 튀루스에 그의 조선소와 그의 배의 선원들을 위한 전문가들을 보내달라 했습니다: “히람이 자기 종 곧 바다에 익숙한 사공들을 솔로몬의 종과 함께 그 배로 보내매…’ (열왕기상 9:27)” (베르너 켈러(Werner Keller), The Bible as History, Bantam, New York, 1980, pp. 211-212. Ezion-Geber에 대해서는, Gary D. Pratico의, “Where is Ezion-Geber?”를 참조하십시요, 성서 고고학 평론, 9월/10월 1986, pp. 24-35; Alexander Flinder, “Is This Solomon’s Seaport?”, 성서 고고학 평론, 7월/8월 1989, pp. 31-42).
Archaeologists who have studied the remains of Solomon’s time clearly see the Phoenician influence which the Bible instead of hiding the facts, candidly admits. “Where the Israelites replaced Canaanite towns, the quality of housing was noticeably poorer,” says The New Bible Dictionary, “though standards improved rapidly in the days of David and Solomon, partly through Phoenician influence…The commonest-type house…had become known generally as the four-room house, which appears to be an original Israelite concept” (Inter-Varsity Press, Downers Grove, Illinois, 1982, p. 490).
솔로몬 시대의 유물들을 공부하는 고고학자들은 성경에서 이 사실을 숨기기 보다는 거리낌 없이 인정하는 것과 같이, 페니키아인의 영향을 받은것을 확실히 볼수 있습니다. 새성경 사전에 서술하기를, “가나안인 들의 마을의 주택 건설들을 대신한 이스라엘인 들의 품질은 조약했습니다, 하지만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들어서는 페니키아인의 영향력을 받으면서, 이 표준들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었습니다…가장 흔하던 집의 형태는…보통 4개의 방이 있는 집이 되었고, 이스라엘 사람들의 원 양상이라 보여지는 것이 되었습니다” (Inter-Varsity Press, Downers Grove, Illinois, 1982, p. 490).
Great construction projects
위대한 건축 계획
Throughout Israel, Solomon fortified the great cities: “And this is the reason for the labor force which King Solomon raised: to build the house of the LORD, his own house, the Millo, the wall of Jerusalem, Hazor, Megiddo, and Gezer” (1 Kings 9:15).
이스라엘 전역으로, 솔로몬은 중대한 도시들을 요새화 시켰습니다: “솔로몬 왕이 역군을 일으킨 까닭은 이러하니 여호와의 성전과 자기 왕궁과 밀로와 예루살렘 성과 하솔과 므깃도와 게셀을 건축하려 하였음이라” (열왕기상 9:15).
Regarding Jerusalem, as long as the Temple Mount is disputed between Arabs and Jews, no excavations are permitted in the immediate area where Solomon’s temple existed. But the Bible mentions three other cities that Solomon expanded and fortified. Does any archaeological evidence support the biblical record?
예루살렘에 대해서는, 성전의 산이 아랍과 유대사이에 있는동안은, 솔로몬의 성전이 있던 그 장소를 발굴할수 없습니다. 하지만 성경에서는, 솔로몬이 넓히고 요새화 시킨 또다른 3개의 도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경의 기록을 뒷받침 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을까요?
The first city mentioned is Hazor, a northern Israelite habitation that was lost in time until a century ago. The first extensive excavations were done under the direction of archaeologist Yigael Yadin in the 1950s. He writes about Hazor, “What I’m about to say may sound like something out of a detective story, but it’s true. Our great guide was the Bible. As an archaeologist, I can’t imagine anything more exciting than to work with the Bible in one hand and a spade in the other. This was the real secret of our discovery of the Solomonic period” (Hazor, Random House, New York, 1975, p. 187).
첫 번째 도시는, 1세기 전까지만 해도 이스라엘 북부의 식민지에서 시간에 뭍여있던 ‘하솔’ (Hazor)이였습니다. 첫 번째 광범위한 발굴은 고고학자 이가엘 야딘(Yigael Yadin)의 지휘하에 1950년대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는 하솔에 대해서 기록하기를, “내가 지금부터 말하려는 것은 어떤 추리소설의 이야기 같이 들리겠지만 진실이다. 우리의 가장 큰 길잡이는 성경이였다. 고고학자로서, 한손에는 성경과 또 다른 손에는 삽을 들고 일하는 것보다 더 들뜨게 하는 일은 생각할수도 없다. 이것이 우리가 솔로몬 시대를 발견할 수 있었던 비결이다” (Hazor, Random House, New York, 1975, p. 187).
Yadin found the elaborate and sturdy main gate and part of the wall, which archaeologists now call the Solomonic style of architecture. Eventually, he found the same Solomonic-type gate in all three of the cities mentioned in the Bible.
Yadin은 현재 고고학자들이 솔로몬 스타일의 건축이라 불리우는 상당한 공을 들이고 튼튼한 정문과 벽의 일부분을 찾아냈습니다. 그리고 당연시, 그는 성경에서 언급한 3개의 도시 모두에서 똑같은 솔로몬 형식의 성문을 찾아냈습니다.
In the most recent excavation of Megiddo in 1993, archaeologists Israel Finkelstein and David Ussishkin report, “The grandeur of Solomon’s Megiddo is clearly evident in the archaeological finds at Megiddo—in large palaces, with fine, smooth-faced ashlar masonry and in elaborate decorative stonework” (“Back to Megiddo,”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anuary/February 1994, p. 36).
1993년 므깃도의 가장 최근 발굴에서, 고고학자 이스라엘 핑컬스타인(Israel Finkelstein)과 데이비드 어시스킨(David Ussishkin)이 발표하기를, “솔로몬의 므깃도의 장엄은 현재 므깃도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로도 충분하다—거대한 궁전과, 훌륭하며, 부드럽게 다듬어진 석공술과 정성을 들여 많든 모든 장식용 돌 세공이 말해주고 있다” (“Back to Megiddo,” 성서고고학 평론, 1월/2월 1994, p. 36).
Archaeologist Bryant Wood sums up the discoveries: “Probably the most famous of the architectural finds related to the kingdom period are the early tenth-century ‘Solomonic gates’ at Megiddo, Hazor and Gezer, built by David’s son Solomon…” (“Scholars Speak Out,”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y/June 1995, p. 34). So the biblical account accords nicely with the archaeological evidence.
고고학자 브라이언트 우드는 이 모든 발견을 요약해서: “아마도 왕국 시대를 연관해서 가장 유명한 건축적 발견은 다윗의 아들 솔로몬에 의해서 지어지고, 므깃도, 하솔, 그리고 게셀에서 발견된 10세기초의 ‘솔로몬 성문’일 것이다…” (“Scholars Speak Out,” 성서 고고학 평론, 5월/6월 1995, p. 34). 그리하여, 성경적 기록은 고고학적 증거와 잘 일치하고 있습니다.
Enter the queen of Sheba
스바 여왕의 방문
Once of the most colorful accounts about Solomon is relegated to myth by some scholars. It concerns the visit of the queen of Sheba.
솔로몬의 가장 화려한 기록중 하나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단순한 전설로 좌천되었습니다. 이것은 스바 여왕의 방문에 대한것 이였습니다.
“Now when the queen of Sheba heard of the fame of Solomon concerning the name of the LORD, she came to test him with hard questions. She came to Jerusalem with a very great retinue, with camels that bore spices, very much gold, and precious stones, and when she came to Solomon, she spoke with him about all that was in her heart. So Solomon answered all her questions; there was nothing so difficult for the king that he could not explain it to her…
“스바의 여왕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말미암은 솔로몬의 명성을 듣고 와서 어려운 문제로 그를 시험하고자 하여 예루살렘에 이르니 수행하는 자가 심히 많고 향품과 심히 많은 금과 보석을 낙타에 실었더라 그가 솔로몬에게 나아와 자기 마음에 있는 것을 다 말하매 솔로몬이 그가 묻는 말에 다 대답하였으니 왕이 알지 못하여 대답하지 못한 것이 하나도 없었더라…
“Then she said to the king: ‘It was a true report which I heard in my own land about your words and your wisdom. However I did not believe the words until I came and saw with my own eyes; and indeed the half was not told me. Your wisdom and prosperity exceed the fame of which I heard. Happy are your men and happy are these your servants, who stands continually before you and hear your wisdom! Blessed be the LORD your God…’ Then she gave the king one hundred and twenty talents of gold, spices in great quantity, and precious stones. There never again came such abundance of spices as the queen of Sheba gave to King Solomon” (1 Kings 10:1-10).
“왕께 말하되 내가 내 나라에서 당신의 행위와 당신의 지혜에 대하여 들은 소문이 사실이로다 내가 그 말들을 믿지 아니하였더니 이제 와서 친히 본즉 내게 말한 것은 절반도 못되니 당신의 지혜와 복이 내가 들은 소문보다 더하도다 복되도다 당신의 사람들이여 복되도다 당신의 신하들이여 항상 당신 앞에 서서 당신의 지혜를 들음이로다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를 송축할지로다…이게 그가 금 일백이십 달란트와 심히 많은 향품과 보석을 왕에게 드렸으니 스바의 여왕이 솔로몬 왕에게 드린 것처럼 많은 향품이 다시 오지 아니하였더라” (열왕기상 10:1-10).
This story has been the inspiration for many paintings and movies, but does it have historical backing? Where was the kingdom of Sheba? Until this century, the sands of time very probably covered up much of this great kingdom of the past.
이 이야기는 많은 그림과 영화의 명안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역사적 뒷배경이 있을까요? 스바왕국은 어디에 있던 것일까요? 현 세기까지, 고대에 이 위대한 왕국을 시간의 모래가 아마도 대부분을 덮고 있었을 것 입니다.
Yet it was well known by some of the classic Greek and Roman writers. “In happy Arabia,” wrote Dionysius the Greek in A.D. 90, “you can always smell the sweet perfume of marvelous spices, whether it be incense or wonderful myrrh. Its inhabitants have great flocks of sheep in the meadows, and birds fly in from distant isles bringing leaves of pure cinnamon.”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고전의 그리스와 로마의 작가들에게는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A.D. 90때 그리스인, 디오니시오스가 서술하기를, “행복한 아라비아에서, 이것이 향이든지 아니면 훌륭한 몰약이든지, 당신은 항상 훌륭한 향신료의 향기로운 향을 맡을수 있다. 이곳의 주민들은 목초지에서 많은 무리의 양을 키우고 있으며, 새들은 멀리 있는 섬에서 순계피의 잎을 물어온다.”
Another Greek historian, Diodorus (100 B.C.), writes: “These people surpass in riches and luxuries not only their Arab neighbors, but also the rest of the world. They drink out of cups made of gold and silver…The Sabeans enjoy this luxury because they are convinced that riches which come from the earth are the favor of the gods and should be shown to others.”
또다른 그리스의 역사학자, 디오도루스(Diodorus) (100 B.C.)가 서술하기를: “이 사람들의 부와 호사는 그들 아랍주변 국가를 뛰어넘을 뿐 아니라, 전 세계를 뛰어넘는다. 그들은 금과 은으로 만들어진 잔으로 마시며…사바인 들이 이 호사로운 삶을 살은 이유는, 그들은 땅에서 부터 얻은 이 부귀는 신들의 호의이므로, 다른 이들에게 보여져야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The Romans Emperor Augustus actually sent an army of 10,000 men to southern Arabia to plunder this wealth. But the withering desert and frequent plagues decimated the army before they could arrive in the capital. They never fulfilled their mission.
로마황제 아우구스투스(Augustus)는 실지상 10,000명의 군사들을 남아라비아로 보내서, 이 부귀를 약탈하도록 시켰습니다. 하지만, 괴멸적인 사막과 잦은 역병은 그들이 수도에 도달하기도 전에 10명중 1명꼴로 죽였습니다. 그들은 평생 그들의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습니다.
Scholars generally agree that the kingdom of Sheba is located in the southern end of the Arabian Peninsula, now called Yemen. The area is quite isolated and desolate now, but this has not always been the case. “The most prominent of Arab states…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st millennium B.C.,” comments The New Bible Dictionary, “Sheba was ruled by mukarribs, priest-kings, who supervised both the political affairs and the polytheistic worship of the sun, moon and star gods. Explorations [in 1950-1953]…found some outstanding examples of Sabean art and architecture, especially the temple of the moon-god at Marib, the capital, which dates from the 7th century B.C….” (p. 1087).
대부분의 학자들은 스바왕국이 아라비아 반도의 남부 끝, 지금의 예멘,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동의합니다. 지금 이 지역은 꽤 고립되고 황폐하나, 항상 이와 같았던 것은 아닙니다. 새성경 사전에서 논평하기를, “아랍의 국토에서 가장 현저한 것은…첫 1000B.C.의 반 이상을, 스바에서는 무카리브, 제사장-왕이 다르셨으며, 이들은 정치적 업무와 해와 달, 그리고 별의 신들을 섬기는 다신교적인 의식을 주관하기도 했습니다. 1950-1953년까지의 발굴에서…스바인의 예술과 건축에 대한 많은 좋은 견본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그들의 수도인 Marib에서 대략 7세기 B.C.의 건물이라 추정되는 달(月)신의 신전은 더욱이나 그러했습니다….” (p. 1087).
Until this century, this area of Yemen was largely off-limits to archaeologists. Now, up to 4,000 inscriptions of this ancient kingdom have come to light, confirming that one of the four nations in the area was called Sheba and that the population of at least one of its cities totaled a million.
지금 현 시대까지, 예멘의 이 부분은 고고학자 들에게는 대부분이 출입 금지구역 이였습니다. 현재, 이 고대 왕국에 대하여 4,000 개가 넘는 기록이 발견되었고, 이것은 이 지역에 있던 4개의 국가중 하나는 ‘스바’라 불리였고, 적어도 한 도시에 백만명이 넘는 인구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This part of the world was not always dry and barren. It once had abundant water which irrigated the precious spice crops. The two most popular grown were frankincense (a resin of incense) and myrrh. The fragrant perfume of frankincense was used in temples and homes of the rich to ask favors from the gods. Myrrh was an indispensable oil used as a beauty aid to keep the skin smooth and soft, and was also used to embalm the dead. The Magi gave these two valuable spices to the infant Jesus as gifts fit for a newborn king (Matthew 2:11).
지구에서 이 부분은 항상 건조하고 황폐했던것은 아닙니다. 한때는, 소중한 향신료 농작물에게 물을 공급할 충분한 양의 물이 있었습니다. 여기의 수확물중 가장 유명한 것은 유향 (향의 수지(樹脂)) 와 몰약 이였습니다. 유향의 향기로운 향기는 신전이나 부유한 집에서 신들의 호의를 빌기위하여 쓰였습니다. 몰약은 없어서는 안될 기름으로써, 미(美)를 가꿀때 살결을 매끄럽고 부드럽게 해주며, 또한 시신을 방부처리 할때도 쓰였습니다. 동방 박사들은 이 2가지의 귀중한 향신료를 아기 예수님에게 새로운 왕의 탄생의 선물로 받쳤습니다 (마태복음 2:11).
The evidence of abundant water in Sheba comes from the remains of a huge dam found in the area, and explains how it could be called “Happy Arabia” by the ancients.
스바에 많은 양의 물이 있었다는 증거는 이 지역에서 발견된 커다란 댐의 유물에서 발견이 되었고, 이것은 어찌하여 고대인(古代人) 들에게 ‘행복한 아라비아’라고 불렸는지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A gigantic dam blocked the river Adhanat in Sheba,” writes Dr. Keller, “collecting the rainfall from a wide area. The water was then led off in canals for irrigation purpose, which was what gave the land its fertility. Remains of this technical marvel in the shape of walls over 60 feet high still defy the sand-dunes of the desert. Just as Holland is in modern times the Land of Tulips, so Sheba was then the Land of Spices, one vast fairy-like scented garden of the costliest spices in the world. In the midst of it lay the capital, which was called Marib. That was until 542 B.C.—then the dam burst. The importunate desert crept over the fertile lands and destroyed them” (The Bible As History, p. 225). This is the present state of most of the country. It lost much of its fertility due to lack of water.
켈러박사가 서술하기를, “거대한 댐은 스바에 있는 Adhanat강을 막았으며, 넒은 지역에서부터 빗물을 모았다. 그리하여 이 물들은 관개(灌漑)목적으로 하수를 통했으며, 이것은 땅에 비옥함을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 기술의 유물이 놀라운 것은 60피트 (대략 18미터)높이의 벽이 사막의 사구(砂丘)를 불문하고 아직도 서있다는 것입니다. 현 시대에 네덜란드가 튤립의 땅 이라고 불리는 것 같이, 스바는 방대한 요정의 향을 가진,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향신료의 정원을 가지고 있는 향신료의 땅 이였습니다. 이 중간에는 마리브라는 그들의 수도가 있었습니다. 이것은 542 B.C.까지 지속 되었습니다—그리고 댐이 터졌습니다. 그리고 사막은 끈질기게 이땅의 비옥함을 차지해갔고, 결국에는 그들을 소실시켰습니다” (The Bible as History, p. 225). 이것이 지금 대부분 나라의 상황입니다. 물의 부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비옥함이 사라졌습니다.
There is much to explore in this area of ancient Sheba, and it is still a dangerous place to go, but much scientific progress has been made. Investigations continue up to the present time. What the famed archaeologist W.F. Albright remarked about these excavations in 1953 still holds true: “They are in process of revolutionizing our knowledge of Southern Arabia’s cultural history and chronology. Up to now the results to hand demonstrate the political and cultural primacy of Sheba in the first centuries after 1000 B.C.” (Keller, p. 227).
이 고대 스바 지역에서 발굴할 것은 아직 많지만, 아직도 그곳에 가기에는 위험한 지역이면서도, 많은 과학적 진보가 있습니다. 조사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명한 고고학자 W.F. Albright가 1953년에 발굴에서 말한것은 아직도 사실로 남아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남부 아라비아의 문화적 역사와 역대기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중이다. 지금까지 넘길수 있는 결과는 모두 1000 B.C.에서 첫 1세기가 지난 다음에 스바의 정치와 문화적 수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Keller, p. 227).
As time goes by, more archaeological evidence continues to indicate that Solomon’s reign was actually as magnificent as the Bible faithfully records.
시간이 지날수록, 고고학적 발견은 솔로몬의 통치가 성경에서 신실하게 기록한 것과 같이 사실상 장엄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he Early Kings of Israel:
A Kingdom Divided
이스라엘의 초기 왕들:
분열된 왕국
Recent issues of The Good News have covered some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confirms and clarifies the biblical record from Genesis through Solomon’s kingdom. We continue the story with the breakup of Israel, looking first at the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northern 10 tribes of Israel and their rulers. Later we will direct our attention to the nation of Judah, which outlived the kingdom for Israel by more than a century.
The Good News의 최근 호에서는 창세기 부터 솔로몬의 왕국까지의 성경적 기록을 증명하며 해명하는 고고학적 유물을 살펴봤습니다. 우리는 이스라엘의 분열의 이야기 부터 시작하며, 북쪽에 이스라엘의 10지파와 그의 통치자들에 대한 고고학적 유물을 먼저 살펴볼것 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우리의 관심을 이스라엘 왕국보다 100년정도 더 오래간 유다로 돌릴것 입니다.
After Solomon’s tragic apostasy as a ruler, God removed the blessings of national unity from the tribes of Israel. He had told Jeroboam, the future king of the northern 10 tribes of Israel: “Behold, I will tear the kingdom out of the hand of Solomon and will give ten tribes to you (but he shall have one tribe for the sake of My servant David, and for the sake of Jerusalem…), because they have forsaken Me, and worshipped Ashtoreth the goddess of the Sidonians…and have not walked in My ways to do what is right in My eyes and keep My statues and My judgments, as did his father David” (1 Kings 11:31-33).
솔로몬이 지도자로서 비극적인 배교(背敎)를 하자, 하나님은 이스라엘 지파에서부터 나라통일의 복을 가져가셨습니다. 하나님이 장차 북쪽 이스라엘 10지파의 왕이 될 여로보암에게 말씀하시기를, “여로보암에게 이르되 너는 열 조각을 가지라 이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한 성읍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 이는 그들이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아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경배하며 그의 아버지 다윗이 행함 같이 아니하여 내 길로 행하지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내 법도와 내 율례를 행하지 아니함이니라” (열왕기상 11:31-33).
Around 930 B.C. the united kingdom was divided, with Jeroboam governing the northern 10 tribes and Rehoboam, Solomon’s son, governing the two southern ones, Judah and Benjamin. (As priests, a good portion of the tribe of Levi eventually either resettled in or remained with the southern kingdom.) As both of their wicked reigns came to an end—and according to God’s prophecies of punishment for disobedience—ominous clouds began to awaken as a powerful enemy in that region.
930 B.C.정도때, 통일왕국은 나뉘였고, 북쪽의 10 지파는 여로보암이 다스리며, 솔로몬의 아들인 르호보암은 남쪽의 2지파, 유다와 베냐민 지파를 다스렸습니다. (제사장으로서, 충분한 인원의 레위인들은 남쪽 왕국에서 자리를 잡거나 남아있었습니다.) 양쪽의 사악한 통치가 끝나자—그리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불순종에 대한 벌도 받고 난 후에—그 지역에 강력한 적들에 따라서 불길한 구름이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Eugene Merrill suggests: “Perceptive observers of the world scene could already discern by 900 [B.C.] the stirrings of the Assyrian giant. Though it would be almost fifty years before they fell beneath its heel, the little kingdoms of the west could hear it coming”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1996, p. 336).
유진 메릴이 제안하기를: “세계의 실황에 대하여 명민한 관찰자는 아마 이미 900 [B.C.]때 부터 앗수르 거인의 활동을 눈치채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들이 이의 발 앞에 엎드려지는 것은 거의 50년 후의 이야기지만, 서쪽의 작은 왕국은 이가 오는 것을 들을수 이었습니다” (Kingdom of Priests, Baker Book House, Grand Rapids, 1996, p. 336).
Once Israel came under Assyria’s expanding imperial reach, archaeological evidence attesting to Israel’s historical evidence increases. Not only were the Assyrians meticulous recorders of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life; they also developed an exquisite stone-carving technique, called bas-relief, which records their lives and accomplishments on numerous palace walls.
이스라엘이 앗수르의 제국 번영 지역에 들어오게 되자, 고고학적 증거는 이스라엘의 역사적 증거를 증명하는 증거들이 늘어났습니다. 앗수르 사람들은 그들의 정치, 경제 그리고 종교적 삶을 매우 세심하게 기록하였을뿐 아니라, 그들은 얕은 부조(浮彫)(bas-relief)라 불리우는 정밀한 석공술을 개발시키므로서 그들의 궁궐 벽에 그들의 삶과 업적에 대하여 기록했습니다.
In the 19th century British archaeologists excavated many of Assyria’s principal cities. Nineveh, one of several capitals during the history of the empire, has been extensively explored. Archaeologists have even found in one of those capitals a vast library of cuneiform tablets that belonged to one of Assyria’s final kings, Ashurbanipal (ca. 669-627 B.C.).
19세기의 브리튼 고고학자들은 앗수르의 많은 주요 도시들을 발굴해냈습니다. 니느웨, 이 제국의 역사에서 많은 수도중 하나로서, 광대하게 발굴되었습니다. 고고학자들은 이 수도들중 한 곳에서 앗수르의 마지막왕,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의 것으로 추정되는 엄청난 양의 쐐기문자 서판을 가지고 있는 거대한 도서실을 발견했습니다.
With this wealth of information about Assyrian history, it would be natural to expect some mention of the long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Assyria, as well as the final Assyrian victory over the northern tribes. This is precisely what has been found.
앗수르인 역사에 대한 이 많은 정보들은, 당연히 이스라엘과 앗수르의 오랜 관계를 언급하고 있었으며, 또한 북쪽 지파에 대하여 앗수르의 승리로 끝났다는 것 또한 기록 되어있었습니다. 이것이 거기서 발견된 것들입니다.
Omri, king of the house of
Israel
이스라엘 지파의 왕, 오므리
After Jeroboam’s short-lived dynasty came to an end around 905 B.C., the next dynasty of importance was founded by Omri (881-870 B.C.). He is mentioned in Assyrian monuments for his military exploits and his establishment of Samaria, a vast fortress city that became the capital for the northern tribes. Because of his impressive military and political achievements and Omri’s line of powerful successors, the Assyrians would refer to Israel as “the land of Omri” even long after the Omride dynasty had ceased to exist.
여로보암의 짧은 왕국은 905 B.C.에 그의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그 다음 왕국은 오므리 (881-870 B.C.)에 의해서 세워졌습니다. 그는 그의 군사적 업적과 북쪽 지파의 수도가 된 강력히 강화된 요새 도시, 사마리아의 건축으로 인하여 앗수르 기념비에 언급되고 있습니다. 그의 놀라운 군사적 그리고 정치적 업적과 오므리의 강력한 후계자 정통으로 인하여, 앗수르인 들은 오므리 왕조가 끝이 난 다음에도 이스라엘을 “오므리의 땅”이라고 불렀습니다.
“The reputation of Omri won by his achievements,” says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for over a century after his death, Samaria was called in the Assyrian records ‘House of Omri’ and the land of Israel the ‘land of Omri’” (Abingdon Press, Nashville, 1962, p. 601).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에서 서술하기를, “그의 업적으로 이루어낸 오므리의 평판은 그가 죽은뒤, 대략 100이 지난 다음에도, 앗수르 기록에서 사마리아는 ‘오므리의 집’으로 기록되어 있고 이스라엘의 땅은 ‘오므리의 땅’으로 기록되어있다” (Abingdon Press, Nashville, 1962, p. 601).
Not only is King Omri mentioned in Assyrian records, but he is named on a monument made by one of Israel’s eastern neighbors, the Moabites.
오므리왕에 대한 기록은 앗수르인의 기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동편의 이웃 국가인 모압인의 기념비에서도 찾아볼수 있습니다.
The Moabite Stone
모아브 비석
More than a century ago an Arab chieftain showed an Anglican missionary a beautiful black monument that had been discovered at Dibon, east of the Jordan River, the region of ancient Moab. This discovery triggered fierce competition among the Western nations, which sought to acquire this Moabite Stone (also called the Mesha Stela), dated to the ninth century B.C. What has survived of the monuments is found today in the Louvre museum in Paris. The monument itself is a record of how King Mesha of Moab rebelled against and finally rolled back Israelite domination of Moab established by King Omri and perpetuated by his son Ahab.
1세기 전에, 아랍의 추장은 영국교회 선교사에게 요단강 동쪽에 있는 고대 모압지역인 디본에서 발견된 아름다운 검은 기념비를 보여줬습니다. 이 발견은 대략 9세기 B.C.의 물건으로 추정되는 모아브 비석(또는 메사의 석비)를 얻고 싶어하던 서양국가 내에서 많은 경쟁을 불러이르켰습니다. 이 기념비에서 남은 일부분은 현재 파리스에 있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볼수 있습니다. 이 기념비 그 자체에서, 어떻게 마압의 메사왕이 오므리왕에 의해서 모압땅에 세워지고 그의 아들 아합에 의해서 영속하게 된 이스라엘의 국토를 완전히 몰아내었는지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At the beginning of the reign of Omri’s grandson, Jehoram, the Moabites sensed opportunity and rebelled. They were successful in gaining independence.
오므리의 손자인 여호람의 통치가 시작되자, 모압인들은 기회를 얻었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자유를 얻는데 성공하였습니다.
The first few lines of the text record the king’s boast: “I am Mesha, son of Kemosh[it], king of Mesha, the Dibonite. My father ruled over Moab for 30 years, and I ruled after my father…Omri (was) king of Israel, and he oppressed Moab many days…And his son succeeded him, and he too said: ‘I will oppress Moab’…And Omri had taken possession of the land…and he dwelt in it in his days and the sum of the days of his sons: 40 years; but [the god] Kamosh restored it in my days” (translated by Andre Lemair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May-June 1994, p. 33).
이 기록의 처음 몇줄은 왕의 자랑에 대하여 기록합니다: “나는 그모스(Kemosh)의 아들, 디본족 메사의 왕, 메사이다. 나의 아버지는 모압을 30년가 다스리셨고, 나는 나의 아버지를 이어서 다르린다…오므리는 이스라엘의 왕이였고, 많은 날수동안 모압을 압박했다…그리고 그의 아들이 그를 이어서, 그도 말하기를: “나도 모압을 압박하리라”… 그리하여 오므리는 그 땅의 일부분을 가져가서 그와 그의 아들이 다스리는 40년 동안 그 곳에 거주했다; 하지만 Kamosh신이 나의 통치기간때 회복시켰다” (앙드레 레멀 번역, 성서 고고학 평론, 5월-6월호 1994, p. 33).
Here we find confirmation by Israel’s enemies of what is recorded in the biblical narrative. The Bible documents the Moabite rebellion and subsequent independence, but adds what king Mesha failed to explain: that he won the Moabites’ independence only after he had sacrificed his son to their pagan god.
여기서 우리는 성경적 기록에 대하여 이스라엘의 적들을 통해서 확인했습니다. 성경은 모압인의 반란과 그로인한 평화에 대해서도 언급하지만, 메사왕이 설명하지 못한 부분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의 아들을 우상신에게 제물로 받친 다음에서나 모암의 자유를 얻을수 있었습니다.
The Bible even relates the pivotal story of the battle in the rebellion. “Now Mesha king of Moab was a sheepbreeder, and he regularly paid the king of Israel [reffering first to Omri, then to Ahab and now to his grandson Jehoram] one hundred thousand lambs and wool of one hundred thousand rams. But it happened that when Ahab died, that the king of Moab rebelled against the king of Israel…
성경은 이 반역의 전쟁에서 중요한 이야기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모압의 왕 메사는 양을 번성시키는 자로서, 그는 주기적으로 이스라엘 왕 [처음으로는 오므리, 그리고 아합이였고 지금은 그의 손자 여호람]에게 10만마리의 양과 10만마리 양의 털을 받쳤습니다. 하지만 아합이 죽자, 모압의 왕의 이스라엘의 왕에게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And when the king of Moab saw that the battle was too fiece for him, he took with him seven hundred men who drew swords, to break through to the king of Edom [his ally], but they could not. Then he took his eldest son who would have reigned in his place, and offered him as a burnt offering upon the wall; and there was great indignation against Israel. So they departed from him and returned to their own land” (2 Kings 3:26-27, emphasis added throughout).
“모압 왕이 전세가 극렬하여 당하기 어려움을 보고 칼찬 군사 칠백 명을 거느리고 돌파하여 지나서 에돔 왕에게로 가고자 하되 가지 못하고 이에 자기 왕위를 이어 왕이 될 맏아들을 데려와 성 위에서 번제를 드린지라 이스라엘에게 크게 격노함이 임하매 그들이 떠나 각기 고국으로돌아갔더라” (열왕기하 3:26-27, 강조문 추가됨).
King Mesha did triumph, but [perhaps understandably] in the Moabite stone he refrains from any mention of the costly price he paid for independence.
메사왕이 승리를 거두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아마 이해할수 있도록] 모아브 비석에, 그는 이 자유를 위한 커다란 대가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Some critics have doubted the biblical account of King Mesha’s human sacrifice, since it seemed far-fetched that a king would offer up his own son and successor to the throne. Yet in 1978 a tablet from the Syrian city of Ugarit mentions just this type of sacrifice during war. The text said: “O Baal, drive away the force from our gates, the aggressor from our walls…A firstborn, Baal, we shall sacrifice, a child we shall fulfill.”
몇몇 비평가들은 메사왕이 성경의 기록처럼 사람을
희생했다는 것을 의심합니다, 왜냐하면 왕이 그의 아들이면서 왕좌의 후계자를 받쳤다는 말이 상상이 않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978년, 우가리드의 도시인 시리아에서
발견된 서판에서는 이와 똑같은 형식의 제사가 전쟁도중에 치루어 졌다는 것을 볼수있습니다. 본문에 쓰여있기를:
“오 바알이여, 우리의 성문에서 부터 이 무리들을 내쫓아 내주시고,
우리의 성벽에서 이 침략자들을 몰아내소서…우리의 첫 자식을 바알, 당신에게 우리가 채울 자식을 받칩니다.”
Baruch Margalit, associate professor of Bible at Haifa University in Israel, explains what was meant in the biblical text by Israel have been “indignant” with Mesha’s sacrifice of his son. “The word denotes the psychological breakdown or trauma that affected the Israelite forces when they beheld the sign of human sacrifice atop the walls of Kir-Hareseth. The author of the Ugaritic text apparently anticipated this reaction of mass hysteria when he confidently predicted the withdrawal of the attacking force… It follows that Mesha’s sacrifice of his son, rather than unprecedented, was in fact an integral, if seldom implemented, part of an age-old Canaanite tradition of sacral warfar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November-December 1986, p. 63).
이스라엘에 있는 하이퍼 대학의 준교수인 Baruch Margalit는, 성경에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메사왕이 그의 아들을 제물과 받치가 ‘격노함’일 일었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설명했습니다. “이 단어는 길하레스 성벽 위에서 인간 제물을 받치는 것을 목격한 이스라엘 사람들의 정신적 몰락과 정신적 와상에 대해서 표현하는것 입니다. 우가리트 본문의 저자는 공격하고 있는 적의 후퇴에 대하여 자신있게 예언하면서 이러한 엄청난 히스테리 반응이 있을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이것은 메사왕이 자기의 아들을 희생한 것을 따른것으로, 전례가 없었던 것도 아니며, 사실상 필수였던 것이며, 드물게 효력이 있었다, 이것은 가나안의 한 시대동안 교전상태의 제식이였습니다” (성서 고고학 평론, 11월-12월 1986, p. 63).
Ahab’s clash with the
Assyrians
아합과 앗수르의 충돌
Not only did the Assyrians have great respect for King Omri. They also had high regard for his son Ahab, who was skilled and powerful military leader. The Bible, however, is not so much concerned with Ahab’s military exploits as with his establishment of Baal worship in Israel after he married the Phoenician King’s daughter Jezebel.
앗수르인 들이 오므리왕 에게만 많은 경의를 보인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능숙하고 강력한 군사적 리더였던 그의 아들 아합또한 높이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서는, 그가 페니키아 왕의 딸 이사벨과 결혼 한 다음, 이스라엘이 바알을 섬기게 한것 만큼, 그의 군사적 업적에 관심이 없습니다.
Sta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Ahab followed a wise policy in defense, entering into alliance with Phoenicia, Judah, and even his erstwhile enemies the Arameans. On the other hand, he fell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natical pagan queen Jezebel, who led him to worship Baal as Yahweh’s peer, and consequently to introduce such horros as tyranny (1 Kings 21), religious persecution (18:4), and human sacrifice (16:34)” (Eerdmans, Grand Rapids, 1979, Vol. 1, p. 75, “Ahab”).
국제 표준 성서 백과사전에서 서술하기를: “아합은 페니키아, 유다, 그리고 심지어는 예전의 적인 아라미아 사람들도 그와 동맹을 맺는등, 방어면에서 지혜로운 정책을 펼쳤다. 또 다른 한면으로는, 그는 바알을 하나님의 동료로 섬기게 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폭정과 같은 공포 (열왕기상 21), 종교적 박해 (18:4), 그리고 인간 제물등을 (16:34) 소개시킨 그의 이교도 광신도 여왕 이사벨의 설득에 넘어졌다.
Although the Bible is quite critical of Ahab’s morality, it does acknowledge his military powers and that he defeated the Arameans and Syrians several times (1 Kings 20:1-30). The Assyrians also record a major battle with Ahab and a coalition of other neighboring states. Although they dealt Ahab’s confederation heavy losses, the battle did temporarily halt the Assyrian advance to the west.
성경은 아합의 도덕성에 대하여 굉장히 부정적이지만, 그의 군사적 능력과 아라미아인과 시리아인 들을 수차례 물리쳤던 것을 인정합니다 (왕상 20:1-30). 앗수르인 들은 아합과의 주요전투에 대하여 기록하였고, 또한 그 주변연합 국가들의 상태에 대해서도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아합연합군에게 많은 피혜를 힙혔으나, 이 전투들은 앗수르 군대가 서쪽으로 전진하는 것을 임시적으로 막을수 있었습니다.
“Ahab is mentioned in the Monolith Inscription of Shalmaneser III (858-824 B.C.), which tells the story of the great battle Shalmaneser fought at Qarqar against an Aramean-Israelite coalition…Ahab alone is said to have contributed two thousand chariots and ten thousand foot soldiers. Ten lesser kings who took part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in infantry and calvary” (ibid., p. 76).
“아합은 살만에셀 3세의(858-824 B.C.) 비문 (Monolith Inscription)에서도 언급되며, 살만에셀이 카르카르(Qarqar)에서 아라미아-이스라엘 연합군과 위대한 전쟁을 치룬것에 대하여 얘기하고 있습니다…아합 혼자서 2,000대의 전차와 10,000명의 보병을 제공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다른 10왕들은 보병대와 기병대 제공에 중요한 부분을 맡았습니다.
King Ahab’s house of ivory
아합 왕의 상아로 만든 집
Archaeologists haven’t found only Assyrian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King Ahab. While excavating Samaria they have found indications of another biblical description connected to Ahab’s reign—his house of ivory. The Bible says of Ahab, “Now the rest of the acts of Ahab, “Now the rest of the acts of Ahab, and all that he did, the ivory house which he built and all the cities that he built, 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chronicles of the kings of Israel?” (1 Kings 22:39).
고고학자들이 아합왕의 존재에 대해서 찾은 증거는 앗수르에서만 있던것이 아닙니다. 사마리아를 발굴하던중, 그들은 아합의 통치기간때 있었던 성경적 기록과 일치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그의 상아궁이였습니다. 성경이 아합에 대하여 언급하기를, “아합의 남은 행적과 그가 해한 모든 일과 그가 건축한 상아궁과 그가 건축한 모든 성읍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열왕기상 22:39).
Herschel Shanks, editor of Biblical Archaeology Review, writes: “An important ivory find from the Iron Age comes from Ahab’s capital in Samaria where over 500 ivory fragments were found…The Bible speaks of Ahab’s ‘house of ivory’ (1 Kings 22:39). Does this refer to the paneling of the walls or to the furnishings? To put the matter differently, did the ivory fragments found at Samaria decorate the walls of the building or the furniture? There is some evidence from Nimrud that a room in an Assyrian palace was, in fact, paneled with ivory veneer. Was this the case at Samaria? On the basis of the evidence at hand, it is difficult to tell.
성서 고고학 평론의 편집자 Herschel Shanks가 서술하기를: “철시시대때 중요한 상아의 발견은, 아합의 수도인 사마리아에서 500개가 넘는 상아 조각의 발견이였습니다…성경에서는 아합의 ‘상아궁’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왕상 22:39). 이것이 벽이나 바닥을 도배했다는 뜻일까요? 이거를 다른식으로 보면, 사마리아에서 발견된 상아 조각들은 건물의 벽이나 바닥을 장식했다는 뜻일까요? 니므루드에서 발견된 증거들은, 앗수르 왕궁이 실지상, 상아 단판으로 도배되어있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이것이 사마리아의 예일까요? 지금 가지고 있는 토대적인 증거로는, 단정짓기 어렵습니다.
“Whether paneling for the wall or decoration for furniture, the houses of ivory—based on a highly sophisticated Phoenician ivory industry—were for the Hebrew prophets symbols of social oppression and injustice; the ‘ivory houses’ [mentioned in Amos 3:15] were also evidence of participation in the barbarous pagan practices and heathen worship of Phoenicia.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 the prophets knew what they were talking about” (Biblical Archaeology Review, September-October 1985, p. 46).
“벽을 도배할때 쓴것이든 아니면 가구를 장식할때 쓴 것이든, 상아궁—굉장히 세련된 페니키아인의 상아산업을 토대로 하여—은 히브리 선지자들의 사회적 압박과 불의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상아궁’ [아모스 3:15에 언급되는]은 페니키아인의 야만스러운 이교도 의식과 이교도 숭배의 참가를 증거하기도 했습니다. 고고학적 증거에 의하면, 선지자들은 그들이 무엇을 말하는지 잘 알고 있었습니다” (성서 고고학 평론, 9월-10월 1985, p. 46).
Jehu kneels before an
Assyrian king
예후왕이 앗수르 왕앞에 무릎을 꿇다
Because of the wicked rule of the “house of Omri,” God sentenced Ahab, Jezebel and their descendants to death. He would use a general of the Israelite army, Jehu, to accomplish most of these sentences. God told prophet Elijah: “Go, return on your way to the Wilderness of Damascus; and when you arrive, anoint Hazel as king over Syria. Also you shall anoint Jehu the son of Nimshi as king over Israel. And Elisha…you shall anoint as prophet in your place. It shall be that whoever escapes the sword of Hazael, Jehu will kill; and whoever escapes the sword of Jehu, Elisha will kill” (1 Kings 19:15-17). God would not allow the enourmously wicked acts of the House of Omri to go unpunished.
“오므리 집”의 악한 통치로 인하여, 하나님은 아합, 이사벨, 그리고 그의 자손들을 사망으로 판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군의 장군 예후가, 이 판결을 집행하도록 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선지자 엘리아에게 말씀하시길: “여호와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너는 네 길ㅇ르 돌이켜 광야를 통하여 다메섹에 가서 이르거든 하사엘에게 기름을 부어 아랍의 왕이 되게 하고 너는 또 님시의 아들 예후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이 도게 하고…엘리사에게 기름을 부어 너를 대신하여 선지자가 되게 하라 하사엘의 칼을 피하는 자를 예후가 죽일 것이요 예후의 칼을 피하는 자를 엘리사가 죽이리라” (왕상 19:15-17). 하나님은 오므리의 집의 엄청난 악한 행동을 벌하지 않으실수 없으십니다.
Jehu eventually killed not only Jezebel, but all of Ahab’s children, in effect exterminating the dynasty of Omri. Although Jehu became God’s rod of retribution, he failed to purge Israel of all vestiges of false religion.
예후는 단순히 이사벨을 죽일뿐 아니라, 아합의 모든 자손들도 죽였습니다, 그의 결과로 오므리의 왕조를 몰살시켰습니다. 예후가 하나님의 징벌의 지팡이로 사용이 되었지만, 이스라엘에서부터 모든 거짓 종교를 모두 몰아내지는 못했습니다.
“Thus Jehu destroyed Baal from Israel. However Jehu did not turn away from the sins of Jeroboam the son of Nebat, who had made Israel sin, that is, from the golden calves that were at Bethel and Dan. And the LORD said to Jehu, ‘Because you have done well in doing what is right in My sight, and have done to the house of Ahab all that was in My heart, your sons shall sit on the throne of Israel to the fourth generation.’ But Jehu took no heed to walk in the law of the LORD God of Israel with all his heart; for he did not depart from the sins of Jeroboam, who had made Israel sin. In those days the LORD began to cut off parts of Israel; and Hazel conquered them in all the territory of Israel…” (2 Kings 10:28-32).
“예후가 이와 같이 이스라엘 중에서 바알을 멸하였으나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 곧 벧엘과 단에 있는 금송아지를 섬기는 죄에서는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여호와께서 예후에게 이르시되 네가 나 보기에는 정직한 일을 행하되 잘 행하여 내 마음에 있는 대로 아합 집에 다 행하였은즉 네 자손이 이스라엘 왕 위를 이어 사대를 지내리라 하시나라 그러나 예후가 전심으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율법을 지켜 행하지 아니하며 여로보암이 이스라엘에게 범하게 한 그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이 때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서 땅을 잘라 내기 시작하시매 하사엘이 이스라엘의 모든 영토에서 공격하되…” (왕하 10:28-32).
During the spiritual decline of Jehu Assyria again began directly to threaten Israel. Soon Israel was paying Assyria tribute—proctection money—to spare itself warfare and invasion. The Assyrians carved an impressive monument, called the Black Obelisk, to the achievements of King Shalmaneser III. The monument includes detailed panels portraying King Jehu (or his emissary) bringing tribute to the Assyrian king. This elaborate illustration is the earliest known depiction of an Israelite (king or commoner).
예후의 영적 퇴세기가 오자, 앗수르 사람들은 다시한번 이스라엘을 직접적으로 위협했습니다. 곧 이스라엘은 앗수르에게 공물—보호 제물—을 받침으로서 전쟁과 침략등을 면할수 ?微? 되었습니다. 앗수르인 들은 방첨 석탑(Black Obelisk)이라 하는 대단한 기념비에 살만에살 3세의 업적을 기록했습니다. 이 기념비에는 예후왕 (아니면 그의 사자)가 앗수르 왕에게 공물을 받치고 있는 그림이 있습니다. 이 공들인 삽화가 이스라엘의 (왕이나 평민) 가장 오래된 그림입니다.
This famous monument of the ninth century B.C., now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British Museum in London, was discovered in 1846 in the Assyrian city of Nimrud. It includes scenes depicting the tribute given to the king and the bearers of that tribute. On one side, in the second scene from the top, the inscription reads, “Tribute of Iaua [Jehu], son of Omri. Silver, gold, a golden bowl, a golden beaker, golden goblets, pitchers of gold, tin, staves for the hand of the king, [and] javelins, I [Shalmaneser] received from him” (Biblical Archaeology Review, January-February 1995, p. 26).
대략 9세기 B.C.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명한 기념비는 앗수르인 니므루드 도시에서 1846년에 발견이 되었고, 현재 런던에 있는 대영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왕에게 공물을 받치는 것과 이 공물을 가지고 오는 사람들을 그리고 있습니다. 한면에서, 꼭대기에서 두번째 그림 옆에 비문이 적혀있기를, “Iaua [예후]의 공물, 오므리의 아들. 은, 금, 금 그릇, 금 비커, 금잔, 금 물주전자, 주석, 왕의 손을 위한 홀, [그리고] 창, 들을 나 [살만에살]이 받은 것이다” (성서 고고학 평론, 1월-2월, 1995, p. 26).
The scene is startling. There before the Assyrian king is either Jehu himself or one of his chief representatives kneeling in submission. The monument, including not only his name but his picture, is remarkable evidence of this biblical king.
이 장면은 놀라운 것입니다. 앗수르왕 앞에 복종하면 무릎을 꿇고 있던 것은 예후 자신이거나 아니면 그의 대행자 입니다. 이 그의 이름뿐 아니라 그림까지 담고 있는 이 기념비는, 성경적 왕의 놀라운 증거가 되었습니다.
This series in The Good News will continue covering archaeological discoveries relating to the later kings of Israel.
The Good News의 다음 시리즈들또한 이스라엘의 나중왕들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살펴볼것 입니다.
The Later Kings of Israel:
A Kingdom’s Downfall
이후에 이스라엘 왕들:
왕국의 몰락
The July-August issue of The Good News presented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confirms and clarifies the biblical record of the early kings of the northern 10 tribes of Israel after the death of Solomon. We continue the story with the later kings and downfall of the kingdom.
The Good News의 7월-8월호에서 솔로몬이 죽고난 다음, 북쪽에 있는 이스라엘 10지파의 초기왕에 대한 성경적 기록을 증명하며 해명할수 있는 고고학적 발견들을 살펴봤습니다. 우리는 이제 이 왕국 후기의 왕들과 왕국의 멸망에 대해서 살펴볼것 입니다.
We come to the final stages of the northern kingdom (Israel) as a nation. Jehu’s downfall came at the halfway mark of Israel’s 19 kings and, tragically, the kings who followed him would all refuse to repent and turn to the true God. Meanwhile, Judah remained more faithful to God and continued for more than a century after the fall of the northern 10 tribes of Israel. Much archaeological evidence validates the account of Israel’s final years.
우리는 이제 북쪽 왕국 (이스라엘)이 나라로서의 마지막 단계에 다달었습니다. 예후의 몰락은 이스라엘 19왕의 반을 뜻했고, 애석하게도 그의 뒤를 이은 왕들은 모두 진정한 하나님께 회계하지 아니하고 돌아서지 아니했습니다. 이런 와중에도, 유다는 하나님께 신실했고, 이스라엘의 10 지파가 멸망한 다음에도 1세기 정도 지속?營윱求?. 이스라엘의 최후의 기록을 증거할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는 많습니다.
Another King Jeroboam
또다른 여로보암왕
Jehu’s great-grandson, Jeroboam II, although evil, was an able military leader, Eugene Merrill explains that through his political leadership “Jeroboam was able not only to recover the territories of Israel proper which had fallen over the years to Damascus, but to bring all of south Aram and the Transjordan back under Israelite hegemony (2 Kings 14:25-28)” (A Kingdom of Priests, 1987, p. 374).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German Oriental Society mounted an extensive archaeological dig of Megiddo, the site of an important northern-kingdom stronghold. The excavations produced a beautiful agate seal depicting roaring lion. The Hebrew inscription read, “Belonging to Shema, servants of Jeroboam.” From the dating of the city level, certain archaeologists proposed the king referred to was Jeroboam II (791-151 B.C.).
예후의 증손자인 여로보암 2세는 사악하였으나, 유능한 군사적 리더였고, 유진 메릴은 그의 정치적 인도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로보암은 다마스쿠스(Damascus)에 의해서 수년간 재배당해오던 이스라엘의 영토를 되찾았을 뿐 아니라, 아람과 트랜스요르단을 이스라엘의 패권 아래로 다시한번 불려들였습니다 (왕하 14:25-28)” (A Kingdom of Priest, 1987, p. 374). 20세기 초에 들어서서, German Oriental Society는 북쪽 왕국의 중요한 요새인 므깃도(Megiddo)에서 광대한 고고학적 채굴을 시작했습니다.
It is not uncommon for seals to appear in excavations in the Middle East. Bible commentator William Barclay explains: “It was not the signature [as we use today], but the seal which authenticated. In commercial and political documents it was the seal, imprinted with the signet ring, which made the document valid; it was the seal which authenticated a will; it was the seal on the mouth of a sack or a crate that guaranteed the contents. Seals were made of pottery, metal or jewels. In the British Museum there are seals of most of the Assyrian Kings. The seal was fixed on clay and the clay attached to the document” (Daily Study Bible Commentary, Bible Explorer, Epiphany Software, San Jose, Calif.).
중동지역을 발굴할때, 인장들을 찾아낸 다는것은 드문일이 아닙니다. 성경 주석자인 윌리엄 버클레이가 설명하기를: “[우리가 지금 쓰듯이]이것은 서명이 아니였습니다, 하지만 입증할때 쓰이는 것이였습니다. 상업과 정치적 문서에서는 이 문서를 유효하게 하는 인장이였고, 반지도장과 같이 세겨졌습니다. 이것은 의지를 입증하는 인장이였고; 이것은 자루나 나무상자 위에 인장이 찍힘으로서 그 내용물을 보증하는 것이였습니다. 인장들은 진흙, 쇠, 또는 보석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브리튼 박물관에는 거의 모든 앗수르 왕의 인장들이 비치되어있습니다. 이 인장들은 진흙위에 노여졌고, 그 진흙이 문서 위에 굳는 것 이였습니다” (Daily Study Bible Commentary, Bible Explorer, Epiphany Software, San Jose, Calif.).
Since seals were durable and vital for political and commercial transactions, they were produced in abundance for the upper classes of society. As we see in this seires, several seals have been found that include the names of monarchs metioned in the Bible.
특히, 인장들은 정치적, 그리고 상업적 처리에서 영구적이며 중요했기 때문에, 상위권자 들을 위해서 대량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우리가 이번 시리즈에서 보듯이, 성경의 왕들의 이름도 기록하고 있는 여러 인장들을 찾아냈습니다.
Collapse of a dynasty
왕조의 몰락
Meanwhile, true to God’s prediction, Jehu’s dynasty lasted only “to the fourth generation” (2 Kings 10:30). Jeroboam II was of Jehu’s third generation. His son, Zechariah, the fouth successor, was assassinated during his first year as king. From then on, because of ever-increasing evils on a national scale, Israel would no longer count on God’s protection. The nation plunged headlong into a fall of lawlessness and disregard for God.
이런 와중에, 하나님의 예언에 따라, 예후의 왕조는 오직 “4 대까지”이어졌습니다 (왕후 10:30). 여로보암 2세가 예후의 3대였습니다. 4대 후계자였던 그의 아들 스가랴는 그가 왕위에 오른 첫 해에 살해당했습니다. 이 때로부터, 전국적으로 늘어가는 사악한 행위로 인하여, 이스라엘은 더이상 하나님의 보호에 의지하지 않았습니다. 이 나라는 무법과 하나님을 경히여기는 타락에 먼저 빠져들었습니다.
“In the thirty-eighth year of Azariah king of Judah, Zechariah the son of Jeroboam reigned over Israel in Samaria six months. And he did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as his father had done; he did not depart from the sins of Jerobaom the son of Nebat, who had made Israel sin. Then Shallum the son of Jabesh conspired against him, and struck and killed him in front of the people; and he reigned in his place… This was the word of the LORD which He spoke to Jehu, saying, ‘Your sons shall sit on the throne of Israel to the fourth generation. And so it was’” (2 Kings 15:8-12).
“유다의 왕 아사랴의 제삼십팔년에 여로보암의 아들 스가랴가 사마리아에서 여셧달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리며 그의 조상들의 행위대로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한지라 야베스의 아들 살룸이 그를 반역하여 잭성 앞에서 쳐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스가랴의 남은 사적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여호와께서 예후에게 말씀하여 이르시기를 네 자손이 사 대 동안 이스라엘 왕위에 있으리라 하신 그 말씀대로 과연 그렇게 되니라” (왕하 15:8-12).
So, after almost 90 years, Jehu’s dynasty came to a violent end. From then on, assassinations and political instability would be the rule until the final collapse of the northern kingdom. This military and political weakness would make the Israelite in the north an easy prey for the resurgent Assyrian Empire.
그리하여 거의 90년이 지난후, 예후의 왕조는 광포한 끝을 맞이했습니다. 이후로 부터는, 암살과 정치적 불안이 북왕국의 타락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 나갔습니다. 군사적과 정치적 약점은 북쪽에 있는 이스라엘을 재생하고 있던 앗수르 제국의 쉬운 먹잇감으로 만들었습니다.
It is said to reflect on how this once-mighty kingdom, which had halted the Assyrian war machine a century earlier, could muster hardly any resistance (except during the reign of Jeroboam II). According to an Assyrian inscription, King Ahab had contributed “Two thousand chariots and ten thousand foot soldiers” to form a successful military coalition to stop the Assyrian advance. A century later, when the Assyrian menace appeared again, the northern Israelite armies were reduced to “fifty horsemen, ten chariots, and the thousand foot soldiers; for the king of Syria destroyed them” (2 Kings 13:7).
이것은 1세기 전까지만 해도 앗수르의 군수를 멈추게 할수 있던 이 강대국이였던 나라가 어째서 (여로보암 2세때를 제외하고) 반란군조차 형성하지 못했는지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앗수르의 기록에 의하면, 아합왕은 앗수르의 북향전진을 막기 위해서 연합군에 “2천대의 전차와 만명의 보병”을 지원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1세기 뒤, 앗수르의 위협이 다시 나타나자, 북쪽의 이스라엘인 들의 군사는 “마병 오십 명과 병거 열 대와 보병 만 명 외에는 여호아하스에게 남겨 두지 아니하였더라” (왕후 13:7).
Shallum, the assassin of King Ahzaria lasted only a month on the throne before he, too, was murdered. “Shallum the son of Jabesh became king…and he reigned a full month in Samaria. For Menahem the son of Gadi went up from Tizrah, came to Samaria, and struck Shallum the son of Jabesh in Samaria and killed him; and he reigned in his place” (2 Kings 15:13-15).
아사랴왕의 암살자 살룸은 그또한 암살을 당하기 전까지, 한 달동안 왕좌에 있었습니다. “유다 왕 웃시야 제삼십구년에 야베스의 아들 살룸이 사마리아에서 왕이 되어 한달 동안 다스리니라 가디의 아들 므나헴이 디르사에서부터 사마리아로 올라가서 야베스의 아들 살룸을 거기에서 쳐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살룸의 남은 사적과 그가 반역한 일은 이스라엘 왕 역대지략에 기록되니라” (왕하 15:13-15).
Assyria gains control
앗수르가 정권을 잡다
Menahem reigned for 10 years but could not resist the advancing Assyrian army. To avoid outright conquest, he began paying the Assyrins tribute. “And he did evil in the sight of the LORD… Pul [Tiglath-pileser] King of Assyria came against the land; and Menahem gave Pul a thousand talents of silver, that his hand might be with him to strengthen the kingdom under his control…So the king of Assyria turned back, and did not stay there in the land” (2 Kings 15:18-20).
므나헴은 10년간 다르렸지만, 전진해오는 앗수르 군대를 막을수 없었습니다. 완전한 정복을 피하고 위해서, 그는 앗수르에게 공물을 받치기 시작했습니다.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에서 평생 떠나지 않았더라 앗수르 왕 불이 와서 그 땅을 치려 하매 므나헴이 은 천 달란트를 불에게 중서 그로 자기를 도와 주게 함으로 나라를 자기 손에 굳게 세우고자 하여 그 은을 이스라엘 모든 큰 부자에게서 강탈하여 각 사람에게 은 오십 세겔씩 내게 하여 앗수르 왕에게 주었더니 이에 앗수르 왕이 되돌아가 그 땅에 머물지 아니하였더라” (왕후 15:18-20).
The Assyrians, who meticulously recorded their kings’ triumphs, mentioned the tribute money given by King Menahem. The annals show the amazing accuracy of the biblical account. “The outstanding events of Menahem’s reign,” notes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was the supremacy of Assyrian power in the West. This is confirmed in detail from Assyrian sources…When Tiglath-pileser III of Assyrian took the throne of Babylon in 729, he assumed the name Pulu [Pul in the Bible]…In his annals Tiglath-pileser records the receiving of tribute from various nations of the West—Menahem of Samaria, Rezin of Damascus, Hiram of Tyre, etc. A fragmentary text adds further details about Menahem. ‘He was overwhelmed like snowstorm and fled like a bird, alone, and bowed to the feet of his conquerer, who returned him to his place and imposed tributes upon him’” (Vol. III, 1962, p. 348).
그들의 왕의 승전보에 대하여 굉장히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던 앗수르인 들은, 므나헴왕에게 받쳐진 공물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록들은 성경적 기록이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에 서술하기를, “므네함의 통치에서 눈에 띄는 일은, 서쪽에서 앗수르인 들의 뛰어난 힘이였습니다. 이것은 앗수르인의 기록에서 확인해 볼수 있습니다…앗수르의 디글랏빌레셀 3세는 729년에 바벨론의 왕좌를 탈취했고, 그는 불루[성경에는 불이라 서술되고 있음]라는 이름을 취했습니다…그의 연간기록에서, 디글랏빌레셀이 기록으로, 그는 서쪽의 많은 나라로 부터 공물을 받았습니다—사마리아의 므나헴, 다마스쿠스의 르신, 도르의 히람, 등등. 단편적인 문서들은 므나헴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Menahem’s son, Pekahiah, ruled for only two years before he was murdered by Pekah. Once on the throne, Pekah rebelled against the Assyrian and refused to pay tribute money. “With Pekahiah out of the way,” Eugene Merrill writes, “Pekah proclaimed himself king and immediately broke the treaty with Assyria which Menahem had made. He no doubt felt safe in doing so because Tiglath-pileser was still detained elsewhere with matters of imperial responsibility…Whatever Pekah’s objective, he was doomed to disappointment for within six years (by 734) Tiglath-pileser returned to the west and quickly began to annex vast areas of Syria and Palestine especially in Galilee and the Transjordan” (Merrill, p. 396).
므나헴의 아들 브가히야는, 베가에게 살해되기 전까지, 2년간 다스렸습니다. 그가 왕좌에 오르자, 베가는 앗수르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공물 받치기를 거부했습니다. 유진 메릴이 서술하기를, “브가히야가 사라지자, 베가는 자기 자신을 왕을 임명했고, 므나헴이 앗수르와 맺은 계약을 곧장 파기시켰습니다. 그는 이렇게 해도 안전하다고 믿었던 이유는, 그때 디글랏빌레셀은 제국의 일로 인하여 다른곳에 붙들려 있었기 때문입니다…어떠한 것이 베가의 이유였든, 그는 곧 자기를 죽음으로 몰고갈 실망을 하게 ?營윱求?, 왜냐하면 6년뒤 (734년도)에 디글랏빌레셀이 서쪽으로 귀한하자, 그는 곧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특히 갈릴리와 트랜스요르단 지역을 대폭적으로 넓히기 시작했습니다” (메릴, p. 396).
Tiglath-pileser’s invasion
디글랏빌레셀의 침략
The Bible records the story of the invasion of Tiglath-pileser in 2 Kings 15:29-30: “In the days of Pekah king of Israel, Tiglath-Pileser king of Assyria came and took Ijon…Hazor, Gilead, and Galilee, all the land of Naphtali; and he carried them captive to Assyria. Then Hoshea the son of Elah led a conspiracy against Pekah…and killed him; so he reigned in his place…”
성경은 열왕기하 15:29-30에서 딜글랏빌레셀의 침략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빌레셀이 와서 이욘과…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점령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엘라의 아들 호세아가 반역하여 르말랴의 아들 베가를 쳐 죽이고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The biblical account is corroborated in an Assyrian victory stela, or inscribed, commemorative stone (also spelled “stele”), of Pulu (Tiglath-pileser). The Assyrian king boasts, “The House of Omri [Israel]…all of its inhabitants and goods, I took to Assyria. They overthrew their king Pekah and I installed Hoshea as their king. I received from them ten talents of gold, a thousand talents of silver as tribute and I deported them to Assyria” (Archaeological Bible Commentary, 1984, p. 133).
앗수르의 승리비석이나 기념비등에 불루[디글랏빌레셀]에 대한 성경의 기록과 일치하는 기록이 있습니다. 앗수르의 왕이 자랑하기를, “오므리[이스라엘]의 집…그의 모든 거주자들과 재산을, 내가 아시리아로 가져왔다. 그들은 그들의 왕 베가를 전복시켰고, 나는 호세아를 그들의 왕으로 세웠다. 나는 그들로 부터 10달란트의 금, 1000 달란트의 은을 공물로 받았고 그들을 아시리아로 끌고 갔다” (Archaeological Bible Commentary, 1984, p. 133).
This began a 15-year period during which the northern Israelites were forcibly deported from their homeland to Assyrian territory. Few would remain in the land when the Assyrians were through.
이로 인하여 15년간 북 이스라엘인 들이 강제적으로 그들의 고향을 떠나서 아시리아인 지역에 거주하게 ?營윱求?. 앗수르인 들이 지나가고 난 다음에, 이땅에 남아있던 자들은 굉장히 적었습니다.
Amos, one of the prophets of that time, revealed what God would allow to happen to the northern tribes. “Thus says the LORD: ‘As a shepherd takes from the mouth of a lion two legs or a piece of an ear, so shall the children of Israel be taken out who dwell in Samaria’” (Amos 3:12).
이 시대의 선지자중 한명인 아모스는, 북쪽 지파에게 하나님이 일어나도록 허락하신 일에 대해서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되 목자가 사자 입에서 양의 두 다리나 귀 조각을 건져냄과 같이 사마리아에서 침상 모서리에나 걸상의 방석에 앉은 이스라엘 자손도 건져냄을 입으리라” (아모스 3:12).
The conquest of Samaria
사마리아의 정복
The Assyrian records again confirm the biblical account, although they show a bias that is absent in Scripture. We see a marked contrast between the boisterous claims of the Assyrian kings—who never admitted to losing any battles—and the biblical narrative, which is frank and honest about their kings’ moral lapses and sins and their resulting defeats.
앗수르의 기록은 다시한번 성경의 기록을 증명하고 있습니다만, 이 기록에서는 성경에 서술되어 있지 안은 기록또한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앗수르 왕들—절대로 전쟁에서 패배를 인정하지 않았던—과 성경적 기록의 의기양양한 서로의 주장에 대하여 그들의 왕의 도덕적 타락과 그로 인한 패배에 관한 명료한 대조를 볼수 있습니다.
Writing for Biblical Archaeology Review, Erika Bleibtreu observes: “According to the narrative representation on these reliefs, the Assyrians never lost a battle. Indeed, no Assyrian soldier is ever shown wounded or killed. The benevolence of the gods is always bestowed on the Assyrian king and his troops. Like the official written records, the scenes and figures are selected and arranged to record the king’s heroic deeds and to describe him as ‘beloved of the gods’” (January-February 1991, p. 57).
성서 고고학 평론를 위해서 글을 쓰는 Erika Bleibtreu가 진술하기를: “부조(浮彫)에 나와있는 설명에 의하면, 앗수르인 들은 전쟁에서 절대로 진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뿐 아니라, 어떠한 기록에서 앗수르 군사들이 다쳤거나 죽은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지 않습니다. 신들의 박애(博愛)는 항상 앗수르 왕들과 그의 군대위에 있었습니다. 공문서상에 기록된거와 같이, 몇몇 장면들과 인물들만이 선택되고 정리되어서 왕들의 영웅적인 행위를 기록했고 ‘신들이 사랑하는자’고 묘사가 되게 했습니다” (1월-2월 1991, p. 57).
What a stark contrast with the biblical account of the defeat and downfall of Israel, also known as Samaria. “Now the king of Assyria went throughout all the land, and went up to Samaria and besieged it for three years. In the ninth year of Hoshea, the king of Assyria took Samaria and carried Israel away to Assyria, and placed them in Halah and by the Habor, the River of Gozan, and in the cities of the Medes. For so it was that the children of Israel had sinned against the LORD your God…and they had feared other gods, and had walked in the statues of the nations whom the LORD had cast out from before the children of Israel…” (2 Kings 17:5-8).
이스라엘, 또는 사마리아의 패배와 몰락에 관한 성경적 기록과 얼마나 사실적인 대조입니까. “올라와서 그 온 땅에 두루 다니고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삼 년을 에워쌌더라 호세아 구 년에 앗수르 왕이 사마리아를 취하고 이스라에 사람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끌어다가 할라와 고산 하볼 하숫가와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에 두었더라 이 일은 이스라엘 자손이…하나님 여호와께 죄를 범하고 또 다른 신들을 경외하며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이방 사람들의 규례와 이스라엘 여러 왕의 세운 율례를 행하였음이라” (왕하 17:5-8).
The Assyrian records also mention the conquest of Samaria by King Shalmaneser V Tiglath-pileser’s son. But this King died unexpectedly during the siege of Samaria, and his son, Sargon II, completed the job.
앗수르의 기록은 디글랏빌레셀의 아들인 살마네세르왕 5세에 의해서 사마리아의 정복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왕은 공성(攻城)을 펼치는 동안 아무도 예상치 못하게 죽었고, 그의 아들인 사르곤 2세가 그 일을 끝냈습니다.
In 1843 Paul Emil Botta uncovered the ruins of Sargon’s palace, where a wall relief called “The Display Inscription” records Sargon’s victory over Samaria. In it Sargon boasted: “At the beginning of my rule, in my first year of reign, I besieged and conquered Samaria…I led away into captivity 27,290 people who lived there… I caused others to take their portion. People of the lands, prisoners my hand had captured, I settled there. My officials I placed over them as governors.”
1843년, 폴 에밀 보타는 사르곤이 사마리아와의 전투에서 승리를 얻은것에 대한 기록을 하고 있는 “전시 기록”이 벽의 부조에 기록되 있는 사르곤 왕궁의 유물을 찾아냈습니다. 여기서 사르곤이 과시하기를: “나의 통치가 시작되는 첫번째 해에, 나는 사마리아를 공성했고 정복했다…나는 그곳의 주민 27,290명을 포로로 끌고 왔고…다른 이들에게 그들의 몫을 가져가게 했다. 내가 나의 손으로 잡아온 그 땅의 백성들과 죄수들은 모두 이곳에 정착시켰다. 그리고 나의 신하들을 세워서 그들을 다스리게 했다.”
Reasons for Israel’s
downfall
이스라엘의 몰락의 이유
The Bible states some of the reason for the Israelites’ removal: They “caused their sons and daughters to pass through the fire, practiced witchcraft and soothsaying, and sold themselves to do evil…Therefore the LORD was very angry with Israel, and removed them from His sight; there was none left but the tribe of Judah alone” (2 Kings 17:17-18).
성경은 이스라엘인의 이동에 대한 이유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또 자기 자녀를 불 가운데로 지나가게하며 복술과 사술을 행하고 스스로 팔려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심히 노하사 그 앞에서 제하시니 유다 지파 외에는 남은 자가 없으니라” (왕후 17:17-18).
Years later, after Judah likewise fell into captivity, God gave through the prophet Ezekiel additional reasons for the destruction and exile of both nations. “Her priests have violated My law and profaned My holy things; they have not distinguished between the holy and unholy, nor have they made know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nclean and the clean; and they have hidden their eyes from My Sabbaths, so that I am profaned among them” (Ezekiel 22:26).
유다 또한 포로의 신세가 되고 몇년후, 하나님은 선지자 에스겔을 통해서 이 두나라의 패망과 유수(幽囚)에 대한 부가적인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제사장들은 내 율법을 범하였으며 나의 성물을 더렵혔으며 부정함과정한 것을 사람으로분변하게 하지 아니하였으며 그 눈을 가리워 나의 안식일을 보지 아니하였으므로 내가 그 가운데서 더럽힘을 받았느니라” (에스겔 22:26).
The prophecy compares the priests to wild beasts: “Her princes in her midst are like wolves tearing the prey, to shed blood, to destroy people, and to get dishonest gain. Her prophets plastered them with untempered mortar, seeing false visions, and divining lies for them, saying, ‘Thus says the LORD GOD,’ when the LORD had not spoken” (verse 28).
예언에서는 이 제사장들을 야생동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 선지자들이 그들을 위하여 회를 칠하고 스스로 허탄한 이상을 보며 거짓 복숭을 행하며 여호와가 말하지 아니하였어도 주 여호와의 말씀이라 하였으며” (28절).
“The people of the land have used oppressions, committed robbery, and mistreated the poor and needy; and they wrongfully oppress the stranger. So I sought for a man among them who would make a wall, and stand in the gap before Me on behalf of the land, that I should not destroy it; but I found no one. Therefore I have poured out My indignation on them; I have consumed them with the fire of My wrath; and I have recompensed their deeds on their own heads,” says the LORD GOD” (Verse 29-31).
“이 땅 백성은 강포하며 늑탈(勒奪)하여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압제하였으며
우거한 자를 불법하게 학대하였으므로 이 땅을 위하여 성을 쌓으며 성 무너진 데를 막아 서서 나로 멸하지 못하게 할 사람을 내가 그 가운데서 찾다가
얻지 못한 고로 내가 내 분으로 그 위에 쏟으며 내 진노의 불로 멸하여 그 행위대로 그 머리에 보응하였느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29-31절).
Epilogue: Where did Israel
go?
에필로그: 이스라엘은 어디로 갔을까요?
What happened to the Israelites after they were deported into Assyria? Most people think the 10 northern tribes of Israel have disappeared forever.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lost 10 tribes.” The scholarly consensus is that these people were either assimilated by gentile nations or simply died out altogether.
이스라엘인 들이 앗수르를 떠난 다음에 어떻게 되었을까요? 많은 사람들은 이스라엘의 북쪽의 10지파가 영원히 사라졌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자주 “잃어버린 10지파”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학적으로 일치하는 의견은 보통 이들이 이방국가에 의해서 흡수 되었거나 단순히 다같이 죽어나갔다고 생각합니다.
But what does God’s Word have to say about their fate? Through the prophets, God depicts them as wandering until His will and plan could be brought to completion. The prophet Amos said: “Behold, the eyes of the LORD GOD are on the sinful kingdom, and I will destroy it from the face of the earth; yet I will not utterly destroy the house of Jacob, says the LORD. For surely I will and will sift the house of Israel among all nations, as grain is sifted in a sieve; yet not the smallest grain shall fall to the ground” (Amos 9:8-9, emphasis added throughout).
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에서 그들의 운명에 대하여 뭐라 말하고 있을까요? 선지자들을 통해서, 하나님은 그분의 계획이 이루어질 때까지 그들을 방랑자로 묘사하십니다. 아몬 선지자가 말하기를: “보라 주 여호와 내가 범죄(犯罪)한 나라에 주목하여 지면에서 멸하리라 그러나 야곱의 집은 온전히 멸하지는 아니하리라 이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망령하여 이스라엘 족속을 만국중에 체질하기를 곡식을 체질함같이 하려니와 그 한 알갱이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아모스 9:8-9, 강조문 추가됨).
According to Amos prophecy, the descendants of these Israelites were fated to wander among the nations until they fulfilled their destiny. God would know exactly where they would be found, for they would not disappear as a people, and He promised not to forget them.
아모스의 예언에 의하면, 이스라엘인의 자손들은 그들의 운명이 이루어질 때까지 방랑자의 생활을 하는것 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어디서 찾으셔야 될지 확실히 알고 계셨습니다, 그들은 그저 백성들로 사라지지 않을것 이며, 하나님은 그들을 잊어먹지 안으실 거라고 약속하셨습니다.
God also prophesied: “Yet the number of the children of Israel shall be as the sand of the sea, which cannot be measured or numbered. And it shall come to pass in the place where it was said to them, ‘You are not My people,’ there it shall be said to them, ‘You are sons of the living God.’ Thn the children of Judah and the children of Israel shall be gathered together, and appoint for themselves one head; and they shall come up out of the land. For great will be the day of Jezreel [at the time of Christ’s coming]!” (Hosea 1:10-11).
또한 하나님이 예언하시기를: “그러나 이스라엘 자손의 수가 바닷가의 모래같이 되어서 측량할 수도 없고 을 것이며 전에 저희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곳에서 저희에게 이르기를 너희는 사신 하나님의 자녀라 할 것이라 이에 유다 자손과 이스라엘 자손이 함께 모여 한 두목을 세우고 그 땅에서부터 올라오리니 이스르엘의 날이 클 것임이로다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시는 날에!]” (호세아 1:10-11)
God’s plans include the “lost 10 tribes” of Israel as well as Judah, the descendants of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who include modern-day Jews. After Christ returns to earth, say many biblical prophecies, He will gather their descendants and bring them back to their ancestral homeland.
하나님의 계획은 이스라엘의 “잃어버린 10지파”와 현세대의 유대이고, 고대의 남쪽 왕국 유다의 자손들인 유다지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성경의 예언에 의해서, 그리스도께서 이 땅에 돌아오시면, 그분은 그들의 자손들을 모아서, 그들 조상의 고향으로 돌려보내신다고 나옵니다.
Isaiah prophesied of a second exodus of these people from the house of Israel and the house of Judah: “And in that day there shall be a Root of Jesse [Jesus Christ], who shall stand as a banner to the people; for the Gentiles shall seek Him, and His resting place shall be glorious. It shall come to pass in that day that the LORD shall set His hand again the second time to recover the remnant of His people…and will assemble the outcasts of Israel and gather together the dispersed of Judah…There will be a highway for the remnant of His people who will be left from Assyria, as it was for Israel in the day that he came up from the land of Egypt” (Isaiah 11:10-16).
이사야는 이스라에르이 집과 유다의 집에서부터 사람들의 두번쩨 ‘출애굽기’에 대해서 예언합니다: “그날에 이새의 뿌리 [예수 그리스도]에서 한 싹이 나서 만민의 기호(旗號)로 설 것이요 열방이 그에게로 돌아오리니 그 거한 곳이 영화로우리라 그날에 주(主)께서 다시 손을 펴사 그 남은 백성(百姓)을…돌아오게 하실 것이라 여호와께서 열방(列邦)을 향하여 기호(旗號)를 세우시고 이스라엘의 쫓긴 자를 모으시고 땅 사방에서 유다의 이산(離散)한 자를 모으시리니…그의 남아 있는 백성(百姓)을 위하여 앗수르에서부터 돌아오는 대로(大路)가 있게 하시되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오던 날과 같게 하시리라” (이사야 11:10-16)
In the next installment, we will examine what archaeology tells us about the nationof Judah, which outlived the kingdom of Israel by more than a century.
이 다음 발간지에서, 우리는 이스라엘 왕국보다 1세가 더 오래간 유다왕국에 대해서 고고학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살펴볼것 입니다.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근동 종교의 상징 세계와 야훼 종교의 첩경 예비 (0) | 2012.09.16 |
---|---|
[스크랩] 선교지의 영적 전쟁 이해 (노윤식) (0) | 2012.09.16 |
[스크랩] 선교지의 영적 전쟁 이해 (노윤식) (0) | 2012.09.16 |
[스크랩] 선교적 관점에서 본 회심과 개종 (이용원) (0) | 2012.09.16 |
[스크랩] 고대교회의 선교 (김영도) (0) | 201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