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스크랩] 역사적 관점에서 본 선교

수호천사1 2012. 8. 21. 18:11

역사적 관점에서 본 선교



1. 역사적 관점에서 본 선교

1) 초대교회
    핍박 선교,교회가 선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바울 선교시대

    이방 선교의 길이 열리고 정리가 되다. 예루살렘에서 일루리곤까지. 바울서신(선교서신)이 완성되다.

3) 로마 선교시대

    세계로의 길이 열리다, 선교훈련장으로서의 로마

4) 이슬람의 출현과 암흑시대

    두 번째로 큰 종교집단 형성

5) 개인 선교 비전 시대

    패트릭,콜럼바,진젠돌프와 모라비안, 데이빗 브레이너드.

6) 19세기

- 위대한 시대
- william Carey: 해안선 시대, 현대 선교의 아버지
- Adoniram Judson: 인도와 미얀마
- Henry Martin: 인도, 페르시아, 성경번역
- David Livingston: 위대한 탐험가
- Hudson Taylor: 내지 선교시대

7) 20세기

- 더 위대한 세기
-선교의 역량과 능력이 영국에서 미국으로 옮겨갔다.
- 여성 선교사들의 등장: Betsy Stoken(1823년 최초의 여성 선교사)
- 성경번역과 종족선교개념의 시작: 카메룬 타운젠드(WBT, SIL), 폴 플레밍(NTM)
- 학생 선교운동이 일어남(케임브리지 7인과 C. T. Studd), SVM(Student Volunteer Movement)와 존 모트(John Mott) 100명의 프린스턴 서약(Princeton Pledge)
- 회교 선교의 전문화 시도: Samuel Zwemer
- 선교단체의 등장: C & MA의 선교단체(대표: A. B. Simpson)
- NTM의 5명의 선교사가 1943년 남미에서 순교 당함: 미전도 종족 선교의 당위성을 깨닫게 하고 교회에 도전을 줌.
- 아오카족 선교를 위해 순교한 5명의 선교사(1955년 Pete Fleming, Nate Saint(MAF), Roger Eudrian(Gospel Missionary Union), Jim Eliot, Ed Macoley)
- 미전도종족의 분포도와 정확한 통계를 기초로 한 전략수립
- AD 2000 and Beyond Movement와Joshua Project I, II전개
- Unengaged People Group을 위한 마지막 전략

8) 21세기

- 가장 위대한 세기의 비전
- 마24장14절의 완성을 기대하는 세기
- 정치적,문화적 장벽이 전환된 세기
- 전 세계가 지구촌이 된 세기

2. 문화적 관점에서 본 선교


1) 문화명령의 몰락 (시11편 3절의 현실성)

- How should we then live: Francis Schaffer

2) 마태복음 24장의 마지막 징조의 현상

-종교적 혼란:Islam의 지하드의 실현- 핍박, 테러, 인도네시아와 나이제리아의 종교분쟁, 힌두와 달릿 종족의 회심
- 정치적 혼란: Pax-Americana, North Korea의 핵과 악의 축, 이스라엘과의 영원한 전
-사회적 혼란:인간 복제,기근,윤리적 마지막 타락,영화,예술이 몰락,총기 난동,자살,이혼,학교의 윤리,윤리의 부패-동성연애,성전환
-환경적 혼란:환경오염, 지진, 온난화 현상, 중환자실의 지구
- 순수한 문화형성의 불가능: 대중문화, Fun Culture, Amusing ourselves to death(Neil Postman)
-골짜기 어두움의 세상:인디안, 흑인과 아프리카인의 고통, 인디오, 인도의 달릿 종족(Untouchable People, 2억 5000만) 마약중독자, 도박 중독자, 알콜중독자, 말라리아, Aids, 유전병, 아보리진, 피그미족, 사막의 유목민, 비참한 미전도부족, Tribalism, 가난 (적빈과 탁빈), 팔레스탄인의 사람들

2) 선교명령의 비전(사 40장 3-6절)

- 하나님 나라의 시작:눅 3:3-6
- 하나님 나라의 확장: 마 28:18-20, 행 1:8
- 하나님 나라의 도래: 마 24:14, 계 22:20
- 안디옥 교회의 모델화
- 모든 성도,모든 교회의 선교화

3) 문화명령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은 불가능

- 선교명령의 성취를 통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만이 우리의 희망이다.
- 세상의 시간과 역사 속에서의 그림

3. 한국선교의 전문성개발과 Mission Moratorium의 경각


1) 선교지와 선교사의 우선순위와 선교의 목적

- 선교사인가 선교지인가?

2) 선교의 동기는 어디서 시작하는가?

- 감동으로 선교를 시작할 것인가?아니면 전략적으로 시작해야 할 것인가?
- 전략적 선교와 전문화의 이해
- 바른 성경적 선교와 현대 선교의 이해

3) 선교는 선택인가(Optional extra)?

-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 칼 바르트와 선교의 이해
- 교회와 선교단체(Modality와 Sodality)와의 공생과 공존
- 예배와 선교: John Pipper, Bruce Dipple

4) 종말론적 선교와 선교적 종말의 이해와 적용

- 마 24:14, 행 1:8, 계 22:17, 20

5) 프로젝트의 선교의 장점과 위험

- Evangelism Centric
- Management의 과부하현상
- 상황화의 대처의 지혜

6) 중복투자와 소수부족의 선교의 균형


7) 문화 이해와 Contextualization

- Oral society의 상황화
- 언어에 담긴 문화 이해

8) 교회, 선교단체, 선교사의 관계성 이해와 네트워킹


9) Faith 선교와 Fund Raising의 이해


10) 지역 교회의 선교의 전문성 결여와 미래 내다보기

- 전문가와 비전문가 인정
- 헌신자의 행정을 비헌신자가 동역

11) 각개 전투식 게릴라전의 선교

- 팀 선교의 개발
- 미래적 사역

12) 평신도 선교사란?

- 선교사는 선교사다
- 전문인 선교사란 단지 색깔을 구분하는 것뿐이다
- 선교사의 질이 중요하다

13) 비서구적 혹은 탈 서구적인 선교의 이해

- 문화적 실제-뾰족탑,교회의 건축,주보
- 정신적 실제-약속, 시간, 개인생활의 침해, 사영리
- 신학적 실제- 조직신학, 교회사, Terminology, 신학교

14) 단기선교의 효율성

- 선교를 이해하기 위한 여행
- 타문화 이해
- 하나님의 손길을 체험
- 선교지 탐방을 통한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 배출

15) 종합적 콜링과 단순콜링


16) 비전문적인 많은 선교단체

- 전문적 사역을 비전문화 시킨다.
- 중복사역을 피해야 한다.

17) 선교사 돌보기(Missionary Care)

- 휴가,안식년
- 안식년은 쉬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역이다.
- 자녀 교육
- 영육의 치료
- 지적 치료

4. 요나 선교학교

1) 하나님이 지으시고 사랑하시는 세상 보기
2) 미완성 과업의 성취를 위한 전략
3) 선교의 시급성과 중요성
4) 선교의 성경적 기초
5) 이사야서의 하나님의 나라와 선교
6) 요한계시록의 선교
7) 아브라함과 선교적 흐름을 통한 구속사
8) 예수님의 선교의 침묵
9) 마태복음안의 선교
10) 베드로와 사도들의 선교의 혁명
11) 4 복음서 속의 선교의 기본원리
12) 바울의 위대한 선교, 부름, 헌신, 확신과 계시
13) 바울과 고난
14) 로마서를 로마서 되게 하라.
15) 선교와 사탄의 왕국의 전쟁
16) 선교행전, 성령행전, 사도행전, 성령 충만
17) 교회의 모델인 안디옥 교회
18) 사도성의 연속과 신사도시대
19) 무릎 선교사-100만 무릎 선교사
20) 한국교회의 세계 선교의 부름
21) 작은 교회도 아름답다: 선교와 목회의 건강한 그 교회(The Church)로 틀 짜기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