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해석하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그렇다고 어려운 것만도 아니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비유로 말씀하고 그 내용을 따로 설명해주었다. 그 까닭은 다른 사람들이 그 내용을 깨닫지 못하게 하려 한 것처럼 꿈의 내용도 제 삼자가 알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비유를 사용하신다. 사용되는 상징들은 꿈을 꾼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상징을 사용하신다. 꿈은 하나의 비유이므로 이 비유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1.꿈을 해석하는 요령들
꿈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적인 요령이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성령이 그 때마다 주시는 감동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꿈의 해석에 임하기 전에 알아 두어야 한다.
1)보여주며 말하기
선생님이 학생에게 사진을 보여주면서 그 배경을 설명하는 것처럼 하나님은 우리에게 상황에 따른 화면을 보여주면서 말씀하신다. 농부였던 아모스에게 하나님은 여름 실과를 보여주면서 말씀하심으로써 말씀하시고자 하는 내용이 아모스에게 구체적으로 분명하게 전달되었던 것이다. 시청각 교육의 효과는 그 인상이 오래 지속되고 분명하게 이해된다는 것이다. 세속적인 사람들은 꿈에 본 것이 그대로 현실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경은 이러한 증거가 없다. 성경에는 일련의 사건들, 줄거리, 간단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꿈들도 언제나 해석을 필요로 하였다.
꿈이 너무나 사실적이어서 그 꿈을 상징이나 비유로 여기지 않아 내용의 핵심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자연적인 생각에 의존해서 이해하려는 태도에서 벗어나 꿈을 바르게 해석하는 훈련을 쌓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모든 꿈을 상징적으로 이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2)꿈을 분할한다
단순하지 않고 복잡한 꿈은 문장을 여러 문단으로 나누어 각 문단의 의미를 먼저 이해하고 그 것을 종합하여 큰 틀에서 전체를 이해하듯이 꿈도 몇 단원으로 분할하여 세부적으로 이해하기를 먼저 한다.
단편으로 나눈 꿈을 하나의 개별적인 꿈처럼 생각하고 그 내용을 성령께서 가르쳐 주시기를 간구한다. 성령의 감동을 구하는 방법은 “예언”에서 다루었다. 이렇게 해서 한 문단씩 성령의 감동으로 해석하여 종합한다. 이러한 훈련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성령의 감동에 의한 분별력을 키울 수 있다.
3)스스로 질문하기
꿈의 단편들에 대해 마치 묵상 기도할 때 말씀을 놓고 거듭 묵상하듯이 꿈의 단편들을 내려놓고 그 내용을 묵상한다. 다니엘은 꿈을 묵상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자신의 꿈은 물론 다른 사람의 꿈도 묵상하였다. 꿈을 묵상하는 요령을 살펴보면,
전체의 꿈속에서 그 단편이 들어있는 까닭이 무엇인지 묵상한다.
단편에 나타난 상징들이 전체 꿈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묵상한다.
꿈의 진행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상징이 무엇인지를 묵상한다.
꿈에서 자신이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를 묵상한다.
4)꿈과 자신의 상황을 연관 지어 생각하기
대부분의 꿈은 지신에게 주어지는 내용이다. 예언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내용의 95%는 자신에게 5%는 타인에게 주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꿈은 자신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상황에 적용하여 생각한다. 꿈에 대한 경험이 싸여갈수록 꿈의 내용은 점차로 중보적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예언자가 그 은사가 직임이 되면 거의 모든 내용이 중보를 위한 것이 되듯이 꿈 또한 그러하다. 그러나 초기에는 자신을 위한 것이 대부분임을 알아야 한다.
2.그룹으로 꿈을 해석하기
<이 자료는 Principles of christian dream interpretation, Mark & Patti Virkler에서 옮겨온 것임>
1)칠판 접근법(non-threatening, non-authoritive, fun approach)
-꿈 꾼 사람이 자기 꿈을 그룹 앞에 나와 읽는다.
-읽는 동안 다른 사람이 칠판에 요점을 적는다.
-첫 번째 요소부터 시작하여 그룹의 성원들이 의견을 제시한다. 제시된 내용을 칠판에 차례로 적는다.
-사건/요소가 다 기록되면 꿈 꾼 사람이 나와서 감동이 되는 부분에 ¨표를 한다.
-꿈꾼 사람이 해석이 되면 이것을 구룹과 나눈다.
2)요점 질문 접근법(key question approach, guide self discovery)
-큰 소리로 꿈을 읽는다.
-첫 번째 사건/요소로 시작하여 끝까지 듣는 사람이 질문을 한다.
·그 사람의 주요한 특성이 무엇인가?
·짐승이 나타내는 감정이 무엇인가?
·어떤 방법으로 경험했는가? 등이다.
3)큰 그룹 논증법(large group demonstrations)
-사회자가 주도하여 1,2의 접근법을 이용하여 꿈을 해석한다.
-그룹을 5-6명으로 나누고 2-3시간 동안 그룹 내에서 각자의 꿈을 다룬다.
장봉운목사.
'치유.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꿈에 나타나는 색상들 (0) | 2012.03.10 |
---|---|
[스크랩] 환상 (0) | 2012.03.10 |
[스크랩] 꿈의 언어 (0) | 2012.03.10 |
[스크랩] 꿈이란 무엇인가? (0) | 2012.03.10 |
[스크랩] (이하는 박태식 서강대강사의 글이다) 꿈이란 (0) | 201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