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T. |
온전한 복음 위에 성령의 교통으로 말미암아 세워진 교회 공동체는 개인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
▶ 관점ⅰ) 교회는 영향을 미친다.
ⅱ) 교회는 삶의 대안이다.
ⅲ) 그리스도가 문제의 해결자시다. : 온전한 복음
ⅳ) 실제적으로 가능하게 해 주시는 분은 성령이시다. : 성령의 교통
1. 논의의 출발점 ; 왜 세계관 공부를 하여야 하는가? (ex. 코끼리 이야기)
이 질문을 다른 식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오늘날의 교회는 사회와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어야 하는가?”
cf. 여기서의 교회는 작게는 각 개인에서, 크게는 전 인류를 포함하는 시․공간적 개념을 초월한 보편적 교회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 질문을 온전히 이해하고 답하려면 교회의 주인인 하나님에 대한 先이해가 있어야 한다.
2. 진정으로 참된 최고의 실재는 무엇인가?
→ 니체는 “神이 죽을 때 인류의 문화는 그 무게를 잃게 된다”고 했다.
↕
‘영광을 얻는다’
1) 삼상 4:21“이가봇” → 하나님의 영광이 이스라엘을 떠났다
2) 단 5:25-28“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
→ 너는 저울에 달아보니 부족함이 보였다
→ 하나님은 really real reality(진실로 실존하는 존재), I am that I am(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이다.
따라서 어떤 존재라도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면 겉만 남고 속은 텅 비어 그 무게를 잃게 된다. 곧 하나님 외의 모든 존재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의미,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 우상은 하나님과 관계가 없으므로 아무 것도 아닌 존재가 된다.
또한 부흥은 ‘온 세상이 하나님의 영광으로 가득 차게됨’(합 2:14)과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함’(사 11:9)을 말한다. 그리고 바로 오늘날의 교회는 사회에 이 부흥을 이야기하고 보여 주어야만 한다.
3. 하지만 오늘날의 현실은 어떠한가?
오늘날의 교회가 사회와 온전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님의 실존하심을 보이며, 온 세상이 하나님의 영광으로 가득 찬 부흥을 외치며, 보여주고 있는가?
역사를 살펴보면 믿음의 시대가 지나가면, 다음으로 관습의 시대가 오며 그 뒤를 탐닉의 시대가 따른다.
우리의 현실은 니체 시대의 영국이나, 1980년대 이후의 미국처럼 관습의 시대에서 탐닉의 시대로 넘어가는 그 중간단계에 와 있다. 이 시대의 특징은,
ⅰ) 희망대신 공허함이 드러남
ⅱ) 현실과 말 사이에 간격이 벌어짐
ⅲ) 진정한 힘(믿음을 강하게 하고, 윤리의식을 단호하게 하며, 한 나라를 위대하게 만드는 힘)의 상실
4. 현실 사태의 이유는 무엇인가?
영적으로 현실적이면서 |
교회의 사회참여 부재 때문이다. | ||
사회적으로 적실성있는 |
이처럼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파악하면, 현대사회에서 드려질 예배와 영성(제자도, 삶)에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의 대답을 찾을 수 있게 된다. 그것이 바로 세계관이다.
5. 우리가 세계관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 처음의 논의의 출발점으로 되돌아가서 우리가 세계관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 하나님이 세상을 바라보시는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ⅱ) 교회와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ⅲ) 성경적 세계관(하나님의 관점)을 이해해서 나의 개인적인 삶과 사회적인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세계관(Weltanschauung) |
1. 세계관(Weltanschauung / Worldview) :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전제의 틀”
→ 세계관은 어떤 지식의 취사 선택을 결정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행동하게 동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강한 실천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기독교적 세계관 : 예수 그리스도처럼 사고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는 “지성”
(삶+앎+행함)
우리가 앞으로 배울 내용이 바로 이 기독교적 세계관에 대한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처럼 사고하고 판단하여 행동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며, 그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해서도 간과하기 쉽다.
기독교인이 되는 것 |
기독교적이 되는 것 |
기독교를 이야기할 때, 기독(基督)은 그리스도의 한자식 음역이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기독교인은 ‘그리스도의 사람’을 말하며, ‘그리스도처럼 생각함’과 동일한 의미이다.
하지만, 앞에서 살펴본 오늘날의 현실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기독교인이 되는 것’과 ‘기독교적이 되는 것’이 분리됨으로 발생한다.
단적인 예가 바로 우리 나라인데, 서구의 기독교 지도자들은 한국교회에 대해서 두 번 놀란다고 한다. 첫째는 물론 한국교회의 괄목할만한 성장 때문이고, 둘째는 인구의 25%, 천만 성도를 자랑하는 한국교회가 한국사회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데 놀란다.
아니 한국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도적인 직분에 있는 사람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다. 우리는 여기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견지해야할 이유를 깨달을 수 있다.
4. 기독교적 세계관을 견지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ⅰ)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 인정
ⅱ) 이원론적 행습의 탈피
ⅲ) 풍성한 삶으로의 회복(최초 에덴의 안식 회복)
※ 풍성한 삶(안식)을 방해하는 요소들
ⅰ) ‘세상’과 ‘세속’
ⅱ) ‘영적’인 삶과 ‘일상적’인 삶
ⅲ) ‘이’ 세상과 ‘저’ 천국
5. 복음(전파)과 기독교적 세계관의 관계․역할
※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의 영적 의미
애굽생활 |
↓
도강 홍해 |
↓ (완료적 구원)
광야생활 |
↓ (진행적 구원)
가나안 생활 |
▶ 우리는 앞에서 이야기한 “우주의 궁극적 실재는 무엇인가(진정으로 참된 최고의 실재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인 하나님으로 시작하여, 그 하나님의 창조(Creation)와 인간의 하나님에 대한 불순종인 타락(Fall), 하지만 변함없이 인간과 피조세계를 사랑하심으로 인한 구속(Redemption)을 틀로 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이야기하겠다.
그리고 기독교적 세계관과 다른 세계관을 비교하여 우리가 진정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견지해야 함을 알고, 이를 실재적인 영역에서 적용함을 이번 강의의 목표로 한다.
'문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세계관학교 제3강 강의안 (0) | 2012.03.03 |
---|---|
[스크랩] 세계관학교 제2강 강의안 (0) | 2012.03.03 |
[스크랩] 물고기의 의미 (0) | 2012.02.25 |
[스크랩] 창조론과 진화론비교 (0) | 2012.02.24 |
[스크랩] 결론 (다니엘서) (0) | 201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