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교회와 동방교회가 갈라진 역사적 배경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으면서도 이에 굴하지 않고 신앙을 지켜 온 그리스도교는 11세기 서방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로 갈라졌고 오늘날까지 숙제로 남아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서방 가톨릭 교회는 그로부터 약 500년 후 가톨릭과 개신교로 다시 갈라졌다. 서방 가톨릭 교회의 중심은 로마이고 그 언어는 전통적으로 라틴어 였으며, 수장은 로마 주교, 즉 교황이다. 반면 동방 정교회는 그리스어를 쓰는 동로마, 즉 비잔틴 제국을 중심으로 황제의 통제를 받으며 발전하였다. 교회 내적으로는 콘스탄티노플(오늘날 터키의 이스탄불) 총대주교가 동방 정교회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공식적 분열은 1054년 성령에 대한 신학적 논쟁으로 발생하였지만, 사실 이 두 그리스도교 세계가 나뉜 것은 그보다 훨씬 이른 로마 제국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로마제국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313년 그리스도교 신앙을 허용하였고,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교내의 신학적 이견들을 조정하여 통일된 그리스도교 신앙을 추구하였다. 단일 제국, 단일 법, 단일 그리스도교 신앙의 이상을 꿈꾼 것이다. 그런데 그는 330년 제국의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옮겼고, 이후 라틴어를 쓰는 로마와 그리스어를 쓰는 콘스탄티노플은 필연적으로 언어·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처지에 이르게 되었다. 더욱이 누가 그리스도교회의 지도자가 되느냐하는 문제는 로마 주교와 콘스탄티노플 주교의 대립을 야기했다. 로마는 베드로와 바오로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써 그 역사적 상징성으로 인해 그리스도인들의 존경을 받았고, 콘스탄티노플은 제국의 새로운 수도로써 “새로운 로마”라고 불리면서 그 권위를 인정받았다. 무엇보다도 황제가 거처하는 수도였기에 그가 임명한 콘스탄티노플 주교는 높은 권위를 지녔다.
언어·문화적 이질감은 시간이 흐를수록 두 지역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이 되었고, 성령이 성부에게서 나오느냐, 아니면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느냐는 문제로 결국 서로 등을 돌린다. 이미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그리스도 교회 지도자 150명은 “성령께서는 성부에게서 발(發)하시고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영광과 흠숭을 받으시며”라고 선포하면서 “성령이 성부에게서 나온다”는 신앙을 고백하였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스페인 지역 교회에서 성령이 성부뿐 아니라 성자에게서도 나온다고 언급되기 시작하였고, 1014년 로마 교황 베네딕토 8세가 381년 공의회 고백문에 성령이 성부 뿐 아니라 “성자에게서(Filioque)” 나온다는 문구를 공식적으로 삽입하였다.
동방 정교회는 교부들이 합의한 신앙 고백문을 함부로 고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로마 가톨릭의 움직임에 강력히 반발하였다. 그러나 결국 1054년 7월 16일 교황 대사 훔베르토 추기경이 콘스탄티노플 성소피아 성당 미사에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를 파문하였다. 이 날 이후 라틴 로마 서방 교회와 그리스 콘스탄티노플 동방 교회는 완전히 갈라져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하나의 지체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둘이 있을 수 없다. 모든 세계 교회는 하나이다. 그런데 왜 교회가 희랍 정교회(동방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서방교회)로 분열했는가? 그 분열의 원인(遠人)은 주후 395년에 로마제국이 동·서로 분리된데 있다. 당시 로마제국은 가톨릭(우주적 공교회)이라는 하나의 교회로 통일되어 있었으나 476년 서로마가 망한 후 각 제국의 관할권에 있는 교회들이 통일성에 차츰 틈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동서 교회 분열의 가장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원인은 로마교구의 대주교인 교황과 콘스탄티노플 교구의 대주교 간의 교권쟁취였다. 동방교회는 대주교가 사도의 계승자로 보기 때문에 로마 교황과 대등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로마의 교황권을 부정한다. 갈등 관계를 유지하던 두 교회는 이렇게 하여 1054년 완전히 갈라서고 말았다. 그후 1453년에 이르러 이슬람의 터키 군대에 의해 콘스탄티노플이 점령되자 희랍 정교회의 대주교가 러시아로 피난한 것이 계기가 되어 러시아 정교회가 되었다.
◇이 두 교회의 예배의식이나 성례전은 모든 것이 같다. 이들은 다 니케아 신조를 받아들인다. 그리고 325년부터 787년 사이에 개최된 7차의 세계교회 회의에서 결정된 교리를 다 인정한다. 성경과 전승을 신앙의 중요한 요소로 믿고, 성상화나 성유에 대한 예배,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되지만 선행을 하여 공로를 쌓는 것이 구원을 받는 조건이라고 믿는다. 7성례와 화체설, 죽은 자와 산 자를 위한 미사, 사제의 교권의 절대성을 믿는다.
◇그러면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는 무엇이 다른가. △성령의 발출에 있어서, 동방교회는 성령이 성부에게서만 나오고, 서방교회는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온다고 가르친다. △서방교회는 교황의 세계적인 권위와 무오성을 주장하지만, 동방교회는 이를 반대한다.
△서방교회는 동정녀 마리아의 무죄성을 주장하지만, 동방교회는 이를 반대한다.
△서방교회는 성찬식에서 평신도에게 떡만 주지만, 동방교회는 떡과 잔을 같이 준다.
△서방교회는 성상화뿐 아니라 성자들의 초상과 조상(彫像)을 숭배하지만, 동방교회는 성상화만 인정한다.
그리고 분열 이후에 또다른 점이 있다면 서방교회는 모든 사제(司祭)는 독신을 요구하나, 동방교회는 하급 사제의 결혼을 허용한다는 것이고, 또 동방교회는 서방교회를 이단으로 본다는 점이다.
'교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한 웨슬리 신학과 우리나라 교회의 신학적 재정립의 필요성 (0) | 2012.02.20 |
---|---|
[스크랩] 삼위일체에 대한 바른 이해 (0) | 2012.02.15 |
[스크랩] 지방교회의 양태론 (0) | 2012.02.15 |
[스크랩] 왜! 우리는 성경적 원리에 충실해야만 하는가? (0) | 2012.02.14 |
[스크랩] 사도신경 영어 (0) | 2012.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