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신경, 누가 만든 것인가?
조승규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도신경에 대한 해설을 할 때, 교회사가이며 성경 변개자인 필립 샤프와 같이(註 1) 사도신경을 ‘기독교 교리의 요약’이나 ‘교회의 믿음에 대한 요약’으로 기술하는데,(註 2) 그 이유는 사도신경을 사도들로부터 유래한 ‘사도의 전통’이나 ‘믿음의 규율’이라고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 성경적 신약교회에 대해 전혀 무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도신경의 기원에 대한 논의에서 늘 제시되는 설명은, 침례를 받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교리문답 교육과 그들의 공개적인 고백을 위해서 믿는 바를 요약한 것에서 생겨났으며, 이것이 점차 정형화된 신조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이렇게 믿음의 요약을 필요로 했던 사람들은 누구인가? 어떤 이유에서 침례에 앞서 교리문답을 위한 모범답안이 필요했겠는가?
신약교회사에 따르면 성경대로 믿는 사람들은 마음의 변화 없이 입술로만 고백할 수 있게 하는 신조나 교리문답서를 작성하지 않았다. 그들은 형식적 종교행위를 위해 어떤 교리 교육도 받지 않고, 또 요약된 신조를 참고하지도 않고 단지 내주하시는 성령님의 인도하심으로 자신들의 믿음을 간증하거나 성령님께서 드러나게 하심으로써(행 8:37; 10:47-48; 16:30-33) 침례받았으며, 신약 지역교회의 회원이 되었다. 그러나 공중의 새들이 와서 거처로 삼는 거짓 교회(마 13:32)가 생성되면서(A.D. 325년 이후) 입술로만 고백하는 이교도들과 거짓 신자들이 거짓 교회로 유입되었는데, 이때 그들은 소위 '신앙고백'의 내용을 그대로 답변하거나 반복함으로써 침례를 받고 그 거짓 교회의 일원이 되었다. 이것이 로마카톨릭이라는 거대한 창녀 교회(계 17:1-18)가 형성된 배경이다. 사탄은 극심한 박해를 통해 복음의 확산을 막고 교회의 순수성을 파괴하는 방법을 포기하고 유화적인 방법으로 교회를 오염시켰는데, 그것은 이교도들과 믿음 없는 사람들을 소위 기독교인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그 도구 중 하나가 바로 로마카톨릭의 신조인 사도신경이다. 이것을 신상고백으로 시인하게 하고 침례를 받게 함으로써 형식적인 카톨릭 교인을 만든 것이다.(註 3)
사도신경은 로마카톨릭이 만든 신조이다.
물론 초기 교부들 가운데 일부가 좋은 의도를 가지고 믿음의 진수를 간명하게 제시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결국 배교를 가져오는 한 도구가 되었다. 현재와 같은 사도신경이 형성되기 이전에 비슷한 내용의 신조들을 제시한 사람들이 여러 명 있었다. 이레내우스(180), 씨프리안(250), 노바티안(250), 오리겐(250), 그레고리 타우마투구스(270), 루시안(300), 싸이릴(350), 에피파니우스(374), 루피누스(390) 등이다. 그러나 이들의 신조들은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형태와 내용에 있어서 차이점들이 많았다. 그 지역에 따라 동방과 서방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첫째는 동방의 신조들로, 이것은 서방의 신조들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길었으며, 서로 다른 내용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많은 교리적 용어들을 담고 있었다. 이 동방 신조들은 결국 니케아 신조(325년, 381년, 451년)로 대체되었다.
둘째, 북아프리카와 고대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지역에 있었던 서방 신조들은 동방 신조들에 비해 짧고 단순하며 형태가 덜 다양하여 비교적 통일된 하나의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니케아 신조를 포함해서 이 신조들은 모두 로마신조(the Roman Symbol)와 혼합되었으며, 이 로마신조가 로마카톨릭의 근본적인 신조가 되었다. 이 로마신조가 소위 “사도신경”(Apostles' Creed)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신조이다.(註 4) 특히 오늘날 로마신조를 “사도신경”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거짓된 기원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명칭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어떤 사도도 이러한 로마신조의 기원을 형성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로마카톨릭이 자신들의 신조에 권위를 부여하고 확산시키기 위한 술책에 불과하다. 그런데 소위 개신교인들이 여기에 동참하여 거짓된 로마신조를 자신들의 신앙고백으로 반복하여 암송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사도신경의 기원은 다름 아니라 로마카톨릭 안에서 믿고 있는 로마신조이다. 이 로마신조의 유래에 대해서 로마 카톨릭은 “열두 사도들이 예루살렘을 떠나기 전에 그들의 가르침을 요약한 것”이 사도신경인데, “사도들이 보다 높은 영감을 받아 열두 항목을 각각 쓴 것”이라고 오랫동안 믿어 왔으며,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믿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암브로스와 루피아누스에 의해 처음 주장되었고, 카톨릭백과사전의 집필자인 펫 마이어스(Pet Meyers) 둥에 의해 여전히 옹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짓된 기원에 대한 설명은 니케아 신조 이전에 다양한 종류의 신조들이 있었다는 사실과 소위 사도신경이 수세기를 거쳐 문구들이 첨가되면서 형성되었다는 역사적 사실 앞에 거짓임이 분명히 드러난다. B.C.250년경에 알렉산드리아에서 칠십 명의 유대인들이 번역했다고 주장되는 칠십인역이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았고, 실제로는 A.D.240년경에 오리겐이 변개시켜 번역한 헬라어 구약성경이 소위 ‘칠십인역’이듯이, 사도신경 역시 사도들이 영감을 받아 쓴 것이 아니라 로마카톨릭이 문구의 첨가를 반복하여 만든 “로마카톨릭의 신조”이다.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초기 로마신조의 짧은 형태는 마르셀루스(Marcellus, A.D. 340)가 교황 율리우스 1세에게 보내는 그의 편지에 기록한 헬라어 신조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註 5)(헬라어는 3세기까지 로마 교회의 지배적인 언어였다), 로마신조의 보다 긴 형태, 즉 현재의 “로마카톨릭 신조”(개신교의 사도신경)는 7세기에 와서야 비로소 열두 가지 문구 모두를 갖춘 완성된 형태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샤프는 7세기에 완성된 사도신경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서 반박하지는 못하고, “사도신경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이 신조는 의심의 여지없이 점진적으로 확대된 것”이라고 고백하면서도 사도신경을 옹호하기 위해 ‘현재 형태의 사도신경은 사도들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지만, 사도신경의 내용과 정신은 진정 사도적인 것이다“라고 궁색하게 변명한다.(註 6) 그러나 사도신경은 전혀 사도적이지 않고, 성경적이지도 않다.
피티 럭크만 박사는 사도신경의 기원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샤프는 니케아공회 당시에 주도적이었던 아타나시우스의 어깨에서 반성경적 오류의 짐을 덜어주고 싶어서인지 아타나시우스 신경의 기원은 ‘신비의 베일’에 가려져 있으며 ‘누구 한 사람의 작품이기보다는 당시 교회 정신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샤프가 말한 그대로 소위 사도신경이라 불리우는 것은 성경을 거부하는 음녀(계 17:1-8)의 생산품이었던 것이다.”(註 7)
그러므로 누구든지 사도신경을 한국 교회가 암송하고 따라야 할 것으로 믿고 가르친다면, 자신의 신앙이 신약 성경과 신약 교회사와는 상관없이 로마카톨릭의 누룩에 취해 있다는 것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註] --------------------------------
1)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WM.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Grand Rapids, Mich., 1989), Vol.II, p.529.
2) 나채운, 『주기도·사도신경·축도』(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5), p.165.
3) Peter Ruckman, 『신약교회사』(말씀보존학회, 1997), pp.131-153.
4) “신조”(信條)라는 말은 영어 “크리드”(creed)의 번역인데, “나는 믿는다”(I believe)는 뜻의 라틴어 “크레도”(credo)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것은 “신경”(信經)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지나치게 높이는 것으로 신조가 적합한 번역이다.
5) 마르셀루스의 신조는 라틴어 본문과 헬라어 본문에 차이가 있다. 헬라어 본문에는 "영원히 사는 것"이라는 문구가 있지만 라틴어 본문에는 없는 상태로 끝난다.
6) Schaff, 앞의 책, pp.531,533.
7) Ruckman, 앞의 책, p.174.
'교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토아 학파(Stoikoi School) (0) | 2012.01.05 |
---|---|
[스크랩] 사도신경의 유래와 그 변천과정 (0) | 2012.01.04 |
[스크랩] 사도신경과 정통교회 (0) | 2012.01.04 |
[스크랩] 성공회 니케아신경 (0) | 2011.12.26 |
[스크랩] 엘샤다이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