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교

[스크랩] 자이나교(耆那敎:Jainism)

수호천사1 2011. 11. 16. 21:21

자이나교(耆那敎:Jainism)

 

 

불교와 마찬가지로 비정통(非正統) 브라만교에서 발생한 출가주의(出家主義) 종교이고, 불전(佛典)에서 니간타(尼乾陀:Nigantha)라고 전하는 종교를 석가와 같은 시대의 마하비라(Mahavira:Mahavira Jayanti)가 재정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지나(Jina:기나:耆那)라는 말은 승자(勝者)의 종교라는 뜻에서 비롯된 말이며, 교조(敎祖)를 <마하비라:Mahavira:대용사:大勇士:우리 나라 개념으로는 대장군>라하며, 교조는 인도(印度) 의 나타풋타(Nataputa:나타족의 아들이라는 뜻)인 <바르다마나>였고, 불교의 교조인 고타마 싯타르(싯달타)와 같은 시대 같은 지방에서 활약한 사람이다. 바르다마나는 30세 때 출가하여 12년간에 걸친 고행(고행) 끝에 완전한 지혜를 깨달아<자이나>가 되었다. 그리고 마하비라 로서 많은 신자를 얻고 30여 년간 포교 활동을 하다가 72세 때 세상을 떳다. 그는 물활론적(物活論的)인 고대의 정령신앙:精靈信仰:애니미즘(Animism)을 계승하여, 동식물이나 자연상태에도 영혼이 존재한다고 인정한 사람이며, 깨끗한 영혼을 지키며, 정신적인 자율성에 의한 해탈을 위해 살생을 금(不殺生:ahimsa)하는 등 엄격한 계율을 세우고 금욕(禁慾)과 고행(苦行)을 중요시했다.

 

나성전(聖典)을 탓발타수트라(Tattvartha Sutra)라 하며 교의(敎義)는 모든 생명체는 서로 의존적 관계라는 상인상대(相因相待)의 Parasparopagraho jivanam이다. 정신과 물질의 이원론(二元論)을 주창하며 세상은 생명(jiva)과 비생명(ajiva)으로 이루어져 있고, 비생명은 다시 공(空:운동의 원리)·비공(非空:정지의 원리)·물질재료·허공·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자이나교에도 오계(五戒)가 있으니 바로 1).비폭력(非暴力:Ahimsa), 2).진실(眞實:Satya), 3),부도(不盜:Asteya), 4).무소지(無所持:Aparigraha), 5). 순결(純潔:Brahmacharya)이다.

 

자이나교의 특성은 또한 고행으로 해탈을 하려는 신앙이다.

 

이렇게 고행(苦行)을 통한 해탈 등은 자연히 세속을 떠나서 염세적(厭世的)이 되며, 성을 금기시하고 단식수양(斷食修養), 동물애호, 채식주의(菜食主義) 등의 교의(敎義)를 내세웠다. 채식주의도 비폭력 불살생에서 연유한 것이다. 출신계급을 따지지도 않을뿐더러 여자도 도사(道士)로 받아들인 점은 불교와 비슷하다. 1세기 말경 공의파(空衣派)와 백의파(白衣派)로 분열되고, 다시 여러 지파(支派)가 생겨났다고 한다.

 

이 자이나교에서 <요가>가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 <요가>도 해탈을 위한 고행이며, 중국의 도교(道敎)도 이 고행수도를 모방한 것으로 비쳐진다.

 

인도의 그 유명한 간디(Gandhi:1869--1948)의 무저항주의(無抵抗主義)도 이 자이나교의 Ahimsa정신이 살아있어서였다 고 해도 무방하리라.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