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투 예루살렘(Back to Jerusalem) 운동의 역사
백투예루살렘비전은 공산혁명이 일어나기 전, 신실한 중국 지하교회의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백투예루살렘운동은 중국 지하교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다음은 백투예루살렘(www.btj.org.uk, www.backtojerusalem.com)홈페이지에 소개된 1920년 '예수가족'공동체에서 시작된 백투예루살렘역사와 1940년대 시작된 노스웨스트성경학교를 중심으로 일어난 운동의 일부이다.
1920년대에 ‘예수가족(Jesus Family)’ 공동체에게 처음으로 중국에서 예루살렘까지 복음을 전하라는 백 투 예루살렘 비전이 시작되었다.
‘예수가족’ 공동체는 1921년 산동성(山東省)에 살던 징디양(Jing Dianying)에 의해 설립되었다. ‘예수가족’ 공동체는 초대교회와 같이 자신의 소유를 팔아 서로 나누는 공동생활을 했으며 이 공동체는 “희생”, “포기”, “가난”, “고난”, “죽음”이라는 5가지 목표를 가지고 생활했다.
‘예수가족’ 공동체는 마을에서 마을로, 도시에서 도시로 이동하며, 복음을 전했다. 그들의 공동체 생활과 사랑은 많은 중국인에게 감명을 주었다. 그들은 당시 극빈층뿐 아니라 지식층과 사회운동가들에게도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실제로 많은 맹인과 거지들이 ‘예수가족’ 공동체에 가입하여 예수를 영접하고 변화되어 복음을 전했다.
‘예수가족’ 공동체는 점점 규모가 커졌지만 그만큼 많은 고난을 받았다. 공동체가 새로운 마을로 들어가게 되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나와 그들을 멸시하고 핍박했다. 하지만 이러한 고난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신을 돌아보지 않고 더욱 담대히 복음을 전했다
‘예수가정’은 백 투 예루살렘 비전을 품은 처음 공동체였다.
이들이 중국 전역으로 복음을 전할 때 많은 사람들은 그들에게 먹을 것과 필요한 것을 채워주었다. 1940년대 후반에는 2 만명 이상의 중국인이 100개 이상 ‘예수가정’ 공동체에 가입하여 중국에 있는 다양한 종교, 민족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했다. 몇몇 모임은 만주, 내몽고, 중국남부까지 복음 전도사역을 했다. 모든 ‘예수가정’ 공동체는 함께 백 투 예루살렘 비전을 공유하며, 사역했고 이들은 모두 기도와 실제적인 사역을 통해 이슬람 국가에서 복음을 전하는 팀을 후원하는 일에 동참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백 투 예루살렘 비전의 방향성은 약해져 갔다. 그것은 백 투 예루살렘의 비전이 리더인 징디양에게 집중되어 그 외 구성원들에게 충분히 공유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후 백 투 예루살렘 비전은 허난성의 노스웨스트 성경학교를 통해 1940년대 새롭게 시작되었다. 마크 마(Mark Ma), 메카차오(Mecca Chao), 시몬조(Simon Zhao)와 같은 그리스도인이 노스웨스트 성경학교 백 투 예루살렘 비전공동체의 일원이다.
1940년도 일어났던 백투예루살렘역사는 초 산시성(陝西省)의 노스웨스트(Northwest) 성경학교에서 공부하던 소수의 그리스도인 모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중국 국경선을 넘어 예루살렘까지 이슬람국가, 불교국가에게 복음을 전하라는 백투예루살렘비전을 받기 전, 수년동안 간쑤성(甘肅省), 닝샤(寧夏)지역에 살고 있는 빈곤자들에게 구제활동과 이 지역에 사는 무슬림들과 불교도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감당했다.
이 모임의 인도자는 허난성(河南省)출신인 마크 마(Mark Ma)목사였는데, 마크 마 목사는 노스웨스트 성경학교의 부 교장으로 섬기면서 무슬림세계로의 복음전파를 위한 강한 도전을 받게 된다. 결국 이들에 의해 1940년도 초, 산시성의 성경학교에서 백투예루살렘 그룹이 생기게 되었다.
노스웨스트 성경학교는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2세(중국내륙선교를 시작한 허드슨테일러의 손자)와 그의 아내 엘리스가 시작한 학교였다. 첫 해는 8명의 학생이 3개월 과정으로 입학했으며 제임스가 교장으로 마크 마 목사는 부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학교는 2년 후 문을 닫았지만, 1943년 부활절날 아침기도로 인하여 이들의 삶은 변화되었고 이 기도를 통해 백투예루살렘비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날의 기도는 중국교회에서 결코 잊지 못할 위대한 순간이었다.
동트기 전 노스웨스트 성경학교의 안마당에는 큰 중국 지도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중국지도 주위로 학생들이 서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북쪽과 서쪽에서 그들을 필요로 한다는 주님의 음성을 듣게 되었다. 동쪽에서 태양이 떠오르기 시작했고, 고요한 침묵은 이어졌다.
“주의 사명을 받은 자들은 이제 그곳으로 떠나라, 그리고 주님이 부르시는 곳으로 서라”
학생들은 조용히 안마당을 가로질러 지도위로 걸어왔다. 안마당에 아침햇살이 가득했을 때, 8명의 젊은이들은 중국 지도의 신장성(新疆省)위에 조용히 서 있었다. 이곳이 바로 중국 북서부의 거대한 복음의 불모지인 것이다.
이 지역의 전통적인 이름은 동투르키스탄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신장성에는 많은 무슬림들이 거주하고 있다. 위구르족, 카작족, 키르키즈족, 우즈벡족과 같은 투르크계언어를 사용하는 민족과, 페르시아계인타직족, 중앙아시아의 대표적 유목민인 타타르족, 중국어를 사용하는 회족, 불교를 신봉하고 있는 티벳족이 신장성에 살고 있다.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 투 예루살렘’운동의 선교적 비전과 전략적 특성 (0) | 2011.08.25 |
---|---|
[스크랩] 백 투 예루살렘운동에 대한 비판적 의견들 (0) | 2011.08.25 |
[스크랩] 마크 마의 백투예루살렘 설립 (0) | 2011.08.25 |
[스크랩] 중국선교, 선교중국 (임일규) (0) | 2011.08.25 |
[스크랩] 중국인 사역자의 해외 신학교육에 대한 제언 (이승곤) (0) | 201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