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단기선교를 위한 세 가지 제언 | |
송기태 선교사(디아스포라 몽골리안 네트워크 공동대표)
김전도사의 고민
S교회 청년부를 담당하고 있는 김전도사는 올해도 고민이다. 작년엔 우즈벡으로 단기선교를 다녀왔는데 올해는 어디로 간담? 올해에는 아프리카로 가볼까? 아니야! 경비가 많이 들어. 그러면 북방쪽으로 가볼까? 아니면 친구 선교사가 있는 일본으로 가볼까?
바야흐로 단기선교가 지역교회의 핵심적인 선교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 단기선교는 사그라지지 않고 계속해서 성장할 추세이다. 단기선교는 지역교회의 '선교의 창'이다. 하나님께서 21세기에 지역 교회의 선교의 파도를 일으키고 계신데 그것이 바로 단기선교이다. 단기선교가 한국 교회에 활성화되고 있으며 꾸준한 선교 운동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참으로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자칫 단기선교가 선교비를 낭비한다는 비판과 단회성 혹은 이벤트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단기선교는 결코 선교의 차선책이 아니다. 단기선교는 세계 선교 완성을 위한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하나님의 전략이다. 그러면 이러한 단기선교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할 것인가? 세 가지를 살펴보자.
전략적 단기선교의 가장 첫 번째는 타겟 설정이다. 타겟이 없는 단기선교는 아무런 열매를 얻지 못한다. 성공과 실패의 여부를 평가할 수가 없다. 단기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이 사역을 통해서 어떤 열매를 맺을 것인가 하는 '미션'에 관한 것이다. 미션은 분명한 목표를 동반한다. 장기선교와 마찬가지로 단기선교에 있어서도 그 타겟이 분명해야 한다. 그 타겟은 적으면 적을수록 좋다. 그래야 분명한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타겟으로 가장 우선순위를 둘 수 있는 곳은 파송 선교사가 있는 지역이다. 이미 파송 선교사가 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역하는 곳을 지원하는 것이 단기선교의 효율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단기선교의 전략이다. 단기선교는 집중성이 중요하다. 흔히 보면 매년 단기선교의 지역을 바꾸는 교회가 많이 있다. 참가자들이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이유가 가장 크다. 그러나 단기선교는 참가자들의 흥미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매년 다른 지역을 선정하여 단기선교를 하는 것은 참가자들의 안목을 넓히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어도 선교 사역의 열매를 맺는 데는 가장 효율성이 적은 방법이다. 매년 같은 곳에서 사역을 할 때 사역에 대한 노하우가 깊어진다. 현지 선교사와의 관계가 깊어진다. 또한 현지인들과의 친화력이 생겨서 매년 해가 갈수록 사역의 열매가 점점 커지게 된다. 지역 교회 성도들도 선교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지역 교회의 단기선교는 임무가 완수될 때 까지 매년 같은 지역에 집중해야 한다. 전략 3 - 장기적인 단기 선교 : 얼마나 오랫동안 집중해야 하는가?
선교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그 지역에 자생적인 현지인의 교회를 설립하는데 있다. 따라서 단기선교도 이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는 최소한 10년 정도는 같은 지역을 향하여 사역을 집중해야만 사역의 한 단계를 마감할 수 있다. 캐나다의 어느 한인 교회는 10년을 북한 선교에 집중해 왔는데 이제야 북한 측에서 이 교회를 신뢰하여 선교의 기회를 얻고 있다고 한다. 선교사역은 보통 4년을 한 텀으로 계산한다. 첫 텀인 4년 동안은 사역의 기초를 놓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텀인 4~8년 까지는 본격적인 사역의 에너지를 투입하는 시기이고 세 텀이 되어야 비로소 열매를 얻을 수 있는 기간이 된다. 타겟 지역에 스스로 전도하며 가르치며 운영할 수 있는 자생적인 교회를 설립하는 것이 단기 선교팀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장기적인 단기선교 전략이 필요하다.
단기선교는 지역교회의 선교적인 붐이나 성장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사역이 아니다. 그리고 결코 단기적으로 끝나는 사역이 아니다. 지역교회의 단기선교가 필요한 이유는 아직도 복음이 전해지지 않고 있는 전 세계의 미전도 종족 가운데 복음을 전하여 미완성 과업을 완성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단기선교는 지역교회가 무엇을 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단기선교를 통해서 무엇을 성취하려고 하며 무엇을 이루고 있는가 하는 현실적인 열매가 중요하다. 단기선교는 장기선교보다도 치밀하고 예리한 전략이 중요하다. 분명한 타겟을 선정해야 한다. 매년 같은 곳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장기적인 선교의 선상에서 수행되는 단기선교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지역교회의 전략적인 단기선교의 세 가지 요인이다. 전략이 없으면 성공하지 못한다. 특별히 단기선교는 단기간에 수행되며 엄청난 재정을 투자하며 많은 인원이 투입되는 사역이기 때문에 전략이 중요하다.
|
'선교(영원한사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단기선교의 영적전쟁 (박정관) (0) | 2011.02.09 |
---|---|
[스크랩] 단기선교의 용어 정의 (0) | 2011.02.09 |
[스크랩] 맞춤형 단기선교 (김동문) (0) | 2011.02.09 |
[스크랩] 자기만족으로 하는 단기선교는 이제 그만 (0) | 2011.02.09 |
[스크랩] Short-Term Mission - 치밀한 계획이 생명 (0) | 201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