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스크랩] 중국선교 모형과 전략적 접근 (이우윤)

수호천사1 2010. 3. 13. 10:47

중국선교 모형과 전략적 접근

 

이우윤 교수(중국대학선교회 실행위원)

 
 
이 글은 중국선교에 대한 분명한 주장을 제시하기 보다는 중국선교와 관련된 전략적 사고를 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전략적 사고의 훈련은 중국에만 치우치지 않고 세계선교 전략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제시되는 선교모형에 따라  중국선교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와 과제에 대해 파송하는 교회와 선교단체 그리고 선교사가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1. 중국선교에 대한 제 논점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중국선교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 질 수 있다.
 (1) 세계선교에 있어 중국선교의 중요성과 필요성
 (2) 한족선교와 소수민족선교
 (3) 조선족 선교의 중요성과 문제점
 (4) 도시선교와 농촌선교
 (5) 지식인선교와 대중선교
 (6) 미전도 종족 선교와 미전도 지역선교
 (7) 장기선교와 단기선교
 (8) 중국현지에서의 교회 개척과 운영
 (9) 선교에 있어서의 지역연구의 중요성
 (10) 중국 종교의 특징과 선교적 접근
 
2. 중국선교모형의 필요성
 

위에서 제기된 문제는 각각의 주제가 가지는 중요성과 상충되는 면이 있지만 선교 전략의 수립에 있어서는 이런 모든 문제들을 통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전략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이런 여러 가지 문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포괄적 선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중국선교 전체를 이해 할 수 있는 모형이 수립되어야 한다. 중국선교에 대한 전체적인 모형을 두고 위의 문제를 하나 하나 상고해 볼 때 각각에 대한 균형있는 관점을 가지고 되고 각 주제는 별도의 것이거나 상충되는 것이 아니고 상호 보완적이며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아래의 중국 선교 모형은 중국선교와 관련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고자 하는 분석의 틀을 보여 주고 있다.
 
<표 1 : 중국선교에 대한 모형>
 
 
중국의 종족
 
 
 
 
5%
 
 
 
 
 
중국의 미전도종족
 
 
 
 
기준
 
 
 
 
우선선교 대상종족
 
 
 
 
Field
Research
 
기준
(+)
 
현장조사
 
 
우선선교 대상지역
 
 
 
 
 
 
 
 
 
 
거 점 대 학
 
최우선 선교 대상 종족(특정지역)
 
관 문 도 시
 
 
 
U
 
 
P
 
 
C
 
 
 
 
 
 
 
 
 
 
 
Area Research
CUP 모형
 
 
 
 
 
 
 
 
 
 
 
 
 
 
교 회 개 척
 
 
 
 
 
 
 3. 중국선교에 대한 단계적 접근
 
위의 모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을 통해 중국선교에 대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전략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1 중국 종족에 대한 이해
 
13억의 중국인구, 한족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중국 종족을 다음과 같은 분류해 봄으로써 중국선교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1) 종족별 분류

 

중국 내에서 56개로 분류되는 중국의 종족은 언어 및 지역적인 기준으로 세분화할 때 490여개의 종족으로 분류되어 진다. 심지어 11억 정도의 한족도 25개의 종족으로 세분화되어 진다. 중국을 하나의 국가로 보고 선교전략을 수립하는 것보다 56개의 종족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훨씬 다양하고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56개의 종족보다는 490여개의 종족으로 중국을 세분화하는 것은 더욱 구체적인 전략의 수립이 가능하게 한다.
 

(2) 종교별 분류

 

중국인들의 종족별 인구에 대한 다음의 표에서 여러 가지 전략적인 고찰이 가능할 수 있다.
 
<표 2 : 종교별 분류에 의한 중국의 종족>
 
인구수                               복음화율
종족전체 인구
최대종족수
전체 종족수
6% 이상
5%이하(0%)
조상숭배
15,742,350
11,568,000
21
2
19(6)
정령숭배
23,738,620
7,353,300
72
8
64(12)
불 교
3,165,270
1,915,200
9
1
8(1)
기독교
1,473,600
715,100
8
8
0(0)
도 교
63,578,170
59,125,600
14
1
13(2)
이슬람교
22,081,660
10,676,500
12
0
6(6)
무교
1,098,624,660
783,300,200
21
2
19(1)
다신교
19,308,720
4,296,600
94
5
89(33)
샤머니즘
6,266,650
5,811,400
6
0
6(2)
티벳불교
5,529,640
1,245,200
37
1
36(24)

- 기독교가 주된 종교(6% 이상)가 된 8개의 종족은 어떤 과정을 거쳤는가? 그러한 과정이 앞으로의 선교전략에 주는 전략적 의미는 무엇인가?
- 가장 많은 미전도종족이 믿고 있는 종교는 무엇인가?
- 어떤 종교를 믿고 있는 종족이 복음의 수용성이 가장 낮다고 할 수 있는가?
- 복음이 가장 쉽게 수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종교는 무엇인가?
- 각 종교의 기본적인 신념(Belief)는 무엇이며 어떤 면이 복음의 접촉점이 될 수 있겠는가?
 

(3) 지역별 분류

 

다음의 표는 각 성의 종족 집단과 세부 종족 수와 그 종족의 종교 및 복음화율을 도표화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는 여러 가지 선교 전략에 실제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표3 : 지역별 분류에 의한 종족>
성 이름
종족 집단수 
거주 종족수 
종교(해당  종족수)
복음화율
6% 이상
5% 이하
감숙성
2
2
이슬람교(1), 다신교(1)
0
2
강서성
4
8
조상숭배(1), 도교(2),무교(5)
0
8
강소성
1
1
무교(1)
0
1
광동성
2
2
도교(2)
0
2
광서장족
자치구
4
14
조상숭배(2),애니미즘(3),도교(3),무교(1),다신교(5)
2
12
귀주성
7
26
조상숭배(5),애니미즘(17),기독교(1),도교(1),다신교(2)
3
23
길림성
3
3
무교(2), 샤머니즘(1)
1
2
내몽고
자치구
9
6
기독교(1),이슬람교(1),무교(2),샤머니즘(4),
티벳불교(1)
2
7
마카오
1
1
도교(1)
0
1
복건성
2
11
도교(2), 무교(9)
0
11
북경시
1
1
이슬람교(1)
0
1
사천성
3
18
무교(1),다신교(6),티벳불교(11)
0
18
산서성
1
1
무교(1)
0
1
상하이시
1
1
무교(1)
0
1
섬서성
1
1
무교(1)
0
1
신장위구르
자치구
6
7
이슬람교(5),샤머니즘(1), 티벳불교(1)
0
7
안휘성
2
4
무교(3), 도교(1)
0
4
영하회족
자치구
2
2
이슬람교(2)
0
2
요녕성
1
1
무교(1)
0
1
운남성
14
98
조상숭배(4),애니미즘(25),불교(8),기독교(3),다신교(56),티벳불교(2)
9
89
절강성
2
4
무교(3), 도교(1)
0
4
청해성
3
4
티벳불교(4)
0
4
서장장족
자치구
2
6
티벳불교(6)
0
6
하남성
1
1
무교(1)
0
1
하북성
4
4
무교(2),이슬람교(1),조상숭배(1)
0
4
해남성
2
8
애니미즘(6),무교(1),다신교(1)
0
8
호남성
3
3
애니미즘(2),다신교(1)
0
3
호북성
5
4
조상숭배(1),다신교(1),애니미즘(2), 무교(1)
0
3
홍콩
1
4
도교(1),무교(2),다신교(1)
0
5
흑룡강성
5
5
기독교(1),무교(2),샤머니즘(2)
2
5
 
<표4:복음화율 별 상황>
    비율
종족수
6% 이상
5% 이하
5%
4%
3%
2%
1%
0%
294
28
5
7
15
17
124
98
 
 <표5:복음화율 6% 이상의 종족>
복음화율
종족명
종족집단명
종교
인구수
79
maru
景頗族(jingpo)
기독교
23,900
74
gha-mu
苗族(miao)
기독교
91,300
67
lipo,eastern
彝族(yi)
기독교
90,200
52
a-hmao
苗族(miao)
기독교
387,000
42
lisu
傈僳族(lisu)
기독교
715,100
41
russian
俄羅斯族(russian)
기독교
17,400
33
kado
하니족(hani)
기독교
122,900
30
naluo
彝族(yi)
애니미즘
37,600
nasu,eastern
彝族(yi)
애니미즘
413,500
29
korean
朝鮮族(korean)
무교
2,130,000
28
jingpo
景頗族(jingpo)
기독교
25,800
26
wa
佤族(wa)
애니미즘
299,600
25
nasu.wusa
彝族(yi)
다신교
248,500
20
budo
하니족(hani)
애니미즘
10,580
19
lawa
佤族(wa)
Buddhism
55,000
18
guopu
彝族(yi)
다신교
16,920
16
nu
怒族(nu)
다신교
26,200
11
lahu
拉祜族(lahu)
애니미즘
489,400
9
biyo
하니족(hani)
애니미즘
122,900
miao,guiyang(南)
苗族(miao)
애니미즘
36,100
8
hmong daw
苗族(miao)
애니미즘
232,700
wumeng
彝族(yi)
다신교
39,250
티벳an,deqen
藏族(티벳an)
티벳불교
95,750
7
chuanlan
漢族(han chinese)
조상숭배
324,800
achang
阿昌族(achang)
다신교
29,300
6
tho
壯族(zhuang)
조상숭배
134,000
6
maonan
毛南族(maonan)
도교
51,600
漢族(mandarin)
漢族(han chinese)
무교
783,300,200
 
 
- 각 종교의 대표적 종족은 미전도종족의 동일 종교를 가진 어떤 특정 종족과 연결성이 있는가?
- 높은 복음화율을 유지하고 있는 종족의 비결은 무엇인가?
- 복음화율이 몇 % 정도에서 중국교회는 가장 역동적인가? 
 
3.2  중국의 미전도 종족에 대한 이해
 
몇 %이하를 미전도 종족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기준은 조금씩 다르지만 복음화율 5%이하의 종족을 미전도 종족으로 정의하고 이들 미전도 종족을 다음의 분류에 의해 분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종족별 분류(Bai 족의 경우)
종족집단
종족명
종교
인구수
복음화율
거주지역
 
白族 
(Bai) 
 
bai
불교
1,915,200
3
운남성,사천성,귀주성,호남성
bei
다신교
22,900
1
운남성
nanjingren
조상숭배
121,700
1
귀주성
 
 
전체 종족 490 여개의 종족 중 인구 10,000명이상, 복음화율 5% 이하의 종족은 278개 종족이다. 위의 표는 Bai족으로 종교와 인구수, 복음화율, 거주지역등을 표시해 준다.
- 다양한 종교를 믿고 있는 종족집단이 복음의 침투성이 높을 수 있다는 생각은 합당한가?
- bai족 선교의 경우, 어느 성의 bai족을 우선할 것인가?
 
(2) 종교별 분류(샤머니즘의 경우)
종교
종족 명
종족집단명
인구수
복음화율
거주지역
daur
다우얼족(daur)
149,600
1
내몽고, 흑룡강성
ewenki,solon
鄂溫克族(ewenki)
27,150
0
내몽고, 흑룡강성
buriat
蒙古族(mongol)
98,900
0
내몽고
mongol
蒙古族(mongol)
5,811,400
1
내몽고,길림성,요녕성,하북성
xibe,western
錫伯族(xibe)
42,400
1
신장
nung
壯族(zhuang)
137,200
1
광서장족자치구, 운남성
 
 
미전도 종족의 종교 분포는 조상숭배(19개 종족), 정령숭배(64개 종족), 불교(8개 종족), 도교(13개 종족), 이슬람교(12개 종족),무교(19개 종족), 다신교(89개 종족), 샤머니즘(6개 종족), 티벳불교(36개 종족) 등이었다.
 
(3) 지역별 분류(신장위구르자치구의 경우)
     종 족 명
종족집단명
종  교
복음화율
kirgiz
커얼커즈족(kirgiz)
이슬람교
1
tajik,sarikoli
塔吉克族(tajik)
이슬람교
0
uygur,lop nur
維吾爾族(uygur)
이슬람교
0
uygur,yutian
維吾爾族(uygur)
이슬람교
0
uzbek
우즈베커족(uzbek)
이슬람교
1
xibe,western
錫伯族(xibe)
샤머니즘
1
torgut
蒙古族(mongol)
티벳 불교
0
 
(4) 복음화율 별 분류(5%의 경우)
복음화율
종족명
종족집단명
종교
인구수
거주지역
5
漢族,
min dong(閩東)
漢族
무교
8,797,900
복건성
漢族,
min zhong(閩中)
漢族
무교
798,400
복건성
漢族,wu
漢族
무교
81,947,000
절강성,강서성,상해,복건성,안휘성
haoni
하니족(hani)
다신교
122,900
운남성
naisu
彝族(yi)
다신교
49,200
운남성
 
- 5% 종족을 집중 선교함으로써 자립적 교회와 선교하는 교회로 돕기 위한 “5%”선교도 주요    한 전략이 될 수 있다.
- 0% 종족(Zero Zone People:ZZP)에 대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예: 전도지 뿌리기,     관련 종족 연관 맺기, 그 종족 언어로 된 전도 테이프 및 찬송가 보급, 의료선교 및 봉사    활동을 통한 전도 등)
 
3.3  우선 선교 대상 종족의 선정
 

(1) 우선 선교대상 종족의 선정은 과연 필요한가?

 

복음화율 5% 이하의 종족을 소개하고, 한국교회(혹은 세계 다른 나라의 교회)가 각 교회의 입장과 여건에 맞는대로 종족을 선정하여 선교하도록 하고, 이를 조율할 수 있는 역할을 누군가가 할 수 있다면 우선 선교 대상 종족을 인위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성령의 역사를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2) 우선 선교 대상 종족 선정의 필요성

 

위의 복음화율 5% 이하 미전도 종족 중 합리적이고 전략적인 기준에 의해 어떤 종족을 우선적 선교대상 종족으로 선정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신중한 기준에 의해 1차적으로 향후 3-5년 동안 집중해야 할 선교대상 종족을 신중히 선정하고 기도하며 그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한다는 것은 선교의 효율성을 제고하게 된다.①①①①이러한 우선 선교 대상 종족 선정에 있어서의 기준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족집단별 배정: 인구수 혹은 복음화율을 고려하여 한 종족 집단에 하나의 종족 선정
- 인구수: 인구의 절대수가 많은 종족을 우선
- 복음화율: 복음화율 5% 이하
- spring board역할을 할 수 있는 종족: 다른 종족에게 파급효과가 있는 종족
- 단일종족 이 아닌 여러개의 종족 : 한 종족 집단내에 단일 종족이 아닌 여러 종족이 있는 경우
- 단일종교가 아닌 여러개의 종교 : 단일 종교보다는 여러 개의 종교가 있는 경우를 우선
- 해외의 동일종족의 존재 여부 : 동일한 종족이 접경의 다른 나라에 존재하는 종족을 우선
- 복음의 수용성 : 복음의 수용성이 30-40% 이상되는 종족을 우선

- 관련 대학(중점대학, 사범대학 및 민족대학)의 존재

 

이러한 기준에 의해 개략적으로 선정된 우선 선교 대상 종족은 다음과 같다.
 
<표6: 우선 선교 대상 종족>
번호
종족집단
(인구수)
우선 선교대상 종족명
종교
인구수
복음화율(%)
거주지역
1
白族 Bai
(2,059,800명)
bai
불교
1,915,200
3
운남성, 사천성, 귀주성, 운남성
2
布依族 Bouyei
(3,194,750명)
bouyei
다신교
3,176,200
1
귀주성, 운남성, 사천성
3
侗族 Dong
(3,080,900명)
dong,southern
다신교
1,910,200
1
귀주성, 광서자치구, 운남성
4,5
漢族 Han chinese
(1,149,511,500명)
漢族(cantonese)
도교
59,125,600
2
광동성, 홍콩, 해남성, 광서자치구,
漢族(Jin晋)
무교
53,423,000
3
산서성, 하북성, 하남성, 섬서성, 내몽고
6
하니족 Hani
(1,676,030명)
hani
다신교
614,500
1
운남성
7
回族 Hui
(10,676,500명)
hui
이슬람교
10,676,500
1
영하회족자치구, 감숙성, 청해성, 하북성
8
柯爾克族 Kazak
(1,419,300명)
kazak
이슬람교
1,419,300
1
신장, 감숙성
9
拉祜族 Lahu
(543,800명)
lahu
애니미즘
489,400
1
운남성
10
黎族 Li
(955,600명)
li,ha
애니미즘
537,000
1
해남성
11
滿族 Manchu
(12,676,500명)
manchu
무교
12,676,500
1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하북성
12,13
苗族 Miao
(7,979,120명)
ghao-xong(西)
애니미즘
1,057,800
1
운남성, 귀주성, 광서자치구,
호북성, 사천성
hmu,northern
애니미즘
1,612,500
1
귀주성, 광서자치구
14
蒙古族 Mongol
(6,285,200명)
mongol
샤머니즘
5,811,400
1
내몽고, 길림성, 요녕성,
하북성
15
納西族 Naxi
(317,300명)
naxi
애니미즘
271,300
1
운남성 , 사천성
16
서족 She
(867,200명)
she
도교
813,200
1
복건성,광동성,절강성,
강서성, 안휘성
17,18
藏族 Tibetan
(4,818,500명)
amdo,hbrogpa
티벳 불교
700,900
1
청해성, 감숙성, 사천성
khampa
티벳 불교
1,245,200
1
사천성, 티벳, 청해성
19
土家族 Tujia
(7,353,300명)
tujia
애니미즘
7,353,300
0
운남성 ,호북성
20
維吾爾族 Uygur
(9,128,600명)
uygur
이슬람교
9,041,200
1
신장, 운남성 ,광동성, 북경
21
瑤族 Yao
(3,453,600명)
pingdi
Daoism
1,116,000
1
광서자치구, 운남성, 광동성
22,23
彝族 Yi
(8,055,580명)
laluo,mishaba
애니미즘
579,400
1
운남성
nosu,shengzha
다신교
1,024,400
2
사천성, 운남성 , 티벳
24
壯族 Zhuang
(16,416,170명)
zhuang,northern
조상숭배
11,568,000
1
광서자치구, 운남성, 귀주성,
운남성 , 광동성, 하북성
 
3.4 우선 선교 지역 선정과 최우선 선교 대상 종족
 

여기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선정된 특정 미전도 종족은 어느 한 곳만 거주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여러 곳에 분산하여 거주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신장과 호남성, 광동성, 그리고 베이징에 살고 있는 위그루족을 선교하기 위해 어느 지역에 살고 있는 위그루족을 우선으로 하여 선교하는 것이 효율적인가 하는 것이다. 모든 종족을 동시에 선교할 수 없고 모든 지역을 동시에 선교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선교의 우선순위의 문제는 전략적인 의미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선교우선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각 성의 인구수
- 경제적 성장 정도
- 대학의 존재 여부 : 중점대학, 사범대학 및 민족대학
- 주요 도시의 존재여부
- 복음의 수용성 정도

- 해외 동일 종족의 존재 여부

 

또한 미전도종족과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현지조사(Field Research)가 필요하다. 심도있고 계획성있는 현지조사는 미전도종족과 지역에 대해 매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선정된 특정지역의 미전도 종족들을 최우선 선교 대상 종족이라고 부른다. (예:신장의 위그루 족, 운남성의 bai족, 귀주성의 bouyei 족
 
3.5 최우선 선교 대상 종족과 지역연구
 
최우선 선교대상 종족의 복음화를 고려할 때 그 종족과 관련된 대학과 도시를 함께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전략적인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미전도 종족 선교에 있어서 그 종족과 관련된 대학과 관문도시를 고려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인 이유에서 이다.

 

- 대학 : 그 종족의 지식인에게 우선적으로 복음을 전함으로 인한 종족 전체에의 파급효과, 지역연구 및 이해, 언어 연수

- 도시 : 도시로의 이주, 대학이 위치하는 도시에 대한 선교정보, 다른 도시에의 복음의 확장성

 

이렇게 도시(City)와 대학(University)과 종족(People)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특정 미전도종족을 복음화하려는 전략을 CUP모형이라고 한다.

 

CUP모형은

첫째, 우선선교대상 종족을 정하고,

둘째, 각 각의 종족에 대한 우선 선교지역을 선정하는 절차를 거친다.(종족 프로파일) 위의 20개의 우선선교대상종족 각각에 대해 선교대상지역을 정해야 한다.

셋째, 우선선교지역이 정해지게 되면 그 종족과 가장 관련 깊은 대학(중점대학, 사범대학, 민족대학)을 거점대학으로 하여(대학 프로파일) 넷째, 그 대학이 위치하고 있는 도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도시프로파일)

 

이런 CUP모형에 의해 작성되어지는 “관문도시”와 “거점대학”과 “대상종족”에 대한 프로파일을 각각 관문도시 프로파일(city profile), 거점대학 프로파일(university profile), 대상종족 프로파일(people profile)이라고 하여 CUP프로파일(CUP Profile)이라고 한다. 이 프로파일은 관련종족과 지역에 대한 전략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선교의 목적인 현지 교회를 개척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한다
 
4. 선교의 목적 : 교회 개척
 

도시와 대학과 종족에 대한 지역연구(Area Research)를 바탕으로 선교의 최종 목적인 교회 개척을 시작할 수 있다. 교회의 개척에 이어 교회의 운영 그리고 궁극적으로 교회의 위임이 선교의 과정이요 최정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교의 최종 목적이 교회의 개척이라면 파송되는 평신도 선교사는 성경적인 교회관에 대한 이해와 국내 교회에서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목회자 선교사는 자신의 교파를 이식하려는 목적이나 국내의 잘못된 교파적 문제를 그대로 이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복해야 한다.

 

선교의 목적인 교회의 개척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할 핵심적인 과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1) 교회의 기초를 위한 전도의 터(base)를 어떻게 넓힐 것인가?
(2) 현지 중국인 리더쉽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3) 자립적인 교회와 선교적 교회로 어떻게 성장하게 할 것인가?
(4) 이러한 일을 위한 선교사의 자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를 위의 중국선교 모형에 의해 종합적으로 생각하고 창의적인 선교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우리에게 주어진 미완성 과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5. 교회 개척을 위한 CUP 모형의 실례: 호북성 의창지역 투지아족(土家族,Tujia)
 
 
 
중국의 종족
490개 종족,56개 종족집단
 
 
 
 
 
기준
 
 
 
 
우선선교대상종족
     土家族(Tujia)
복음화율:0%, 인구:7,353,300
애니미즘
 
 
 
 
Field
Research
 
기준
+
현장조사
투지아족은 호북성서남부와 호남성 서북부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우선선교대상지역
      湖北省,湖南省
 
 
 
 
 
 
 
 
 
 
 
 
 
 
 
 
거점대학
    三峽大學
지역의 중점대학으로 하나뿐인 종합대학이다. 투지아족학생이 많다.
투지아족의 문화와 교육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최우선선교대상종족(특정지역)
행정구역상 호북성의창시에 속하는
    長陽土家族自治縣
   五峯土家族自治縣
 
관문도시
     宜昌市
의창시는 투지아족의 기본 생활을 위한 행정, 경제, 교육의 중심도시로써
장양자치현은 2시간
오봉자치현은 5시간거리이다
 
 
 
 
 
 
 
 
 
 
 
 
 
      CUP 모형
  - 관문도시 프로파일
  - 거점대학 프로파일
  - 대상종족 프로파일
 
 
 
 
 
 
 
 
 
 
 
 
 
 
 
 
 
교회개척
 
 
 
 
 
[출처. 중주 83호]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