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스크랩] 중국 미전도종족 선교의 연합을 위한 지역균형구도론 (이우윤)

수호천사1 2010. 3. 13. 10:45

중국 미전도종족 선교의 연합을 위한 지역균형구도론

 

이우윤 (선린대학 교수, CUM 중국선교연구소장)

 

 

1. 중국선교에 있어서의 지역균형 구도의 필요성

 

작금의 우리나라 교회의 중국선교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 위기는 우선적으로 선교사를 파송하는 교회와 선교단체 그리고 교단 선교부의 전략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고, 다른 측면에서는 파송받는 선교사 개인의 부르심과 전문성의 부재에서 오는 것이며, 또 다른 측면에서는 선교사 간, 교회간, 선교단체간의 연합적 사고가 놀라우리 만큼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선교사들은 지역적으로 너무나 중복되게 파송되고 있는데, 그 지역 또한 중국 동부 대도시 위주의 생활하기 좋은 곳에 편중되어 있다. 아울러 한 종족을 섬기기 위한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고, 그 종족과 지역에 관한 깊은 사랑과 관심에서 오는 전문성,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교회 공동체에 대한 전문적 이해, 그 사역을 위한 자기 개발과 훈련에 있어서 현격한 결함를 초래하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위기가운데 선교계에서 미전도 종족 선교를 위해 교단 및 선교단체별로 협력적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것이다. 이러한 논의의 핵심적인 것이 선교지 분할인데 본 고에서는 그 개념을 중국 선교에 있어서 “지역 균형 구도” 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선교지인 중국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할하고 각 지역간에 균형적인 구도를 형성해 나간다는 것은 작금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우선 무엇보다 중국 전체의 선교적 필요를 보는 거시적 관점에서 자신의 부르심을 확인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인도를 구할 수 있게 하며, 선교사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선교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할 것이다. 아울러 선교사에게는 자신에게 위탁된 종족과 지역을 전문성을 가지고 섬기게 됨으로써 좀 더 책임성 있는 사역을 감당할 수 있게 한다.

   

2. 지역 균형 구도를 위한 분할의 전제

 

이와 같은 지역의 균형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전제로써 가장 중요한 것은 선교의 대상인 종족을 선교적 개념으로서의 종족으로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선교의 흐름은 종족 선교이며, 중국의 종족은 현재 한족을 포함한 56개의 종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중국 정부에 의해 구분된 정치적 개념으로서 선교의 대상으로서는 충분치 않은 면이 있다. 선교적 측면에서의 종족은 언어, 문화, 지역 등에 의해 더욱 세분화된 종족이며, 실제로 중국 내에서는 세분화된 많은 종족이 존재하고 있다. 문화, 언어 그리고 지역적 개념을 적용한 선교적 종족 개념으로 중국의 종족을 세분화하는 것은 지역 분할에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그리고 우리의 선교의 대상이 이미 전도된 종족이 아니라 미전도 종족이라면 각 종족에 대한 필수적인 선교정보, 예컨대 그 종족 내에 자생적인 교회가 있는가 혹은 복음화율은 몇 % 정도인가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역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Paul Hattaway의 Operation China에 실린 각 종족 별 자료는 향후 지속적으로 보충되고 개선되어야 하겠지만, 매우 귀중한 선교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해 주고 있으며, 그 정보가 우리에게 주는 함축적 의미는 실로 지대한 것이다. 본고의 종족분류도 Operation China의 세분화된 종족 정보에 기초하고 있다.

 

3. 지역분할을 위한 3차원적 기준:省․圈․族

 

지역: 성(省)

 

중국은 매우 큰 나라이며, 그 나라는 일차적으로 각 성으로 대분되어 진다. 省이라고 하는 구분은 행정구획으로서의 의미를 가지지만, 그 구분은 정치, 문화, 법, 지리 그리고 경제라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선교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지역으로서의 省은 중국이라고 하는 한 국가 내에서 지역분할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종교(圈)

 

중국의 한족은 무교이지만, 거의 모든 소수민족들은 그 종족 특유의 민족 종교를 주된 종교로 하고 있다. 공산주의와 문화혁명의 과정에서 형성된 무교적 신앙의 한족과 중국 선교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수민족 선교에 있어서 종교의 비중은 매우 크다.

 

아울러 종교는 문화의 핵심적인 요소로써, 그 종족의 생활과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복음의 접촉점과 장애 그리고 복음의 상황화 등에 있어서 종교는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종족(族)

 

중국의 선교 현장에서 직면하게 되는 중국의 종족은 중국의 일반적인 종족 개념 즉 56개 종족과는 달리 훨씬 세분화된 소위 선교적 개념으로서의 종족인데, 56개 종족을 기준으로 하여 각 종족을 선교적 개념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종족 개념은 각 지역(성)과 관련하여 종족선교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4. 지역분할의 체계적 접근

 

단계1:

중국내의 선교의 대상으로서의 선교적 개념으로서의 종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한다.(세부종족) 본 연구에서는 600여개 이상의 종족을 대상으로 하였다.(Operation China, Paul Hattaway,2001) 각 종족에 대한 주거지, 복음화율, 언어, 교회 상황 등에 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단계2:

위의 각 세부종족을 각 지역(省) 별로 구분한다. 한 종족은 보편적으로 여러 개의 지역(성)에 나누어 거주하고 잇는데, 본 연구에서는 22개의 성과 북경, 상해, 홍콩까지를 포함하여 25개 지역을 일차적인 구분 기준으로 하였다.

 

단계3:

각 지역별 세부 종족을 주된 종교에 따라 구분한다. 중국의 종교는 무교, 다신교, 이슬람교, 티벳불교, 도교, 조상숭배, 애니미즘, 기독교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역별 종족을 그들의 주 종교에 따라 구분한다. 즉 600여개의 세부 종족의 주 종교를 파악하여 같은 종교를 가진 종족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감숙성에는 15개의 세부 종족이 있는데, 이중 이슬람교가 5개 종족, 다신교가 2개 종족, 티벳불교가 8개 종족으로 구분된다.

 

단계4:

종교로 구분된 세부종족을 중국내의 일반적인 종족개념으로 구분한다. 감숙성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지역(감숙성) 내의 15개 세부 종족을 이슬람, 다신교, 티벳불교 등의 주종교, 중국의 일반적인 종족으로 재구분한 것이 다음의 표이다.

 

거주지역

(省)

주종교

종족명

(분할구역)

세부 종족명

감숙성

이슬람교

hui

hui

kazak 哈薩克

kazak 哈薩克

dongxiang 東鄕

dongxiang 東鄕

salar 撒拉

salar 撒拉

bonan 保安

bonan 保安

다신교

tibetan

tibetan,zhugqu 藏,竹曲

tibetan,boyu 藏,鉢盂

티벳불교

mongol 蒙古

oirat 僞拉特

tibetan

amdo,hbrogpa 安多,玻巴

amdo,rongmahbrogpa 安多,容馬玻巴

tibetan,jone 藏,遮呢

baima 白馬

tu

tu

yugur 裕固

yugur,saragh 裕固,撒里

yugur,enger 裕固,恩格而

주) 감숙성의 예를 든 것으로, 전체 자료는 중국대학선교회에 있음.

 

이렇게 할 때 감숙성에서는 지역/종교/종족 기준에 의해 10개의 분할 구역이 생성된다. 이 기준을 중국 전역에 적용했을 때, 중국은 239개의 구역이 있으며, 이 중 25개 구역이 복음화된 전도 구역, 214개의 구역이 미전도된 구역이다.

 

단계5:

각 세부 종족의 선교상황, 인구수, 복음화율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적정 선교사수를 정한다. 그리고 아래의 표에서와 같이 현재 파송되어 있는 선교사수를 추정 혹은 파악하여 추가 혹은 재배치해야 할 선교사 수를 정할 수 있다.

   

 

지역

주종교

종족명

권역

세부 종족명

복음화율

적정선교사수

현재선교사 수

재배치

(+,-)

감숙성

이슬람교

hui

1

hui

1

10

 

 

 

 

kazak

哈薩克

2

kazak

哈薩克

1

4

 

 

 

 

dongxiang

東鄕

3

dongxiang

東鄕

0

4

 

 

 

 

salar

撒拉

4

salar

撒拉

1

4

 

 

 

 

bonan

保安

5

bonan

保安

0

4

 

 

 

다신교

tibetan

6

tibetan,zhugqu

藏,竹曲

0

4

 

 

 

 

 

tibetan,boyu

藏,鉢盂

0

4

 

 

 

티벳불교

mongol

7

oirat 僞拉特

0

4

 

 

 

 

tibetan

8

amdo,hbrogpa

安多,玻巴

1

4

 

 

 

 

 

 

amdo,rongmahbrogpa

安多,容馬玻巴

1

4

 

 

 

 

 

tibetan,jone

藏,遮呢

1

4

 

 

 

 

 

 

baima 白馬

0

4

 

 

 

 

tu

9

tu

0

4

 

 

 

 

yugur

10

yugur,saragh 裕固,撒里

1

4

 

 

 

 

裕固

 

yugur,enger

裕固,恩格而

1

4

 

 

주: 적정선교사 수는 임의로 산정한 것임.

 

 

5, 선교사와 선교단체의 지역균등구도의 활용

 

(1) 교회와 선교단체 그리고 교단 선교부는 중국 현지의 214개의 권역 중 각 단체의 특성과 역량과 은사에 가장 적합한 선교 권역들을 선정하여 전문화할 수 있다. 각 단체가 선정한 권역은 중국선교 연합모임등을 통해 서로 양보와 동의를 통한 합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선교사는 속한 교회와 선교단체와 의논하는 가운데 위의 자료를 활용하여 하나님께서 어느 지역, 어느 종족으로 부르시는 지를 세심하게 기도할 수 있다.

 

(3) 선교단체와 선교사는 다른 선교사가 이미 밀집되어 배치된 곳은 피하여 밀집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서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4) 선교적 기준에 의한 종족의 구분과 복음화율로 구분된 미전도종족을 지역 및 종교적으로 분류한 지역균등구도에 대한 자료는 중국 전역의 미전도 종족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선교동원, 중보기도, 지역연구 등의 여러 가지 영역에서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