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회
1. 서론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오늘날 한국교회의 상황을 일반적으로 4만여교회, 1200만 성도라고 한다. 어디를 가나 교회는 곳곳에 서있고 또한 기독교인들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교회가 많은 만큼의 호평을 듣기는 어렵고 기독교인들이 증가한 만큼의 사회에 대한 영향력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을 보게 된다. 오히려 교회를 향한 지탄과 차가운 눈초리만 더해가는 것을 쉽게 찾아보게 된다.
한편으로 15년동안 교회일을 해오면서 체험하고 부딪치는 문제는 기독교인들의 신앙상태를 살펴볼찐대 확실한 구원관이 결여되어 있으며, 체계화된 신앙관이나 생활관이 약한 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92년도에 본 평안교회에서 등록한 교인중에서 20명에게 신앙상태를 확인해 보았더니 구원관(누구를 그리고 무엇을 믿는냐? 죄사함의 확신이 있느냐?, 영생에 대해서)이 불확실한 사람이 10명이나 되었고 확신은 4사람, 대답 못하는 사람이 6명이나 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전도를 나가서 기독교인이라고 하는 사람을 만나서 복음에 대해서 확인해보면 우물쭈물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것을 보게 된다. 이런 신앙상태를 볼 때에 구원관, 교회를 다니는 목적, 체계화되고 구체적인 신앙관등이 미흡하거나 정립이 안되어 있는 것을 찾아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편적인 한국교인들의 신앙생활은 첫째로 믿음의 견고성이 약한 것을 보게 된다. 믿음의 견고성이 약하다는 것은 말씀에도 약하며 반면에 감정이나 여건에 많이 치우치는 모습이기도 하다.
이러하기에 시한부 종말론이나 이단에 미혹을 많이 받게 되고, 뿌리없는 나무같이 이 교회 저 교회를 자주 옮겨 다니게 되고, 신앙생활의 지속성보다는 일시성, 충실성보다는 기복주의, 한탕주의등으로 흘러가고 있는 현실이다.
두번째로는 말씀의 생활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이다. 믿음의 생활화, 또는 말씀의 생활화, 기도의 생활화가 상당히 부족한 것이다. 어떻게 보면 입으로만의 믿음이라고 할까 입으로는 믿습니다' 아멘'을 잘하는데 이렇게 믿고 고백한대로 생활속에서 삶의 열매를 맺는 것은 매우 부족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되니까 성도자신은 떳떳하게 기독교인이라고 나타내지도 못하며, 이웃과 사회에서는 지탄이 날로 더해지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을 늘상 듣기는 하는데 확신이 없으며, 확신과 구체성이 약하므로 생활에 구체적으로 적용을 못하는 고로 삶의 열매가 빈핍한 한국 기독교인들의 보편적인 신앙생활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현 상태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안타깝게 여기던 차에 이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지금부터 5년전부터 기도하면서 연구하던중에 교육목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교육목회를 직접교회에서 실행해 오던중에 학문적으로 실제목회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인 체계화된 이론과 근거를 정립하기 위해 본 논문을 쓰게 된 것이다. 그리고 교육목회를 통해서 생명력있고 탄탄한 교회성장을 목적으로 해서 목회도 해나가는 중에 있고 논문도 쓰게 된 것이다.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본 연구를 함에 있어서 세가지 자료를 이용해서 연구를 하려고 한다. 첫째로 성서자료이다. 성서에서 말씀하고 있는 교육목회와 교회성장에 대해서 연구를 하려고 하며, 두번째 자료는 문헌연구로서 교육목회와 관련이 있는 연구를 제자훈련, 성경공부, 교회학교 교육등에 관한 문헌과 교회성장에 관한 문헌으로는 교회성장의 기본이해와 선교적인 측면에서의 자료를 사용하려고 한다.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본인이 목회하고 있는 평안교회의 실제적인 교육목회의 여러 프로그램을 자료로 해서 언구하려고 한다.
연구의 범위는 앞에서 언급한 세가지 자료를 이용해서 Ⅱ장에서는 교육목회에 대해서, Ⅲ장에서는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로서 교회성장의 정의와 여러가지 근거를 연구하겠으며, Ⅳ장에서는 교회목회와 교회성장의 관계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평안교회의 교육목회 프로그램중에서 성경공부, 제자훈련, 전도폭발훈련, 성서 총체교육, 1:1양육, 새벽기도훈련및 구역임원 수련회등을 직접 연구 조사하고 사례를 삼아서 본 연구를 마감하려고 한다.
Ⅱ. 교육목회에 대한 이해
A. 교회교육과 교육목회
일반적으로 교회교육이라고 하면 교회학교를 연상하게 된다. 교육목회라는 개념이 대두되기 전에 교회교육은 교회학교를 통한 교육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목회라는 개념이 사용된 이후에 교회교육에 대한 의미가 곧 교회학교식의 교육이라는 그 개념이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 기독교 교육을 학교식 교육기관(교회학교)을 통하여 표현되는 교회목회의 일부로 생각할 수는 없기때문이 다. 교육목회에서의 교회교육은 교회전체, 목회전반에 관계되는 차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회전체의 차원을 무시해 버리고 교회학교에 국한된 교회교육의 의미로는 교육목회를 이룰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회교육을 교육목회의 차원에서 행해지는 교육행위라는 뜻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 고용수, 교육과 목회 - L.O.Richards의 교육신학을 중심으로, 「교육교회」 제93호(1983.6-7),p.294.
교회교육을 통한 교회성장을 연구함에 있어서 교육목회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갖는 것이 필요할 줄로 생각한다. 여기서는 교육목회의 이론적인 기초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교육목회의 필요성
시대와 복음은 우리들의 교회에 교육목회의 쇄신을 명령적이요, 긴급한 일로 만들고 있다. 이 처럼 교육목회(Educational Ministry)는 교회의 본질적인 차원과 교회의 목회적 기능 그리고 선교론적 입장에서 대두되는 현실적인 요청이다. 교육은 교회의 본질에 속하는 일이다. 따라서 그 기능을 소홀히하는 교회는 교회로서의 본질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불가결의 요소를 잃어버린 교회인 것이다. 복음이 순수하게 전해지지 않는 교회나 성례가 올바르게 집행되지 않는 교회가 결함있는 불완전한 교회인 것 같이 교육적기능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교회도 결함을 지닌 교회 일 수 밖에 없다.) 미국감리교 교육부편 Developing your Educational Ministry,「교육목회 지침서」 오인탁역 (서울:장로회 신학대학 출판부,1980),p.44.) J.D.Smart,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교회의 교육적 사명」 장윤철역 (서울:대한 기독교 교육협회,1985),p.9.
교육을 단순히 교회가 행하는 여러가지의 기능 중에서 하나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에서의 목회를 구상하고 구현함에 있어서 교육적인 방법을 중심으로 목회를 해나가야 할 시대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목회의 필요성을 거부해서는 오늘날과 같이 다원화되고 전문화된 사회, 또한 새로운 정보와 지식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그래서 부단히 배움을 요구하는 학습사회에서의 효율적인 목회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여건에 놓여있는 것이다.
2. 교육목회의 의미
교육목회란 무엇인가? 이에 대하여 교육목회가 의미하고 있는 개념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목회는 전통적인 교회교육의 틀을 벗어난다. 교회의 교육활동의 범위들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주일학교 교육활동의 범위는 주로 주일 하루에 국한된 교육활동을 해왔다. 교회학교 교육시기에는 교육활동의 범위가 좀 더 넓어지게 되었다. 주일 하루 뿐 만 아니라 주간에도 계속적인 교육적 배려를 위해 노력했다. 또한 교육대상의 범위도 확대되어서 국민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등의 영역에 제한 되다시피했던 범위가 성인을 위한 교육적 활동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목회의 차원에서 볼 때 교육활동의 대상및 범위는 아주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범위로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교육목회 시기에는 교육이 교회의 여러 수행기능 중의 하나가 아니라 교육적 차원으로서의 목회구현으로 이해되어지는 것이다. 이는 교육활동의 영역이 목회전반에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김득렬교수는 교육목회를 가르켜 목사의 목회적 기능을 교육적으로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어서 교육목회의 구성요소를 몇가지로 지적하고 있다. 첫째, 하나님의 계시로 부터 출발한다. 둘째, 교우들의 형편에 입각한다. 셋째, 구체적인 방법을 지향한다. 넷째, 교육목회의 용어, 즉 교육목회에서 사용되는 용어, 언어는 말로된 언어 와 관계로된 언어 의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병용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회를 중심으로 한다. 이는 모이는 교회' 뿐 아니라 흩어진 교회'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갖는다. ) 김득렬, 교육적 목회-목회와 교육의 관계를 중심으로,,「교육교회」 제108호(1985.1),p.4.) Ibid.,pp.6ff.
사실 과거에는 회중의 교욱목표가 아주 표준적으로 분류된 사람들로 이루어진 주일학교라는 말로 단순히 윤곽을 그릴 수 있었고, 거기에 과외시간(Additional Sessions)의 교회학교, 휴가 교회학교, 주일저녁 친목회, 가정예배등 다른 표현들이 더해졌다.
그러나 교회는 그 교육적 활동에 있어 보다 더 큰 연합과 다양성과 융통성이 요구됨을 인식하여 이에 응답하게 되었고, 이 활동을 하나의 목표와 방향이 있는 목회로서 계획을 시작했기 때문에 목회의 다양한 형태들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이 요청되었다. 이런 견지에서 미국 감리교 교육국에서 펴낸 교육목회 지침서에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요소들을 진술하고 있다. )교육목회도 목회이다. 2)교육목회는 자연적으로 발달된다. 3)교육목회는 전인을 위한 것이다. 4)교육목회는 모든사람을 위한 것이다. 5)교육목회는 평신도에게 선교를 위하여 무장하게 한다. 6)교육목회는 전체회중의 목회이다. 7) 교육목회는 에큐메니칼 목회이다. 8)교육목회는 체계적인 연구를 강조한다. 교육목회에 대한 이러한 분명한 이론들은 교육목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며 교육목회를 구현함에 있어서 준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목회를 위한 기획활동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 감리교 교육부편, op.cit., pp.45ff.
결국 교육목회란 두가지 즉, 교육과 목회라는 촛점을 두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정웅섭교수는 교육목회는 교육을 목회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교육을 해나가는가(Ministy for Education)와 목회를 해나감에 있어서 교육의 빛 아래에서 목회를 해야 하지 않는가(Educational Ministry)하는 문제가 촛점이 된다고 해적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목회란 목회적 사역이 교육을 통하여 일어나게 하고 참여하는 기술이라고할 있는 것이다. ) 정웅섭, 교육목회의 활성화, 「기독교교육」 제214호(1985.9),p.66.) 맹용길, 성숙한 교회와 교육목회, 「교육교회」 제107호(1984.11-12),p.830-836.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교육목회가 담고 있는 개념은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 또한 협의의 주일학교나 교회학교의 차원이 아닌 교회전체의 인적, 물적자원을 모두 대상으로 하는 목회라는 점에서 목회의 새로운 형태를 보아야 할 것이다.
3. 교육목회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회가 교회의 본질적 차원과 교회의 목회적 기능 그리고 선교론적 입장에서 대두되는 현실적 요청이라고 한다면 교육목회의 이론적 기초는 어디서 찾을 것인가? 이에 대해서 고용수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고용수, 교육목회의 이론적 기초,「교회교육」 제87호(1982.11-12) pp.448-450.
첫째, 성서는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Body of Christ)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살아있는 몸이라면 그것은 계속 움직이고 성장을 위해 변화해 간다. 따라서 건강유지와 성장을 위해 교육의 배려가 필수적이라면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교회이해는 교육이 교회의 본질에 속하고 있음을 암시해 준다. ) M.Taylor,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기독교교육학」,송광택역 (서울:대한 예수교 장로회출판부,1988),pp.181-185.
둘째, 교육목회의 이론적 근거는 교육목회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설명되어진다. 지금까지 교회의 전통적인 목회의 성격은 하나님의 양무리를 돌보는 목장'으로 이해되어 왔다. 옛날의 목장은 전적으로 자연에 의존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목장의 구조와 형태는 결코 단순하지가 않다. 마찬가지로 오늘의 목회구조와 형태는 옛날의 것과는 근본적으로 새롭게 개발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의 요청에 직면해 있다. 또한 우리가 몸담고 사는 현대의 기술사회는 고도의 전문화된 복잡한 생활형태로, 삶의 다양한 욕구가 각 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변천하는 시대황속에서 인간을 돌보는 목회의 구조와 형태는 옛날의 주먹구구식 방법과는 달리 보다더 합리성 내지는 과학성이 요청된다. 이는 곧 기능적 차원에서 교육적인 목회를 요청하게 됨을 볼 수 있다.
셋째, 교회의 선교적인 차원에서 교육목회의 이론적 근거를 찾아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신학 이해에서 본 교회관은 방주의 기능 즉, 구속의 공동체라는 개념이 강하게 강조되었다. 그러나 1960년 이후 세속도시'의 출현과 함께 교회의 전통적인 구조에 대한 도전에서 파생된 새로운 이해(구조선)와 교육의 선교로적 접근은 교육목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구조선'으로서의 교회이해는 구속의 공동체로서기 보다는 선교공동체, 또는 사명공동체로서의 평신도 훈련을 포함한 미래교회의 교육적기능에 더 적극성을 띄지 않으면 안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 지금까지의 구심적'인 교회교육이 원심적'인 선교의 구조속에서 역사 참여의 창조적 기독교인 육성이라는 교육적 관심으로 확대되게 되었다.
결국 교육목회의 이론적 기초를 고용수교수는 교회의 본질적 기능, 목회적 기능, 그리고 선교적 차원이라는 세가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목회의 개념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지역의 범위, 방법적인면등에 있어서 전통적인 교회 교육의 벽을 과감히 뛰어 넘는다. 그리고 보다 더 능동적이고 통합적이며, 전체적이고 창의적인 교육활동을 지향한다.
B. 교회갱신과 교회교육
교회가 여러시대를 걸쳐서0 성장 발전되었다고 할 때 항상 두가지 면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것은 변화하지 않아야 할 것과 변화시켜야 할 것을 구분하는 것이다. 결코 변화할 수 없는 것을 변화시키려 한다면 그 교회는 참된 교회가 아니라 다른 단체로 전락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으로 꼭 변화시켜야 할 것을 변화 시키지 않으려고 한다면 교회는 생생하게 살아있는 복음을 지키고 전하는 기능이 둔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항상 갱신에 대해서 적극적이며, 아울러 수용의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종교개혁 시대의 마르틴 루터가 새로운 갱신의식을 가지고 카톨릭에 도전했을 때 카톨릭교회가 만약 수용의 태도로 루터의 갱신의 제안을 받아들였다면 결코 교회는 분리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스 킹은 이야기 한 바가 있다. ) 이계준, 교회갱신과 복음선교, 제1회연신원 목회자 「하기세미나집」 (서울:연세대학교,1982),p.202.
1. 교회갱신의 의미
교회갱신 이란 영어로 Church Renewal 이다. Renewal이란 말에서 New는 새롭다는 말인데 Renew는 다시 새롭다 혹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다시 새로와 진다 는 뜻이 된다. 맹용길교수는 그의 저서 에서 개혁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셋으로 구분했다.
개혁이란
첫째, 낡은 것을 변형시키는 것(transformation)을 뜻한다. 즉 낡은 것의 방향을 돌이켜(conversion)새로운 현실(reality)로 바꾸는 것을 의미 하는데 질적 변형도 동반 되어야 한다. 이것은 구약성서의 회개와 일치한다. 즉 그것도 하나님의 말씀에따라 삶 전체에서 완전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둘째로 개혁이란 낡은 것을 변형시킨 후 반드시 새로운 것을 일으켜야 한다. 만일 낡은 것의 변형에서 그친다면 귀신이 있던 집을 깨끗이 홑칠하고 정리해 놓은 것과 같은 격이 되고 말 것이다. 새로운 현실이 있어야 한다.
셋째로 개혁은 새로운 모습으로 바꿔진(reformed) 객관적인 현실성으로 사회적 결속을 갖는 일치(unity)에로 가게 하는 것이다.) 맹용길, 「현실과 책임」 (서울:창학사,1977),p.31.) Ibid.,
2. 교역자 자기 갱신과 교육목회
교역자는 하나님으로부터 위임받은 양무리의 목자이다. 그러므로 교회갱신을 요구하기에 앞서 자신이 먼저 갱신되지 않으면 안된다. 김형태목사는 교역을 세가지 큰 타성속에 타락될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고 하면서 그 세가지를 보수성, 제도성, 그리고 직업성이라 하였다. ) 김형태,「기독교교육의 기초」 (서울: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국,1973) pp.32-33.
첫째 - 보수성
보수성은 기독교의 한 특징이다. 종교의 본질에 가치보존이라는 것이 있다. 기독교의 교역에서도 가치보존의 기능을 나타내는 가운데 과거 유산을 지킨다는 전통보수의 경향이 있기 마련이다. 이것은 불가피한 것이고 또한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반면에 종교적 특징속에 가치창조의 기능도 아울러 중요시해야 한다. 기독교의 교역에 있어서 가치창조의 기능이 약화된 가치보존의 역할기대는 그 공동체의 퇴보를 의미하게 된다. 가치보존의 기능이 가치창조의 기능과 균형을 갖추지 못 할때 독선주의 또는 나아가서 율법주의적 형태의 타성에 빠지게 된다.
둘째 - 제도성
제도성이라는 것은 조직 사회에 있어서 불가피한 것이다. 어떤 사회나 질서를 위해서는 직제나 조직이 필요하다. 그것은 그 자체의 유지를 위해 있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기독교회가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이는 한 집단이라고 할때 선교라는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조직과 제도는 불가피하다. 그리고 자체기관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노력도 기울이게 된다. 세계를 위한 봉사(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를 위한)라는 기본 사명이 흐려지면서 기독교는 기관화되고, 제도화되며 그리스도인은 그 속에서 자체의 비대화로 인한 생명의 위축을 받게 된다. 그리스도인의 양심의 자유를 상실하게 되고 복음이 제도속에 포로가 되어 버리고 만다.
셋째 - 직업성
직업성은 교역에 있어서 또 하나의 위험한 타성이다. 누구나 자기가 맡은 직무에 충실해야 하며, 열성을 가지고 일과 기관에 충성해야 한다. 거기에 발전이 있고 향상이 있는것만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이 직업적 타성에 빠질 우려도 충분히 있다. 직업적 타성에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직업을 위한 경쟁이다. 지나친 열성이 질서를 깨뜨려 분쟁과 분열을 일으키게 되기 쉽다. 또 한가지는 직업에서 오는 실증이다. 한 직업에 오래 종사함으로 오는 권태와 기교이다. 감격이나 열의가 식어지고 늘 하는 버릇으로 기교를 부리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역자들이 교회정치에 흥미를 갖게되는 동기가 나오기도 한다. 여가활동의 기회로 정치작용에 가담하게 된다.
교역자는 이와같은 기독교적 교역에 있어서 받기쉬운 유혹들로 부터 탈출하기 위해 교육목회를 착실히 해 나가야 한다.
박아론은 그의 강연집에 목회자의 직무를 넷으로 구분하였는데,
첫째는 감독의 직무,
둘째는 가르치는 직무,
셋째는 자라게 하는 직무,
넷째는 유기관리의 직무를 들고 있다.
그 중 가르치는 직무와 자라게 하는 직무는 교육목회와 직접관련이 있고 감독의 직무와 유기관리의 직무도 교육목회와 간접관련을 가지고 있다. ) 박아론, 성서와 목회자상, 제2회 목회자 하기 신학 세미나(서울: 연세대,1982)
3. 평신도를 위한 교육목회
고용수교수는 오늘의 교회를 말할때 옛날 방주라고 했던 단순한 개념에서 구조선이라고 하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렇다고 할 때 전교우가 선교공동체 내지 사명자, 또는 증인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교육을 받지 않는 무력한 그리스도인은 구명대원(선교적 역군)의 기능을 다 할 수 없다. 평소에 훈련된 자만이 세상에 복음을 들고 들어갈 수 있다.
선교를 전쟁에 비유한다면 평신도들은 가장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변동되는 사회속에서 항상 경제적 위기, 질병의 위기, 유혹으로 부터의 위기, 죄로부터의 위기, 죽음에 대한 불안 등등이 엄습할 때 잘 훈련되고 무장된 자만이 이겨 나갈 수 있다. 교육이란 훈련이 없이 자기가 누구인지 자기의 위치가 무엇인지 또한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알 수 없다.
반피득은 그의 저서에서 교회교육의 두가지 점을 정의하고 있다. 첫째로 교육은 채워주는 과정(infilling)이다. 이것은 그의 이념을 형성해 주는 것이다. 평신도로 하여금 신의 계시를 알도록 하고 깨닫도록 하여 경제적 위기로부터 해방, 질병으로부터 보호, 유혹으로부터의 지키심, 죄로부터의 용서, 죽음에 대한 불안으로부터의 자유가 있게 해야한다. 둘째로 교육은 이끌어 내는 과정으로 가지고 있는 재질과 능력을 개발하여 독자적 생활 방식을 수납하는 것이라 하였다. 신도가 예전에는 모든 자기의 문제를 타인에 의해 해결하려고 했다면 이제는 성서를 알고, 깨닫고 생활속에 적용하면서 스스로 어려운 문제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주체 신앙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각자 은사를 받은대로 그가 처한 교회에서 지체로서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세워 나가는데 일원이 되어야 한다. ) 반피득, 「기독교 교육」 (서울:한국기독교 교육학회,1961),p.45.
맹용길교수는 말하기를교회 주체는 절대다수인 평신도들이다. 교회의 생활과 역사를 제시하는 것은 지도자들이나 교역자들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 그것을 형성하는 것은 평신도들이어야하며 평신도는 삶의 현장을 직접 이끌어가는 주체이며 교회와 사회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맹용길교수는 평신도 교육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신도교육은 첫째로 방향정위(方向定位)의 의미가 있다. 즉 자신의 현존재를 발견하고, 존재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알게 되며, 삶의 방향을 정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방향을 알지 못했던 사람들에게는 새롭게 그것을 얻게 하는 것이며, 혹은 알았다하더라도 확실히 몰랐던 사람에게는 그 방향으로 굳히게하는 것이다. 교회는 평신도를 위하여 이 방향을 정할 수 있는 교육체제설정과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둘째로 해야할 책임을 느끼게하는 의미가 있다. 즉 신도들이 자기가 어떠한 존재인가를 우선 알고 경험할 때에 그 존재는 반드시 무엇을 해야하는 존재임을 느끼게 된다. 자기의 존재는 존재의 근원이신 하나님으로 부터 보냄을 받은 존재로서 정체된 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오히려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세째로는 해야한다는 내용을 알게하는 것이다. 즉 교회에 알려진 계시의 내용을 신학이 정리해 교육함으로써 더욱 잘 알게 되는 것이다. 해야할 내용은 하나님의 계시이다. 이것을 평신도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이론적으로 정리하여 체계화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것을 알게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은 평신도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다. 교육이 없다면 평신도들은 지신의 존재의 의미나 해결할 사명을 분명히 알지 못하고 방황하게 될 것이다. ) 맹용길,「한국교회와 교육」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1984),P.218.) Ibid.,p.219.
임택진은 말하기를 그리스도안에서 새언약의 관계를 맺은 평신도의 교육과 훈련에 주력해야 한다. 교회는 배우고 가르치는 공동체이다. 목회자는 훈련소의 교관이며, 신도는 군인이다 라고하였다. ) 임택진,「목회자가 쓴 목회학」 (서울: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1924),p.324.
Ⅲ. 교회 성장에 대한 이해
A. 교회성장의 정의
교회성장의 시작은 초대교회에서 찾아야 하겠고 교회 성장의 확고한 성서적 근원도 하나님 자신이 성장의 원인이라는 바울의 선언에서 찾아야 하겠지만 교회성장이 학문적으로 태동하게 된 역사는 1966년 제네바에서 열렸던 교회와 세계' 대회를 전후해서 일어나기 시작한 복음주의 운동이 같은 해 제네바에서 세계 복음 대회 에 뒤이어 1969년 미국의 미니에폴리스(Minieapolis)에서 모였던 미국 전도 대회 같은 모임이 그런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교회선장이란 용어를 구체적으로 사용한 것은 맥가브란의 사상에서 처음 나온 용어이다. 이후 30여년 동안 인도에서 선교 경험을 토대로 연구를 게속한 결과 1955년 하나님의 다리를 판하였는데 이것이 교회 성장의 효시가 된다. ) 행2:43-47.) 고전4:6-7.) Peter wagner,「교회성자의 원리」,권달천역,(서울:생명의 말씀사, 1980).) D.Mcgavran,Bridge of God(New York:Friendship,1955).p.
맥가브란이 인도에서 30년동안 있으면서 1950년대 자유주의적 선교사들이 선교를 고전적인 정의에서 이틸시켜 비성서적으로 정의하는데 혐오감을 느끼고 성서적인 선교개념을 간조하는 운동을 제창하면서 전도' 혹은 선교'라는 전통적인 언어를 사용하기를 원하였으나 이러한 용어들이 영향력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고 꼭 맞는 말을 찾으려고 애를 썼다. 그 결과로 평범한 두개의 말, 즉 교회'와 성장'을 결합하게 된 것이다. ) 장중열,「교히성장과 선교학」,(서울:성광문화사,1979).p.239.
그래서 지금은 전문적인 용어가 된 이 교회성장은 독립적인 술어가 되었다. 교회성장이란 용어의 진정한 의미는 예수 그리스도와 아직 아무런 관계를 가지지 않은 사람들롤 하여금 그와 더불어 교제를 가지도록 해주며, 책임있는 교인이 되도록 해주는데 관련된 모든 사항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교회성장은 미묘한 것이다. ) P.Wagner,op.,cit.p.10.) Ibid.,p.28.
곽선희 목사는 교회성장이란 곧 그리스도의 몸의 성장을 뜻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그리스도의 주권적 확대이며, 그리스도 사역의 계속적인 확장을 듯하고 그 나라의 의와 그 의가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 정의 하여 교회성장은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라는 의미로 보고있다. ) 곽선희, 교회성자의 신학적 이해 ,「복되말씀」제20권,(전주:복된말씀사,1972).p.12.
또 맥가브란은 교회성장은 곧 하나님께 대한 충성심이며, 서 충성심은 신학과 충실한 성경적 근거에서 발생한다 는 속에서 알수 있듯이 교회성장은 신학과 성서적 배경 및 하나님께 대한 충성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규정하고 있다. 또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 교회성장에 대한 개념이 정립될수도 있다는 것이다. 교회성장학을 신학적으로 정립하고 하나님께 대한 충성심과 사랑하는 마음으로 충만한 교회는 교회성장을 이루어서 궁극적으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D.Mcgrevran,Understanding Church Growth, 전재옥,김요한,김종일 역,「교회성자의 이해」(서울:대한 예수교장로회출판국,1987).) Ibid.,p.8.
B. 교회성장의 근거
성서는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요, 교회의 머리는 그리스도라고 묘사한다. 그리스도 교회는 그리스도가 친히 설립하시었고 그 머리가 되시며, 부활하신 후 성령을 통하여 그의 교회를 계속 인도하시겟다는 약속에 기초한다. 이 약속은 성서 속에서 그의 듯이 분명하게 계시되고, 이 계시된 사실은 신학적 해석을 통하여 진의를 드러나게 된다. 그러기에 교회의 성장은 성서적 계시와 신학적 방법에 근거할 때 정당화되고 하나님께 대한 성실성의 의미도 찾게 된다. 글기에 교회성장의 근거를 계시적 의미에서 성서적 의미와 방법론적 의미에서 신학적 근거를 살펴 본다. ) 엡1:23-24.) Alrin J.Lindgren,Foundations for Purposeful chirch Administrtion,박근원역,「교회개발론」,(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1977).p.35-38
1. 선교의 성경적 근거
교회는 성경적 근거 위에 성장해야 한다. 교회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이해하는 성경적 진리는, 곧 교회는 성장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해 준다. 이 의미를 맥가브란은 기독교인들이 수적인 증가를 두려워하면서 성경적으로 정당화될 수는 없다 는 한 어조를 쓴다. 특히 교회 성장이란 것이 구원받지 못한 세상 사람들을 구원시키는데 기초를 두고 있음은 성경의 기본적 자세요, 예수의 오심의 목적이요, 베드로의 설교에서도 알수 있다. 죄인을 부르시는 하나님의 능동적인 부름의 모형이 바로 교회성장의 근거일수 있다. ) D.Mcgavran,op.cit.,전재옥역,p.69.) 눅19:20.) 벧후3:9.) 창3:9.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잃어버린 자를 찾아 모우시기 위하여 마련하신 교회가 곧 복음이며 이것이 곧 기쁜 소식인데 이 복음의 기쁜 소식을 만 백성에게 전할 것을 당부했고 이 당부를 잊지 않은 제자들 특히 바울과 베드로 등에 의해 증거되었다. 그러기에 기독교에서는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에게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지키게 하라 의 마태복음 이십팔장 십구절에서 이십절의 말씀을 주님의 지상명령으로 받아드리고 순종해 나간다. ) P.Wagner,권천달역,op.cit.,p.40.
특히 지상명령을 이루는 구체적 근거는 성령의 임재로 부터 시작하여 복음의 세계성에 기초하고 있다. 즉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는 말씀은 교회성장이 복음의 게속적인 확장과 성장발전을 의미한다. 또한 바울은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며 자라게 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라 라는말씀은 교회 성장이 양적인 성장이던 질적인 성장이던 하나님께서 하신다는 원리로 우리에게 보여주는 진리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과 아볼로의 사역이 언급된것은 결국 하나님께서 인간과 함께 자신의 일을 이루시는 것을 보여 줌으로서 하나님의 교회성장의 문제를 우리도 인간의 편에서 연구할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행1:8.) 순복음 연구소,「교회성장」제2집,(서울:영산출판사,1982).p.67.) 고전4:6-7.
그러나 교회가 성장하는 방법은 성서적 원리에서 입각하여 그 가르침을 표준으로 하여 오늘의 교회에 적용하여야 한다. 적용의 은유적 표현을 예수님은 어부 (마 13:47-48, 막 1:17), 누룩 (마 13:33), 추수 (요 4:35, 마 9:38, 눅 10:2), 포도나무 가지 (요 5:1-5), 잔치 (눅 14:16-24), 겨자씨 (마 13:31-32), 세상의 빛 (요 8:12, 9:5, 마 5:16) 등으로 가르친다. 이 가르침은 인간의 책임과 성령의 활동을 구별하여 말 한 후에 결론적으로 성령ㄴ이 선교의 주관자이요, 인도자요, 완성하시는 분으로 크리스챤의 충성과 헌신을 통하여 성령이 역사하심을 강조했다. 그러므로 성서적 교회 성장은 하나님과 사람의 아름다은 조화를 통해 이루워지는 것이다. ) 이종윤.전호진.니일선,「교회성장론」,(서울:정음출판사,1983),pp. 214-215.) Ibid.,p.107.
피터 와그너는 이럴때 성경과 성경의 절대적 우위와 능력에 근거를 둔 교회성장을 흥미없이 생각하고 소수와 질을 찬양하고 양보다 질이 문제'라는 상투적인 어구를 내세우면서 양적인 성장을 어느 정도 수치스런 것으로 고집하는 사람들을 대체로 자기 방어적인 사고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맥가브란은 이런 비성서적인 선교 태도를 바로 깨우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한다. ) P.Wagner,권달천역,op.cit.,p.14.
a. 구약의 선교 역할
구약을 Missionary Book으로 부르는 이들은 아브라함은 선교사의 성취자요, 모세는 최초의 선교사로 이해하는 반면 요한 네슬라워( J. Blauw)같은 이는 이스라엘에서 땅 끝까지 나가라는 선교명령은 구체적으로 없었고 다만 선교의 이념이 이스라엘의 이방의 빛의 역활과 관계되어 여호와의 구원이 땅 끝까지 이르게 하겠다는 이사야 49장 6절의 말씀대로 표현된 것 뿐이다고 장하기도 하고, 유대교는 본래가 유대인에게 있는 특정의 종교이기에 선교라는 개념이 구약에는 없다고 하는 일튼 트르블드( E. Trueblood)같은 이도 있으며, 구약에는 선교사가 없고 이스라엘의 민족 자체가 하나님의 선교였다고 말한다. ) Johanes Blauw,「The Mission and Nature of the church(Grand Rapids:W.b.Eerdmans,Publishing co.1974),p.79.) Elton Trueblood,「The Validity of tje Christian Mission(New York:Harper & Row,1972),p.1.) George W.Peters,「A Biblical Theology of Mission」,(Chicago: Moody Press,1972),p.129.
그러나 하나님의 관심은 유대 민족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온 인류를 위해 다만 먼저 선택하여 열방을 위한 빛으로 세계의 빛의 역할을 감당하여 이빙인으로 하여금 예루살렘에 오여 하나나미을 찬양하도록 하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구약은 선교의 명령은 없으나 하나님의 선교의 활동이 이스라엘을 통해 세계의 빛으로 하나님의 통치를 상징하는 예루살렘을 이방인으로 하여금 바라보게 하여 여호와를 경외하는 지식에 이르게 하는 것이었다.
유대교의 이러한 종교활동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모여들게 하는 구심적 종교활동( Centripetal Mission)이었으며, 조직적으로 선교사를 땅 끝까지 보내는 원심적 선교활동( Centipefoug Mission)은 결코 되지 못했다고 하지만 세계 속에 자신을 계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을 주겠다는 제의와 이름이 창대하게 되데 하겠다 는 약속과 너는 복이 된다 는 축복으로 그를 갈대아 우르에서 불러내어 가나안 땅으로 살게 하셨고 현 에 안주하려는 그들을 애굽 땅에서 내몰아 400년간 이방인의 종살이를 하지만 출애굽시켜 나가는 하나님의 능력을 당시 최강국 애굽에 보이시고 40년간 광야 길에 수많은 나라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사랑과 전적인 의지 속에 살아가는 백성들의 노장을 지켜보게 하고 다시 바벨론의 포로를 통해 바벨론의 문화 속에 하나님의 역사를 심어 나가는 구약의 구속사는 이제 선교의 역사로 새롭게 이해되오져야 할 것이다. ) 장중열,「교회성장과 선교학」,(서울:성광문화사,1978),p.54.) 창12:1-9.
b. 신약의 선교역할
신약에서의 선교는 예수의 탄생과 재림의 사이에서 교회가 수행해야할 예수는 그리스도 라는 선포에 기초하여 이루워져야 할 하나님의 나라 를 세우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것이다.
이 선교의 원동력은 성령의 능력이며, 성령의 능력을 힘힙은 자는 어디든지, 누구에게도, 언제나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게 된다.이 성령은 구원의 복음이며 언제고, 어디서고, 누구에게나 믿음으로 받아 드리는 사람에게 역사가 일어난다. , 예수 공생애 기간 선교 방법은 오라'는 원심력적 선교이었으나 부활 후, 그의 선교는 가라'는 원심력적 선교로 그 방법이 전환되었다. 특히 예수의 원심력적 선교는 지상명령이라고 일컬어지는 마태복음 28장 19-20절을 통해 잘 들어나고 있다. 그리고 예수의 선교의 내용은 언제고 하나님의 나라 로 이어져 간다. 뿐만 아니라 예수의 선교 정책은 제자 삼는 일에 중점을 두웠음을 마태복음 28장 19-20절의 지상명령에 동사는 유일하게 제자를 삼으라 이고 나머지 가라 , 세례를 주라 , 가르쳐 지키게 하라 는 제자를 삼으라 에 걸린 분사인 것을 보아도 이해가 간다. ) 행1:8.) 마28:18-20.) 롬1:14-17.) 머4:18,21,9:9.) 마28:19.) 마6:17-공생애 첫 선포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와 왔느니라 ) 마28:19.) 장중열,「교회성장과 선교학」,(서울:성광문화사,1978),p.80.
이렇듯 세례와 교육이 선교의 명령에소 중요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었고 전도와 교육이라는 이원론적인 견해는 단호하게 거부되고 동일적이고 일원적인 견해를 가질수 있고 교회와 선교도 기능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나뉘워질수 없는 같은 목적이며, 표현상의 차이일 뿐이다.
그러나 교회가 점점 성장해서 기본적인 봉사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런 사상이 교회에 들어 옴으로 교회들을 가르키고 세례를 통한 구원의 확인이 필요하게 됨으로 교회는 점차 조직화되어 복잡해져 갔다. 다라서 바울의 후기 서신인 목회서신에 보면 전기에서와 같은 선교에 대한 강조가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바울의 기본적인 선교 방법은 복음을 전하고, 결신자를 얻고, 세례를 주고, 그들을 모아 가는 곳곳마다 교회를 세워 가는 것이다. ) 행2:41-47.) 행6:1-6.) 요일1:18.
2. 선교의 신학적 근거
교회성장'이란 단순한 교회의 숫자의 확장이나 물량주의 사고에서 출발한 것으로만 보아서는 않된다.
교회성장에는 확고한 신학적 기초를 갖고 있다. 바르트는 교회성장의 신학을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요, 교회는 그의 몸이다. 몸된 교회는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까지 자라야 한다.(엡 4:15) 고 표현했다.
교회 성장은 교회의 생명이 살아있다는 표현이며 성장해 나가야만 주님의 몸이 완성된다. 교회성장으 힘은 신자의 능력의 나타남이다. 그리스도가 교회의 내적인 능력임으로 교회는 그리스도에 의해서 살고 그리스도의 자기 증거로서의 성령에 의해서 성장한다고 말하며, 보이지 않는 교회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 한스 킹( Hans Kung)도 교회란 무엇인가 라는 책에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성장해야 하고 한님의 계획대로 자라야 한다 고선언한다.) George F.Vicedom,「Mission Dei」,박은원역,「하나님의 선교」,(서울: 대한 기독교출판사,1980),pp.16-17.) 박진섭,「성령과 교회성장의 발전」,(서울:문맥도서 출판사,1983) p.132.
그는 교회가 내적으로 성장해야 하는데 그것은 복음의 선교를 근거로 해서 새로운 지체들이 탄생함으로써 성취된다 고 았다. 그리고 그는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시요, 교회성장의 근본이며, 목표이기 때문에 교회는 그리스도에게 순종함으로써만 그 성장이 가능하고 역사적인 활동을 통하여 그리스도가 세상에 깊이 개입할수 있을때 참으로 성장한다. 라고 그 방법론까지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회성장은 성서적인 원칙위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것은 그리스도밖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사실상 잃은 자들이며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 는것을 믿기 때문에 전도한다. ) Hans Kung,Was ist Kirche ? 이홍근역,「교회란 무엇인가?」,(왜관: 문도출판사,1978)) Ibid.,p.153.) Ibid.,p.154.
그러므로 교회성장은 분명한 신학적 기초와 확고한 성서적인 근거위에 서 있다. 교회성자의 토대는 예수 그리스도이며 동시에 성자의 주역은 성령이며, 성장의 원인은 하나님이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에는 그가 구원 하시기로 작정하신 숫자를 채우는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하나님의 영원된 목적을 인식하는 사람은 교회성장에 대한 열망을 갖게 되고 교회성장이야 말로 하나님의 뜻하신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깨달아 알고 실천해 나간다. ) O.Weber,김광섭역,「칼바르트의 교회 교의학」,(서울:대한기독교 출판사,1976),p.334.
이런 교회 서아장이 신학적 기초위에 있지만 교회성장 운동은 아직까지 방법론적인 가정의 중대한 자기 평가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 즉 교회가 성장해야 한다는 성서적 근거와 신학적 근거도 발견할 수 있고 원칙론에도 합의 할 수 있지만 방법론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가 있다.
일례로 교회성장은 성장하는 교회에다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는 해법 제시 같은 신학적 문제는 남아 있다. 결국 하나님의 선교란 우선 선교가 하나님께 속한 활동임을 의미한다. 그는 주이시고, 위임 명령하시는 분이며, 소유자 이시고, 만물을 돌보시는 분이다. ) P.Wagner,Church Growth and The Whole Gospel,서정운역,「성서적 교회성장학」,(서울:대한기독교서회),p.211.
그는 선교의 주역이시다. 그러기에 선교와 교회는 하나님 자신의 일이다. 교회와 선교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도구요, 기구에 지나지 않는다. 교회가 세계를 향한 그리스도의 선교에 참여하지 않고 그리스도에의 참여란 있을 수 없다. 하나님의 선교 는 하나님의 계획이 교회라는 도구를 통해 선교라는 이름으로 그의 뜻이 펼쳐지는 현상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기에 하나님의 선교에 원인과 결과는 삼위일체 하나님 스스로에게 달려있으며 결과에 대한 물음이나 평가도 사실은 어려운 것이다. 그러면서도 기억 할 것은 선교가 더 이상 교회의 일부라거나 파생물이 아니며 외히려 그 보다 은혜와 자비의 개념이다. ) D.Mcgavran,전재옥외2인,op.cit., p.186.
선교는 하나님의 속성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신학의 중심이며 영혼구원'만이 아니라 이 세계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건설하는 문제이다. 여기서 우리는 교회의 존재목적을 행1:8의 너희가 내 증인이 되리라 는 증언자로서의 자세를 찾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교회는 보내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행동의 결과일 뿐아다. 빌링엔(Villingen)회의는 하나님의 선교 개념을 다음과 같이 채택했다. ) J.G.Davies Worship and Mission,김소영.홍철화역,「예배와 선교」 (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2),p.35.) 서정운,「세계교회와 한국교회」,한국복음신보(1980.2.10).P.3.) 제5차 국제선교 협의회 총회가 1952년 7월 독일 빌링엔에서 기최되었다.
선교란 단순히 주님의 말씀을 향해 복종하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공동체의 회짐에 대한 의무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선교란 구원받은 전피조물 위에 그리스도의 주권을 세우려는 포괄적인 목표를 가지고 아들을 보내심. 곧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 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 한 지체로서 참여하게 되는 선교 운동의 원천은 삼위 일체 하나님 자신 안에 있다.
여기서 우리는 교회가 교회의 중심과제가 되어서는 안되며 교회는 세계선교를 그 핵심과제로 삼지 않을때 교회다운 교회의 모습을 잃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교회는 개인 구원이상을 포괄하는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 하여야 하고 그것을교회의 선교로 삼아야 한다. 전도를 선교의 가장 기본적인 과제로 삼는다 해도 선교는 보다 광대한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는 운동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서정운,「교회와 선교」,(서울:두란노 서운,1988),P.134.
그럼 하나님의 선교의 구체적 계시는 무었인가 ? 나는 다른 동네이서도 하나님의 나라 복음을 전하여야 하리니 나는 이일로 보내심을 입었느니라 예수의 오심의 목적이 목적이요, 하나님 나라의 구체적 계시는 선교 사역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 눅4:43.
특히 많은 학자들이 소위 위임령이라는 것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모든 권세가 예수안에서 복음을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잊지 않으므로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선교가 구체적으로 역사속에서 실현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예수의 공생애를 하나님의 선교가 끝난 것이 아니고 성령의 보내심으로 지금까지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 스스로 그 사업을 이끌어 가고 있다. 이 하니님의 선교는 종말의 그 순간까지 지속 될 것이며 그때 그는 영광을 받으실 것이다. ) 마28:18-20.) J.G.Dies,Worship and Mission 김소영.홍철화역,「예배와 선교」, (서울:대한기독교서회,1982).p.32.
Ⅳ.교육목회와 교회성장의 관계
교육목회의 목적음 그리스도인을 성장시키고 책임있는 행동을 하게 함으로 말미암아 그 결과로 하나님의 교회를 성장시키는데 있다. 그러므로 모든 교육목회응 그 단점을 보완하고 각 교회와 형편에 맞게 계획하여 교회성장에 기여하여야 한다. 아렇게 할때에 교육목회오서의 교회성장은 충실하면서도 지속성 있게 성장을 이루어 가게 된다.
교회성장에 기여하는 교육목회가 되기위한 몇가지 지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가 주도적으로 교육목회를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개교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기 교회에 맞는 교육목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교인의 개성에 맞게 교육목회를 개발하여야 한다. 오늘날의 교육목회는 너무 일률적으로 성경공부에만 국한되어 있다.
네째, 모든 연령에 맞는 교육목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A. 초대교회의 성장과 교육목회
초대교회의 성장과 교육목회의 관계를 살펴보자
1. 교회의 기능
예수 그리스도는 승천하기 전에 제자들에게 그의 지상명령을 말씀하셨다. 그러므로 너희가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찌어다 내가 세상 끝날 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마28:19-20).
이 말씀의 중심사상은 제자를 삼으라 ! 는 것이다. 제자를 삼기 위해서는 첫째, 가야하고 둘째,세례를 주어야 하며 셋째, 가르쳐야한다. 그런데 이것은 세가지의 다른 동작이 아니라 계속되는 하나의 진행을 의미한다. 다시말해 교회의 중요한 두가지 기능은 제자를 삼는 일과 그들을 가르치는 일이다. ) 진게츠,「현대교회 성장학」,임성택역(서울:생명의 말씀사,1980),p. 264.
2. 초대교회의 성장
사도행저을 통해 살펴보자. ) Vergil Gerber,「Church Growth」,pp.16-17
a. 최초의 교회가 예루살렘의 다락방에서 120여명의 소수 무리로 시작되었다. 모인 무리의 수가 이십염이 되더라 (행1:15)
b. 오순정에 3,000여명이 세례를 받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침을 받아 초대교회에 더하게 되었다. 그 말을 받는 사람들은 세례를 받으매 이 날에 제자의 수가 삼천이나 더하더라 저희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며 떡을 떼며 기도하기에 전혀 힘쓰니라 (행2:41-42)
120명의 교인이 하루사이에 3,000여명으로 성장하였다. 이 3,000여명은 진정한 제자들이었다. 그들은 사도의 가르침을 받았고 서로 교제하였으며 떡을 떼며 기도에 힘썼다. 양적인 성장이 결코 질적인 퇴보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 피터 와그너,「교회성장학」,p.64.
c. 날마다 구원받은 사람이 더하여다.
주께서 구원받은 사람을 날마다 더 하게 하시니라 (행2:47). 오순절은 금방 달았가 식는 남비와 같은 것이 아니었다. 예루살렘교회는 결코 다음과 같은 말을 하지 않았다. 우리는 전도 여행을 끝냈다. 이제는 강화훈련을 들어갈 시기이다 . 예수 그리스도에게 훈련을 받은 제자들은 전도와 교욱을 따로 분리 시켜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새신자로 굳게 양육하는 한편 전도를 중단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말미암아 제자의 수가 날마다 늘어나게 되엇다.
d. 오천명 이상의 제자가 늘어나게 되었다.
말씀을 들은 사람중에 믿는 자가 많으니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더라(행4:4)
e. 남녀의 큰 무리가 제자가 되었다.
믿고 주께로 나오는 다가 더 많음니 남녀의 큰 무리니라(행5;14) . 여기서는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들도 큰 무리의제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f.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의 수가 많아졌다.
하나님의 말씀이 점점 왕성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제자의 수가 많아지고 (행 6:7) 이처럼 교회가 급성장을 거듭하게 되므로 여기에서는 제자의 수가 더하여졌다 라는 표현 대신 제자의 수가 더 심히 많아지고 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사도행전과 다른 시약서신들을 살펴보면 이 시점으러부터 이 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교회의 성도수만 아니라, 동시에 교회들이 증가하게 된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g.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아 교회의 수가 더 많아졌다.
그리하여 온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아 교회가 평안하여 든든히 서가고 주를 경외함과 성령의 위로로 진행하여 수가 더 많아 지니라(행9:31) . 여기서는 보이는 교회증가는 예루살렘의 최초의 교회와 같은 단일 교회의 의미로서가 아니라, 유대, 갈릴리, 사마리아의 머든 성도들을 집단적으로 포함시키는 지리적 의미의 증가를 뜻하는 것이다.
h. 수다한 사람이 제자가 되었다.
주의 손이 그들과 함께 하시매 수다한 사람이 믿고 두께로 돌아오더라(행11:21) . 이 말씀은 이방인 세계에서의 교회성장을 시발을 신호하고 있다. 과거에는 유대와 사마리아에서 교회가 많이 증가 하였으나, 여기에는 이방인들이 안디옥에서 주님께로 돌아오기 시작한 것이다.
i. 유대인 중에 믿는 자가 많아 졌다.
저희가 듣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바울더러 이르되 형제여 그대도 보는 바에 유대인중에 믿는자 수만명이 있으니 다 율법에 열심이 있는 자라(행21:20) . 여기에서 유대인중에 믿는자 수만명이 있으니 라는 말은 바울의 잔도활동 말렵에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된 유대인의 수가 수만명에 이르렀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초대교회는 제자들의 전동와 활동을 통하여 별 무리없이 교회가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Ⅴ. 평안교회를 중심으로한 사례연구
A. 교회현황
인천직활시 북구 계산동에 위치한 평안교회는 1984년 4월에 교회가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교인 10명과 함께 개척을 하여 1986년도 년말에는 출석교인이 120명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다 1987년 가서는 하나님의 강권적인 역사하심으로 교회당 건축을 하게 될 대지를 구입하게 되면서 부터 교회성장은 중단하게 되었다. 그 다음해 11월말에 교회당건축을 시작해서 년차적으로 교회를 건축해오다가 1991년 12월에 완공할때까지 주일낯 예배 출석교인이 평균 160명의 회집 인원을 유지 했었다. '92년도에 들어서면서 교회 주변의 대형 아파트에 입주자들이 계속 이어지면서 교회성장이 가속화 되기 시작되었다.
9월말 현재 평안교회의 현황은 장년교인 350여명, 중.고등부하갱40여명, 유.초등부는 150여명, 유치부는 70여명에 도달하고 있다.
교역자는 6명, 제직90명, 32구역에다 3개 남전도회와 4개 여전도회에서 복음사역을 함께 담당하고 있다.
B. 교육현황
현재 평안교회의 교육현황은 장년교육과 교회학교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데 교회학교 교육은 두명의 교육전도사들이 교사들과 함께 유치부, 유년부, 초등부, 중.고등부 그리고 청년부로 편성해서 담당하고 있다. 장년교육은 교육훈련과정으로 제자훈련, 전도폭팔 훈련,초급과정은 성경공부, 1:1초신자 양육, 성서총체 교육과 경겅 생활인 새벽기도 훈련을 강조해서 훈련하고 있다.
C.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육목회 프로그램
1. 1:1초신자 양육교육
한사람이 전도의 과정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 인도함을 받고 초신자가 되언을때 그가 가장 필요로하는 것은 확신이다. 자신이 정말 거듭났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다. 초신자의 또 다른 필요는 사랑과 용납이다. 초신자가 자신이 사랑을 받고 있고 용납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확신과 용납외에도 성장하고 있는 그리스도인에게는 4가지의 기본적인 필요가 있다. 그에게는 보호, 교제, 양식, 훈련이 필요하다. ) Leroy Eims,「제자삼는 사역의 기술」,p.51.
첫째, 보호의 필요성
갓난 아이들이 보호를 필요로 하듯이 초신자에게도 보호가 필요하다. 옛날의 기본적인 생활로 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사탄이 우는 사자와 같이 삼킬자를 찾고 있기 때문에 그는 보호 받아야 하고 하나님의 말씀으로 무장되어야 한다.
둘째, 교재의 필요성
그는 한 가정에 캐어났고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 자매들과의 교제를 필요로 한다. 초신자는 이러한 교제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라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셋째, 양식의 필요성
보통 아기들은 규칙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영적인 아기들도 이와 마찬가지로 음식을 먹어야만 한다. 그들의 영적 양식이란 바로 하나님의 말씀이다. ) 벧전2:2-3참조.
넷째, 훈련의 필요성
새 신자를 훈련 시킬때에는 일들을 어떻게 하는가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 먼저 새신자는 어떻게 하는가 하는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 살전4:1참조.
1:1양육 초신자 과정은 처음으로 교회에 나와서 교회생활 이나 구원의 교리 또는 신앙의 기초가 정립이 않된 교인둘과 그리고 교회 생활을 오래 했어도 구원의 확신이 없는 교인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열거하면 구원관, 교회생활, 예배와 기도,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등 성경및 교회생활에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내용들을 대상에 따라서 5-8회씩 지세하게 교육하고 있다. 교육ㄱ자는 주로 교역자난 사모가 담당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제자훈련과정을 마친 평신도중에서 덕이 있고 가르치는 은사가 있는 성도들응 훈련 시켜서 교육을 할려고 계획하고 있는 중이다.
1:1양욱의 첫째 목적은 구워느이 확신을 같게 하는데 있는 만큼 90%이산은 이 과정을 마치면 구원의 확신과 더불어 자기 발로 교회생활을 할 수있는 단계까지 신앙생활의 기초가 닦여 있는 것을 보게 된다.
2. 초급과정 성경공부
초급과정 성경공부를 마친 성도들의 말은 바로 이와같은 것들이다. 이제는 성경은 맥을 잡았다 . 분명하게 믿음과 교회생활에 자신감을 갖게 됐다 . 지금까지 8기에 걸처서 70여명이 초급과정 성경공부를 마쳤는데 80%는 자신감을 갖었고, 10%정도는 아직도 잘모르겠다는 사람, 10%정도는 조금은 나아졌지만 아직도 조금은 모르는 것이 더러 있다는 상태로 조사됐다. 성경 공부기간은 약 6-7개월로 직접 담임목사가 얼굴을 맞대고 자세하게 가르치고 있는데 직접 가르치다 보니까 목사를 어렵게 생각해서 한편으로는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되기도 하지만 그러난 마음을 툭털어놓고 가벼운 농담도 하면서 교육을 하니까 목사와 성도간에 이해의폭도 넓어지고 주님안에서 교제가 저절로 이루어 지는 좋은 점이 상당히 있는 것을 경험했다.
3. 제자훈련
a. 제자훈련의 정의
제자훈련이란 용어가 한국에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교회에서 다투어 제자훈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자훈련의 정의를 파악하지 못한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혼선을 빚고 있는것 같다. 그러므로 제자훈련의 올바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Gary W.Kuhne는 그의 저서 「새 신자 양육의 원동력」에서 저ㅔ자훈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Grary W.Kuhne,「새신자 양육의 원동력」,p.27.
제자훈련은 그리스도인의 생활에서 영적인 성숙함에 이르고 영적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적인 작업을 말한다. 그래서 바울은 디모데에게 가르치기를 네가 많은 증인들 앞에서 내게 들은바를 부탁하라... 저희가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디모데후서2:2) 하였다. 즉, 바울, 디모데,디모데의 제자들, 그리고 또 그들의 제지들이다. 자기가 배운것을 가르치도록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제자훈련의 원리인 것이다. 이것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4대의 영적 세대
세대 1 2 3 4
이름 Paul Timothy Faithful Men Others
한사람의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불신자들에게 복음을 전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하고 그 사람을 가르쳐서 또 다른 사람을 제자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제자훈련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b. 제자훈련의 중요성
제자훈련은 무었인가 분명히 하기 위하여 제지되는 질문에 왜 제자훈련이 중요한가 ?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이미 말한대로 성이 우리에게 제자훈려을 하라고 명령하고 있기 때문이다. ) 마28;19-20,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애가 어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찌어다 내가 세상 끝날 까지 항상 너희와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Gary W.Kuhne는 새신자를 양육하는 제자훈련의 중요성을 네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 Gary W.Kuhne,「새 신자 양육의 원동력」,pp.23-33.
첫째, 새 신자의 취약성이다.
새 그리스도인은 성숙한 신자가 그를 도와주고 보호 해 주어야 한다. 그가 스스로 말씀을 깨달으면 사탄과의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육성해 주어야 한다.
둘째, 새 신자의 변화 가능성이다.
새 신자육성의 두번째 중요한 이유는 새 신자의 신앙 성장율에 있는 것이다. 새 신자는 그의 생애에서 중요한 시점에 서 있기 떼문에 새 신자 육성을 통하여 지도와 육성을 받아 이 변화의 기회와 속도다 크게 더해지는 것이다.
셋째, 개인적 새 신자 육성을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제자들이 생산되고 있다.
새 신자육성을 실천함으로제자들을 상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새신자 육성은 새 신자의 생활에서 제자로서의 속도와 확률을 더 크게 해주고 있다. 새 신자 육성의 전체적인 사업에서의 제일 큰 목표는 제자 훈련인 것이다.
넷째, 개인적 새 신자 육성은 영적인 번식을 성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새 신자육성의 촛점이 영적인 생산에만 있는것이 아니라 영적인 재 생산에도 있는 것이다. 모든 그리스도인의 목표는 번식시키는 작 되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번식시키는 자를 정의해 보면, 번식 시키는 자는 그의 영적인 자녀들에게 그들이 재 생산 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 있는 제자를 말한다 . 다시 말해서 번식시키는 자는 다른 제자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자를 말하는 것이다.
W.B.Moore는 그의 저서 「제자 배가의 원리」에서 제자훈련이 필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Waylon B.Moore,「제자 배가의 원리」,pp.31-32.
첫째, 제자를 삼는 무한한 개인적 사역을 이룰수 있는 가장 전략적인 방법중의 하나이다.
둘째, 제자를 삼는 일은 가장 융통성 있는 사역이다.
셋째, 제자를 삼는 일은 복음전도를 위해서 그리스도의 몸 전테를 움직일 수 있는 가장 신속하며 확실한 방법이다. 제자를 삼는 사역의 목표는 단순히 더 많은 제자를 얻는데 있지 않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제자삼는 일은 복음전도의 결과인 동시에 세계 복음화를 이루는 한 수단이 된다.
넷째, 제자를 삼는 일은 어떤 사역보다도 더 정기적으로 열매를 맺을 수있는 잠재력이 있다.
다섯째, 제자를 삼는 일을 통해서 지역 교회내에서 그리스도 중심으로 일하는 성숙한 평신도 지도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 복음화와 제자훈련
교회는 20세기 들어와 사도시대 이후로 가장 큰 복음전파의 시대를 누렸다고 볼 수 있다. 1974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복음화 회의에서 빌리그래함은 하나님은 놀라운 방법으로 역사하고 계십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에게 전파된 적은 없었습니다 라고 말했으며 계속해서 그는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 북미 그리고 세계의 여러지역에서 놀라운 교회의 팽창 추세를 말하였다. 여기에서 복음전파 다시 말해서 복음화와 제자훈련의 관계를 분명히 파악 하는 것이 필요하다. ) Carl Wilson,「목회와 제자양성」,p.37.
복음화는 어떤 개인이나 집단을 예수님의 성숙한 제자가 되게하는 과정을 뜻한다(마28장). 우리가 선교하는 것은 예수님의 제자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기독교의 전파 방법은 제자 삼는 일이다. ) 손봉호,「한국교회의 평신도 운동과 복음화의 재이해」,p.1
Cary Wilson은 복음화의 목적과 제자양성ㅇ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carl Wilon,op.cit.,p.89.
복음화의 목적은 사람들을 인도하여 세례를 통해 고적인 자격을 얻게 하고 그럼으로써 교회에서 가르침과 보살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자 양성의 목적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영상으로 충만하도록 이끌고 개인적으로나 단체로서 성장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이다. 또 이어서 복음전파와 제자훈련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제자훈련이 없이는 복음전파의 성공은 어렵다 . 여기에는 두가지 이유가 있다. ) Ibid.,p.38.
첫째, 제자들을 적합하게 훈련하지 않는한 교회의 사업을 수행할 만한 유능한 지도자가 있을 수 없다.
둘째,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질이 낮아질 것이다. 상품의 질이 저하될때 판매량도 떨어진다.
위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복음화의 정의를 내려보면, 복음화는 그리스도의 제자가 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예수님의 제자가 되도록 하기까지 이르러야 한다. ) 손봉호,op.cit.,p.1.
결국 복음화란 복음전파 하는 것만을 말한 것이 아니라 그 뒤에 이어져야 하는 양육의 과정, 다시 말해서 제자훈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d. 오늘날 제자훈련이 현대교회 성장에 끼친영향
초대교회의 제자훈련과 제자들의 삶은 별 무리없이 교회성장에 기여하였지만, 오늘날 제자훈련은 교회성자에 기여한 면이 있는 반면, 눈에 두더러지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면도 있다.
1) 긍정적인 측면
(1) 평신도의 활동을 촉구하였다.
오늘날의 제자훈련이 현대교회 성장에 끼친 가장 두더러진 영향은 평신도의 의식구조속에 그들의 제자장으로서의 위치(벧전2:9)를 깨우쳐 주며 그들로 하여금 제사장으로서의 활동을 하도록 촉구하였다는 점이다.
(2) 교역자와 평신도의 사이를 접혀 주었다.
이제까지 활동은 교역자가 하는 것이며 평신도는 그저 앉아서 들으면 되는 것으로 알았는데, 제자훈련을 통하여 평신도들이 자기의 위치를 활발히 할동함으로말미암아 교역자와 평신도 사이에 존재하던 간격이 많이 좁혀지게 되었다.
(3) 잠들어 있던 교회에 도전을 주었다.
제자훈련이 활발히 전개되고 평신도들의 활동이 많아짐으로 말미암아 세상의 세력에 무기력하던 교회가 도전을 받고 열심히 활동하는 졔기가 되었다.
(4)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가져왔다.
제자훈련이 활발히 진행되자 각 교회에서는 그것을 교ㅛ회에 적요잇키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에 더욱 힘쓰게 되었다.
2) 부정적 측면
(1) 교역자의 권위가 떨어져다.
평신도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만인 제사장주의가 강조되면서 평신도들이 교역자도 평신도의 하나라고 생각하게 되어 교역자의 권위가 떨어지게 되었다.
(2) 평신도 사이의 분리 현상을 가져왔다.
교회내에서도 제자훈련을 받은 교인과 그렇지 않은 교인 사이에 우열의식이 싹터 평신도들 사이에 누에 보이지 않는 간격이 생기고 서로를 비판하는 좋지 않은 결과를 발생하였다.
(3) 제자훈련이 교회의 프로그램으로 정착하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제자훈련이 교회밖 선교단체에서 시작이 되었기 대문에 그것을 교회에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쩔 수 없이 어떤 특정한 선교단체의 제자훈련을 도입할 수 박에 없었다. 그러므로 그것이 교회에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교인 때문에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e. 평안교회에서의 제자훈련
현재 평안교회에서 실행하고 있는 제자훈련 그룹은 4개반을 운영 하고 있다. 1기와2기(도합13명)는 이미 마쳤고, 3기(7명) 4기(9명) 5기(10명) 6기(9명)는 현재 훈련중이다. 처음에는 각 그룹 인원을 12명 내지 14명까지 모집해서 시작을 하지만 훈련기간중 이사, 중도포기등으로 모든 훈련과정이 다 마쳐질때까지는 처음 시작 할때의 인원 보다는 1/3정도가 중간에서 그만두게 된다.
평안교회에서의 제자훈련 성과를 3가지 면에서 중간결산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성경을 보는 눈이 상당히 달라지는 것이다. 한마디로성경을 보는 시야가 넓고 깊게 된다는 점이다. 구원사적인 시각으로 보는 시각, 성경론적으로 보는 성경관, 또는 종말론적이나 성경전체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이고 성경속에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구원의 섭리와 인간을 향한 사랑의 계획을 깊이 있고 포괄적으로 알게되는 폭 넓은 신앙 영역이 확보되는 것을 보게 된다.
두번째로는 신앙의 행동화다. 말씀이 체계를 이루어 감과 동시에 믿음이 구체적으로 생활가운데 옮겨지고 실행됨으로 생명력있는 삶을 살게되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경건의 생활(QT)의 생활화, 지속적인 성경 읽기와 쓰기, 주님의 사역을 맡은 성도들은 그 맡은바 사역에 활력있고 구체성 있게 사역을 하고 있다.
셋째로는 교호가 알차게 성장하는 것을 보게 된다. 우선 제자훈련을 받은 직분자들 자신이 알차게 영적인 부장과 더불어 성장을 해 나가고, 이렇게 훈련된 직분자들의 지도를 받으면서 교회생활 해 나가는 믿음이 연약한 자들이 역시 알차고 굳건하게 성장을 해 나가며 또한 나가서 확신과 지식과 방법으로 복음을 전하니까 교회성장이 외적으로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알차게 성장해 가는 것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4. 전도폭발훈련(Evangelism Explosion)
교회목회의 프로그램중 제저훈련의 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사역인 전도폭발(Evangelism Explosion)이라는 뛰어난 형태가 있다. 이것은 일대일 혹은 작은 그룹의 육성과 제자훈련에 있어서 이상적인 프로그램이다. 이프로그램은 1962년 미국의 coral Ridge 장오교회의 Jaames D.Kennedy목사에 의해 시작된 이 전도 사역은 20여년간의 시행을 통하여 하나의 증명된 전도. 제자훈련 방법으로 인정되고 세계적으로보급되었다. 아시아 지역은 필리핀,홍콩 ,대만 등에서 전도폭발 사역이 실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국교회의 Eangelism Explosion Clinic에 참석하고 돌아온 10여명에 의해 현재는 많은 교회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 Billie Hanks and Williiam A.Shell.,「제자도」.p.99.
이 프로그램의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 Archie B.Parrish,Robert E.Record J.F.Engle저, 서인석역,「전도폭발Ⅰ지도자 글리닉 노트」,p.16.
이 그로그램은 두 가지의 특색이 있다.
첫째, 철저한 교회중심의 제자훈련 프로그램이며
둘째,철저한 전도중심의 제자훈련 프로그램이자.
다시 말하면 교회로 부터 시작해서 다시교회로 돌아오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특징인 것이다. 평안교회에서 전도폭발훈련을 실행하고있는 목표는 전도요원 훈련이다. 되도록이면 전교인을 능력있고 생활화된 전문요원으로 훈련시켜서 지역 복음활를 이루고, 더 나아가서 긍극적으로 세계복음화를 이루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삼고 있다. 물론 전도폭빨훈련을 받은 개인은 생명력 있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교회에서는 전도폭발훈련만이 아니라 교회 자체적인 전도 프로그램인 주간전도(한 주간에 3번 전도함), 또한 예수 전도협회와 자매결연을 맺어서 같이 진행하고 있는 전도집회, 연합집회(1회에 50여개 교회참가), 전도여행(4박5일 지정된 도시에서 1500여명이 함께 전도)띄을 교륙목회의 하나로서 하고 있지만 특히 전도가발훈련은 전도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경험과 방법으로 지속적이고 능력있게 복음을 전하는데 큰 의의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전교인 전도요원 훈련이요, 세계복음의 큰 목표를 가지고 지금 현재는 2회에 걸쳐서 10명이 이 훈련을 마쳤거나 하고 있는 중에 있다.
5. 성서총체 교육(T.B.C)
90년 10월에 시작하여 92년 8월까지 70과의 교육내용을 매주1과씩 수요일 저녁예배에 실시해서 마쳤는데 평균80여명이 이 과정을 공부했다. 교육내용은 창세기로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성경전체의 내용을 구원사적인 맥락과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데 역점을 두어왔다. 교육ㄱ방법 T.B.C교제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편집된 비디오 화면, 그리고 중요한 내용의 멧세지와 삶의 적용부분을 그때 그때마다 융통성 있게 교육을 했다. 부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긍정적인 면에서 평가를 한다면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보여주시고자 하ㅏ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하나님의 성품, 또한 인가늬 타락과 구원의 필요성, 그리고 성경전테의 줄거리(내용)을 긴밀성 있고 넓게 보는 시야가 열린 것에 대해 좋은 평가를 내리게 된다.
6. 새벽기도 경건훈련
마1:35에 보면 예수님께서 새벽미명에 한적한 곳에 가셔서 기도의 모범을 보여주신 말씀이 기록되어 있다. 새벽기도 생활이 사실상 힘이들고 훈련되지 않으며 이것만큼 고역도 벌로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영적생활의 기초가 되고 모든 삶의 원천이 되는 기도생활이 소홀해 진다면 다른 어떤 계획과 교육목회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얼마나 생명력있는 열매가 맺히게 될 것인가를 성경적인 관점에서 진단해 본다면 부정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평안교회에서는 어렵고 바쁜 생활중에서 피곤하지만 새벽기도난 철야기도 생활을 강조함과 동시에 강도높은 훈련을 통하여 교회나 개인에게 영적인 힌과 수준을 높이고 있다. 1년에 2-3차례는 특별 새벽기도 기간을 정해서 영적성장과 개인의 기도제목을 장해놓고 기도하고 있으며 주일새벽은 제직음 물론 교사, 성가대원도 참여하여 경건생활을 하도록 교육및 훈련을 하고 있다. 잘못 하는 성도들에게 전화로 깨워주기도하고 성도끼리 서로 깨워서 참여하기도 하며특별새벽기도 기간에는개인별 또는 구역별 상품을 주면서라도 기도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리고 실제로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교인들은 살아계시고 함께 하시사 역사하시는 하니님의 실체를 체험하는 산 믿음의 열매를 보고 있다. 영적인 체험들, 구원의 확신, 기도의 응답, 성령의 은사체험, 깊고 뜨거운 기도생활등은 기도로 경건생활을 하고 있는 교인들이 경험하는 보배로운 증거들이다.
'목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평신도와 목회자의 동역 (0) | 2009.11.10 |
---|---|
[스크랩] 평신도의 잠재력 (0) | 2009.11.10 |
[스크랩] 기독교교육의 사회문화적 기초 (0) | 2009.11.10 |
[스크랩] 기독교교육의 사회문화적 기초 (0) | 2009.11.10 |
[스크랩] 교회교육론 (0) | 200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