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강 최우선 선교대상 종족과 CUP모형
● 중국선교에 있어서 다음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은 특정 최우선선교대상 종족을 대상으로 선교하기 위해서는 그 종족(대상 종족)과 가장 관계있는 대학(거점대학)과 도시(관문도시)를 사역의 거점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 예를 들면, 大理白族自治州(운남성) 백족이나 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귀주성)의 보이족을 선교의 대상으로 했을 때, 그 대상 종족(People)과 관련된 대학을 거점대학(University)으로 하고 그 종족이 많이 이주하거나 관련있는 도시(관문도시:City)로 거점을 삼고 사역을 진행한다는 것입니다. ● 최우선 선교대상 종족의 복음화를 고려할 때 그 종족과 관련된 대학과 도시를 함께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미전도 종족 선교에 있어서 그 종족(P)과 관련된 대학(U)과 관문도시(C)를 함께 고려하는 것을 CUP모형이라고 합니다. ● 다시 말씀 드리면, 우리가 특정 미전도 종족-예컨데 귀주성의 보이족-을 선교의 대상으로 삼았을 때, 그 다음의 문제는 그 귀주성의 보이족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첫 출발을 어디에서 부터 시작해야 하는 가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 그런데 귀주성의 보이족의 원거주지는 농촌 지역인 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이며, 최근 도시화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진출하고 있고, 특히 교육을 위해 그 종족 중 엘리트 층 젊은이들이 대학(특히 민족대학)으로 이주하고 있습니다.
● 중국의 대다수 미전도 종족은 원거주지에 남아 있는 사람들, 생활을 위해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과 교육을 위해 대학으로 진학한 엘리트 층 젊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선교대상인 종족이 이렇게 농촌, 대학, 도시로 나누어져 거주하고 있는 실정에서 그 종족에 대한 접근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 CUP모형이라는 것입니다. ● CUP가 컵이라는 의미이니까, 내심으로는 중국의 미전도 종족 하나 하나를 컵으로 주님께, 떠 드림으로써 중국 전역을 주님께 드리겠다라고 하는 꿈을 CUP모형을 통해 그려 보고 있습니다.
● 미전도 종족선교에 마음을 두고 있는 분들이 현지에 가기 전에 생각하는 것은 소수민족을 무조건 생각하고 대부분 농촌지역의 소수민족을 생각하게 됩니다. 즉 소수민족선교=농촌 이라는 등식이 머리속에 그려져 있고, 그 농촌지역에서 선교해야 한다는 그림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러나 실제로는 농촌지역의 실정은 법적으로 외국인이 장기적으로 거주할 수 없거니와 법적인 허용이 된다고 해도 장기적으로는 커녕 1개월이라도 생활하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 그러면 어디서 선교를 해야 합니까? 결국 도시에서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그 종족이 많이 이주하되, 관문도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시를 거점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리고 한달에 한번이나 3개월에 한번, 아니면 6개월에 한번씩, 종족의 원거주지에 가서 단기적으로 사역할 수 있습니다. |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18강 CUP모형에서의 사역의 실제: 대학 (0) | 2009.07.22 |
---|---|
[스크랩] 제17강 CUP모형과 대학 (0) | 2009.07.22 |
[스크랩] 비즈니스선교학과 (0) | 2009.07.22 |
[스크랩] 선교문화인류학의 배경 (0) | 2009.07.11 |
[스크랩] 한국의 전방개척선교의 방향과 바램 (강승삼) (0) | 200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