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스크랩] 중국 소수민족의 언어

수호천사1 2009. 5. 5. 20:28

중국 소수민족의 언어



 

여러 종족이 발달되는 불균형적이고 비동기적인 과정과 함께, 소수 민족의 다양한 기원은 결국, 중국에서 사용되는 언어 수가 민족 수보다 더 많아지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에는 55개의 소수 민족이 있지만, 소수 언어는 80개 이상이다.

 

어떤 민족들은 하나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 언어들은 다른 어계에 속하기도 하거나 반대로 한 언어가 갈라진 방언들이기도 하다. 예컨대, 야오족은 3개의 언어를 사용하며, 징포족과 유구르족, 몬빠족, 로바족은 각각 2개의 언어를 사용한다. 대만에 사는 소수민족인 까오샨족은 10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한다. 쓰촨(사천)성에 사는 일부 티벳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티벳어와 다를 뿐만 아니라 중국-티벳어계에 속하는 어떤 언어와도 구별되는 언어이다. 오늘날까지도 아직 공통어를 만들지 못한 민족도 있다.

 

중국의 언어는 5개의 어계로 분류될 수 있다. 중국-티벳어계에 속하는 40개 이상의 언어, 알타이어계의 19개, 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에 속하는 13개(까오샨족의 언어), 오스트로-아시아어계의 3개, 그리고 인도-유럽어계에 속하는 2개 언어이다. 게다가, 한국어와 징어와 같은 언어의 계보는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의 소수민족의 언어
어계 민족 지파 주요 언어 소수 언어 거주지역
중국-티벳 캄-타이   타이어, 라오어 쭈앙어, 뿌예이어, 따이어, 물람어, 동어, 슈이어, 겔로어, 리어, 마오난어 꽝시성, 윈난성, 꾸이조우성, 하이난성
미아오-야오(묘-요)     미아오어, 야오어, 써어 후난성 서부산악, 꽝시성, 꾸이조우성, 윈난성, 꽝뚱성 서부산악
티벳-버어마   버어마어, 티벳어 아창어, 리쑤어, 나시어, 이어, 라후어, 하니어, 빠이어, 투지아어, 징포어, 누어, 드룽어, 로바어, 치앙어, 몬빠어, 지노어, 프리미어 티벳, 쓰촨성, 칭하이성, 윈난성, 꾸이조우성
오스트로-아시아 몬 크메르   크메르어 떼앙어, 블랑어, 빠어, (징어 ?) 윈난성 서부의 누강과 란찬강의 중간지역
알타이 투르크 남서부(오구즈) 투르크어   신장성 대부분, 내몽골의 북서부, 깐쑤의 일부
북서부 (킵차크) 카자흐어, 키르기즈어, 타타르어  
남동부 우즈벡어, 위구르어  
몽골인   몽골어 똥샹어, 투어, 보난어, 다우르어, 유구르어 내몽골, 신장성, 중국 북부의 대부분 지역
퉁구스 북부   어웬크어, 오로켄어 내몽골, 신장성, 헤이룽성의 북동부, 쑨가리강의 하류지역
남부(만주)   만주어, 허첸어, 시뻬어



중국-티벳어계


중국 남서부의 소수 언어 중 많은 수가 중국-티벳 어계 중에서도 티벳-버어마 어족에 속한다. 다시 이것은 티벳어와 미아오-야오(묘-요)어, 2개로 보통 나뉜다. 티벳어는 티벳에서뿐만 아니라 칭하이성, 윈난성 북서부, 쓰촨성 서부에서도 사용된다. 티벳어의 최초의 기록은 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무렵에 티벳글자가 힌두어 글자에서 처음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많은 양의 티벳문학은 주로 불교문학으로서 라마불교 수도원에서 보존해왔다.

쓰촨성의 남부와 티벳 동부, 윈난성과 꾸이조우성 전역에는 이족, 나시족, 리쑤족 등의 민족이 있으며 , 그들은 티벳-버어마어와 유사한 언어를 사용한다. 이족은 자신들의 음절 문자를 가지고 있어서, 주로 종교문서에서 사용하고 있다. 나시족은 두 종류의 문자를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상형문자이고 또 하나는 음절문자이다. 리쑤족이 쓰는 언어의 여러 문자는 그들 가운데서 사역하는 서구 사람들이 고안해주었다.

윈난성 서부에 살고 있는 빠이족의 언어는 티벳-버어마 어계에 속한다. 하지만, 그것은 어휘나 아마도 문장배열에서도 중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 위상을 정하는 것은 의문이다.

미아오-야오족의 언어는 중국 남서부 전역 산악지대의 많은 민족들이 사용하고 있다. 미아오어는 오스트로-아시아 어계의 몬-크메르 어족에 속하며, 야오어는 타이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예전에 믿고 있었으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미아오어와 야오어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고 티벳-버어마 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보려 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학자가 여기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는 중국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부 학자는 타이-코다이 어계라는 별도의 분류에 타이어를 위치시키고자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중국-티벳 어계에 속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꽝시성, 윈난성, 꾸이조우성의 여러 종족들이 타이어를 사용하며, 방언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2개의 큰 분류로 나눌 수 있는데, 북부 타이어와 남서부 타이어이다. 북부 타이어는 꽝시성에서 사용되는 쭈앙어의 방언들 일부로 이루어지고, 남서부 타이어는 주로 중국 외부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이다.

 

알타이어계

알타이 어계에는 투르크어, 몽골어, 퉁구스어, 한국어로 분류된다. 각 언어 간의 관계는 분명히 정립되어 있지 않지만, 알타이 어계라는 상위 분류에 포함시키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으며 모두 알타이 산맥의 주변 지역에서 나온 것들이다. 알타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소아시아, 중앙 아시아, 시베리아 등 매우 폭넓은 지역에 퍼져있으며, 중국에는 적은 수만이 있다.

중국에서 투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는 신장성, 내몽골, 깐쑤성의 위구르족, 카자흐족, 키르기즈족이 있다. 몽골어를 사용하는 민족은 내몽골의 몽골족과 기타 극소수 민족이다. 퉁구스어는 만주와 내몽골의 최북동부의 민족들이 사용한다. 한국어의 동족관계는 불분명하지만, 보통 알타이 어계에 포함시킨다. 하지만, 그것의 어휘는 중국어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중국의 몽골인들은 전통 몽골문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키릴문자를 사용하는 몽골인민공화국의 동족들보다 우월감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몽골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자는 논의도 일부 있었으나, 몽골인들은 거절했다. 위구르족의 문어는 제대로 정립되어 있긴 하지만 아랍문자를 사용하며, 카자흐족과 키르기즈족도 마찬가지이다.

 

오스트로-아시아어계와 인도-유럽어계

떼앙족, 블랑족, 빠족 등 불과 몇몇 소수민족만이 버어마, 라오스, 베트남 북부와 접경한 남부 및 남서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살고 있으며, 이들은 오스트로-아시아 어계의 몬-크메르어를 사용한다. 인구는 꽤 적은 편이다. 신장성 남서부와 헤이룽성의 소수민족은 타직어와 러시아어, 단 두 개만을 사용하며, 이들은 인도-유럽 어계에 속한다.

 

소수 언어의 문자 체계

소수민족의 언어는 거의 모두가 비중국계이며, 한족과는 의사소통이 전혀 불가능하다. 어떤 것은 개발이 잘 되어서 유용한 문자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것은 일반 대중들이 쓰기엔 적당치 않은 문자도 있다. 또 어떤 것은 아직도 아예 문자조차 없는 것도 있다.

중국 소수민족의 문자체계는 언어수에 비하면 적지만, 그 다양한 문자체계의 복잡성이라든지 문학적 전통은 다른 나라에서는 거의 필적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인민공화국의 건국 이전에, 단지 17개의 민족만이 자신들의 문자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 대부분은 문자가 있었으며, 그 기원에 따라 다음 5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 인도 고대문자에 기초를 둔 문자체계 : 티벳어 문자와 4가지 형태의 따이어 문자
- 아랍 문자에 기초를 둔 문자체계 : 위구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즈어 문자
- 위구르 문자에 기초를 둔 문자체계 : 몽골어, 만주어, 시뻬어 문자
- 라틴 문자에 기초를 둔 문자체계 : 징포어, 라후어, 리쑤어, 빠어 문자
- 독자적인 창조 : 한글과 사무엘 폴라드가 고안한 미아오어 문자

 

알파벳이 아닌 문자체계는 3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 상형문자 : 나시족이 사용하는 동바어 문자
- 음절문자 : 이어 문자, 나시족이 과거에 사용한 게바어 문자, 윈난성 웨이시현의 리쑤족이 사용하는 왕렌포어 문자
- 한자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기호문자 : 쭈앙어, 미아오어 문자 등


소수민족들 사이에 문자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정부는 따이족과 이족의 불완전한 문자를 개선시키고, 미아오족과 쭈앙족, 뿌예이족에게 개정된 문자를 보급하려 하며, 리족과 그 밖의 민족들에게는 아예 새로운 문자를 만들어주고 있다.

위에 언급한 27개 이외의 소수민족에게는 자신들의 문자가 아직 없다. 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후, 정부는 통합과 민족간 평등 정책을 실시했으며, 각 민족들에게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허락했다. 그리고 그들의 민족적 특색과 민족감정은 존중하도록 했다. 많은 민족들이 자신들의 언어에 맞는 문자체계를 처음으로 부여받았으며, 그 외의 민족들도 문자체계를 개정했다. 1950년대에는, 쭈앙족과 뿌예이족, 미아오족, 동족, 하니족, 리쑤족, 빠족, 리족, 나시족, 이족을 위하여 14개의 라틴 알파벳 체계가 만들어졌다. 이 중에서 오직 쭈앙어의 문자체계만이 국가평의회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쭈앙족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나머지 13개는 중앙민족문제위원회 또는 지방정부가 채택했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