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선교할 때 그 대상은 전 세계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거나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종족을 대상으로 합니다. 마28:19,20 의 예수님의 지상명령에서 모든 족속으로라고 할 때 그 족속이 종족개념인 것은 분명하고 선교의 대상으로써 개인이나 국가의 개념보다 종족 개념이 가장 적합하고 성경적이라 보여 집니다. 그러나 향후 더 분명한 개념이 새로 사용이 될 수도 있겠지요. ● 일반적으로 종족은 「그들 스스로 공통적인 친밀감을 가지고 있는 개인들의 집단으로 대단히 큰 인종-언어학적인 집단」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종족이란 동일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커다란 사회적 집단을 말합니다. ● 1982년 3월 로잔회의에 의하면 종족이란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언어와 종교, 윤리 저항감, 직업, 상황 그리고 복합적인 것들로 인해서 서로가 공유하는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어느 정도의 큰 집단"을 말합니다. ● 오늘 날 선교에 있어서는 종족과 국가사이의 구별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중국에 복음이 전파되어야 한다는 것은 중국이란 국가에 복음이 전파되고 교회가 생성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중국의 모든 종족들에게 복음이 전파되고, 각 종족마다 각 종족마다의 교회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현재 중국에는 중국 정부의 분류에 의한 56개의 종족이 있습니다.56개의 종족 중 한족이 92% 이고, 나머지 55개 종족은 모두 합해서 8%정도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 정부가 구분한 종족은 정치적인 목적에 의한 인위적인 구분으로 선교의 대상으로서의 종족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져야 합니다. 가. 붙여진 타당한 이름이 있어야 한다. 나. 위치적으로 그 집단의 중요한 숫자들이 지리학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다. 그 종족간 소통 가능한 언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기준이라면 동일한 종족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 이러한 분류 기분에 의하면 중국의 종족은 490여개의 종족으로 분류됩니다.(Paul Hattaway, Operation China, 2000). 중국을 하나의 국가로 보고 선교전략을 수립하는 것보다 56개의 종족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더욱 다양하고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56개의 종족보다는 490여 개의 종족으로 중국의 종족을 세분화할 수 있다는 것은 보다 구체적인 전략의 수립이 가능하게 합니다. ● 위와 같은 기준에 의해 분류된 중국의 종족은 490여개의 종족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중국정부에 의해 분류된 56개의 종족명을 "종족"혹은 “정치적 기준에 의한 종족”으로, 위와 같은 종족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세분화된 종족을 "세부종족"혹은 “선교적 기준에 의한 종족”으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선교적 기준에 의한 490여개의 종족에 대한 주요한 정보, 주 종교, 인구수, 거주지역, 복음화율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하면 많은 선교정보를 유출해 낼 수 있습니다.
|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교에 있어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김요셉) (0) | 2009.05.10 |
---|---|
[스크랩] 총체적 선교와 선교지 지역개발의 필요성 (김승호) (0) | 2009.05.10 |
[스크랩] 제5강 중국선교의 체계적 선교 모형 (0) | 2009.04.28 |
[스크랩] 제4강 중국의 구분: 동서 차이 (0) | 2009.04.28 |
[스크랩] 제3강 중국의 구분: 중국의 남북 (0) | 200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