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스크랩] 중국의 소수민족 개요

수호천사1 2009. 4. 21. 06:49

중국의 소수민족 개요

 

 

중국은 56개의 민족이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55개의 소수민족이 다수민족인 한족과 더불어 살고 있다. 1990년 중국 전국 인구조사에서는 소수민족이 중국 전체인구의 8.04%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수도 약 9천만(91,323,090)에 달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 소수민족은 중국 전체 영토의 60%에 달하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다양성은 지역뿐 아니라,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족과 같이 중국에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한족과는 차별된 언어, 문화,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겉보기의 생김새가 확연히 다른 민족도 많다. 이런 다양한 민족들이 어떻게 중국이란 울타리 안에서 중국인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정부는 거대한 땅덩어리와 수 많은 민족들을 중앙정부 통제하에 두기 위하여 국가민족주의를 새롭게 개념화하였다. 중국인(中國人)은 시민권을 가진 국민으로 정의되었고 '중화민족(中華民族)'이란 커다란 개념 아래에 하위 개념으로 민족이 규정되고, 그것은 바로 족(族)이라는 개념이다. 즉, 요약하면 중국이라는 국가는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통일적인 다민족국가로, 그 국가의 시민은 중화민족 즉 중국인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새롭게 정의된 국가민족주의의 개념은 종교적 신조와도 같이 국가 이데올로기로써 중국인들에게 반복 주입되었다. 또한 1954년 제정된 중국 헌법은 각 민족의 평등 권리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소수민족의 문화와 지역자치를 존중하고 중국을 4단계의 행정구역으로 구분했는데, 같은 시기에 제정된 '민족 구역 자치법'에 따라 소수민족들은 각 행정단위에서 자치적인 조직을 이루고 있다. 1991년 통계에 의하면 소수민족은 5개의 자치구 (내몽고, 서장, 영하 회족, 신장 위구르족, 광서 장족)와 62개의 자치주와 맹(盟) 그리고 589개의 자치현과 기(旗)로 이루어졌다. 한 예로, 연변의 조선족은 지구급인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성립시켰으며, 길림성의 장백 조선족 자치현은 그보다 아래인 현급의 기구이다.

 

중국의 민족주의와 소수민족 보호 정책에도 지역간의 경제 불균형을 막을 방법은 없다.

중국에서 가장 가난한 곳 중 하나는 주로 서부에 흩어져 있는 소수민족 지역이다. 신화통신과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소수민족이 거주하는 이른바 ‘민족지구’의 주민 1인당 평균 수입은 지난해 8678위안(약 104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전국 평균 1인당 수입 1만1278.54위안의 76% 수준이다.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상하이(1만8644.44위안)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중 신장지역의 1인당 평균 수입은 7990.11위안으로 가장 적게 나왔다.

상해에서 거리를 돌아 다닐 때 조심해야 할 것으로 꼽으면 교통신호와 무관하게 다니는 자동차와 오토바이를 꼽을 수 있지만 신장사람들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도 꼭 나온다. 신장사람이란 신장 자치구에서 온 소수민족을 말하는데 생김새가 이슬람계처럼 생겨서 구분이 확연하다.

신장은 중국 내 최대 석유 생산기지가 될 잠재력이 있고 중국 산출 석유의 약 25퍼센트가 신장에서 나오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신장이라는 지역의 중요성이 더욱이 커져가고 있는 것은 지정학적 중요성이다. 신장 영토는 중국 전체 영토의 17퍼센트나 되고, 최근에는 중앙아시아·러시아·남아시아와 경제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거점이 되고 있다. 신장 우루무치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뻗은 신장(남북)철도가 이들 지역을 연결하는 구실을 하고 있다. 또, 장차 중국과 미국이 충돌할 때 미국이 중동산 석유·가스의 수송로 통제권을 무기로 이용하는 사태에 대처할 육상 수송로이기도 하다. 일례로 중국은 이란에서 생산된 석유와 가스를 육로송유관을 통해 수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그 송유관은 신장을 관통할 것이다. 이런 중요성 때문에 중국 정부에서는 한족의 이주를 급속히 늘리고 있고 신장 자지구를 대부분을 자치하고 있는 위구르족은 고용과 국가 서비스 등에서 차별받기도 하였다. 신장의 대규모 유전은 한족을 고용에서 우선시 하고 있다. 이에 위구르족은 1989년부터 여러 차례 저항 행동을 벌여 왔다.

 

1998년에는 중국 정부의 억압 조처에 저항하는 위구르족의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평화적 비무장 시위대에 무차별로 발포해 소요가 일어났고 진압 과정에서 1천여 명이 살해당했다는 말까지 나온다. 이런 저런 이유로 신장사람들은 신장자치구를 떠나 중국의 대도시로 들어왔지만 대부분 교육수준이 낮고 자본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길거리에서 조그마한 장사를 하거나 범죄에 발 담그는 경우가 많다. 흔히 신장사람을 접할 수 있는 것은 길거리에서 양꼬치를 파는 많은 상인들이 신장사람들이다. 그들은 특유의 신장어로 호객행위를 하는데 왠지 신장사람이 파는 양꼬치가 더 맛있게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어린 자식들을 앞세워 구걸행위를 하게 하거나 소매치기를 시키는 부모들도 볼 수 있고 성인 남성 몇 몇이 몰려다니며 대낮에도 과감하게 지갑을 강탈하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그래서 신장사람들이 거리에 보이면 자신의 지갑부터 잘 챙기게 된다. 중국 한족들도 외모부터 다른 신장사람들을 멸시하거나 터부시 하는 광경도 쉽게 목격하게 된다.

55개나 되는 다양한 소수민족들과 한족 그리고 광대한 대륙을 가진 중국에서 살아가는 것은 정말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56개의 민족을 일일이 다 소개하기엔 각 민족의 문화와 특성이 방대하여 중국의 소수민족들의 고유의상을 입은 사진으로 중국소수민족에 관한 이야기를 마치고자 한다. 소수민족간의 인구수는 매우 차이가 크다. 1990년에 이르러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은 좡족(壯族)으로 1,500여만 명이고,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은 뤄바족(珞巴族)으로 2,300여명이었다.

 

1) 인구 100만 이상인 소수민족 : 17개 민족

 

좡족(壯族, Zhuang), 후이족(回族, Hui), 위구르족(維吾爾族, Uighur), 카자흐족(哈薩克族, Kazakh, Hassake),

다이족(傣族, Dai), 이족(彝族, Yi), 먀오족(苗族, Miao), 만주족(滿族, Manchurian), 티벳족(藏族, Zang, Tibetian),

몽고족(蒙古族, Mongol), 투쟈족(土家族, Tujia), 부이족(布依族, Puyi), 조선족(朝鮮族, Korean), 둥족(侗族, Tong),

야오족(瑤族, Yao), 바이족(白族, Bai), 하니족(哈尼族, Hani)

 

2) 인구 10만 이상 100만 이하인 소수민족 : 15개 민족

 

리족(黎族, Li), 리수족(傈僳族, Lisu), 서족(畲族, She), 라후족(拉祜族, Lahu), 와족(佤族, Wa), 수이족(水族, Shui),

둥샹족(東鄕族, Dong xiang), 나시족(納西族, Naxi), 시버족(錫伯族, Xibo), 투족(土族, Tu), 거라오족(仡佬族, Gelao),

키르기스족(柯爾克孜族, Kirghiz), 다우르족(達斡爾族, Dawor), 챵족(羌族, Qiang), 징퍼족(景頗族, Qingpo)

 

3) 인구 5만 이상 10만 이하인 소수민족 : 4개 민족

 

무라오족(仫佬族, Mulao), 사라족(撒拉族, Sala), 마오난족(毛南族, Maonan), 부랑족(布朗族, Pulang)

 

4) 인구 1만 이상 5만 이하인 소수민족 : 12개 민족

 

다지크족(塔吉克族, Tadzhik), 푸미족(普米族, Pumi), 누족(怒族, Nu), 아창족(阿昌族, Achang), 에벵크족(鄂溫克族, Ounke),

지눠족(基諾族, Jinuo), 우즈벡족(烏孜別克族, Uzbek), 러시아족(俄羅斯族, Russia), 바오안족(保安族, Baoan),

징족(京族, Jing), 더앙족(德昻族, eyang), 위구족(裕固族, Yugu)

 

5) 인구 1만 이하인 소수민족 : 7개 민족

 

가오산족(高山族, Gaoshan), 다다르족(塔塔爾族, Tatar), 두룽족(獨龍族, Dulung), 오르죤족(鄂倫春族, Oulunchun),

먼바족(門巴族, Menpa), 뤄바족(珞巴族, Lepa), 허저족(赫哲族, Hezhe)

이외에도 등인(僜人), 샬바인(夏爾巴人) 등과 같이 아직 그 민족성분이 식별되지 않은 인구가 약 70 여만 명 있다.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 중 17개의 주요 순위별 인구수와 주요 거주지역이다.

1. 장족(壯族) - 15,555,820 - 광서, 운남, 광동
2. 만주족 - 9,846,776 - 요녕, 길림, 흑룡강, 하북, 북경, 내몽고
3. 회족(回族) - 8,612,001 - 녕하,감숙,신강,청해,하남,하북,산동,운남....
4. 묘족(苗族) - 7,383,622 - 귀주, 호남, 호북, 운남, 광서, 사천, 해남
5. 위그르족 - 7,207,024 - 신강(新疆)
6. 이족(彛族) - 6,578,524 - 사천, 운남, 귀주
7. 토가족(土家族) - 5,725,049 - 호남, 호북
8. 몽고족 - 4,802,407 - 내몽고,신강,요녕,기림,흑룡강,감숙,청해
9. 장족(藏族) - 4,593,072 - 서장(西藏)


- 기타
포의족(布依族) - 2,548,294 - 귀주, 운남
동족- 2,508,624 - 귀주, 호남, 광서
조선족 - 1,923,361 - 길림, 요녕, 흑룡강, 내몽고
백족 - 1,598,052- 운남, 귀주, 호남
요족(瑤族) - 1,402,676 - 광서, 호남, 운남, 광동, 귀주
하니족(哈尼族) - 1,254,800 - 운남(云南)
태족(다이族) - 1,025,402 - 1,025,402
하사크족 - 1,110,758 - 신강, 감숙(甘肅)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