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롱족(獨龍族)
인구는 5천8백16명
두롱족은 윈난성(雲南省) 공산두롱족(貢山獨龍族) 누족자치현(怒族自治縣)의 두롱강(?龍江)유역의 계곡 지대에 살고 있다.
두롱어는 한(漢)·티벳어계, 티벳·미얀마어파에 속하며 이 민족은 문자를 가지지 않는다. 두롱족은 만물(萬物)에 영혼이 있다고 믿고 자연계의 사물을 숭배한다.
두롱의 신화 중에는 이러한 얘기가 있다. 온 세계가 홍수에 잠겼는데 오빠과 여동생 둘만 살아 남았다. 그 둘은 결혼을 해서 아홉명의 아들과 아홉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들은 둘씩 결혼하여 흩어져 살았다. 그 중에서 셋째아들과 딸이 두롱강에 와서 살면서 자녀를 낳았는데 그들이 지금의 두롱족이 되었다고 한다. 두롱족의 호칭은「따위엔통찌(大元一統志)」의 리장루(麗江路) 풍속을 따라「챠오(?)」라고 불렸다. 명(明)·청(淸) 시대에「치우(?)」또는「(추曲)」라고 불렸으나 신중국 성립후 두롱(?龍)을 민족 호칭으로 사용하게 됐다.
신중국 성립전인 40년대에 두롱족은 사회적 생산력의 발전 수준이 낮고 여전히 부계가족 공사제(公社制)에 머물렀고 대나무로 만든 간단한 도구 등을 이용해 화전 농업에 종사 했다. 연간 생산량이 낮았기 때문에 채집과 어획·수렵으로 생산을 보완했다.
두롱족의 생활은 매우 궁핍하고 상품의 교환도 없었다. 그러나 신중국 성립후 이러한 뒤떨어진 생활양상을 철저히 바꾸기 시작했다. 두롱족은 근면하고 손님을 소중히 하고 우의(友誼)를 중시여겨 마을에 한 집이라도 무슨 일이 생기면 마을 전체가 나서서 돕는다.
또 이들은 신의를 존중하며 검소한 도덕 의식을 가지고 있다.「밤에 문단속을 하지 않고 길에 떨어뜨린 것을 줍지 않는다」라는 것이 두롱족의 전통적인 미덕이다.
두롱족은 과거에 옷 없이 천으로 왼쪽 어깨를 가리면서 몸을 둘러 옷을 대신했고, 밤에는 이 천으로 이불을 대신했다.본래 전통복장이라고 할만한 것이 없었기 때문에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외부의 영향을 받아 현대의 간편한 옷을 입기 시작했다.
두롱족의 특징 중의 하나는 과거에 여자들이 얼굴에 문신을 했었다는 것인데, 지금도 문신을 한 얼굴을 볼 수 있고, 두롱족이라고 하면 얼굴에 문신을 한 여자의 사진이 대표적인 것으로 표현되곤 한다.
농업위주의 생활을 한다고는 하지만 옥수수와 감자 등을 농사지어 먹는 외에 산이나 들에 자연적으로 나는 것을 채집해서 먹는 편이다.
음식은 주로 국수를 만들어서 볶아 먹거나 죽을 끓여 먹는다. 전체적으로 농사법도 발달하지 못했고, 환경의 영향도 있어서 식량이 부족한 편이다.
게다가 이들은 술을 좋아해서 음식을 해먹는 만큼의 곡식으로 술을 만들기 때문에 식량은 절대적으로 부족해 하루에 두끼를 먹는다. 자료에 의하면 두롱족은 과거에 동굴 생활도 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두롱(獨龍)족 방의 특징은 장방형이다. 장방형으로 크고 길게 지은 집안에 대가족이 함께 생활을 한다.
한 가정이 늘면 방을 하나 더 늘려 붙여서 크게 확장해 나가는 방식으로 대가족 생활을 한다. 한 집 안에 가정을 구분하는 것은 훠탕(火塘)을보면 알 수 있다. 장방형의 가옥 속에 훠탕(火塘)이 몇 개가 놓여 있느냐를 보면 몇 가정이 한 지붕밑에서 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두롱(獨龍)족은 씨족을 단위로 마을이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대가족이 한 집 안에 거하는 대가족제이다. 결혼은 가족 밖에서 배우자를 찾는다. 젊은 남녀들은 꽁팡(公房; 마을 공동의 방)을 찾아 자유롭게 연애를 한다. 성생활이 질서가 없어서 혼전에 아이를 낳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 이들의 무질서한 혼전 성생활 때문에 유산은 막내에게 물려주는 습관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결혼을 한 이후에는 엄격한 통제를 받는다. 젊은 남녀가 자유로운 연애를 통해 자기의 배우자를 찾는데 부모는 거의 간섭을 하지 않는다.
두롱(獨龍)족의 장례법은 토장, 수장, 화장 3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토장을 주로 행한다. 임산부가 난산중 죽어도 토장을 한다. 전염성이 있는 병으로 죽었을 때에만 수장이나 화장을 한다. 토장을 할 경우 모든 시체의 머리가 북으로 향하게 하고 동쪽을 보게 하여 묻는다. 그 이유는 두롱족의 조상이 동쪽으로부터 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화장을 할 경우에는 나무를 탑의 형태로 쌓고 시체를 위에 올려놓은 뒤에 불을 붙여 때운다. 탈 때에는 잘 타도록 주위에 불을 만져주고 완전하게 다 타고나면 그것으로 끝나고 재는 방치해둔다. 사람이 죽으면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와서 보고 위로하는데, 어떤 사람은 큰 소리로 울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시체를 만지기도 하는데, 대부분 술, 계란, 곡식 등을 갖고 와서 장례의 일을 돕는다.
두롱(獨龍)족의 전통종교는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으며 자연을 숭배하는 원시적인 종교이다. 하늘에 수많은 혼이 있는데, 그 혼을 '나무(納木)'라고 부르며 땅의 혼을 다스린다고 여긴다.
두롱족의 모든 종교적인 행사는 무당이 주관을 하는데, 이 무당을 '나무싸(納薩)"라고 부르며 '싸(薩)'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서 곧 '나무(納木)'의 도움을 입은 사람, 또는 '나무'의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이 무당은 계승을 하거나 배워서 하는 것이 아니고 '나무'가 어떤 사람의 몸에 임하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두롱족 사회에서 무당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
두롱족은 사람이 이 세상에 살아 있을 때 9개의 혼이 몸에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이 9개의 혼 중에 어떤 하나가 몸을 떠나면 몸이 불편해지고, 여러 개의 혼이 떠나면 몸이 병을 얻으며 많은 수가 떠날수록 몸의 병은 더욱 중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병이 나면 무당을 불러서 혼을 불러오는 굿을 한다. 혼을 많이 불러와야 병이 빨리 낫는다고 여긴다.
사람이 죽으면 그의 몸에 있던 모든 혼은 사라지게 되고, 사람이 변해서 영이 되는데, 이 영은 자연계에 있는 혼과 구분하고 '아시(阿席)'라고 부른다. 이 '아시'는 사람이 이 땅에 살았던 만큼의 시간동안만 존재하다가 남자는 파란색, 또는 하얀색의 나비로 변하고, 여자는 여러 색의 나비로 변했다가 나비가 죽으면 영도 함께 사라진다. 두롱족의 사고 속에는 자연계의 모든 혼은 사람을 돕거나 보호하거나 하는 것은 하나도 없고, 모두가 해롭게 하는 것으로 여긴다. 두롱족은 조상을 숭배하지는 않는다.
기독교의 전래는 1930년대였는데, 윈난성 누장(怒江)주 꽁산(貢山)현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제일 먼저 도착한 사람은 미국선교사 '모얼쓰(莫爾斯)'부부였다. 이들은 본래 스촨(四川)성의 '파탕(巴塘)이라는 곳에서 선교하였다. 그런데 이 지역은 장(藏)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모든 사람들이 민족 종교인 라마교를 믿고 있어서 전도하려다 문제가 발생해서 견디지 못하였다.
미얀마로 도망을 하던 중에 꽁산(貢山)현에 있는 두롱족마을에 도착하게 되었고, 두롱족의 도움으로 두롱(獨龍)강을 건너서 미얀마에 도착했다. 1935년에 이들은 국민당 정부가 발행한 선교허가증을 갖고 다시 두롱강 지역으로 와서 교회도 짓고, 전도도 해서 교회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로 복음전파가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빠르고 쉽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른 지역에서 이미 성경을 배우고 온 이웃민족(리쑤(LiSu)족,누(怒)족 등)들이 이 지역에 들어와서 함께 일을 했기 때문이었다.
금 기
- 사람이 죽은 후 다음날, 곧 매장하는 날에는 모든 마을의 사람들이 노동에 참가하지 않는다.
- 아이를 낳을 때에 절대로 방에서 낳지 않고 밖에서 낳은 후에 몸을 씻겨서 방으로 데리고 들어온다. 또 친정집에 가서 아이를 낳는 것도 금하고 있다.
- 무당이 혼이 있다고 말한 지역에서는 누구도 농사를 지을 수 없다.
- 노동 중에 뱀을 보고 죽였으면 바로 일을 멈추고 쉰다. 그렇지 않으면 더 많은 뱀이 온다고 생각한다.
- 남녀를 불문하고 이성의 앞을 지나가면 안되고 뒤로 돌아서 지나가야 한다.
카취에와지에(KaQueWa節)(음력 11월 또는 12월)
두롱(獨龍)족의 유일한 절기로 신년의 의미에 해당하지만 고정된 날이 없고 각 마을에서 스스로 기간을 정하여 지낸다. 이 절기 기간에는 각 가정마다 친구들과 친척들을 초청해서 함께 즐긴다. 절기 기간에는 모두가 자기의 옷 중에 제일 좋은 옷을 입고 술과 고기로 잔치를 한다.
절기의 활동 중에 절정에 해당하는 것은 '퍄오니우(剽牛)'로써 소를 묶어 놓고 대나무 창으로 소의 급소를 찔러 죽이는 것인데, 이 활동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소를 찌르기 전에 노래와 춤으로 즐긴다. 이들은 이러한 활동이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을 보장하고 가축도 번성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소수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의 소수민족 이해 (0) | 2009.04.21 |
---|---|
[스크랩] 중국 소수민족의 문제점 (0) | 2009.04.21 |
[스크랩] 소수민족 중에서도 소수민족 `두롱주(独龙族-독룡족) (0) | 2009.04.21 |
[스크랩] 청장고원의 유목민 `장족` (0) | 2009.04.21 |
[스크랩] 56개 다민족 국가의 인구의 분포와 특징 (0) | 200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