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원령 426호와 선교
“드디어 올 것이 왔어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정부가 종교와 관련해서 모종의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했었죠.”
“사회주의 국가 중국의 실체를 분명하게 보여준 사례입니다. 하지만 어떠한 탄압에도 굴하지 않았던 가정교회(비공인교회)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입니다.”
오는 3월1일부터 중국에서 ‘종교사무조례’(국무원령 426호)가 시행됨에 따라 이를 놓고 말이 많다. 특히 현지 선교사들은 중국 정부가 종교와 관련,처음으로 종합적인 행정법규를 마련했지만 이는 향후 교회에 대한 박해와 핍박의 예고편이라며 크게 우려하고 있다. 종교사무조례가 종교인들과 종교단체 및 종교활동 장소에 대해 합법적 권익을 보장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책임과 의무 조항을 어기면 언제든지 족쇄를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례는 지난해 11월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가 펴낸 ‘마르크스주의 무신론 연구와 선전공작을 진일보 강화하는 것에 대한 통지’(13호 내부문건)와 더불어 중국의 속내를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 종교의 자유는 분명히 확대될 것이다. 하지만 종교 활동의 자유와는 궤를 달리할 것이다.
10∼20년 전까지만 해도 대다수 중국인들은 종교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다. 종교를 독초로 보았고 유물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반동이라고 여겼다. 종교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경시했다. 그들의 사상은 뒤떨어졌으며 당과 한마음이 아닌 사람들이라고 몰아붙였다. 또 종교는 봉건 미신이고 신도들은 우매하고 뒤떨어진 자들이자 미신적인 사람들로 치부했다.
그러나 현재 종교에 대한 여론이 완전히 역전됐다. 대부분 중국인은 종교에 대해 갖고 있는 태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많은 사람이 비록 종교를 믿지 않더라도 종교에 대해 이전처럼 적대적이거나 배타적이지 않다. 둘째,신도를 이색분자나 비정상적인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다. 셋째,많은 당원과 간부가 ‘종교는 오늘날 중국 사회에 실제적으로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세월은 중국공산당과 종교간 관계 변화를 견인했다. 공산당은 종교와 사회주의 사회의 상호 적응과 융합을 강조한다. 종교도 사회주의 사회의 변화와 국가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불같이 일어나고 있는 가정교회는 눈엣가시다. 가정교회는 정부의 종교정책에 순응한 적이 없다. 게다가 도처에서 복음주의권 삼자교회가 등장,가정교회와 교류의 폭을 넓혀가는 것도 문제다. 실제로 삼자교회 수련회를 인도하는 가정교회 지도자들이 점차 늘고 있다. 가정교회와 복음주의권 삼자교회,해외교회간 교류도 확대되고 있다.
과거 중국 역사는 종교세력이 권력과 통치를 비난하는 행위의 주체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이 때문에 통제받지 않는 종교세력은 서방 적대세력에 의해 중국을 서구화,분화시키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중국정부는 우려하고 있다.
이제 한국 교회는 종교에 대한 지배 능력 강화와 포괄적인 법제화를 서두르는 중국 정부의 속뜻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수많은 가정교회 지도자들이 남몰래 흘리고 있는 눈물을 잊어서는 안된다. 삼자교회 및 가정교회에 건강한 복음의 열매가 맺히도록 힘써 도와야 한다. 중국인 모두 우리의 형제자매들이기 때문이다.
함태경기자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료] 주기도문 (0) | 2008.11.05 |
---|---|
[스크랩] 중국의 아시아 종교공략 (0) | 2008.10.29 |
[스크랩] 중국의 종교정책 (0) | 2008.10.29 |
[스크랩] 중국의 종교정책 (0) | 2008.10.29 |
[스크랩] 다시생각 해야할 중국의 선교정책 (나두산) (0) | 2008.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