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우리말

[스크랩] 한글, 아시아와 세계로 피어나다

수호천사1 2008. 10. 7. 12:01

한글, 아시아와 세계로 피어나다
562돌 한글날, 한글주간 문화행사 풍성

 

한글날을 전후해 ‘한글’이 노래, 춤, 영상, 디자인으로 피어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유인촌)는 훈민정음 반포 562돌 한글날을 맞아 4일부터 11일까지를 한글주간으로 선포하고, 국립국어원,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솔회와 함께 경복궁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한글을 주제로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펼친다.




‘한글, 피어나다’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행사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꿈이 한글로 피어나고 아시아와 세계로 퍼져 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먼저 4일 늦은 4시부터 집현전 옛 터인 경복궁 수정전 앞 특설무대에서는 ‘꿈같은 역사, 숨결 같은 한글, 온 누리에 피어나다’를 주제로 ‘한글주간 선포식’이 열린다.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가 담긴 동요 60년을 통해 우리말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고, 훈민정음 맞이 공연, 한글노래 대합창, 여민락과 봉래의 등의 축하공연이 이어진다. 특히 이날 처음 발표하는 한글노래 ’한글, 피어나다‘는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배경과 한글자모를 소개하기 위해 만든 노래로 가수 유열과 늘푸른오스카빌 소년소녀합창단이 함께 부른다.


이날부터 11일까지 경복궁 수정전에서는 기획전시로 ‘한글, 스승전 : 어머니 품으로 돌아온 훈민정음’이 개최된다. 한글 스승전은 세계문화유산 훈민정음, 특별한 글자 한글, 한글을 빛낸 인물들, 다양한 한글꼴의 등장 등 12개의 테마로 진행된다.


이번 기획전을 준비한 한재준 서울여자대 교수는 “이번 전시는 특별히 훈민정음 해례본이 만들어진 산실(産室)인 집현전 터인 수정전에서 개최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 크며, 이번 전시를 통해 한글의 참 가치와 우수성, 한글정신이 우리의 일상생활속에 널리 실천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훈민정음 해례본(영인본) 이본 전시, 주시경 선생의 육필 원고, 미공개 한글자료 등이 공개될 예정이어서 더욱 흥미로울 것으로 보인다.


선포식에 이어 9일 한글날에는 이른 10시부터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한글날 경축식’이 열리며, 늦은 2시부터는 세종문화회관 뒤 뜨락에서 ‘한글춤 2350’과 대북공연인 ’신명 타오’가 펼쳐진다. ‘한글춤 2350’은 매년 한글날을 기념해 선보이는 ‘한글춤’ 시리즈의 18번째 작품으로 아름다운 우리글 한글의 함축적 상징과 이미지를 춤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2350’은 10자의 홀소리와 14자의 닿소리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완성형 문자의 수를 의미한다.


이밖에도 한글단체들은 4일부터 △휴대전화 쪽글 자랑 한마당 △유시시-내가 만든 한글사랑 작품잔치 △토박이말 살려 글쓰기 대회 △전국 국어대회-황금사전 선발 대회 △한글 글꼴디자인 공모전 △외국인 한글 글씨 쓰기 대회 △국어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 학술대회 △풍자 동영상 대회 등을 개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한글날 공식 누리집(http://www.hangeulna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9일 한글날 경복궁 근정전 앞에서 ‘훈민정음 반포 재현 행사’를 할 예정이며,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 한국어학당에서는 8일 전국 외국인 한글 백일장이 개최된다. 또한 홍대 상상마당 등에서 개최되는 ‘한글 상상 2008 : 한글 손 글씨, 거리를 물들이다’ 행사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을 비롯하여 일반인들이 참여하여 만든 2,350자를 한글폰트로 제작하여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배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1일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청사 건물에 한글 관련 미술 작품을 설치하여 광화문을 찾는 이들에게 한글정신을 되새겨 보도록 했으며,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한글문화관 건립 추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또한 국립국어원은 한글날을 맞아 표준국어대사전 인터넷 개정판을 발표하고, 영어, 베트남어, 몽골어, 중국어판 ‘훈민정음’을 출판하고, 한국시인협회 소속 시인들과 함께 한글 24자모에 대한 디자인과 그림을 모아서 ‘한글 꽃으로 피어나다-문화의 옷을 입은 한글’을 출간할 계획이다.



△ 한글주간 행사 일정. 한글날 공식누리집(http://www.hangeulnal.com)

문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어민족문화과 02-3704-9432

문화체육관광부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