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글공부 하기 좋은 인터넷주소 벼리한국어학당 byeori.net - 강력 추천합니다. 가나다 한글사랑(www.ganana.org)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 부호, 외래어, 로마자 표기법, 바른말 고운말, 띄어쓰기 자료. 한글재단(www.hangul.or.kr) 세종대왕, 훈민정음, 겨레의 글자 한글, 한글 맞춤법, 한글 고전 등 한글과 관련된 전문.. 민족-우리말 2011.11.23
[스크랩] 개정된 한글 맞춤법 표기법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제공: 성하룡회장) <ㄱ> 가까와 → 가까워 가정난 → 가정란 간 → 칸 강남콩 → 강낭콩 개수물 → 개숫물 객적다 → 객쩍다 거시키 → 거시기 갯펄 → 개펄 겸연쩍다 →겸연쩍다 경귀 → 경구 고마와 → 고마워 .. 민족-우리말 2011.11.23
[스크랩] 한글 영문 표기법 ㄱ 가 ga 각 gak 간 gan 갈 gal 감 gam 갑 gap 갓 gat 강 gang 개 gae 객 gaek 거 geo 건 geon 걸 geol 검 geom 겁 geop 게 ge 겨 gyeo 격 gyeok 견 gyeon 결 gyeol 겸 gyeom 겹 gyeop 경 gyeong 계 gye 고 go 곡 gok 곤 gon 골 gol 곳 got 공 gong 곶 got 과 gwa 곽 gwak 관 gwan 괄 gwal 광 gwang 괘 gwae 괴 goe 굉 goeng 교 gyo 구 gu 국 guk 군 .. 민족-우리말 2011.11.23
[스크랩] “한글 속에서 하나님 섭리를 보았다” “한글 속에서 하나님 섭리를 보았다” “한글은 이 세계에서 제일 간단하다. 그러나 (수백년 동안) 사용되지 않았고 너무 쉬워서 멸시만 당했다. 한글은 하나님의 신비로운 섭리에 의해 신약성경과 기독교 서적을 위해 준비된 채 때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 책은 선교사 .. 민족-우리말 2011.11.14
[스크랩] 찌아찌아족 한국어 강사 "지원 아쉽다" 찌아찌아족 한국어 강사 "지원 아쉽다" 印尼 현지교육, 일본어 비해 교재ㆍ장학금 등 열악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 "한국에서 지원하는 것에 만족하냐고요? 어떤 걸 해주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일본보다 지원이 적어요." 인도네시아에서 찌아찌아족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 민족-우리말 2011.11.12
[스크랩] 개교 20주년 맞은 우즈벡 세종한글학교 <개교 20주년 맞은 우즈벡 세종한글학교>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우즈베키스탄 수도 다슈켄트에 있는 세종한글학교가 17일(현지시간) 개교 20주년을 맞았다. 세종한글학교는 지난 1991년 문을 연 이후 4천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중앙아시아 최대의 민간 한글학교로 성.. 민족-우리말 2011.11.12
[스크랩] 印尼 9개 실업고, 한국어 정규과목 채택 印尼 9개 실업고, 한국어 정규과목 채택 연구원 "5년 내 자카르타 200개 고교 보급 목표" (자카르타=연합뉴스) 이주영 특파원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실업계고교(SMK) 9곳이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 내년부터 정규과목으로 수업한다. 인도네시아 고교에 대한 한국어 보급사업을 .. 민족-우리말 2011.11.12
[스크랩] 한국어 읽기 교육론과 어휘 교육론 &#9865; 한국어 읽기 교육론 &#9865; 1. 읽기이론 중의 하나인 정보 처리 과정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기 상향적 과정: 문자-단어- 문장- 단락- 텍스트 ( 초급단계) 하향적 과정: 독자의 경험, 스키마 바탕으로 전체적으로 이해하면서 세부적으로 정보 찾기( 고급단계) 하지만, 결국, .. 민족-우리말 2011.10.29
[스크랩] 한글은 얼마나 우수할까, 위대할까? 한글은 얼마나 우수할까, 위대할까? 한글은 바보를 보통 사람으로 보통 사람을 천재로 만드는 경이의 문자이다. 최성재 전세계 언어학자치고 이제 한글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만큼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편리한 문자임을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한글은 과연 다른 문자와 비교하여 얼마나 우수한 .. 민족-우리말 2011.10.17
[스크랩] 한국어 문법 | 9. 어미 / 10. 본용언. 보조 용언 한국어 문법 [9. 어미 ] ⑴ 어미의 갈래 ① 어말 어미 : 단어 끝에 있는 어미. 그 자체만으로도 단어를 이룬다. 예) 달다, 하얗고, 깨끗하여 ②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 앞서는 어미. 선어말 어미는 반드시 어말 어미를 필요로 한다. 예) 먹는다, 입으셨다, 가겠으니 ⑵ 어말 어미의 갈래 ① 종결 어미 : 한 .. 민족-우리말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