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해석의 실제적 지침
A. 단어의 뜻을 찾는 해석 원리
단어는 그 뜻이 고정되었다고 생각할 수 없다. 단어와 단어가 결합되어 사상을 이루지만 단어는 연결된 다른 단어의 영향을 항상 받게 된다.
그러므로 단어의 올바른 뜻을 문장 내에서 찾기 위해서는 문맥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첫째, 단어가 사용된 당시의 여러 가지 가능한 뜻을 찾아낸다.
둘째, 여러 가지 단어의 뜻 가운데서 문맥에 가장 적합한 뜻을 찾아낸다.
셋째, 해석을 할 때 성경 본문의 뜻을 밝히기보다(exegesis) 청중을 의식하고 청중의 구미에 맞게 해석하지 않았는지(eisegesis)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넷째, 어원학(etymology)적인 연구는 때로 단어가 사용되어진 시대의 단어의 뜻을 찾는 데 실패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어원학적인 연구의 결과를 해석에 적용시켜야 한다.
다섯째, 동의어이지만 문맥에 따라 뜻의 차이가 약간 있을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라소르(William S. Lasor)는 문맥 가운데서 단어의 뜻을 연구할 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지적한다.
첫째, 주어진 단어가 모든 문맥에서 정확하게 같은 뜻만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둘째, 단어가 사용된 문헌의 형태(genre)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서술문에서 사용된 단어가 시에 사용되었을 경우 그 뜻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셋째, 어원학적 연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어원학적인 연구를 통해 단어의 기원과 연관된 다른 언어의 연구를 통해 그 뜻을 찾는 것이 중요하지만, 각 언어마다 그 자체적으로 해당되는 단어의 의미의 발전(Semantic development)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넷째, 단어들의 특별한 용도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어떤 때는 저자가 특별한 경우를 위해 단어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B. 문장 구조와 관련된 해석자의 해석 원리
첫째,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문법책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아무도 성경 언어의 문법을 자세한 부분까지 통달할 수는 없다.
둘째, 언어의 구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문법적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셋째, 사전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문장 구조 전체에 관심을 두되, 특히 문장 중 뜻을 좌우하는 문장 구조에 더 관심을 두고 생각한다.
다섯째, 문장 구조를 잘 설명해 주는 주석을 참고한다.
여섯째, 문장 구조에서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사용된 것은 저자의 의도를 살려 해석해야 한다.
저자가 밀접히 결합시킬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C. 역사적-문화적 요소를 이해하는 해석 원리
첫째, 본문에 나오는 사람들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둘째, 해석하는 문헌의 시대적인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지역이나 장소 등 지리적 환경을 익숙히 알아야 한다.
넷째, 성경이 기록될 당시의 습관, 사회적 종교적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다섯째, 문헌이 기록된 이전 시대가 다음 시대에 어떤 형향을 미쳤는지 조사 연구해야 한다.
여섯째, 그 당시 경제적 형편을 연구해야 한다.
일곱째, 역사적 형편을 초월하는 대화의 경우 성경 내용과 역사적 형편의 상이점을 알아야 한다.
여덟째, 저자의 종교적 문화적 형편과 해석자의 종교적 문화적 형편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D. 특정 구절의 해석 원리
첫째, 해석하고자 하는 성경 본문이 포함된 성경책을 전부 읽어야 한다.
그 이유는 책 전체를 전부 읽어야 저자의 저작 정신을 알 수 있고, 책 전체를 통일성 있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법이지만 책의 장수가 너무 많으면 본문을 중심으로 앞뒤 여러 장을 읽어 전체적인 문맥을 알아야 한다.
둘째, 본문이 나타난 책에 대한 서론적 연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서론적 연구의 결과와 성경 본문의 내용이 상충을 일으킬 때 해석자는 항상 성경 본문을 따라야 한다는 사실이다.
셋째, 본문이 나타난 장을 여러 번 읽되 가능하면 원문(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으로 읽고 여러 번역판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넷째, 성경 지명, 인명사전을 이용하여 본문과 관련된 지명 및 인명을 연구해야 한다.
다섯째, 인접된 문맥을 자세히 연구하여 해석하고자 하는 구절과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여섯째, 본문을 여러 번 읽고 정확히 번역해야 한다.
가능한 한 해석자가 해석하고자 하는 구절을 자신의 힘으로 번역해 보면 그 구절 해석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일곱째, 문장의 배열, 단어의 배열을 통해 나타난 강조에 관심을 기울인다.
히브리어, 헬라어 문법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문을 연구한다.
여덟째, 문맥에 비추어 단어의 뜻을 찾아낸다.
같은 단어일지라도 문맥에 따라 그 뜻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마다 불로서 소금 치듯 함을 받으리라 소금은 좋은 것이로되 만일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이를 짜게 하리요 너희 속에 소금을 두고 서로 화목하라”(막 9:49-50).
여기에 세 가지 다른 의미의 소금이 나온다. 첫째 소금은 희생에 관한 소금이요, 둘째 소금은 맛을 내거나 썩지 않게 하는 소금이요, 셋째 소금은 계약을 맺는다는 의미에서의 소금이다.
아홉째, 성경 모두가 문자적인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여러 가지 언어의 표현법을 동원, 본문의 뜻을 찾아낸다.
열 번째, 본문이 병행법(parallelism)에 의한 표현인지 혹은 병행구절이 있는지 조사한다.
열한 번째, 본문이 예언이 아닌지 잘 관찰하여야 한다.
예언이면 그 본문이 구약 당시의 사람에게 어떤 뜻으로 적용되었으며 그 예언이 신약에도 언급되었는지 조사 연구해야 한다.
열두 번째, 본문이 비유가 아닌지 잘 관찰해야 한다.
열세 번째, 어떤 성경 본문에 전통적인 자료가 있을 경우 그 전통적인 자료의 가치를 신중하게 판단하여 성경 해석에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디모데전서 2:14의 “아담이 꾀임을 보지 아니하고 여자가 꾀임을 보아 죄에 빠졌음이니라”의 구절에 대해 랍비적 전통과 묵시록적 전통을 사단이 이브를 성적으로 유혹했다고 전한다.
반면 또 다른 그 당시의 전통은 사단이 이브를 유혹한 것은 이브가 연약한 여성이었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우리는 전통의 가치를 신중하게 연구하고 성경 본문의 맥락에 비추어 본문을 해석해야 한다.
열네 번째, 그리스도의 위치와 본문과의 관계를 생각하면서 본문을 연구해야 한다.
E. 문화와 관련된 성구 해석 원리
대부분의 복음주의 학자들은 성경에 나타난 문화적인 요소를 오늘날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성경에 나타난 문화적인 요소가 담겨 있는 명령을 성경의 문화와 판이하게 다른 오늘날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느냐가 큰 문제로 대두된다. 성경에 나타난 이런 성경 구절을 해석하기 위해 우리는 몇 가지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1. 문화적인 행동과 맥락
첫째, 상황에서부터 분리시킨 단순한 행동의 의미는 이해하기 어렵다.
둘째, 어떤 행동이 담고 있는 뜻(원리)은 그 행동의 맥락을 더 자세히 알면 알수록 그 뜻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다.
셋째, 어떤 문화적 행동은 문화가 달라질 때 뜻이 달라짐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경에 나타난 문화적 행동이 담고 있는 원리를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문화적 행동으로 대치시켜야 한다.
2. 문화와 관련된 성구 해석 원리
첫째, 성경에 나타난 문화적 행동을 해석할 때 문화적 행동과 그 행동이 나타내고 있는 원리를 구분해야 한다.
둘째, 문화와 관련된 성구에 담겨진 원리가 문화적인 것이냐 영적인 것이냐를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그 다음 조사해야 할 것은 영구한 원리를 담고 있는 행동이 문화를 초월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한 문화에서만 용납될 수 있는 것인지를 찾아야 한다.
넷째, 그리고 많은 연구 끝에도 문화적인 행동과 그 속에 담겨있는 원리가 문화를 초월하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 명백하지 않을 때는 항상 겸손이라는 성경적 미덕이 해석자의 태도가 되어야 한다.
3. 해석적인 사례들
(1) 여자들이 기도할 때 수건을 쓰고 기도하라는 명령
박윤선 박사는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고전 11:5 주석).
“바울이 여자들의 공석 교훈을 금하였다(14:34-36; 딤전 2:11). 그러나 그들이 특수한 대상자들에게 공적으로 가르칠 수도 있음을 아주 금한 것은 아니다(딤 2:4). 기도나 예언을 한다 함은 공적으로 기도하거나 교훈함을 이름이다. 이런 일을 할 때에 여자가 머리에 쓸 것을 써야 된다는 것은 헬라의 풍속이었다. 바울은 그것이 미풍 되는 근거를 하나님의 창조이법에 붙여 말한다(3절, 7절 하반절). 그러나 바울이 이점에 있어서 절대적인 규칙을 제정하는 것은 아니다(Lenski). 이것은 다만 어떤 나라의 풍속이 자연이법에 부합할 때에, 혹은 그것이 죄가 아닌 한 기독자로서는 그 풍속을 좇음이 어떤 의미에선 양심적이고 순리적임을 가르친다.”
칼빈(John Calvin)은 같은 부분을 다음과 같이 주석한다.
만약 여자가 수건을 머리에서 벗으면, 그 여자는 복종의 상태에서 자유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동시에 남편에게 수치를 보이게 된다.
흐로샤이데(F. W. Grosheide)는 다음과 같이 주석한다.
“이는 바울이 여자가 기도하거나 예언할 때 머리를 가려야 한다는 법칙을 만들고 있지 않음을 보여 준다. 그의 요점은 여자가 일반적으로 공적인 장소에 나타날 때 머리를 가리는 것처럼 기도할 때나 예언할 때, 즉 황홀경에 있을 때 머리에 수건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14:26 이하). 왜냐하면 고린도 여인들은 기도할 때 그들의 수건을 벗었기 때문이다.”
본문에 나타난 문화적 행동이 담고 있는 원리를 정하는 데 약간의 견해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칼빈은 아내가 남편에게 자발적으로 순복하는 것을 원리로 삼는 반면, 박윤선 박사와 흐로샤이데 박사는 공적 예배에 있어서 여자들이 취해야 할 예의범절로 생각한다.
그리고 세 학자 모두 문화적 행동 자체의 영구성은 주장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여자들이 수건을 쓰는 문화적인 행위에만 국한시켜 생각해야 하며, 공적 예배에서 여자들이 취할 수 있는 지도적인 위치 문제는 다른 성구들과 함께(고전 14:34-36; 딤전 2:9-15 참조) 다루어야 하는 것이다.
(2) 입맞춤으로 서로 문안하라는 명령
“너희는 거룩하게 입맞춤으로 서로 문안하라”(고전 16:20).
박윤선 박사는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입맞춤은 친절, 존경, 용서의 의미를 가지는 것인데 고대 근동지방 교회에 한 가지 의식이 되어, 남자들은 남자끼리 여자들은 여자끼리 입 맞추는 예가 있었다.”
흐로샤이데는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예배시에 거룩한 입맞춤은 연합의 증표이다. 바울 서신의 낭독을 들은 다음 서로 입맞춤으로 고린도 교인들은 서로 연합된 것과 또한 아시아의 다른 교회와의 연합을 증거 한 것이다.”
렌스키는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회중 가운데서 각자가 자기 이웃을 향해 입맞춤을 주고받는다. 이와 같은 주고받음은 모든 사람이 참으로 영적인 일치에 있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교제의 이 입맞춤은 공적 의식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공적 의의를 갖는다. 거룩이라는 말이 이 입맞춤을 잘못된 개념으로부터 보호한다.”
칼빈은 “바울은 여기서 아마 그들이 예배드리기 위해 모였을 때 서로 환영하는 의식적인 입맞춤을 말하고 있는 듯하다. 나는 바울이 그들의 마음과 또 그들이 행해야 할 의무에서뿐만 아니라 그 표시(입맞춤)로, 그 표시가 욕정적이고 허위적인 것이 아니고 거룩한 것이라면, 그들 사이에 친선을 개발하도록 그들을 격려하고 있음을 의심치 않는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박윤선, 흐로샤이데, 렌스키, 칼빈은 본문에 나타난 원리를 성도의 연합, 사랑, 교제 등으로 모두 같은 견해를 나타낸다.
네 학자 모두 문화적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지만 나타난 내용으로 보아 원리는 영원하고 문화적 행동은 영원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성경 해석에 필요한 특수한 원리들은 성경 자체 속에 내재해 있는 원리들이다.
성경 해석에 있어서 언어의 여러 가지 표현법이나 문법적 역사적 해석 방법 등과 같은 분야는 성경 기록의 인적인 부분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는 것이다.
그러나 해석자가 항상 명심해야 할 것은 성경은 하나님의 작품으로 하나님이 저자라는 사실이다. 해석자는 하나님이 성경 66권의 저자라는 사실을 명심하면서 그 속에 나타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을 그 표현의 해석 원리에 맞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F. 완벽한 주해를 위한 지침
1. 구약 성경 주해 지침
제 1 단계 : 본문
(1) 주해할 구절의 범위를 정하라.
(2) 여러 번역본들을 비교하라.
(3) 의미를 중심으로 본문을 재구성하라.
(4) 산문은 운문체의 시 형태로 변형시켜라.
제 2 단계 : 번역
(1) 재구성한 본문을 나름대로 초역해 보라.
(2) 본문과 사역의 상응점을 체크하라.
(3) 이제 당신의 번역을 재검토하여 수정할 것은 수정하라.
(4) 완성된 초역을 마련하라.
제 3 단계 : 역사적 콘텍스트
(1) 본문의 역사적 배경(background)을 연구하라.
(2) 사회적 배경을 연구하라.
(3) 역사적 근저를 연구하라.
(4) 지리학적 배경을 연구하라.
(5) 본문의 연대를 결정하라.
제 4 단계 : 문학적 콘텍스트
(1) 본문의 문학적 성격 내지는 기능을 연구하라.
(2) 본문의 위치를 연구하라.
(3) 본문의 세목 세목을 분석하라.
(4) 저작권에 대하여 연구하라.
제 5 단계 : 문학적 양식
(1) 일반적인 문학양식(쟝르)을 밝혀라.
(2) 본문의 독특한 문학양식을 밝혀라.
(3) 내면에 깔려 있는 문학적 범주를 찾아라.
(4) 삶의 정황을 추정해 보라.
(5) 문형의 전부를 분석하라.
(6) 국부적이고 불완전한 문형을 소홀히 여기지 말라.
제 6 단계 : 구조
(1) 본문의 개요를 밝혀라.
(2) 문장의 형식(patterns)을 찾으라.
(3) 분석한 문형의 구조를 규모의 대소 단위에 따라 당신 나름대로
체계화시켜라.
(4) 덜 중요한 문형들의 의미를 평가 · 검토하라.
(5) 만약 시 문형이라면 적절하게 분석하라.
제 7 단계 : 문법적 자료
(1) 중요한 문법적 문제점들을 분석하라.
(2) 본문의 철자법과 어형 및 기타의 문제를 시대별로 분석하라.
제 8 단계 : 사전적 자료
(1) 분명치 않은 점이 무엇인지 설명하라.
(2) 핵심 단어와 어법에 집중하라.
(3) 가장 중요한 용어들에 관하여 연구하라.
(4) 어떠한 특별한 어의적 특징이 있는가 확인하라.
제 9 단계 : 성경상의 콘텍스트
(1)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 사용된 경우를 검토하라.
(2) 성경의 기타 부분과 본문과의 관계를 검토하라.
(3) 성경이해를 위한 본문의 중요성을 검토하라.
제 10 단계 : 신학
(1) 본문의 신학적 위치를 규명하라.
(2) 본문으로 말미암아 야기되거나 해결되는 특별한 문제점들을 밝혀라.
(3) 본문의 신학적인 공헌에 관하여 검토하라.
제 11 단계 : 2차 문헌
(1) 본문에 관한 다른 책들의 언급을 조사하라.
(2) 상호 비교하고 조정하라.
(3) 논고 전반에 걸쳐서 당신이 발견한 바를 적용하라.
제 12 단계 : 적용
(1) 삶의 문제점들을 파악하라.
(2) 적용의 성격을 분명하게 하라.
(3) 적용의 범위를 분명히 하라.
(4) 적용 대상자들을 확인하라.
(5) 적용의 범위를 정립하라.
(6) 적용의 시점을 정하라.
(7) 적용의 한계를 정하라.
제 13단계 : 논고를 쓰라.
2. 신약 성경 주해 지침
제 1 단계 : 일반적인 역사적 콘텍스트를 개관하라.
(1) 영어(한글)로 써진 전체 문헌을 단숨에 통독하라.
(2) 2차 문헌과 대조하여 당신이 관찰한 것을 점검하라.
제 2 단계 : 그 구절의 범위를 확실히 하라.
제 3 단계 : 본문을 설정하라.
제 4 단계 : 임시로 번역을 해보라.
제 5 단계 : 문장구조와 구분관계를 분석하라.
(1) 번역한 문장을 유연하게 정서하라.
(2) 문장 도식(diagram)을 작성하라.
제 6 단계 : 문법을 분석하라.
제 7 단계 : 중요한 단어를 분석하라.
제 8 단계 : 역사·문화적 배경을 조사하라.
제 9 단계 : 형식상의 특성을 결정하라.
(1) 특성상의 차이점들
(2) 형식상의 양상들
제 10 단계 : 특정한 역사, 즉 콘텍스트를 조사하라.
(1) 세부적인 판독
(2) 수신자
(3) 중심어휘들
(4) 요약 서술
제 11 단계 : 문학적 콘텍스트를 파악하라.
(1) 논리와 내용
(2) 내용과 요지
제 12 단계 : 보다 폭넓은 성경적·신학적 콘텍스트를 고려하라.
제 13 단계 : 2차 문헌들의 참고목록을 수집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읽으라.
(1) 그 구절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말했는지를 조사하라.
(2) 서로 비교하고 조정하라.
(3) 당신이 발견한 것들을 전체적으로 주해 논문에 적용하라.
(4) 언제 인용할 것인지 분명히 하라.
(5) 각주의 사용법을 알고 있으라.
제 14 단계 : 번역을 다듬어 온전하게 만들라.
제 15 단계 : 논고를 쓰라.
G. 성경 공부의 원리
1. 성경 공부는 설교가 아니다.
설교하는 것은 성경공부와 다르다.
2. 성경 공부는 권고나 권면이 아니다.
성경 공부와 권고와는 거리감이 있는 것이다. 본문을 근거로 몇 개의 훌륭한 권고를 하는 것이 성경 공부라고는 할 수 없다.
3. 성경 공부는 학문적 주석이 아니다.
학문적 주석이 성경공부라고는 생각 할 수 없다.
4. 성경 공부는 세뇌나 선전이 아니다.
성경의 뜻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견해를 성경에 주입시키고 있는 것이 성경공부는 아니다.
5. 성경 공부는 경건한 관찰이나 큐티(QT)가 아니다.
경건한 관찰을 본문에서 찾는 것이 성경공부는 아니다.
6. 진정한 성경 공부는 무엇인가?
(1) 진정한 성경공부는 평이(平易)한 언어로 진행되어야 한다.
히브리어나 헬라어의 지식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는 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런 기초적인 연구의 냄새가 성경공부 할 때 자주 나타나서는 안 된다.
성경공부가 능력 있는 것이 되려면 가능한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성경도 평이한 언어로 기록되었다.
(2) 성경공부의 실제적 목표는 정해져 있는 본문의 뜻을 청중에게 전하는 것이다.
정한 시간에 취급할 수 있을 만큼의 분량을 성경에서 정하여 그 내용을 찾아야 한다. 지도자는 반드시 그 본문의 기본적인 뜻을 밝혀주어야 한다.
“성경 주석은 성경 원저자의 뜻을 발견하는 것이며 성경공부는 똑같은 일이지만 약간 덜 기술적이고 덜 학문적이라 할 수 있다.”
성경공부는 보다 대중적이고 경건한 면이 있다. 성경공부의 중심은 본문의 뜻을 찾아내는 것이다. 성경공부의 첫 질문은 “여기에 어떤 경건한 요소가 있는가? 여기에 어떤 실제적 중요성이 있는가? 여기에 무슨 감동적인 요소가 있는가?”가 아니라 이 구절의 뜻이 무엇인가이다.
훌륭한 성경공부 지도자는 단어나 구절에 대한 감각(sensitivity)을 개발시켜야 한다. 마치 훌륭한 의사가 손가락에 뛰어난 감각을 가진 것처럼 훌륭한 성경공부 지도자도 예민한 감각을 가져야 한다.
(3) 성경공부는 항상 청중들의 시대와 생활에 적절하게 성경 본문을 적용해야 한다.
성경공부는 하나님의 백성을 먹이는 것이다. 먹일 때 청중의 필요를 적절하게 채워주어야 한다. 아이에게는 우유를, 어른에게는 음식을 주어야 한다.
성경 진리를 찾아 성도들의 구체적인 형편에 적용해야 한다. 교리적인 적용이나 영적 생활을 말씀을 통해 교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좋은 성경 교사는 성격에서 위로, 격려, 칭찬의 말을 신자에게 할 수 있어야 한다.
(4) 좋은 성경공부 지도자는 본문에서 경건한 점을 찾아 거기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어야 한다.
성경 말씀을 통해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해야 할 이유와 왜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야 하는지 등 하나님의 극진하신 사랑과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를 우리 생애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한 마디로 좋은 성경공부를 했다고 느낄 수 있는 조건은 내가 본문을 접하여 그 본문의 뜻을 이전보다 더 잘 이해하게 되었으며 성경공부 도중 주로 본문의 뜻이 무엇이었는지를 찾는 데 시간을 보냈고 성경공부 하는 중 본문으로부터 도전을 받고, 격려를 받고, 위로를 받으며, 교훈을 얻었다고 느껴지면 좋은 성경공부를 했다고 생각된다.
(5) 성경을 공부하는 목적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다”(딤후 3:16).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책이기 때문에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한 책이다
여기서 네 가지 사항을 좀 더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도록 한다.
첫째, 교훈을 위해 유익하다.
바울이 여기서 교훈을 제일 먼저 언급한 것은 교훈이 다른 것보다 탁월하기 때문이다. 교훈은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을 뜻한다.
이 말씀은 성경 계시를 통해 세상의 의미를, 인간의 의미를, 과학의 의미를 바로 알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우주의 모든 것에 대한 바른 이해도 그리스도의 구원을 이해하는 열쇠로만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둘째, 책망을 위해 유익하다.
우리가 소유한 교리에 잘못이 있거나 우리의 행위에 잘못이 있으면 성경은 우리에게 책망과 권면을 한다.
성경을 바로 사용하는 사람은 구원에 있어서도 부족함이 없고 삶을 위해서도 부족함이 없다. 그런데 성경은 책망과 권면을 사랑으로 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성경은 또한 우리가 계속 잘못된 데 머물러 있으면 다가올 위험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고 지적한다(딤전 5:20; 딛 1:9, 13; 2:15).
셋째, 바르게 함을 위해 유익하다.
책망은 목회 사역의 부정적인 차원이지만, 바르게 함은 긍정적인 차원이다. 목회 사역이 책망으로만 그치면 아무 유익이 없다.
항상 책망 다음에 교정시키는 단계가 있어야 한다. 책망과 바르게 함의 차이는 바르게 함이 책망의 결과라는 점이다.
넷째,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다.
목사들은 성도들을 훈련시켜서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거룩한 뜻이 그들의 삶에 규범적인 것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딛 2:11-14). 세상은 성도들을 위한 훈련장이요, 매일의 삶은 훈련을 위한 좋은 기회이다. 이처럼 성경은 성도들의 영적 훈련을 위해 사중의 유익이 있다. 즉 성경은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한 책인 것이다.
7. 성경 공부에 대한 접근 방법
성경공부는 기도의 태도로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진리의 말씀을 순종할 태도로 성경공부를 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가 배운 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할 수 있는 심정으로 성경공부를 해야 한다. 성경공부를 할 때 세 가지의 단계, 즉 관찰, 해석, 적용을 마음에 두어야 한다.
1. 관찰(observation) ⇨ 성경 본문이 무엇을 말하는가? 2. 해석(interpretation) ⇨ 성경 본문의 뜻이 무엇인가? 3. 적용(application) ⇨ 성경 본문의 뜻이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져다주는가? |
(1) 망원경식으로 성경을 공부하는 방법
이 방법은 전체를 한눈으로 보는 방법이다. 지평선 한 쪽에서 다른 쪽까지 전체를 보는 것과 같다. 이렇게 보면 성경의 통일성이 다양성속에 명백히 나타난다. 망원경이 전망을 제한하듯 우리들도 성경을 볼 때 그렇게 보는 것이다. 이는 주제별 연구와 같다. 특별한 진리, 주제를 전체 성경과 연관시켜 연구할 수 있다.
(2) 현미경식으로 보는 방법
현미경이 인간의 눈에 감추어진 것을 드러내게 하듯이 우리들도 성경을 분석적으로 그리고 자세하게 연구할 수 있다. 성경 속에 감추어진 하나님의 보고를 찾아내는 것이다. 현미경식 방법은 일반적으로 망원경식 방법보다 성도들에게 훨씬 더 유익하다.
로이드-죤스는 성경 전체를 망원경식으로 보는 것보다 성경의 한 부분을 현미경식으로 연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성도들에게 훨씬 더 유익하다고 지적한다. 현미경식 방법은 단어 연구, 어학 공부, 성경 역사 연구, 문화 연구 등을 하므로 하나님의 말씀의 패턴과 목적 등을 찾아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3) 망원경식으로 성경을 보는 예
전체 성경을 읽고 중심 주제가 무엇인가를 찾아낸다.
구약은 하나님께서 메시야를 보내 주시겠다는 큰 주제를 중심으로 기록한 하나님의 점진적인 계시이다.
우리는 구약 전체를 통해 하나님의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열망이 무엇인지,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볼 수 있다. 또한 하나님을 배반한 이스라엘 백성을 하나님이 얼마나 사랑하셨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구약의 모든 역사를 통해 예언의 연속을 본다. 메시야가 오실 것이라는 것이다. 유대인들은 메시야를 대망했다. 복음서를 읽으면 한 사람에게 초점이 모여진다. 바로 그분이 예수 그리스도이시며 오실 자로 예언된 자이다.
유대인들은 메시야를 인정하지 못하고 그들의 잘못된 종교적 열망 때문에 메시야를 죽였다. 그들은 하나님께 좋은 일을 했다고 생각했다.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부르는 자를 제거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렇게 하므로 무의식적으로 그들은 하나님의 목적을 성취했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인간의 죄를 위해 죽으러 오셨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그를 살리셔서 그를 영생의 근원자로 만드셨다. 그래서 유대인뿐 아니라 이방인도 그를 구주로 부를 수 있게 되었다.
사도행전은 하나님의 새로운 사회의 역사를 기록한다. 즉 교회의 처음 역사를 기록한다.
첫째, 성령이 오심으로 모든 믿는 자들을 교회로 이끌어 들인다.
둘째, 초기의 승리, 문제, 핍박을 기록한다.
셋째, 베드로의 사역과 바울의 사역의 조화가 나온다.
넷째, “바울이 담대히 하나님 나라는 전파하며 주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것을 가르치되 금하는 사람이 없었더라”(행 28:31)고 했다.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사역 기간에도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새로운 사회, 즉 교회를 위한 기초를 놓으셨다(요 13-17장).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그분의 종들을 불러 이 새로운 단체, 즉 교회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할 것에 대해 서신으로 기록하게 하신다.
요한계시록은 신약의 마지막 책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다시 나타나심을 기록하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간 세상에 다시 나타나셔서 인간의 잘못을 바로 잡고 영원한 세상을 시작하신다.
우리가 전체 성경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은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든 것이 펼쳐진다는 것이다.
8. 하나님 말씀에 대한 응답
지금까지 우리는 성경 해석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고찰해왔다. 이제 마지막으로 생각할 것은 왜 우리가 성경을 연구하고, 하나님 말씀을 알아야 하는가이다.
“하나님께서 성경을 주신 목적은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가 되어 날마다 그분의 영광 안에서 생활하도록 하기 위함이요, 우리가 성경을 이해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살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성경을 공부하고 연구하고 해석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하나님의 말씀에 응답하고 그분의 뜻을 따라 살아가기 위해서이다. 그렇다면 적절한 응답이란 무엇인가?
(1) 하나님의 명령과 금지를 따라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말씀하셨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전부 이해하고 깨달을 수는 없지만, 일단 성경을 연구하고 진리를 깨닫게 되면, 최소한 이해하고 깨달은 그 말씀대로 순종해야 한다는 것이다.
(2) 하나님의 약속은 붙잡아야 하고, 위협은 피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과 저주의 말씀을 우리 자신에게 적용시켜서 생각해야 한다. 그리하여 축복의 약속은 굳게 붙들고 저주와 위협의 말씀은 피해야 한다.
(3) 성경에 나타난 악한 사례와 선한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
성경에 나타난 여러 가지 덕에 관한 말씀들과 사례들을 바탕으로 우리가 피해야 할 악한 사례를 멀리하고, 본받아야 할 선한 미덕을 따라가야 한다.
(4) 진리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을 믿어야 한다.
성경에서는 어떤 것이 참된 것이고 진리라는 언급을 많이 보게 된다. 우리는 이러한 진리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하나님께 감사해야 한다.
(5) 성경에 나타난 직접적인 가르침을 따라 순종해야 한다.
하나님께서는 영적 체험에 관한 것들을 직접적인 가르침으로 우리에게 전달해 주신다. 즉, 생명, 구원, 거룩한 생활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순종을 더 잘하고 믿음이 자라며 주님과 그분의 말씀을 더 사랑하기를 기대하고 계신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성경을 연구하고, 해석하고, 이해하려는 우리를 도우실 것이다. 한 마디로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로 성경을 올바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을 사용하는 경우는 대략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첫째로, 우리는 정보와 이해를 얻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둘째로, 우리는 예배하도록 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셋째로, 우리는 예배의식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넷째로, 우리는 신학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다섯째로, 우리는 설교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여섯째로, 우리는 가르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일곱째로, 우리는 목회상담을 제공하기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여덟째로, 우리는 영성훈련을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아홉째로, 우리는 심미적인 즐거움을 위하여 성경을 사용한다.
아울러 우리의 평생 과제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읽고, 연구하며, 묵상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최선의 결과는 가장 정확한 해석으로부터 온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말씀을 올바로 해석하려는 성경해석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다고 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성경 학문인 것이다.
참고문헌
개역 개정 성경
공동번역 성서. 제31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83.
구약 원어 대조 성경[로고스출판사]
만나 성경. 서울: 성서원, 2002.
미션 성경 SE. 서울: 미션소프트, 2001.
외경·위경전서: 상. 서울: 기독교문사, 1993.
쉬운 한글 성경
우리말 성경
표준 새 번역 성경
한글 개역 성경
헬·한 대조 신약성경[송종섭 편]
헬·한·영 대조 신약성경[이병철 편]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KJV
Luther Bibel
LXX.
NASB
NEB
NIV
NJV
NKJV
Novum Testamentum Graece
NRSV
RSV
The Interlinear Bible
Million Leaders Mandate. www.iequip.org India:Card Box Company, 2003.
권성수. 성경해석학.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2.
류순하. 성서 개론.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1989.
박수암. 신약연구개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4.
박윤선. 요한복음. 서울: 영음사, 1989.
______. 고린도전후서. 서울: 영음사, 1981.
박형용. 성경 해석의 원리. 서울: 엠마오, 1991.
박희천. 손더듬이 성경해석학. 서울: 요단출판사, 1997.
임태우. 신구약중간사개론. 서울: 세계선교정보센터, 2009.
______. 고린도교회와 부활. 개정증보판. 서울: 세계선교정보센터, 2008.
조용기. 여의도순복음중앙교회 설교. 1989. 12. 6(수).
조해수. 신학입문.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최광선. 신구약 중간사. 서울: 한국로고스연구원, 1993.
Achtemeier,Paul J. An Introduction to the New Hermeneutic.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9.
Andry, E. R.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70. 1950.
Arndt, William F. and Gingrich, F. Wilbu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Baker, D. L. Two Testaments, One Bible. Leicester: IVP, 1976.
Baker, David. "Typology and the Christian Use of the Old Testamen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29, 1976.
Bangs, Carl. Arminius: A Study in the Dutch Reformation. Nashville: Abingdon Press, 1971.
Barr, James. The Semantics of Biblical Languag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1.
Barth, Karl. The Epistle to the Romans. Trans. Hoskyns, Edwyn C.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Bavinck, H. Gereformeerde Dogmatiek. Kampen: J. H. Kok, 1906.
Berkhof, Louis. Principl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윤종호·송종섭 공역.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1.
Berkouwer, G. C. Holy Scripture. Grand Rapids: Eerdmans, 1975.
Blackman, E. C. Biblical Interpreta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7.
Boman, T. Das Hebraeische Denken im Vergleich mit dem Griechischen. 2nd Ed. Goettingen, 1954.
Bruce, F. F. The New Testament Documents: Are They Reliable? Chicago: IVP, 1960.
_____________. The Books and the Parchments. Westwood, N. J.: Fleming H. Revell Co., 1963.
Burdick, Donald W. James.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12. Grand Rapids: Zondervan, 1981.
Caird, G. B.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Philadelphia: Westminster, 1980.
Calvin, John. The Second Epistle of Paul to the Corinthians and the Epistles to Timothy, Titus and Philemon. Trans. by Smail, T. A. Grand Rapids: Eerdmans, 1973.
____________. The First Epistle of Paul to the Corinthians. Trans. Fraser, John W. Grand Rapids: Eerdmans, 1973.
Carson, D. A. Ed. Biblical Interpretation and the Church: The Problem of Contextualization. Nashville: Nelson, 1984.
Charles, R. H. The Apocrypha and Pseudepigrapha of the Old Testament: I Apocrypha. Oxford: Clarendon Press, 1971.
_______________. Religious Development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6.
Childs, Brevard S. Biblical Theology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유선명 역. 신·구약 성서신학. 서울: 은성, 2001.
Clarke. Concise Bible Dictionary.
Clarke, W. K. Lowther. Concise Bible Commentary. New York: The Macmillan Co, 1953.
Cotterrel, Peter and Turner, Max. Linguistics and Biblical Interpretation.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1989.
Culler, Jonathan Ferdinand de Saussure. Middlesex: Penguin, 1976.
Dodd, C. H. The Parables of the Kingdom.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1.
Dunn, James D. G. The Living Word.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7.
Edwards, Brian H. Nothing but the Truth: An Explanation of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Evangelical Press, 1978.
Eissfeldt, Otto.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3. Tübingen: Verlag J. C. B. Mohr, 1964.
Farrar, F. W. History of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1961.
Ferrar, William John The Uncanonical Jewish Books. London: SPCK, 1925.
Filson, F. W. Which Books Belong in the Bible?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57.
Findlay, G. G. St. Paul's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The Expositor's Greek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80.
Forsyth, P. T. The Principle of Authority. London, 1952.
Friedrich, G. "Die Problematik eines Theologischen Woerterbuchs zum Neuen Testament." in Aland, Kurt Ed. Studia Evangelika. Berlin: Akademie, 1959.
Goodspeed, Edgar J. The Story of the Apocrypha.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9.
Grant, Robert M. A Short Histor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New York: Macmillan Co., 1966.
Green, Michael. 2 Peter and Jude.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Grand Rapids: Eerdmans, 1987.
Grosheide, F. W. Commentary on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68.
Hadas, Moses. Aristeas to Philocrates(Letter to Aristeas). New York: Harper & Bros., 1951.
Haller, Rudolf. Questions on Wittgenstein. London: Routledge, 1988.
Hanson, R. P. C. Allegory and Event. London, 1959.
Harkness, Georgia. Understanding the Kingdom of God. Nashville: Abingdon Press, 1974.
Harrison, E. F. "Exegesis." Baker's Dictionary of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60.
Heinisch, Paul. English edited by Rev. Heidt, William.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Collegeville. Minn., 1950.
Hendriksen, William. The Gospel of Luke. Grand Rapids: Baker, 1978.
____________________. The Gospel of Matthew. Grand Rapids: Baker, 1973.
____________________. New Testament Commentary: Exposition of the Pastoral Epistle.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4.
____________________. Survey of the Bible. Grand Rapids: Baker, 1976.
Hill, David. Greek Words and Hebrew Meanings: Studies in the Semantics of Soteriological Te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
Hirsch, E. D. Validity in Interpretation.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7.
Keil, Karl A. G. Lehrbuch der Hermeneutik des N. T. nach Grundsätzen der grammatisch-historischen Interpretation, 1810.
Kennedy, H. A. A. Philo's Contribution to Religion. 1919.
Kistemaker, Simon J. Peter and Jude. Grand Rapids: Baker, 1987.
Klein, William W. Blomberg, Craig L. and Hubbard, Jr., Robert L. Introduction to Biblical Interpretation. 류호영 역. 성경해석학 총론.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9.
Knox, J. Marcion and the New Testament. University of Chicago, 1942.
Kuitert, H. M. Verstaat Gij wat Gij Leest? Kampen: J. H. Kok, 1969.
Lenski, R. C. H. The Interpretation of I and II Corinthians. Minneapolis: Augsburg Publishing House, 1963.
Leupold, H. C. Exposition of the Psalms. Welwyn Herts: Evangelical Press, 1977.
Lloyd-Jones, Martin. Studies in the Sermon on the Mount. Vol. II. Grand Rapids: Eerdmans, 1971.
Longenecker, Richard. Biblical Exegesis in the Apostolic Period. Grand Rapids: Eerdmans, 1975.
Louw, J. "Wat Wordt in II Petrus 1:20 Gesteld." Nederlands Theologische Tijdschrift. 3. 1965.
Louw, Johannes P. and Nida, E. A. Ed.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ased on Semantic Domains. New York: United Bible Society, 1989.
Luther, Martin. Werke. Weimar Edition II. VII.
Lyons, John.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Marshall, I. Howard. Biblical Inspir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82.
_____________________. "Historical Criticism."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Essays on Principles and Methods. Ed. Marshall, I. Howard. Grand Rapids: Eerdmans, 1977.
_____________________. 신성수 역.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6.
McCartney, Dan and Clayton, Charles. Let the Reader Understand. 김동수 역. 성경해석학.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0.
Meecham, H. G. The Oldest Version of the Bible: Aristeas on Its Traditional Origin. London: Holborn Publishing House, 1932.
Metzger, Bruce M. An Introduction to the Apocrypha. 민영진 역. 외경이란 무엇인가. 서울: 컨콜디아사, 1988.
Mickelsen, A. Berkeley. Interpreting the Bible. Grand Rapids: Eerdmans, 1970.
__________________________. Better Bible Study. Glendale: G/L Publications, 1977.
Miller, H. S. General Biblical Introduction. Houghton, New York: The World Bearer Press, 1944.
Morris, Leon. I Believe in Revelation. Grand Rapids: Eerdmans, 1976.
New Testament Survey. Life Mission International Mindanao Branch. Davao: KSL Printing Press, 2003.
Oesterley, W. O. E. An Introduction to the Books of the Apocrypha.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n. d.
________________. "The Apocrypha and Pseudepigrapha." in Manson, T. W. A Companion to the Bible. Edinburgh: T. & T. Clark, 1947.
Oesterley, W. O. E. The Books of the Apocrypha.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914.
Packer, J. I. "Biblical Authority, Hermeneutics, Inerrancy." Jerusalem and Athens.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1.
Payne, J. Barton. Encyclopedia of Biblical Prophecy. New York: Harper and Row, 1973.
Perrin, Norman. "The Challenge of New Testament Theology Today." Criterion. IV. Spring, 1965.
Pfeiffer. "The Religion and Literature of the Pseudepigrapha." Interpreter's Bible I.
Pink, A. W. An Exposition of Hebrews. Grand Rapids: Baker, 1975.
Pinnock, Clark H. A Defense of Biblical Infallibility. An International Library of Philosophy and Theology: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7.
Ramm, Bernard. Protestant Biblical Interpretation. 3rd Revised Edition.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5.
Reid, J. K. S. The Authority of Scripture. London, 1957.
Ridderbos, H. The Coming of the Kingdom. Philadelphia: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9.
Roberts, Bleddyn J. The Old Testament Text and Versions. Cardiff: University of Wales Press, 1951.
Rogers, Jack B. and McKim, Donald K. The Authority and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 Historical Approach.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shers, 1979.
Sampson, Geoffrey. Schools of Linguistic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0.
Schreiner, J. Alttestamentlich-jüdische Apokalyptik. Munich, 1969.
Silva, Moises. Biblical Words and Their Meaning: An Introduction to Lexical Semantics. Grand Rapids: Zondervan, 1983
Smith, Bob. Basics of Bible Interpretation. Waco: Word Books, 1978.
Smith, J. B. Greek-English Concordance. Scottdale, PA: Herald Press, 1947.
Spence, R. M. "Private Interpretation." Expository Times 8. 1896-1897.
Sterrett, T. Norton How to Understand Your Bible. 성서유니온편집부 역. 성경 해석의 원리. 서울: 한국성서유니온, 1992.
Strachan, R. H. The Second Epistle General of Peter: The Expositor's Greek Testament. Vol. V. Grand Rapids: Eerdmans, 1980.
Stuart, Douglas and Fee, Gordon D. Old and New Testament Exegesis. 김의원 역. 성경해석 방법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5.
Surburg, Raymond F. Introduction to the Intertestamental Period. 김의원 역. 신구약 중간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4.
Terry, Milton S. Biblical Hermeneutics. Grand Rapids: Zondervan, 1974.
Thiselton, Anthony C.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Vol. 1. Grand Rapids: Zondervan, 1975.
_______________________. The Two Horizons. Grand Rapids: Eerdmans, 1980.
Thiessen, Henry C.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권혁봉 역. 신약개론.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2.
Thomson, J. E. H. "Apocalyptic Literatur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I.
Torrey, C. C. The Apocryphal Literatur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45.
Ullman, Stephen The Principles of Seman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Unger, Merrill F. Introductory Guide to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Pub. House, 1951.
Van Til, Cornelius. The New Hermeneutic.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74.
Virkler, Henry A. Hermeneutics: Principles and Process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Grand Rapids: Baker, 1981.
Vos, G. Biblical Theology: Old and New Testaments. Grand Rapids: Eerdmans, 1968.
Warfield, B. B.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Bible. Philadelphia: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mpany, 1948.
Waxman, Meyer. A History of Jewish Literature I. New York: Bloch Publishing Co., 1930.
________________. A History of Jewish Literature from the Close of the Bible to Our Own Days. New York: Bloch Publishing Co., 1938.
Wenham, John. Christ and the Bible. IVP, 1972.
Winer, G. B. A Grammar of the Idiom of the New Testament. Andover: Warren F. Draper, 1869.
Yarnold, G. D. By What Authority? London, 1964.
Zerwick, Maximilian Biblical Greek. 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85.
임태우 교수/홍은개혁신학연구원, 동아신학연구원 교수
'성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경 연구 방법의 10가지 (0) | 2019.02.11 |
---|---|
[스크랩] 은혜(grace) (0) | 2019.02.09 |
[스크랩] 트럼프 대통령, 공립학교 성경수업 개설에 “훌륭한 일” (0) | 2019.01.31 |
[스크랩] 롬6:6의 옛 사람과 엡4:22의 옛 사람 의미는? (0) | 2019.01.12 |
[스크랩] 성경 퀴즈 문제 (0) | 201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