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복음주의, 신복음주의, 근본주의, 개혁주의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교수님 관광경영학과 4학년 김00 라고 합니다.
책을 읽다가 복음주의 과학관에 관련해서 복음주의와 신복음주의, 복음주의와 근본주의, 복음주의와 개혁주의의
정확한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기본적인 것들을 알려드리니 잘 정독하시면 기본적인 것들은 이해가 될거라 봅니다.
1. 개혁주의
먼저 개혁신학은 두 가지 의미로 쓰입니다.
넓게는 종교개혁의 원리 위에 선 프로테스탄트 교회 전체의 신학을 가리키기도 하고
좁은 의미로는 칼빈주의 전통에 선 교회의 신학 전통을 말합니다.
좁은 의미로 보면 루터교 신학이나 알미니안주의와 구별되는 신학 사상입니다. 하지만 본래 개혁이라는 명칭은 개신교 내지 복음주의 신학을 뜻했고, 루터교를 포함했었습니다. 그러다가 1590년대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의 구분이 뚜렷해집니다. 하지만 성례전과 교회 기구론을 제외하면 칼빈의 신학 사상은 루터가 독창적으로 착상한 것을 칼빈이 조직적으로 체계화 한 것입니다.
개혁 정신의 핵심은 제도와 전통에 치우친 로마 카톨릭과 구별하여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와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을 회복하여 하나님의 주권이 하나님의 교회와 역사(歷史) 속에서 역사(役事)하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그 전통은 3대 교회 신조(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본 홈피에 원문이 있습니다.)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웨스트민스터 소요리 문답, 벨직 신앙고백, 하이델베르그 요리 문답, 도르트 신경 등을 따릅니다.
김영한 박사는 개혁 사상의 특징을 (1) 하나님의 주권적 은총과 영광, (2) 하나님이 영원한 선택, (3) 인간의 책임성과 창조 질서, (4)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 (5) 건전한 교의 추구, (5) 성령의 역사, (6) 하나님의 역사 행위에의 적극 참여, (7) 연합하고 일치하는 에큐메니컬 정신, (8) 장로직을 중심으로 하는 대의 민주적 교회 질서, (9) 말씀 선포를 중심으로 하는 예배 의식, (10) 문화적 변혁 사상을 천명하고 긍정합니다. 다만 같은 개혁주의라도 좀 더 보수적인 총신(예장 합동) 계열의 개혁주의는 에큐메니컬에 대한 입장이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2. 복음주의
복음주의는 개혁주의와 달리 특정 교파적 성격을 말하는 게 아닙니다. 따라서 복음주의 안에서는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가 함께 할 수 있습니다. 복음주의의 어원은 종교 개혁 시대로 올라갑니다. 복음주의는 독일에서 루터 교인들과 개혁주의자들을 포괄적으로 부르던 개념이었습니다. 처음 반개혁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을 루터파 교도(Lutheraner) 또는 마틴파 교도(Martianer)라 불렀으나 1521년 루터는 복음주의자(Evangelisch)라고 고쳐 부릅니다.
루터 이후로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복음주의는 오늘날 정의 내리기가 그리 쉬운 용어는 아닙니다. 그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그 정체성을 규정하는데 있어 복음주의라는 용어 자체가 매우 포괄적 성격을 띠기 때문입니다. 미국 복음주의 기관지로 간주되는 『오늘의 기독교』(Christianity Today)는 1979년 북미 인구의 20%가 복음주의자들이라고 주장하고 또 조지 갤럽은 30%라고 말합니다.
블러쉬(D. G. Bloesch)는 먼저 복음주의를 전통과 의식을 중시하는 로마 카톨릭 교회와 구별합니다. 둘째는 이단적인 것에 반하여 정통적인 것, 셋째는 현재적 또는 자유주의적인 것에 반하여 전통적 또는 보수적인 것을 나타낸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신학적인 탐구보다는 생활과 체험을 강조하는 입장을 가리키고 영어권 나라에서는 침체된 교회 활동에 대해 영적 부흥 운동을 일으키는 정신을 가리키기도 한다고 하였습니다. 즉 복음주의는 일련의 역사적 물결 또는 동심원을 통하여 발생하여 일정한 색깔과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한 기독교의 흐름입니다. 종교개혁과 청교도주의, 경건주의, 미국의 대각성 운동이 복음주의의 대표적인 흐름이었습니다.
알리스터 맥그라스(Alister McGrath)에 따르면 복음주의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부터였습니다. 그것을 중세 말기 교회의 형식적 신앙에 반기를 들고 성서적 신앙회복을 주창했던 카톨릭 저술가들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1520년에 이르러 불어 에방겔리끄(évangélique)와 독일어 에판겔리쉬(evangelisch)는 종교개혁 초기 논쟁적 작품에서 크게 부각되었고 개인적 구원의 경험을 강조하는 복음적 태도와 그것을 중시하는 영적 운동이 이태리 귀족사회에서 일어났는데 이것이 복음주의의 초기 형태입니다.
그래서 16세기 종교 개혁 시대의 복음주의는 반카톨릭 교회적인 것을 의미했습니다. 종교 개혁 신앙의 표어인 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은혜(sola gratia) , 오직 믿음(sola fide)의 원리는 복음주의 정체성의 중심을 이루는 것이지요. 맥그라스는 복음주의의 6 가지 특징으로 성경의 권위, 신앙적 전통, 성령의 주권,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 회심의 강조, 복음 전도에 대한 관심을 드는 데 이것은 개혁주의와도 통하고 오순절 운동, 성결 운동, 경건주의 운동 등과도 충돌하지 않으므로 복음주의 깃발 아래서는 교파를 초월하여 연합적 신앙 활동이나 운동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에큐메니컬이라는 말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들도 복음주의라는 말에는 반감이 없는 겁니다. 하지만 복음주의 안에도 일부 갈등은 분명 있기는 합니다. 예를 들어 침례교 계통의 버나드 램(Bernard Ramm)은 이런 복음주의 안의 갈등을 상세히 잘 서술한 학자인데, 그 갈등 가운데는 성경과 과학에 대한 견해차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 사이의 갈등도 복음주의 안에서 일어난 불일치의 하나이지요. 어찌 되었든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가 교리 문제로 가끔 서로 긴장하지만 복음주의 아래서는 충돌 없이양측이 잘 화합하므로 교회 연합에 있어 복음주의라는 요소는 분명 필요한 것입니다.
3. 신복음주의
신복음주의는 근본주의에 대한 대안과 반발로 태어난 것으로 1948년 미국 풀러신학교의 개학식에서 당시 학장이었던 헤롤드 오켕가(Harold J. Ockenga) 박사가 풀러 신학교의 새로운 입장을 설명한 것을 신복음주의라는 말을 붙여 학자들이 부르고 있습니다. 오켕가는 미국 복음주의자들의 연합체인 NAE의 초대 회장이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복음주의>라고하면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모두 포함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복음주의는 그 스펙트럼이 대단히 넓다고 보아야 겠지요. 또한 같은 복음주의 진영이면서도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가 서로 날카로운 대립의 정점에 서 있을 정도로 오늘날 복음주의는 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보아야 겠습니다. 그럼 근본주의와 복음주의는 도대체 무엇이 다른 가에 대해 존 스토트 목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으니 참조하세요.
4.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차이점
세계 복음주의 거장 존 스토트 목사가 말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와 복음주의를 구분하는 10가지의 잣대
1. 근본주의는 반지성주의 경향을 보인다.
복음주의는 인간의 지성 역시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중요하게 여긴다.
2. 근본주의는 성서문자주의에 치우친다.
복음주의는 성경의 비유, 시적 표현 등을 인정하고 문학적 방식(인간에 적응하시는 하나님)을 따라 해석한다.
3. 근본주의는 성경의 영감(inspiration)을 기계적으로 받아들인다.
복음주의는 하나님이 저자들의 재능을 충분히 활용했다고 본다.
4. 근본주의는 성경 본문을 자신을 위해 쓰인 것처럼 직접 적용하려 든다.
복음주의는 성경의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고 현재 상황에 맞게 적용하려고 노력한다.
5. 근본주의는 교회연합(에큐메니컬) 운동을 거부한다.
복음주의는 WCC(세계교회협의회)의 자유주의적 방침은 비판하나 성경적인 것은 지지하는 분별력을 발휘한다.
6. 근본주의는 자신들과 맞지 않는 어떤 집단과의 교제도 거부한다.
복음주의는 교리적 순결을 지키면서 관용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7. 근본주의는 세상의 가치와 기준을 무비판적으로 답습하거나 배척한다.
복음주의는 세상을 본받지 않되 세상을 변화(변혁)시키기 위해서도 헌신한다.
8. 근본주의는 사회적 차별을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
복음주의는 인종적·사회적·성적 평등을 실천한다.
9. 근본주의는 교회의 소명을 단순히 복음 선포라고 주장한다.
복음주의는 전도를 우선하되 사회적 책임도 외면하지 않는다.
10.근본주의는 종말에 대해 지나치게 교조적이고 세세하다.
복음주의는 종말을 믿고 기다리지만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불가지론을 편다.
참조: <복음주의의 기본진리>(Evangelical Truth: A Personal Plea for Unity)
'복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회의 영광은 복음입니다 (0) | 2019.01.07 |
---|---|
[스크랩] 복음서 (0) | 2019.01.04 |
[스크랩] 성경에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 (0) | 2018.12.24 |
[스크랩] 미처 몰랐던 성탄절의 의미 (0) | 2018.12.24 |
[스크랩] ‘창조’의 목적은 ‘구원’에 있는 것이 아니다. (0) | 201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