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학

[스크랩] 아멘(amen)의 의미

수호천사1 2018. 11. 21. 11:16

아멘(amen)의 의미


아멘(amen)은 셈어에서 생겼으며, 그 기본적인 뜻은 '굳게 하다', '고정시키다', '확신하다'이며, 이와 관련된 히브리어 동사도 '의지할 만하게 되다', '믿을 만하게 되다'라는 뜻이다. 〈구약성서〉 그리스어 번역본은 '아멘'을 보통 '그대로 이루어지기를'이라고 번역하며, 영어 성서는 자주 '진실로' 또는 '참으로'라고 번역한다

'아멘'이라는 말이 성서에 처음 쓰였을 때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그 말에 동의할 때 먼저 '아멘'이라는 말을 하고 그 사람의 말을 다시 인용했다.

'아멘' 다음에는 보통 긍정적인 말이 따랐다. 강조할 때는 엄숙한 서약을 할 때처럼 '아멘'이라는 말을 반복해서 쓰기도 했다. 

복음서에서 예수가 엄숙한 말을 하기에 앞서 1번이나 2번 '아멘'이라는 말을 사용한 것(공관 복음서에 52번, 〈요한의 복음서〉에 25번 쓰임)은 유대인의 관습과는 다른 것이다. 그렇게 쓰인 '아멘'이라는 말은 그 다음에 오는 말이 확실하고 진실하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유대인의 성전예배에서 제사장이 기도나 송영을 마칠 때 회중이 그 말 끝에 '아멘'이라는 말을 붙인 것은 〈역대기〉 저자의 시대(아마 BC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일찍부터 널리 쓰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대인이 예배의식에서 쓰던 이 '아멘'이라는 말을 그리스도교도들이 받아들였다. 순교자 유스티누스(2세기에 활동)에 의하면 성찬예식 때 '아멘'이라는 말을 썼으며, 나중에는 세례의식에서도 쓰게 되었다고 한다.

공식적으로든 개인적으로든 감사나 기도를 드린 사람이 그 내용을 요약·확증하기 위해 말 끝에 '아멘'을 붙이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아멘'이라는 말로 응답하던 초기 관례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했다. 

말 끝에 '아멘'을 사용한 것은 〈시편〉에서 볼 수 있으며, 〈신약성서〉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고대에 유대인들은 기도를 마무리지으려고 '아멘'을 썼으며, 그리스도교도들도 모든 기도를 이 말로 마무리짓는다.

일반 회중이 갈수록 찬송을 많이 부르게 되자 말 끝에 붙는 '아멘'도 그만큼 많이 쓰이게 되었다



[Daum백과] 아멘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기도의 맨 마지막은 항상 ‘아멘’입니다. 주기도문도 그렇다. 히브리어이지만 신약에서도 그대로 음역해서 사용합니다. ‘굳건한’, ‘믿을 수 있는’이란 뜻을 가진다. 

신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며, 하나의 뜻으로만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중의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한 이해다. 

  

  

① ‘찬성하다(assent, agree, 민5:13; 신27:15-26; 왕상1:36)라는 의미로 법령이나 의견에 동의하는 경우나 예배 말미에 사용되었다. 

② ‘그대로 이루어주소서’(Let it be done, 대상16:36; 느8:6; 시41:13; 72:19)란 의미는 기도 말미에 주로 사용되어 ‘간절한 소망’이 그대로 성취되기를 바라고 있다. 

③ ‘진실로’(truly, 마5:18; 눅4:23)의 경우는 주님이 주로 선언하는 말씀을 하실 때 사용하셨습니다. 두 번 반복해서 사용한 경우까지 합하여, 사복음서에 79회가 나타난다. 

 시작(beginning, 엡4:24; 골3:10)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아멘'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이 되었다는 의미다. 그리스도로 인해서 새 사람을 입은 후에야 비로소 ‘아멘’이 효력을 발생한다는 뜻이다.

⑤ 종결(ending, 계22:20,21)이란 의미는 개인과 역사의 종말을 의미한다. 마지막 때에 완성될 하나님 나라가 임하길 고대하는 것이다.

⑥ 확신(sure, 고후1:20)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해서 하나님이 그 약속을 이루실 것이라는 절대적인 신뢰를 간직하면서 살아가며, 그 사실을 표명하는 것이다. 

⑦ 보증(guarantee, 히7:22)의 의미를 담고 있다. 언약의 당사자로서 친히 그 약속이 이루어질 것을 보증하신다는 의미다(고후1:20). 그러므로 성도가 주님의 이름으로 맹세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아멘’ 신앙아래서,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한다. 

  

'아멘'에 대해서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기도의 주체이시며, 언약의 주체이시고, 우리를 위한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한 사도는 예수그리스를 “아멘이시요 충성되고 참된 증인이시오 하나님의 창조의 근본이신 이”(계3:14)라고 불렀다. 


그러므로 우리가 기도 끝에 ‘아멘’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와 같은 영적인 비밀을 깨닫고 아뢰어야 함을 뜻한다. 단순히 습관적으로 아뢰기보다는 놀라운 하나님의 섭리를 바탕으로 자신의 기도가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라며, 확신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아멘'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엄청난 비밀을 가지고 있다. 

'아멘'은 참으로 떨리는 맘으로 할 수밖에 없다.

 

"하나님의 약속은 얼마든지 그리스도 안에서 예가 되니 

그런즉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아멘 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느니라”(고후1:20)


아멘


 


출처 : 예수 코리아
글쓴이 : 예수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