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자 하나님을 누구시라고 불러야 합니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1. 예수는 성자 하나님의 이름에 대한 고백이다.
성자 하나님의 이름은 ‘예수’다. 이 이름은 영원 전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고, 이 세상에오셨을 때 붙여진 이름이다. 이름의 뜻은 ‘구원’이다.
‘예수’라는 이름에는 성자 하나님의 사역(사명)이 담겨 있다.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자이심이라”(마 1:21)의 말씀대로 성자 하나님은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할 사명이 있고, 그사명에 따라 사역을 감당하였다. 성부 하나님의 아들이 이 세상에 오신 이유는 죄와비참함으로 인하여 흑암과 사망의 권세 아래 있는 자기 백성을 구원하시기 위함이다.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41문. 우리의 중보자는 왜 예수라고 불리셨습니까?
답: 우리의 중보자가 예수라 불리셨건 것은 그분이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하시기때문입니다.
마 1:21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눅 1:30-31 천사가 이르되 마리아여 무서워하지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입었느니라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 예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들
구약에서 나타나는 여호수아(민 13:8, 학 1:1, 슥 6:9-12), 호세아 등은 헬라어 예수스의히브리식 표현이다. 신약에서도 행 13:6에 ‘바예수’라는 거짓 선지자인 마술사가나오는데 ‘바’는 아들이란 의미로 ’예수의 아들‘이란 의미다. 골 4:11에도 유스도라는예수 이름이 니온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29문 : 왜 하나님의 아들을 예수, 곧 구주(救主)라 부릅니까?
답 : 그가 우리를 우리 죄에서 구원하시기 때문이고, 또 그분 외에는 어디에서도 구원을찾아서도 안 되며 발견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30문 : 그렇다면 자신의 구원과 복을 소위 성인(聖人)에게서, 혹은 자기 자신이나 다른 데서찾는 사람들도 유일한 구주이신 예수를 믿는 것입니까?
답 : 아닙니다. 그들은 유일한 구주이신 예수를 말로는 자랑하지만 행위로는 부인합니다. 예수가 완전한 구주가 아니든지, 아니면 참된 믿음으로 이 구주를 영접한 자들이 그들의구원에 필요한 모든 것을 그에게서 찾든지, 둘 중의 하나만 사실입니다.
* ‘예수’라는 고백을 할 때 가져야 할 마음
‘예수’라는 성자 하나님의 이름을 고백할 때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그 죄를 해결해주실 분은 오직 예수, 즉 성부 하나님의 독생하신 아들이시고, 성령으로 잉태되셨고, 동정녀마리아에게서 나셨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셨고, 다시 살아나셔서 하늘로 오르셨던 바로그 예수님만이 우리의 유일한 구원자라는 사실을 믿고 고백해야 한다. 그분 외의 다른사람이나 존재가 예수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우리의 구원자가 될 수 없음을기억해야 한다. 하나님은 천하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없다.
2. ‘그리스도’는 성자 하나님의 직분에 대한 고백이다.
성자 하나님을 가리켜 흔히 ‘예수님’이라고 부르지만 ‘그리스도’(행 3:20)나 ‘예수그리스도’라고도 부르는데, ‘그리스도’는 성자 하나님의 직분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마 16:16(눅 9:20 참조) .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여 이르되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
(참고 : 베드로의 신앙고백에는 두가지 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다. 하나는 ‘예수님이그리스도’이시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수님이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라는것이다.
눅 2:11 오늘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요 20:31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 그리스도가 직분인 이유
‘그리스도’는 헬라어로서 ‘크리스토스’이다. 이것을 히브리어로 번역하면‘메시아’이다.
요 1:41 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번역하면 그리스도라)
요 4:25 여자가 이르되 메시야 곧 그리스도라 하는 이가 오실 줄을 내가 아노니 그가 오시면모든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시리이다
여기서 ‘메시아’는 ‘기름 부음을 받은 자’란 뜻이다. 구약시대 기름 붓는 행위는선지자. 제사장, 왕의 직분을 성별하는 표였다. 즉 직분을 나타내는 행위인 것이다. 그러므로‘그리스도’는 성자 하나님의 선지자, 제사장, 왕의 직분을 의미한다.
제사장 – 구약 제사장을 세울 때 기름을 부어 위임했다.
왕 – 사울, 다윗, 기타 왕들을 세울 때
선지자 – 엘리야가 엘리사를 세울 때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31문 : 그분을 왜 그리스도, 곧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 부릅니까?
답: 왜냐하면 그분은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임명을 받고 성령으로 기름 부음을 받으셨기때문입니다. 그분은 우리의 큰 선지자와 선생으로서 우리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감추인경영과 뜻을 온전히 계시하시고, 우리의 유일한 대제사장으로서 그의 몸을 단번에 제물로드려 우리를 구속(救贖)하셨고, 성부 앞에서 우리를 위해 항상 간구하시며, 또한 우리의영원한 왕으로서 그의 말씀과 성신으로 우리를 다스리시고, 우리를 위해 획득하신 구원을누리도록 우리를 보호하고 보존하십니다.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23문 :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구속자로서 무슨 직분을 수행하십니까?
답 :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구속자로서 선지자, 제사장, 왕의 직분을 수행하시되 그분의낮아지심과 높이 되심의 두 상태 모두에서 하십니다.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42문 : 우리의 중보자는 왜 그리스도라고 불리셨습니까?
답 : 우리의 중보자가 그리스도라고 불리셨던 것은 그 분이 성령으로 한량없이 기름 부음을받으셨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구별되셨고, 모든 권위와 능력을 충만히 부여받으셔서 그분의낮아지심과 높이 되신ㅁ 두 상태 모두에서 그분의 교회의 선지자, 제사장, 왕의 직분을수행하시기 때문입니다.
* 선지자로서의 그리스도
그리스도이신 성자 하나님은 선지자이시다. 선지자의 중요한 역할은 하나님의 계시를전달하는 것이다. 구약의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그의 백성에게로 보내심을받은 것처럼(신 18:15), 성자 하나님께서는 성부 하나님으로부터 부름 받아 백성들에게찾아오셔서 그들의 죄를 책망하시고 형벌을 경고하시고 회개를 촉구하시며 장차 일어날일을 선포하신다(행 3:22-26).
또한 구속에 대한 하나님의 은밀한 경륜과 하나님의 뜻을 다 계시해 주신다(히 1:1-2).
* 제사장으로서의 그리스도
그리스도이신 성자 하나님은 제사장이시다. 이 사실은 다음의 말씀에서 증거한다.
히 2:17 그러므로 그가 범사에 형제들과 같이 되심이 마땅하도다 이는 하나님의 일에자비하고 신실한 대제사장이 되어 백성의 죄를 속량하려 하심이라
히 7:24 예수는 영원히 계시므로 그 제사장 직분도 갈리지 아니하느니라
구약의 제사장들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위해서 제물을 잡아 하나님께 제사를 드린것처럼, 성자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의 죄를 위하여 자신의 몸과 생명을 성부 하나님께드리셨다. 성자 하나님께서는 제사를 드리심으로써 자기 백성의 죄를 구속하셨으니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키셨고,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케 하셨다.
히 9:26-26 대제사장이 해마다 다른 것의 피로써 성소에 들어가는 것 같이 자주 자기를드리려고 아니하실지니 그리하면 그가 세상을 창조한 때부터 자주 고난을 받았어야 할것이로되 이제 자기를 단번에 제물로 드려 죄를 없이 하시려고 세상 끝에 나타나셨느니라
구약의 제사장들과는 달리 십자가를 통한 단 한 번의 제사로 영원한 제사를 드린 것이다.
* 왕으로서의 그리스도
그리스도이신 성자 하나님은 왕이시다. 왕의 중요한 역할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다. 말씀과성령으로 교회를 다스리시고 우리의 외적이며 내적인 원수들에 대항하여 우리를 보존하시며보호하시되 그의 전능한 권세로 하시고, 그의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무장시키셔서 모든원수들을 대적하고이기기에 필요한 전심갑주를 입게 하신다.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 26문과 대교리문답 45문에 잘 설명하고 있다.
* 그리스도께 속한 그리스도인
성자 하나님의 직분이 그리스도(선지자, 제사장, 왕)라는 것은 그분에게 속한 모든사름들에게도 의미를 갖는다. 행 11:26의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라고 해서 성자 하나님의 제자인 신자들이 ‘그리스도인’이라는이름을 부여받았다고 말씀하기 때문이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32문 : 그런데 당신은 왜 그리스도인이라 불립니까?
답 : 왜냐하면 내가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지체(肢體)가 되어 그의 기름 부음에 참여하기때문입니다. 나는 선지자로서 그의 이름의 증인이 되며, 제사장으로서 나 자신을 감사의 산제물로 그에게 드리고, 또한 왕으로서 이 세상에 사는 동안은 자유롭고 선한 양심으로 죄와마귀에 대항하여 싸우고, 이후로는 영원히 그와 함께 모든 피조물을 다스릴 것입니다.
그리스도께 속한 모든 자들은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세상에서 선지자로서 그리스도의 이름을증거하는 증인으로 살아야 하며, 제사장으로서 자기 자신을 하나님 앞에 거룩한 산제사로 드려야 하고, 왕으로서 이 세상을 다스려야 한다.
이에 대해 벧전 2:9-10이 잘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너희는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들이요 거룩한 나라요 그의 소유가 된백성이니 이는 너희를 어두운 데서 불러 내어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이의아름다운 덕을 선포하게 하려 하심이라
너희가 전에는 백성이 아니더니 이제는 하나님의 백성이요 전에는 긍휼을 얻지 못하였더니이제는 긍휼을 얻은 자니라”
* 그리스도라는 고백을 할 때 가져야 할 마음
‘그리스도’라는 성자 하나님의 직분을 고백할 때는 성자 하나님께서 나의 선지자, 제사장, 왕이심을 믿어야 한다. 성자 하나님의 가르침에 항상 귀 기울여야 하고, 성자 하나님께서나를 위하여 친히 제사장과 제물이 되셔서 십자가에 죽으심으로 속죄를 위한 제사를드리셨음을 기억하고, 성자 하나님의 다스림에 날마다 복종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나아가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선지자, 제사장, 왕의 사명을 잘 감당해야 한다.
3. ‘우리 주님’은 성자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에 대한 고백이다.
성자 하나님은 우리의 주인(主人, Lord)이시다. 우리의 모든 것이 성자 하나님의 것이요, 우리의 생명도 성자 하나님께 속했다.
성자 하나님을 ‘주님’이라고 표현할 때 자동적으로 우리는 스스로를 ‘종’(혹은 노예)으로 표현하게 된다(롬 1:1, 빌 1:1). 성자 하나님은 높아지고 우리는 낮아진다.
요 20:28 도마가 대답하여 이르되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행 2:36 그런즉 이스라엘 온 집은 확실히 알지니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를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하니라
고전 8:6 그러나 우리에게는 한 하나님 곧 아버지가 계시니 만물이 그에게서 났고 우리도그를 위하여 있고 또한 한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시니 만물이 그로 말미암고 우리도 그로말미암아 있느니라
빌 2:11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하셨느니라
일반적으로 ‘주’는 다른 사람을 높일 때도 사용된다. 그리고 극존칭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사도신경에 나타난 ‘주’는 단순한 극존칭이 아니다. 우리 모든 것의 주인을 뜻한다.
성자 하나님은 나만의 주님이 아니라 우리의 주님이시다. 나 한 사람만을 위해 이 땅에 오신것이 아니라 자기 백성 모두를 위해 이 땅에 오신 것이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34문 : 당신은 왜 그분을 “우리 주”라 부릅니까?
답 : 왜냐하면 그분이 금이나 은이 아니라 그의 보혈로써 우리의 몸과 영혼을 우리의 모든죄로부터 구속(救贖)하셨고, 우리를 마귀의 모든 권세에서 해방하여 주의 것으로 삼으셨기때문입니다.
* ‘우리 주’라 고백할 때 가져야 할 마음
‘우리 주님’이라는 성자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고백할 때는 성자 하나님께서 나의주인이시며, 나는 성자 하나님의 종이요 노예라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성자 하나님께서분부하신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따를 자세가 있어야 한다.
* 요점 정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라고 고백할 때 가져야 할 마음
1. 예수는 성자 하나님의 이름입니다. 성자 하나님은 우리의 죄를 구원하기 위해 이 세상에 오셨는데, 그 목적이 이름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예수님 외에는 다른 구원받을 만한 이름이 없습니다(행 4:12).
2. 그리스도는 성자 하나님의 직분입니다. 성자 하나님은 우리의 선지자, 제사장, 왕이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자 하나님의 가르침에 항상 귀 기울여야 하고, 성자하나님께서 나를 위하여 친히 제사장과 제물이 되셔서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속죄를 위한제사를 드리셨음을 기억하고, 성자 하나님의 다스림에 날마다 복종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3. ‘우리 주’는 성자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성자 하나님은 우리모두의 주인이십니다. 또한 우리는 성자 하나님의 종입니다(롬 1:1, 빌 1:1).
http://cafe.daum.net/stigma50/En5q/8
'교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간과 종교 (0) | 2018.03.23 |
---|---|
[스크랩] 성경에서 말하는 구속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0) | 2018.03.23 |
[스크랩] 성부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0) | 2018.03.06 |
[스크랩] 사도신경이란 무엇인가? (0) | 2018.03.06 |
[스크랩] ‘7가지 죄의 지도’로 본 오늘의 미국 (0) | 2018.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