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실천신학개론(Introduction to Practical Theology)

수호천사1 2016. 8. 2. 16:13

(Introduction to Practical Theology)

 

 

머 리 말

가을 학기에 가르칠 실천신학개론 과목을 위해서, 1학기 종강도 되기 전에 도서관으로 책방으로 다니며 실천신학이란 말이 들어갔거나 그 비슷한 모든 책들을 찾아보았다. 일찍 찾아온 엘니뇨 현상의 더위 때문에 벌써 땀은 흐르기 시작하는데.... 마땅한 책이 선뜻 잡히지를 않는다.

아마 지난 학기 한 과목에서 가르쳤던 교재 탓인 것 같다. 학기 중간쯤 가르치다 보니 그 내용이 번역에 충실하느라고 너무 어렵고 난해한 표현이 많은 것이 아닌가. 학생도 고생하고 나도 고생하고.... 이런 힘들었던 경험에서, 이번에 가르칠 과목은 실천신학개론에다 신학교 저학년을 상대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좀 쉽고 너무 이론에만 치우치지 않게 정리가 된 책을 고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좀처럼 찾기가 쉽지가 않았다. 그렇다고 여러 권의 책을 개론 시간에 교재로 사용할 수도 없고... 결국 내 스타일대로 정리해 보기로 생각을 굳히고 이 작업에 들어갔는데 이것도 역시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하지만 그 동안 정리해 놓은 글도 있었고, 또 새로 써야할 부분도 많았지만 이 여름 좀 고생하면 가을 학기를 좀 더 보람있게 학생들과 보낼 수 있으리란 희망을 가지고 용기를 내어 시작했다.

실천 신학은 최근에 각광을 받는 학문 분야가 되었는데, 무엇보다 올바른 방법론을 세우지 않는다면 잘못된 기초 위에서 집을 쌓아 나가는 것과 같기 때문에 방법론을 제일 먼저 다루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다원주의 시대에서는 브라우닝과 오든의 접근 방법 비교는 매우 도움이 되리라고 보아서, 시카고 대학 신학부 교수로써 현재 심리학과 신학분야 대화에서 가장 인정을 받는 돈 브라우닝과, 드류 대학에 있으며 복음주의 신학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오든을 중심으로 방법론을 비교 분석해 봤다.

그리고 이런 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실천신학의 다양한 분야를 다루었다. 개론 과목으로서 신학교 저학년을 염두에 두고 쉽게 쓰려고 했기 때문에,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실천 신학 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앞으로 보다 깊은 각 분야의 세계로 들어가는데 좋은 안내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1998년 여름에 목산 언덕에서 박 노권
                            

목 차

 

머리말
서론
1. 실천신학의 역사적 배경 1
2. 실천신학이란 무엇인가? 5

 

제 1 부 실천신학 방법론 9

I. 여러 학자들의 견해 12
1. 투르나이젠 : 복음적 영혼 돌봄 12
2. 힐트너 : 기능 중심적 목회 신학 14
3. 틸리히 : 중용, 문화의 신학 17
4. 그 밖의 여러 학자들 20

II. 다원주의 하에서의 방법론: 브라우닝과 오든 24
1. 브라우닝과 오든의 공동기반 25
2. 오든의 접근: 고전적 기독교신앙의 회복 27
3. 오든과의 비교를 통한 브라우닝의 방법 30
4. 평가 39

 

제 2 부 실천신학각론 55

 

I. 목회학(Pastoral Care) 57
1. 목회학의 의미 57
2. 목회학의 흐름 61
 1) 성서에 나타난 처음의 교회목회 61
 2) 교회사에 나타난 목회 64
 3) 20세기의 경향 69
3. 오늘날 목회학의 방향 72
4. 목회자론 74

 

II. 예배학(Liturgical Study) 86
1. 예배의 어원과 의미 86
2. 성서에 나타난 예배 88
3. 예배순서분석 90
4. 예배학의 최근 경향 95
5. 성례전: 세례와 성만찬 96
6. 교회력 105
7. 예배와 목회적 돌봄과의 관계 111

 

III. 설교학(Preaching) 121
1. 설교의 중요성과 설교의 요소들 121
2. 오늘날 바람직한 설교의 형태들 125
3. 설교와 목회적 돌봄 131
4. 설교사례 136

 

IV. 기독교교육학(Christian Education) 150
1.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배경 150
2. 기독교교육의 기초학문들 156
3. 신앙의 발달에 기초한 기독교교육 158
4. 발달이론들과 기독교교육 166

 

V. 목회상담학(Pastoral Counseling) 183
1. 목회상담학의 역사적 배경 183
2. 목회상담의 교육방법과 이론의 변화과정 184
3. 목회상담에 영향을 준 심리학 이론들 190
 1)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 190
 2) 칼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요법 196
 3) 행동주의 요법 202
4. 목회상담의 절차 207
5. 목회상담의 특성 211

 

VI. 평신도신학(Theology of Laity) 215
1. 평신도신학의 배경 215
2. 평신도의 의미 218
3. 평신도를 위한 교육 219
4. 평신도의 사명 224

 

VII. 선교신학(Theology of Mission) 230
1. 선교학의 정의 230
2. 선교학의 배경과 흐름 231
 1) 에큐메니칼(WCC) 선교신학 232
 2) 복음주의 선교신학 242
3. 선교 전략론 248
 1) 선교 전략의 요소 248
 2) 선교의 성서적 원리들 251

 

부 록


I. 죽음에 대한 목회적 접근
(Pastoral Approach to the Death and Dying)
1. 들어가는 말 262
2. 성서에 나타난 다양한 죽음이해 263
3. 오늘날 기독교적 죽음이해 269
4. 죽음에 대한 실천적인 목회적 접근 274
5. 나오는 말 279

 

II. 프로이드의 종교이해와 그 한계
(Freud's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its Limitation)
1. 들어가는 말 287
2. 프로이드 무신론의 기원 288
3. 종교에 대한 프로이드의 이해 293
4. 종교이해에 있어서 프로이드의 한계 299
5. 나오는 말 302
  

실천신학개론을 구입하기를 희망하시는 분은 목원대학교서점
(042-829-7359)이나 본 저자에게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거리.천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