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역사신학(歷史神學, hictorical theology)

수호천사1 2016. 8. 2. 16:02

역사신학(歷史神學, hictorical theology)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은 성경신학조직신학과 더불어 신학의 3부문 중 하나로,[1] 역사학적 방법을 써서 자료를 엄밀하게 음미하고 기독교 신앙의 역사를 연구하는 기독교 신학이다.[2]

역사신학에서는 해당 신학적 개념, 진술 또는 체계를 발생시킨 사회적 · 역사적 · 문화적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역사신학의 연구와 방법론의 주된 초점은 연구 대상인 인물 혹은 주제에 영향을 끼친 주요한 신학적 사항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판정하고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신학과 역사적 환경과의 관계를 해명하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역사신학자들의 주된 관심사는 신학의 역사적 발달 과정이다.

역사신학은 일반적으로 계시의 역사로서의 성서학(聖書學)과, 교회의 성립과 전개를 연구하는 교회사학(敎會史學)으로 대별된다. 전자의 성서학에는 구약학(舊約學) · 신약학(新約學) · 성서사(聖書史) · 성서주석학(聖書注釋學) 등이 있으며, 후자의 교회사학에서는 교회사 · 교리사 · 전도사 · 신조사(信條史) · 고고학 · 기독교 미술사 · 기독교 음악사 등이 있다. 특히 성서학은 모든 분야에 관계를 갖는 기초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성경신학으로서 역사신학에서 독립시키는 학자도 있다.[2]

계시(啓示)는 초(超)역사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므로, 역사주의가 주장하는 것처럼 역사학적 방법에 의해서는 해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계시진리를 학문적으로 파악하는 학문인 신학에서 엄연한 기초적인 사실은 계시가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실이라는 점이다. 이 때문에 계시는 어디까지나 역사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신앙이나 신학 자체가 역사적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역사신학의 기능성은 부정할 수가 없다.[2]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역사신학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신학이 발전하고 교리가 형성되어 왔는데

교회 회의나 뛰어난 신학자의 개인적 진술 등을 토대로 신학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교 신학의 역사성, 즉 그리스도교의 역사적 연구에 주안점을 두는 신학의 한 분야이다.

성서학, 조직신학(또는 교의학), 실천신학 등과 비견된다.

오늘날에는 교회사, 교리사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1) 고대신학(1세기~주후 590)

(2) 중세신학(주후 590~1517)

(3) 종교개혁신학(1517~1750)

(4) 현대 신학(1750~현재)

 

 

신학의 역사(History of Theology)

신학의역사

 

표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 양

의 미

이중(굵은)선으로 표시된 네모 칸

개혁주의의 역사 흐름. 즉 정통 기독교.

단선으로 표시된 네모 칸

개혁주의와 다소 동떨어진 입장의 신학 사조들.

단선으로 된 화살표

개혁주의 사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말함.

점선으로 된 화살표

개혁주의권이나 비개혁주권에서 상호간에 직접적 부분적 영향을 주고 받은 것을 말함.



굵은 이중선으로 표시된 네모 칸 안에 표기된 신학만이 바른 신학이며, 정통 기독교입니다.

그 외의 신학 중 일부는 성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고,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성경에서 이탈한 위험한 신학들이니 경계하고 멀리해야 합니다.

 

출처 : 캘거리 개혁신앙 연구회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거리.천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