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시대의 특징
사도 요한이; 죽은 후부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공인하기까지의, 시기를;
續사도시대.(Post-Apostolic Age) 또는, 前니케아회의시대 (Ante-Nicene Age)라고,/// 부른다.
이 시기는;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교회가; 보다 구체적으로, 형성된 시기요, 발전된 시기였다.
1. 박해로 인한 순교
이 시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교회가 로마제국 정부로부터, 큰 핍박을; 받았다는 것이다.
네로 (Nero) 황제로부터, 이 시대의 말기까지, 약 250년간 박해가;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이 시대는; 순교자의 시대라고 할만하다.
이그나티우스(안디옥), 폴리갑(서머나), 유스티누스(로마), 키프리아누스 (칼타고) 등이; 이 시기에 죽은,
대표적 교회 지도자들이다.
2. 카톨릭 교회(Catholic Church)의 형성
박해와 기타 안팎에서 오는 여러 도전에 직면한 교회는; 그 싸움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해 통일과 규율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교회는; 점차, 가정 교회의 상태에서, 교회 간의 연합을; 통해, 커지고, 조직화되었으며,
교회 내에서도, 감독의 비중이; 매우 커지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교회는; 제도화되고, 조직화된, 카톨릭 교회가; 되었다.
이때의, 카톨릭이라는 말은; 공동, 보편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이후, 로마 교회가; 스스로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소위. 카톨릭 교회와는; 다른 것이다.
이 시대의, 카톨릭교회를; 로마 카톨릭교회와; 구분하기 위해서,
'古카톨릭교회'라고,/// 부른다.
교회만, 통일된 것이; 아니라, 신앙의 기초가; 되는, 여러 가지가; 정리되고, 통일되었는데,
사도신경이; 이 시대에 생겨났고,/// 신약성경 정경도; 대략, 이 시대에, 편성되었다.
3. 여러 사상들의 발흥
온갖 박해 속에서도, 복음은; 왕성하게 증거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사상적 활동도; 왕성하게 이루어져서, 가히, 사상의 발효시대라고, 할만 했다.
헬라 철학, 동방 신비종교, 유대의 율법주의. 등, 여러 사상들이; 교회 안으로 들어와서, 복음과; 뒤섞임으로써, 신앙적 혼란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문제가; 되지 않았던, 여러 가지 근본적인 문제들이; 새로, 연구 검토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런 가운데서, 영지주의(Gnostism)나, 신플라톤주의(Neo-Platonsim) 등의, 절충 사상으로, 사상적 혼란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2.기독교의 확장
1.교회 확장의 중심지
(1) 예루살렘 - 유대인들의 핍박으로 인해, 유대 각처로 흩어졌던, 유대 출신. 그리스도인들은; 로마 제국의, 여러 지방에, 복음을; 전파하여,/// 기독교를;///|| 확장시켰다.
(2) 수리아의 안디옥 - 바울이; 서쪽으로, 전도해 나가는, 근거지가; 되었다.
수리아와, 메소보다미아 전도의, 거점.
(3) 에베소, 서머나 - 소아시아에서는, 서남방 해안 지방에, 기독교가; 가장 왕성하였는데,
에베소, 서머나가; 그 중심이었다.
이 곳을; 기점으로, 복음이; 소아시아 각지로, 전파되었다.
(4) 빌립보, 데살로니가 - 마게도냐 지방 전도의 중심지
(5) 알렉산드리아 - 안디옥 다음으로 기독교가 흥왕한 곳이었다.
이 지방에 살고 있는, 헬라인과, 유대인에게, 복음이; 전파되어,
3세기에는, 성경의 애굽어(콥트) 번역도; 이루어졌으며, 신학교도; 세워졌다.
또한, 그노시스파의 근거지 중의, 하나이기도, 했다.
(6) 고린도, 아덴 - 헬라(그리스) 지방의 복음 전파의 거점 도시였다.
아테네에서도, 변증자들과, 순교자들이; 나왔다.
(7) 로마 - 서유럽 전도의 중심지였다.
로마를 중심으로, 이탈리아 각처에 교회가; 있었고,
북은, 갈리아,/ 남은, 북부 아프리카,/ 서는, 스페인에; 이르렀다.
2. 성장의 요인
(1) 성령의 충만한 역사.
(2) 신자들의 비상한 전도열 - 성령 충만을 받은 신자들이; 고난과 박해 속에서도, 목숨을; 걸고, 복음을 전함.
(3) 왕과, 상류 계급이; 교회로 들어옴.
(4) 가난한 자와, 어려운 자들에 대한, 구제 - 소외되고, 고난당하던, 하류층들이; 대거, 교회로 들어오게 됨.
(5) 봉사와, 상부상조 - 신자들이; 서로 격려하고 도움으로써, 박해 중에서도, 신자가;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함.
(6) 고상한 도덕적 생활 - 이것이 사람들에게 기독교에 대한 호의적 반응을; 불러일으킴.
(7) 박해에; 대한, 인내.
3.박해
1. 원인
A. 간접적 원인
(1) 오해
기독교인은; 부도덕한 자들이다. - 동굴 속에, 남녀가; 모여, 음행한다. (숨어서, 집회를; 가지는 것을; 보고,)
기독교인은; 불의한 자들이다. - 자식을; 잡아 먹는다. (성찬식에서, 살과, 피를; 먹는다는 말을; 하는 것을; 보고,)
(2) 미신
기독교인 때문에, 로마의 신들이; 노하여, 천재 지변이; 일어난다고, 생각함.
B. 직접적 원인
(1) 사상의 부조화(不調和)
로마인들은; 국가를 최고의 선(가치), 최고의 권위로 생각하였으므로, 국가는; 모든 일에 국민의 복종을 요구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것을; 최고 선으로 여겼기 때문에,
평소에는 국가에 충성하지만, 국가의 요구가 하나님의 뜻과 상치되는 경우에는, 황제의 명령을; 어기고, 하나님의 뜻을 끝까지 따르고자 하는, 신본주의를; 취했기 때문에, 충돌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로마인들은; 그들의 제국이 영원하다고 생각했지만,
기독교인들은; 세상에는 종말이 있으며, 심판이 있다고 생각함
로마인들은; 가장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였으므로, 가장의 종교가; 온 식구들의 종교가; 되었지만,
기독교인들은; 가장이 불신자이면, 그의 종교에 따르지, 않음.
(2) 사회 생활의 부조화
로마인들은; 향락과, 사치를; 죄로 여기지 않았으나, 기독교인은; 죄로 여겨, 참여하지 않음.
로마인들은; 기독교인들이; 이교도들과, 융화되지 못함을; 보고, 사회와, 정부를; 뒤엎고, 개조하려는 것으로, 봄.
(3) 로마의 정책과 맞지 않음
로마 지도자들은; 제국을 공고히 하기 위해, 종교를; 이용하려고 했기 때문에, 황제 예배를 강요했는데, 기독교인들이; 이에 반대하고, 호응하지 않음.
로마 정부는; 정치적 이유로, 비밀 단체 결성과, 회집을; 금지하였는데, 기독교인들은; 모임을 계속 가졌기 때문에, 충돌이; 생김.
또, 기독교인은; 침략 전쟁에 나가는 것을; 기피했기 때문에, 군 복무 문제로, 충돌이; 생김.
2. 박해의 방법
(1) 기독교를; 포기한다는 증거로, 성경과, 교회 기물을; 버리게 하거나, 파괴하도록, 만듬.
(2) 직업을; 갖는 것을; 방해하거나, 재산 몰수, 공직 박탈. 등을 통해, 신자들을; 직간접적으로 사회에서 추방하려고 함
(3) 폭력과, 방화를; 행사함 - 화형에 처하거나, 십자가 형벌을 가했으며, 맹수와 결투를 시켜 죽게 함.
(4) 기독교에 반대하는, 많은 사상을; 내세워, 교리적, 사상적으로, 압박을; 가함
(5) 이러한 박해와, 고난을; 견디지 못하고, 기독교를; 부인하면, 과거의 모든 죄를; 사면해, 주었다.
3. 박해의 결과
온갖 박해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조금도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더 성장하고, 확대되고, 강해졌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님을; 배반하고, 믿음을 버리기 보다는, 고난 당하고, 죽는 쪽을; 택하였다.
박해와, 그 속에서 역사하시는, 주님을; 경험한 결과,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참 하나님의 아들이요, 자기들의 구주이심을; 확인하고, 확신하게, 되었다.
그리고, 말씀의 필요성을; 더 크게 느껴서, 신약 정경(Canon)의 형성이; 촉진되었다.
로마인들의 무자비한 핍박과, 그것을 사랑과 진리와 무저항으로 이겨낸, 성도들 간의, 투쟁은;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세계가; 있구나 하는, 충격과, 감동을; 주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진리가; 온 세상에 유명해지게 만들고, 널리 퍼지게; 만들었다.
특히, 사도들과, 교부들의 순교는; 기독교가; 생명있는 그 무엇이라는, 인상을; 사람들에게, 심었다.
그리고, 온갖 박해를; 받으면서도, 국가에 융합되지 않으려 한, 교회의 태도는; 훗날 정치와 종교, 국가와 교회가; 서로 뒤섞일 수 없으며, 반드시, 구분되어 서로 존중되어야 한다는, 원리를; 명확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4. 이 시대의 10대 박해
서기 1세기에; 일어난, 네로와, 도미티아누스의 잔인한 박해는; 주로, 개인적인 원한과, 이기적인 생각에서; 일어난 것이고,
나머지는; 주로, 정치적인 자극을; 받아, 일어난 것이다.
디키우스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는; 제국 전반에 걸쳐 일어났던 것으로서,
기독교를; 완전히 섬멸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이루어졌지만,
그 외, 여덟 번의 박해는; 특정 도시나, 지방에서, 일어난 것이다.
1. 네로(A.D. 54-68)의 박해
로마시의 방화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지워, 박해함.
2. 도미티아누스(81-96)의 박해
기독교인들이; 독립된 국가를; 세우려고 한다는 이유로, 박해함.
이로 인해, 카타콤에서의, 비밀 집회가; 생겨남.
3. 트라야누스(97-117)의 박해
비밀 결사를 하여 정치적 음모를 꾀한다는 것과, 로마인들과 기독교인들의 사회 생활 부조화를 이유로 박해를; 가함.
황제상에, 절할 것을; 강요함.
4. 하드리아누스(117-138)의 박해
기독교인들을; 미워하여, 박해함.
기독교를; 불법화함.
5. 마르쿠스 아울레리우스(161-180)의 박해
가정교사의, 사상적 영향(스토아사상)으로, 황제가; 기독교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박해함.
177년 리용과, 비인에서, 특히, 심한 박해가; 있었다.
6. 셉티무스 세르베루스(205-211)의 박해
열심있는 이교도였던 부인의 영향으로, 교회를; 핍박함.
특히, 전도 금지령을; 내려서, 복음이; 전파되지 못하도록, 방해함.
7. 막시미누스(235-238)의 박해
기독교를; 근본적으로, 박멸하기 위해, 교회 지도자들을; 제거하려고, 함.
이 시기에는, 사형은; 하지 않았고, 투옥과, 유형으로, 박해를; 함.
8. 디키우스(A.D. 249-251)의 박해
로마가; 옛 신들을 섬겼을 때는; 부강했는데, 기독교가; 들어오자, 나라가; 쇠해졌다고 믿고, 칙령을; 내려, 조직적이고, 전국적으로, 기독교인들을; 박해했다.
디키우스는; 원칙에 따라, 작심하고 박해했기 때문에, 이 때의 박해가; 가장, 심했다.
그의 목적은; 신자들을 죽여서, 순교자를 내는 것보다, 악형과 감금과 공갈로, 우상을; 숭배케 함으로써, 기독교 신앙을; 무산시키는데, 있었다.
9. 바렐리아누스(253-260)의 박해
기독교인들로 인해, 질병과, 흉년이; 생겼다고 믿고, 257년과, 258년에, 큰 박해를; 했다.
신자의, 집회를; 엄금하고, 교회의 재산을; 몰수하고, 지도자들을; 처형했으며, 주요 신자들을; 유형보내고, 재산을; 몰수했다.
10.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의 박해
기독교와 같이, 다루기 어렵고, 강력한 조직체가; 제국 내에 있다는 것에; 대해, 못마땅하게 여겨, 기독교를; 박해함.
그도; 조직적인, 박해를; 했는데,
예배당 파괴, 성경 압수, 성직자 투옥, 악형에 처하고, 우상에게, 제사를; 드리게 하는 등, 핍박을; 하였는데,
304년에는, 모든 기독교인들에게 제사를; 드릴 것을; 명령한, 제4칙령을; 내렸다.
무서운 박해로, 디키우스 때처럼, 순교자도; 많이 나고, 배교자들도; 많이 났으나,
기독교인들을; 이해한, 민중들이; 이전처럼, 적대하지는, 않았다.
http://blog.daum.net/nhs9323/15750492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임진왜란 때의 일본 선봉부대는 천주교인 (0) | 2014.08.18 |
---|---|
[스크랩] 한국판 십자군 전쟁 壬辰倭亂 (0) | 2014.08.18 |
[스크랩] 십자가 신학과 선교(Theologia crucis and Mission) (0) | 2014.07.30 |
[스크랩] "신자 늘리기"합심 전국서 10만일 헌신-1909년 백만명 구령운동 (0) | 2014.07.04 |
[스크랩] 전국 목회자위한 후원병원 160곳 많은 이용을.. (0) | 201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