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도를 통한 원가족 이해>
A. 가계도 정보 모으기 (Monica Mcgoldrick, 가계 분석 가계도)
현재 가족 상황, 당신의 원가족, 아버지의 원가족, 어머니의 원가족에 대해 아래의 질문에 답하라.
1. 부모, 모든 자녀들, 가족 구성원들의 이름(별명, 자주 부르는 호칭 포함), 나이, 출생일, 출생 순서를 기록한다.
2. 가정의 각 사람들의 특징을 묘사한다. 그들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본다.
3. 결혼 상태 : 결혼 날짜, 별거, 이혼, 재혼, 사별
4. 모든 유산, 조산, 입양, 수양자녀, 낙태, 미혼 임신을 기록한다.
5. 사망 : 이 가정에 죽은 사람이 있는가? 사망날짜와 원인을 기록한다. 가족들은 이 상실에 대해 어떤 식으로 슬퍼했는가?
6. 직업, 가족들의 교육 정도
7. 주요 영적 사건 날짜
8. 지금 그 집에는 누가 살고 있는가? 가족들이 집을 떠난 날짜와 나이를 기록하라.
9. 이 가정을 묘사하는 특정한 주제는 무엇인가? 어떤 형용사를 사용할 수 있는가?
10. 이 가정에서 각자의 주요한 강점은 무엇인가? 각자의 주요한 약점은 무엇인가?
가족 구성원들의 취미나 특별히 관심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11. 이 가족에서는 의사 결정이 어떤 식으로 되었는가? 권력(권위)은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는가? 가사 일은 어떻게 위임되었는가?
12. 이 가족에서는 남성/남자아이, 여성/여자아이에 대해 무엇이라고 이야기하는가?
13. 이 가정은 재정적으로, 경제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이었는가?
14. 이 가족에서는 징계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는가?
15. 가족 구성원들은 애정을 어떻게 표현했는가? 관계 패턴을 묘사하라.
16. 이 가족 구성원들은 어떻게 의사소통했는가?(반복적인 패턴을 찾아라)
17. 누가 가장 무서운가? 누가 가장 화를 내는가? 누가 가장 웃기는가?
누가 가장 반항적인가? 누가 가장 착한가?
B. 가계도 작성 단계(Bruce Litchfield, 기독교 상담과 가족 치료)
1. 가계도는 A4 용지를 아래로 길게 놓고 작성하며, 반드시 규정된 제시 방법대로 정확하게 작성되어야 한다. 정보가 너무 많아서 A4 용지에 들어가지 않으면, A3 크기 용지에 작성한 뒤에 그것을 A4 크기로 축소 복사할 것을 제안한다.
(기독교 상담과 가족 치료 3권, 그림21과22 참조)
2. 설명된 기호와 방법을 사용해서, 3세대 위로 모든 혈육(삼촌, 고모, 이모의 배우자와 사촌은 제외)을 넣는다.
- 혈육에 속한 모든 가족들은 사망했을지라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 남자는 로 여자는 ○으로 표기한다. 성별을 모르는 경우는 △로 표기한다.
- 겹선으로 표시된 나 ◎은 지명환자(IP)를 가리킨다.
- 부부치료에서는 양쪽 배우자의 3세대를 포함시켜야 한다.
- 이전의 결혼 관계와 사실혼 관계도 포함시켜야 한다.
(예 : 동 1980, 결 1984, 별 1999, 이 2000)
- 남편과 그의 원가족은 왼편에, 아내와 그녀의 원가족은 오른편에 놓는다.
- 자녀들은 장남/장녀를 제일 왼쪽에 두고 나이순으로 차례로 표기한다.
- 유산이나 사산한 자녀도 포함시킨다.
- 가족원들의 나이는 나 ○ 안에 기재한다.
- 이름은 /○ 바로 아래 쓴다.
- 만일 그 사람이 사망했으면, 나 ○ 안의 나이 위에 ×를 표시한다.
- 사망 연도는 옆에 기재한다. 사망에 대해 별다른 사항이 있으면 기재한다.
3. 가족원들의 관련 문화적 배경을 기재한다.
4. 가족 이름 옆에 각각의 핵가족이 살았던 주거지를 기록한다.
5. 그 가족의 종교적 배경(독실한 또는 명목상)을 기재한다.
6. 중독이나 심각한 정신질환, 그 밖의 심각한 만성질환, 범죄 행위, 사교나 주술행위와 같이 세대적인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항을 기재한다.
이것은 그 문제를 가리키는 약자를 ○속에 넣어 그 사람의 이름 옆에 기재한다.
______ 알 - Alcohol addiction (알코올 중독 - 과거인지 현재인지 명시)
______ 약 - Drug addiction (약물 중독 - 어떤 약물인지 명시)
______ 사람 - People (사람 - 동반의존, 관계중독, 낭만중독)
______ 음 - Eating addiction (음식 중독 - 어떤 유형인지 명시)
______ 성 - Sexual addiction (성 중독)
______ 흡 - Smoking addiction (흡연 중독)
______ 일 - Workaholism (일 중독)
______ 도 - Compulsive gambling (도박중독)
______ 인 - Internet addiction (인터넷 중독)
______ 돈 - Money addiction (돈 중독)
______ 운 - Exercise addiction (운동 중독)
______ 스포츠 - Sport addiction (스포츠 중독)
______ 스릴 - Compulsive thrill-seeking (충동적인 스릴추구)
______ 종 - Religious addiction (종교 중독)
______ 권 - Power addiction (권력 중독)
______ 가폭 - Domestic violence (가정 폭력)
______ ? - Other addiction (기타 중독)
______ 정 - Serious mental illness (심각한 정신질환 - 어떤 유형인지 명시)
______ 신 - Serious physical illness (심각한 신체질환)
______ 주 - Occult involvement (주술행위 연루 - 어떤 유형인지 명시)
______ 사 - Cult involvement (사교 연루)
______ 범 - Criminal behaviour (범죄 행위 - 어떤 유형인지 명시)
7. 사람 이름 아래에 결혼 상태를 간략하게 표기한다.
(예 : 결혼생활 원만, 보통, 빈약, 별거, 이혼)
8. 부부관계에서 누가 더 지배(군림)적인지 이름 옆에 ‘군림’(Dominant)이라고 써넣은 직사각형을 그린다.
9. 가족원의 이름 옆에 관련 기타 정보를 적는다. 여기에는 특이사항, 직업, 아동학대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 자살, 행방불명, 기타 가족비밀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10. 다양한 가족원들 간의 관계, 특히 지명환자가 가계도상의 다른 사람들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기재한다. 이것은 두 시기로 나누어 표기한다. 첫째로, 지명환자의 인격형성(십대 후반까지) 동안의 관계 상태는 빨간색 선으로, 현재 관계 상태는 초록색 선으로 표기한다.
- 3개의 평행선은 두 사람 간의 최고 상태로 친밀하거나 융합된 관계.
- 2개의 평행선은 적절한 관계.
- 1개의 직선은 약한 관계.
- 점선은 관계 맺지 않음.
- 물결선은 갈등상태의 관계.
- 반개의 선(반은 물결선 반은 직선), 1개 반, 2개 반의 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흔히 있는 부인의 문재를 극복하기 위해 선의 개수는 객관적인 실제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 관계선을 결정하는 부모와의 관계 진단
십대 후반까지의 당신의 인격형성기 동안에 :
- 당신은 아버지에게 다가가서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를 나눌 수 있었는가?
- 아버지는 당신에게 신체적 애정표현을 많이 해 주었는가? 어렸을 때 뿐만 아니라 십대가 되어서도 그렇게 해 주었는가?
- 아버지는 당신을 많이 격려해 주고 인정(세워주는 말)해 주었는가? 성과를 거뒀을 때 뿐만 아니라 단지 그의 아들/딸이라는 이유만으로 한 인격체로서 인정해 주었는가?
- 아버지는 당신의 학교생활, 학업에 관심이 많았는가?
- 아버지와 단 둘이서 시간을 보낸 특별한 순간이 많이 기억나는가?(영화관, 낚시 등)
- 가정에서 훈육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훈육은 누가했는가? 어떤 식으로 훈육했는가? 과도하지는 않았는가? 거의 훈육이 없었는가? 신체적 학대라고 부를 만 하다고 느끼는가?
- 아버지는 당신을 언어적으로 많이 학대했는가?
(깎아내리는 말, 비웃는 말, 고함, 소리치기 등)
- 아버지(또는 다른 어느 누구든지)는 어렸을 때 당신을 성적으로 학대했는가?
- 아버지는 당신에게 성교육을 시켰는가?(남자아이에게만 해당)
- 당신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관계가 더 좋았는가?
- 어머니와 관련해서는 위의 질문들에 대해 어떻게 답하겠는가?
- 아버지/어머니는 당신의 제일 좋은 친구였다고 말할 수 있는가?
- 오늘날 아버지/어머니와의 관계가 개선되었는가? 만일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개선되었는가?
이 중요한 문제에서 객관적인 실제에 도달하기까지는 상당히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
11. 다른 곳에 기재되지 않은 중요한 정보는 어떤 것이라도 관련 인물이나 가족 옆에 상자를 그려 그 속에 기입할 수 있다. 그 한 예는 어린 시절에 부모가 돌아가신 때의 지명 환자 나이를 기록하는 것이다.
12. 종이의 왼편 아래쪽 코너에 지명환자의 아버지에 대한 세부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 직업, 성격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등, 오른편 아래쪽 코너에는 어머니에 대한 같은 방식으로 기록할 수 있다. 부부치료의 경우, 남편과 아내의 양가 부모님들에 대한 정보는 각각 왼편 아래쪽 코너와 오른편 아래쪽 코너에 기록할 수 있다.
가계도는 새로운 통찰이 생기고 추가 정보가 생길 때마다 가끔씩 수정하고 새로운 사항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회복그룹 질문>
1. 가계도에서 가족 간의 관계, 특히 위에서 나온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답해 보고 그에 맞는 관계선을 그려 넣으라. 그룹에서 어린 시절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가 어떠했는지 나누라.
'치유.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처방식과 동반의존 (0) | 2013.11.24 |
---|---|
[스크랩] 생존기제와 가족 역할 (0) | 2013.11.24 |
[스크랩] 도피와 투쟁 (0) | 2013.11.24 |
[스크랩] 수동적/ 공격적 성격 유형 (0) | 2013.11.24 |
[스크랩] 거짓 자아의 형성 : 거절과 반항 (0) | 201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