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학

[스크랩] 도표로 본 교회사 5

수호천사1 2012. 11. 18. 16:27

53. 미국 13개 식민지 종교

식민지

설립허가
연도

개척허가 수용자

최초설립
연도

정착민

개척 동기

주요 종파

설립된 교회

버지니아

1606
버지니아사(社)
1607
영국인
경제적인 이윤
성공회
영국국교회
1624
왕실식민지회사

매사추세스

1619
순례자들
1620
순례자들
종교적 자유
분리주의파
회중교회
1629
매사추세스베이사(社)

청교도

신정(神政)국가 건설

회중교회파

1684
왕실식민지회사

뉴헴프셔

1679
왕실식민지회사
1623
청교도
매사추세츠 베이의 확장
회중교회파
회중교회

1664
왕실식민지회사
1624
화란인
경제적인 이윤
화란개혁파
1692년 영국국교회

메릴랜드

1632
볼티모어경
1634
영국인
로마 가톨릭의 안식처
로마가톨릭
1691년 영국국교회
1691
왕실식민지회사

코네티컷

1662
존 윈드롭(왕실식민지)
1634
청교도
메사추세스 베이의 확장
회중교회파
회중교회

로드 아일랜드

1644
로저 윌리암스
1636
영국인
메사추세스 베이에서 탈출한 급진주의자들
회중교회파
불분명
1663
재개발

뉴 저지

1664
존 버클리
조오지 카타렛
1638
스웨덴인
경제적인 이윤
루터파
불분명
1702
왕실식민지회사

화란인

뉴욕으로부터 확장

화란개혁파

영국인

종교적 자유

퀘이커파

델라웨어

1683
요오크 공(公)
1638
스웨덴인
경제적인 이윤
루터파
불분명
1693
펜실베이니아의 일부분

화란인

화란개혁파

1704
분리주의자(정부)

영국인

성공회

노스캐롤라이나

1712
남부 캐롤라이나 분리주의자(정부)
1653
영국인
경제적인 이윤
성공회
영국국교회
1729
왕실식민지회사

사우스캐롤라이나

1663
캐롤라이나회사
1670
영국인
경제적인 이윤
성공회
1704년 영국국교회

프랑스인

종교적 자유

위그노

펜실베니아

1681
윌리암 펜
1681
영국인
종교적 자유
퀘이커파
불분명

독일인

30년 종교전쟁 이후 망명

루터파

종교적 자유

메노파, 형제단, 쉬벵크펠더파, 아미쉬파, 모라비안파

조지아

1732
제임스 오글도릅
1733
영국인
채무자 감옥에서 탈출한 자룰 위함
성공회
1758년 영국국교회
1752
왕실식민지회사
독일인
종교적 자유
모라비안파

54. 미국의 유토피아 공동체

단체명

지도자

거주 지역

특 징

은자(隱者) 공동체
(에프라타파)

콘라드 바이셀
(1690-1768)
존 피터 밀러
(1710-1796)
펜실베니아주의
에프라타
  • 엄격한 금욕주의
  • 제7일 안식일 준수
  • 평화애호주의
  • 지방자치주의
  • 신자들의 세례 강조

그리스도 재림을 준비하는 신자들의 공동체

앤 리 스탠리
(1736-1784)
조셉 메캄
뉴욕주의 뉴레바논,
오하이오의 연합마을, 이외 뉴잉글랜드와 중서부에 17개의 공동체 형성
  • 앤 리는 제2의 재림예수임
  • 성(性)생활은 모든 악(惡)의 근본임
  • 평화애호주의 표방
  • 보편구원론
  • 죽은 자와 교통함
  • 방언으로 말함
  • 그룹댄싱(공통의 이름을 갖게 됨)
  • 고해성사
  • 지방자치주의
  • 신(神)은 양성(男性,女性)을 지님
  • 1787년에 천년왕국이 도래함

만인형제 공동체

제미마 윌킨슨
(1752-1819)
뉴욕주의 레이크
세네카와
크룩크 레이크
  • 제미마 윌킨슨의 몸이 영성생활에 의해 훈련된 다음 그의 사후(死後)에 진리의 선포자인 형제공동체가 형성됨
  • 윌킨슨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제2의 재림주인 그리스도로 신봉됨
  • 성직자 독신주의 표방

화해와 일치 공동체
(랩파)

조오지 랩
(1757-1847)
펜실베니아주의 하머니, 인디아나주의 뉴하머니, 펜실베니아주의 이코노미
  • 보편구원론
  • 성직자 독신주의
  • 고해성사
  • 지방자치주의
  • 제복 착용
  • 성찬의 거부
  • 일반교육에 반대함

영성훈련 공동체
(아마나교파)

미카엘 크라우셔트
크리스천 메츠
바바라 하이네만
뉴욕주의 에버니저, 아이오아주의
아마나
  • 독일 경건주의에 영향받음
  • 지방자치주의
  • 평화애호주의
  • 지도자들은 신(神)의 영감을 받음
  • 현재는 법인회사임

오니다 공동체

존 험프리 노이예스
(1811-1886)
뉴욕주의 오니다,
코네티컷주의
웰링포드
  • 완전주의 표방
  • 지방자치로 "합동결혼" 시도함
  • 지방자치의 결정에 따라 우생학적 근거에서 자녀를 출산케 함
  • 지방자치주의
  • 금형이나 은제품을 제조 생산함

55. 미국의 청교도 지도자

이름

연도

출신 학교

주요 저서

주요 사실

존 카튼

1584
-1652
켐브리지대학
  • 천국의 열쇠
  • 뉴잉글랜드 그리스도 교회의 길
  • 1612-1633년간 국교회 목사였다.
  • 로드 대주교에 의해 영국에서 추방되었다.
  • 거의 20년 동안 보스턴 회중교회의 초대목사로 시무했었다.
  • 로저 윌리암즈와 안네 허치슨의 망명을 변호하였다.

토마스 후커

1586
-1647
켐브리지대학

  • 대주교 로드에 의해 박해를 피해 영국에서 망명하였다.
  • 하란에서 3년간 생활하고 1633년 매사추세츠 만에 카튼과 동반하였다.
  • 코네티컷의 회중교회에서 이동하여 하트포드에 정착했다.
  • 코네티컷 식민지법령 제정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리차드 마터

1596
-1669
옥스퍼드대학
  • 찬송집
  • 1633년 대주교 로드에 의해 목사직을 박탈당하였다.
  • 1636년부터 매사추세츠주의 도체스터에서 목회를 하였다.
  • 중도계약을 변호하였다.

로저 윌리암즈

1603
-1683년경
캠브리지대학

  • 국교회 목사였으나 후에 분리주의파로 전향하였다.
  • 1631년 양심(신앙)의 자유를 찾아 뉴잉글랜드에 정착하였다.
  • 보스턴에서 플리머드와 살렘지역으로 강제이동시 갈등이 표출되었다.
  • 1635년 매사추세츠 만에서 추방당하였다.
  • 로드아일랜드에서 신(神)의 섭리를 발견하였다.
  • 1639년 미국 최초의 침례교회로 출발하였다.

토마스 쉐파드

1605
-1649
캠브리지대학
  • 참된 회심자
  • 1935년 대주교 로드를 피해 뉴잉글랜드에 정착하였다.
  • 매사추세츠 주의 캠브리지에서 목회하였다.
  • 소심하여 독립적이라는 공격에 대해 미국 청교도들의 입장을 변호하였다.

인크리즈 마터

1639
-1723
하버드대학
  • 인디안전쟁사 개설
  • 섭리론 주해
  • 라차드 마터의 아들로 왕정복고 때까지 영국에서 목회하였고 1664년 이래로 보스턴 노스교회 담당목사로 시무하였다.
  • 중도계약을 변호하였다.
  • 1684-1701년간 하버드대학 총장을 역임하였다.

솔로몬 스타다드

1643
-1729
하버드대학
  • 그리스도 입문
  • 회심에 관하여
  • 하버드대학 최초 도서관직원으로 1670년부터 노스햄톤(매사추세츠주)의 목사로 시무하였고 성만찬을 통해 거듭남을 확인하였다.
  • 중도계약을 변호하였다.
  • 조나단 에드워즈의 조부(祖父)였다.

카튼 마터

1663
-1728
하버드대학
  • 미국의 위대한 그리스도
  • 마술과 감화력에 관계된 섭리론
  • 인크리즈 마터의 아들로 15세 하버드대 졸업 후 보스턴 노스교회에서 아버지를 도왔으며 청교도 신정정치의 몰락에 반대하였고 1692년 살렘마녀재판을 변호하였다.
  • 1713년 영국 학술원회원이 되었다.

56. 제1차 대각성운동의 지도자

이름

연도

식민지

출신 교단

주요 사실

윌리암 테넨트

1673
-1743
펜실베이니아
장로교회
  • 아일랜드 태생으로 1717년 필라델피아에 정착하여 1735년 설립된 목회자 훈련기관인 로그대학 출신의 수많은 사람들이 제1차 대각성운동에 참여하였다.

데오도르 J.
프리링 휴센

1691
-1748년경
뉴저지
화란개혁파
  • 동부 프리슬랜드 태생으로 1720년 래리턴강 유역에 정착하였다.
  • 교회지도자들의 요구를 거부함으로 인해 교구민들로부터 소외되었다.
  • 미국 화란개혁교회의 설립에 기여하였다.

조나단 에드워즈

1703
-1758
매사추세츠
회중교회
  • 솔로몬 스타다드의 손자로서 13세때 예일대학에 입학하였다.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를 습득하였고 매사추세츠주의 노스햄톤의 목사가 된 후 인디안 선교사로 사역하였고 1758년 프린스턴대학 총장에 선임되었다.
  • 금세기 최고의 미국신학자로 추앙받았으며 저서로는 "종교적인 심성", "의지의 자유", "신(神)의 초자연적인 사역"등이 있으며 천연두 접종을 받던 중 사망하였다.

길버트 테넨드

1703
-1764
펜실베이니아
뉴저지
장로교회
  • 윌리암 테넨트의 장자로서 로그대학 출신으로 프리링휴센과 함께 사역하였고 조오지 휫필드와 전도여행을 하였고 "회개치 않는 목회자들의 위험"을 경고하였다.
  • 뉴저지대학(프린스턴) 창설에 일조하였다.

슈발 스턴즈

1706
-1771
남부 식민지
침례교회
  • 보스턴 태생으로 휫필드 설교에 회심하였고 1758년 노스캐롤라이나 샌디크릭에 침례교협회를 결성하였다.

다니엘 마샬

1706
-1784
남부 식민지
침례교회
  • 코네티컷 윈저 태생으로 2년간 인디안 선교사로 사역하였고 스턴즈의 동역자이자 처남매부 사이로 조지아 침례교협회를 창설하였다.

엘리제르 휠로크

1711
-1787
남부 식민지
회중교회
  • 예일대학 졸업 후 조나단 에드워즈의 동역자가 된 다음 인디안 선교사양성을 목적으로 다트머스대학을 설립하였다.

헨리 멜콰이어
뮬렌베르크

1712
-1751
코네티컷
루터교회
  • 미국 루터파 교회의 시조로 알려진 그는 독일 하노버 태생으로 괴팅겐대학을 졸업하고 할레에서 경건주의파에 영향을 받았다.
  • 1742년 펜실베니아에 정착하였다.
  • 미국 루터파회의를 최초로 개최하였다.

사무엘 블레어

1712
-1751
펜실베니아
장로교회
  • 로그대학 윌리암 테넨트에게서 공부한 후 뉴저지와 펜실베니아에서 목회한 후 길버트 테넨트의 동역자가 되었으며 펜실베니아 폭스 마너에 학교를 세웠다.

조오지 휫필드

1714
-1770
펜실베니아
뉴 저지
영국국교회
  • 옥스퍼드 신성구락부 회원이었다.
  • 초기 웨슬레 형제의 친구였고 당대의 훌륭한 복음전도자였으며 미국 식민지 전역을 7차례나 전도여행을 하였다.
  • 대각성운동의 기폭제 역할을 담당하였고 조나단 에드워즈, 프리링휴센, 테넨트 형제들과 교분이 있었다.

사무엘 데이비즈

1723
-1761
버지니아
장로교회
  • 사무엘 블레어에게 공부한 후 1747년 버지니아, 하노버주 장로교회(협회)를 결성하는데 일익을 담당했었고 뉴저지대학(프린스턴)의 총장을 역임하였다.

57. 미국독립혁명을지지한 종교단체

혁명에 찬성한 이유
혁명을 지지한 단체
회중교회
장로교회
국교회 평신도들
(남부 식민지)
루터교회
비국교도 급진세력

사회계약설 주장-신(神)의 계약을 모독하는 정부의 권리는 상실되며 신께 복종해야 함

종교의 자유는 정치적 자유가 존재해야만 가능함

이신론자들은 자연법과 인권을 강조함

영국국교회의 재등장 및 박해에 대한 염려

영국국교회의 재등장에 맞서 그들 각자 교회를 견고히 함

영국국교회의 재등장에 대한 두려움과 정치적 사건으로 종교문제가 걸림돌이 되지 않기 위함

영국 국교회의 선교확장에 대한 경계 및 일반원칙의 제정에 반발함

58. 미국독립혁명을 반대한 종교단체

혁명에 반대한 이유
혁명을 반대한 단체
국교회 성직자단
국교회 평신도들
(뉴 잉글랜드와
중부 식민지)
비국교도 급진세력
감리교파
하나님이 위임한 통치자에게 복종하라는 성서의 가르침

성서에 따라 국왕에 대한 충성서약의 성스러움

질서의 하나님께서는 영국민의 통치가 무정부상태라면 적극 개입하여 대체시키심

영국의 통치는 국교회를 후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파악함

요한 웨슬레의 설교 "미국 식민지에 대한 온건한 강론"에 영향을 받음

일반원칙-평화애호주의를 후원함

59. 제2차 대각성운동의 지도자

이름

연도

출생지

소속교단

창설한 학교
가르친 곳

주요 사실

프란시스 에즈버리

1745
-1816
영국 버밍행
감리교회
  • 1784년 요한 웨슬레에 의해 북미 감독으로 임명되어 미국독립혁명에 웨슬레와 견해차이를 보였고 순회전도여행의 선구자가 되었다.
  • 말을 타고 30만 마일을 여행하였으며 미국 감리교회의 20만 명 이상이 그의 가르침을 따랐다.

티모디 드와이트

1752
-1817
매사추세츠주
노스햄턴
회중교회
예일대학
(총장 : 1795
-1817)
  • 조나단 에드웨즈의 손자로서 예일에서의 부흥운동이 곧바로 타대학에 퍼졌다.
  • 시인이요 찬송가, 작곡가였다.

제임스
맥그레이디

1758년경
-1817년
서부 펜실베니아
장로교회
  • 노스 캐롤라이나, 켄터키에서 목회하였다.
  • 1800년 7월 캠프모임의 기초를 세웠다.
  • 컴벌랜드장로교회를 세움에 일조하였다.

토마스 캠벨

1763
-1854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 1807년 아메리카에 정착하여 장로교 목사직을 사임한 후 독립하여 목회를 시작하였다.
  • 그의 아들에게 전해준 이 사역은 추종자들에 의해 그리스도의 제자단으로 형성되었다.

바턴 스톤

1772
-1844
메릴랜드주
토바코 항구
장로교회
  • 맥그레이디의 설교에 감명받아 회심하였다.
  • 1801년 켄터키주 케인 리지 캠프모임의 창시자였다.
  • 그리스도 교회를 설립한 후 캠벌파와 병합하였다.

라이만 비처

1775
-1863
코네티컷주
뉴헤븐
장로교회
레인신학교
(교장 : 1832 -1852)
  • 예일대에서 드와이트에게 사사받은 후 성공적인 목사와 전도사가 되었다.
  • 주목할 만한 사회개혁가로-노예제 폐지, 금주 운동, 폭력 추방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 미국성서공회 설립에 일조하였고 헨리 워드 비처와 해리엣 비처 스토우의 아버지였다.

아사헬 네틀턴

1783
-1844
코네티컷주
노스 킬링워드
회중교회
코네티컷신학연구원(1833년설립에 일조했으며 수시로 강의를 담당하였음)
  • 해외선교사로 부름받았으나 건강 때문에 포기하고 코네티컷의 농촌에서 전도생활을 하다 1820년부터는 반(半) 은퇴생활을 했다.
  • 뉴헤븐신학과 피니의 가르침을 반대하였다.

베넷 타일러

1783
-1858
코네티컷주
회중교회
다트머스대학(총장:1822 -1828)
코네티컷 신학연구원
(원장:1833 -1858)
  • 예일대학에서 드와이트에게 수학한 후 메인주 포틀랜드에서 목회하였다.
  • 뉴헤븐신학의 개혁에 반대하였고 네틀턴의 전기(傳記)를 저술하였다.

나다니엘 윌리암

1786
-1858
코네티컷주
뉴 밀포드
회중교회
예일대학 신학부(교수:1822 -1858)
  • 예일대 드와이트에게 수학한 후 코네티컷의 뉴헤븐제일교회를 담임하였다.
  • 뉴헤븐 신학의 대표주자였다.

알렉산더 캠벨
테일러

1788
-1866
북아일랜드
장로교회
베다니대학
(설립자겸 총장:
1840-1866)
  • 토마스 캠벨의 아들로서 글래스고우대학에서 공부한 후 크리스천 신앙지 성격의 침례교지를 발간하였고 그리스도의 제자단을 설립하였으며 바턴 스톤과 통합하여 그리스도 교회를 만들었다.

찰스 피니

1792
-1875
코네티컷주
워렌
장로교회
오벨린대학
(교수:1835 -1866,
총장:1851 -1866)
  • 법률학도로 1821년 회심 이후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 복음전파의 새로운 방법을 착안해냈으며 완전한 성화를 가르쳤고 비처와 네틀턴의 반대를 많이 받았다.
  • 정열적인 노예폐지론자였다.

60. 19세기 복음주의자들의 사회개혁운동

개혁운동분야

대표적인 복음주의
운동가
개혁에 동참한
사회단체

결과

노예제 폐지

사무엘 홉킨즈
(1721-1803)
림만 비처(1775-1863)
찰스 G. 피니(1792-1875)
존 브라운(1800-1859)
테오도레 벨트
(1803-1895)
조나단 블랜차드
(1811-1892)
해릿트 비처 스토우
(1811-1896)
1807년 : 인류애협회
1817년 : 식민지협회
1818년 : 미국노예제폐지와
아프리카 복지증진협회
1833년 : 미국 반(反)노예제협회
1840년 : 자유당
1848년 : 노예금지 지역당
1861-1865년 : 남북전쟁
1863년 : 노예해방선언
1865년 : 제13차 헌법개정
1866년 : 제14차 헌법개정

금주
(제조, 판매 금지)

라이만 비처(1775-1863)
프란시스 윌라드
(1839-1898)
빌리 선데이(1862-1935)
1813년 : 매사추세츠 금주협회
1826년 : 미국절제협회
1836년 : 미국절제연합회
1840년 : 워싱턴협회
1869년 : 절제당
1874년 : 기독교 여성 절제연합회
1893년 : 술집폐쇄동맹
1846년 : 메인주 금주법 통과 시행됨
1847-1855년 : 13개주 법안에 동의함
1919-1932년 : 함부로 금주법안을 수정치 못 하게 함

여성의 권리

엠마 윌라드(1787-1870)
메튜 바사르(1792-1868)
안젤리나 그림케
(1792-1873)
메리 라이언(1797-1849)
1848년 : 여성권리집회
1869년 : 전국여성참정권협회
1869년 : 미여성선거권협회
1892년 : 연방여성선거권협회
1821년 : 뉴욕 트로이에 "여성강좌"가 설립됨
1836년 : 홀요크대학 설립
1861년 : 바사대학 설립
1917년 : 뉴욕주 여성투표권 승인
1918년 : 14개 주에서 동조함(참정권 승인)
1920년 : 여성참정권 개정법안

61. 노예제폐지로 인한 교단분열형태

교단

분열 시기

북부지역 조직형태

남부지역 조직형태

재통합 시기

장로교

1861년
미국장로교회
미주연방 장로교회
(미국장로교회)
1983년

감리교

1844년
북감리교회
남감리교회
1939년

침례교

1845년
미국침례교선교회
(미국침례교회)
남침례교회

성공회

1861년
미국성공회
미주연방 성공회
1865년

62. 19세기 미국의 신흥 사이비종파

몰몬교

예수 재림교

크리스천
사이언스

여호와의 증인

공식명칭

말일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그리스도 교회 사이언티스트
위치타워 성서연구협회

창시자

죠셉 스미스
(1805-1844)
(운동)
윌리암 밀러
(1782
-1849
(교회)
밀러의 추종자들
메어리 베이커 글로버
패터슨 에디
(1821-1910)
찰스 테즈 럿셀
(1852-1916)

발생시기

1830년
1844년

1860년

1879년
1844년

발생장소

펜실베니아주 하머니
뉴욕 북부
미시간주
배틀크라크
메사추세츠 주 보스턴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

주요인물

브리감 영
(1801-1877)
히람 에디슨
죠셉 베이츠
엘렌 G. 화이트
(1827-1915)
죠셉 F. 루더포드
(1869-1942)
나단 H. 크노르
(1905-1977)

성서 이외의 경전

  • 몰몬경
  • 교리와 언약
  • 값진 진주
  • 교회를 통해 지속되는 하나님의 계시
  • 엘렌 G. 화이트의 저서
  • 지속되는 교회 내 예언의 은사
  • 성서에 근거한 과학과 건강의 열쇠
  • 새 세계 번역본 성서
  • 뉴욕 본부 브룩클린의 서적들

신론(新論)

다신론-하나님은 인간이셨기에 인간은 하나님이 될수 있음
하나님은 형체를 지니고 있음
정통파 견해와 일치
범신론-만물에 하나님이 있음
물질은 존재치 않음
유일신론-삼위일체론을 부정함

그리스도의 품성

그리스도는 神적인 요소이며 독특하지 않음
정통파 견해와 일치
예수는 인간, 그리스도는 신적 개념으로 구분함
영지주의를 참조함
아리안주의-그리스도는 독특하나 신이 아니고 대천사장 미가엘(최초피조물)과 동등한 존재임

그리스도의 사역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아담의 죄를 없애며 만민에게 부활이 주어짐
속죄는 부차적이나 완성되지 않았으며 철저한 심판날에 이들의 죄는 씻겨짐
그리스도는 위대한 생활과학의 실천자이자 의사였음
그리스도의 속죄로 원죄가 제거된 선하고 신실한 백성들은 영생할 권리가 주어짐

성령론

비인격적인 세력
정통파
하나님으로부터 구분되지 않음
비인격적인 세력

인간론

인간은 천성적으로 선한존재
정통파 견해와 일치
(이분법론자)
인간은 신과 함께 영원함
육체는 존재치 않음
원죄는 가상적인 개념임
원죄는 유전되지 않으며 인간은 단지 불완전한 존재임

구원론

신앙, 회개, 세례를 통해 오며 계약준수여부에 구원은 달려있음
모세법을 준수하는 신앙에서 비롯함
(특히 안식일 계명)
죄와 악의 존재를 인정치 않음에서 비롯함
신앙은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행위(전도)를 통해 옴

교회론

배타주의자-사도요한의 죽음 이래로 1830년까지 교회는 중단되었으며 자신들의 성례전만이 정당함
배타주의자-구원받을 자(144,000명)
곧 참된 신자만이 결국 구원받음
배타주의자
배타주의자-모든 다른 종교는 폐지될 것임

개인적인 종말론

사후(死後) 두번의 기회가 주어지고 영원한 형벌은 없으며 인간은 결국 승천하여 하나님처럼 됨
잠자는 영혼과 악인의 소멸
사후(死後) 시련기간을 통해 진리에 이르며 다른 것은 폐지됨(소멸됨)
잠자는 영혼과 악인의 소멸

보편적인 종말론

이스라엘(미국 인디안들)의 회복
그리스도가 예루살렘과 미주리주 독립을 제공하는 천년왕국의 통치
만민은 영적인 수준에 따라 세 왕국에 분산 수용될 것임
전(前)천년설
의인은 새로운 세계에서 영원한 삶 보장됨
1914년 그리스도의 재림 예언
천년왕국은 1975년 아마겟돈전쟁에서 시작됨
144,000명(선택된자)은 천국에 들어가며 다른 모든 증인들은 지상낙원에서 살게됨

생활

술, 담배, 커피, 홍차 엄금
금식, 십일조, 안식일 준수 요구됨
결혼은 일회적이며 영원함
임종을 맞이하는 세례 적극 권장함
구약의 신법(神法)준수
안식일 준수, 신자의 세례는 침례이며 세족식 실시
성례 불필요
교회나 정부의 가르침은 에디 여사의 허락없이는 따를 수 없음
모든 교회는 보스턴 모(母)교회에 부속되어 있음
완전한 평화애호주의자
정부에 가담하는 일(투표권, 공직, 군대, 국기 충성, 선서 등)과 타인의 피(수혈)거부

63.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부흥운동

이름

연도

출생지

소속 교단

창설학교 및 가르친 곳

주요 사실

드와이트 무디

1837
-1899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
독립교회
  • 노스필드 신학교(1879)
  • 헐몬남자 신학교(1881)
  • 시카고복음학교(무디성서학교)(1886)
  • 7학년 때 제적당한 것이 교육의 전부
  • 18세에 회심한 후 보스턴, 시카고 등지에서 구두수선공으로 일했음
  • 남북전쟁 기간에 전도여행을 함
  • 1873-1875년 영국에서 십자군으로 활약함
  • 안수받지 못한 채로 1899년 죽음을 당하기까지 전 미국인의 십자군화사업에 전력함

사무엘 포터존스

1847
-1906
앨라배마주
오크 보워리
감리교회

  • 독학으로 공부, 알콜중독자가 개종(회심)
  • 금주운동에 앞장섰음
  • "남부의 무디"라는 별명을 얻었음

루벤 토레이

1856
-1928
뉴저지주
호보컨
회중교회
  • 무디성서학교 (교장 : 1889-1908)
  • 로스앤젤레스 성서학교 (교장 : 1912-1924)
  • 예일대학 일반부 및 신학부 졸업 후 무디의 동역자였으며 여러차례 국제전도여행을 수행하였음

윌버 챔프만

1859
-1918
인디애나주
리치몬드
장로교회

  • 오벨린대학, 레이크 포리스트대학, 레인신학교 수학
  • 무디의 십자군운동에 동역자가 됨
  • 위노나 레이크성서대회의 책임자였음

빌리 선데이

1862
-1935
아이오아주
아메스
장로교회

  • 1883-1891년 프로야구선수로 활약
  • 1886년 시카고 태평양 선교대회에 참석, 회심함
  • J. 윌버 챔프만의 십자군운동에 가담
  • 매우 감정적이고 드라마틱한 설교가임
  • 절제생활 강조
  • 진화론에 반대함

64. 미국 세대주의의 대표 지도자

이름

연도

소속 교단

주요 저서

창설학교 및
가르친 곳

주요 사실

존 넬슨 다아비

1800
-1882
아일랜드교회
플리머드형제단
  • 그리스도 교회의 연합 및 본질에 관하여
  • 법률공부
  • 1825년 목사안수 받음
  • 플리머드형제단의 가장 위대한 선교사
  • 7차례 미국 선교여행함

제임스 브룩크스

1830
-1897
장로교회
  • 마라나타(재림론)
  • 이스라엘과 교회
  • 성서는 영감으로 기록되었는가
  • 나이아가라성서협회 창설
  • 스코필드의 영향으로 오하이오대학,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연구한 후 성 루이스와 데인턴에서 목회함

윌리암 블랙스톤

1841
-1935
감리교회
  • 예수의 재림
  • 시카고 히브리 선교회 창설을 도움
  • 시온주의지지
  • 이스라엘에 그의 이름을 딴 삼림지가 있음

사이러스 잉거슨

스코필드

1843
-1921
회중교회
  • 스코필드 주해성서
  • 분배된 (계시된) 진리의 말씀의 올바른 분배
필라델피아 성서학교
(창설멤버 1914)
  • 연방군대에서 봉사, 법률 연구
  • 캔자스주 하원에서 활약, 브룩크스의 영향을 받고 텍사스주 달라스와 매사추세츠주 노스필드에서 목회를 하였음
  • 중부 미국선교협회 창설
  • 세대주의를 그의 주해성서를 통해 널리 보급함

아노 게벨라인

1861
-1945
감리교회
  • 주해성서
  • 계시록 분석강해
  • 성서의 빛으로 본 주요 사건들
  • 독일 태생, "Our Hope" 잡지 설립자 겸 편집인
  • 볼티모어, 뉴욕, 호보켄에서 목회함
  • 이스라엘선교에 대한 남다른 정열을 보임

루이스 스페리

세이퍼

1871
-1952
장로교회
  • 조직신학
  • 왕국의 역사와 예언
  • 주제별 성서강해
필라델피아 성서학교
(1914-1923)
달라스 신학교
설립 (1924-1952)
  • 오벨린대학에서 음악학 연구
  • 헐몬남자 신학교에서 교사생활
  • 달라스시 스코필드 기념교회에서 목회함
  • "Bibliotheca Sacra" 편집 간행

65. 계약신학과 세대주의 신학의 비교

주제

계약신학 입장

세대주의신학 입장

역사 형태

아담과의 계약사상 : 그리스도와 연합된 은총의 계약은 선택된 자들에 해당함(때로 그리스도의 구속계액과 선민의 은총 계약 사이에 구별을 두기도 함)
7단계로 구분 : 무지(타락 이전)→양심(아담)→언약(아브라함)→법(모세)→은총(그리스도 탄생)→왕국(그리스도의 재림)

역사관

낙관주의 : 신국(神國)의 확장
비관주의 : 심판일(말세)은 교회의 변절자와 세상의 종말현상으로 증명됨

역사에서 신(神)의 뜻

구속사적인 견해
하나의 목적은 이스라엘 (지상)에게 다른 하나는 교회(천국)에 둠

성서의 계약관

자신들은 은총의 계약의 독특한 수행자임
그들은 종말의 시기에 자신들에게 신(神)이 특별한 사역을 요구하는 것으로 간주함

구약과 신약의 관계

신약성서의 의해 폐기되지 않는 한 구약성서의 가르침을 준수함
구약성서의 시효는 신약성서에서 확인되지 않는 한 유효치 못함

이스라엘과 교회의 관계

교회는 영적인 이스라엘이며 구약성서의 참 이스라엘을 지속해 나가야 함
교회는 神의 영적인 백성으로 이스라엘로부터는 구분되며 하나님의 구현된 백성들의 모임

구약성서 예언

하나님의 백성, 즉 교회에 말씀하심
이스라엘 민족에게 말씀하심

교회 시대

하나님의 구속계획이 지속적으로 나타남
과거와 미래 사이에 왕국의 모형이 존재함

성령의 역할

성령은 역사 속에 하나님의 백성에게 내주하심
성령은 오순절에서 휴거까지 신자들에게 임하심

세례

일반적으로 유아세례를 인정하는 계약에 의거함
이스라엘(교회)은 종종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신자들의 세례를 권장함

사회적인 관계

"문화적인 사명"을 강조함
세상구원의 유일한 방법은 개인 구원이며 따라서 복음은 "사회행위"보다 선행됨

종말론

무천년설을 받아들이며 거의 후천년설을 따르지 않고 일부만 전천년설을 따름
전천년설

천년왕국

상징적 이해 : 현대세계와 동등하게 설명함
문자적 이해 :천년동안 그리스도의 통치가 도래할 것임

66. 근본주의 신학논쟁에서 나타난 종파

분파

분열 시기

제2차 집단

제2차 집단의 본질

핵심
보수주의자
인물
자유주의자

그리스도의 제자단

1927
북미 그리스도 제자단 협회
보수주의
아이작 에레트
존 W. 맥가르베이
제임스 H. 개리슨
허버트 L. 윌렛

북미침례교 성회
(미국침례교 성회)

1932
정통파 침례교 협회
보수주의
존 로치 스트라톤
야스퍼 C. 맛세
암씨 C. 딕슨
윌리암 벨 릴레이
체스터 툴가
로버트 케첨
윌터 라우센부쉬
헤리 에머슨 포스딕
1947
보수파 침례교 협회
보수주의

미국장로교회

1936
정통파 장로교회
보수주의
J. 그레샴 메첸
폴 울리
J. 로스 스티븐슨
헨리 슬로안 카핀

연합장로교회

1973
미주장로교회
보수주의
G. 아이켄 테일러

루터파교회 미주리회의

1976
복음주의 루터파 협회
자유주의
자콥 A.O. 프로이스
랄프 뵐만
존 티젠
아를리스 엘렌

67. 20세기 장로교 분열의 대표인물

주요 인물

연도

창설학교 및
가르친 곳

대표 저서

주요 사실

찰스 브릭스

1841
-1913
  • 유니언 신학교(교수:1874-1913)
  • 히브리어-영어 구약성서 렉시콘
  • 시편 비평주석
  • 버지니아대학, 유니언신학교, 베를린대학에서 연구한 후 1803년 성서 영감설을 부인한 결과로 장로교회에서 추방됨
  • 1900년 성공회에서 안수받고 국제비평주석서(I.C.C.)편집함

헨리 프리저브드

스미스

1847
-1927
  • 레인 신학교(교수:1874-1894)
  • 암허스트 신학교(1898-1907)
  • 미드빌 신학교(1907-1913)
  • 유니언 신학교(1913-1925)
  • 이스라엘 종교
  • 성서 해석학론
  • 암허스트, 레인, 베를린에서 연구한 후 1894년 브릭스를 변호하다가 이단으로 추방됨

벤자민 워필드

1851
-1921
  • 웨스턴 신학교(교수:1878-1887)
  • 프린스턴 신학교(1887-1921)
  • 하나님의 구원 계획
  • 기적론 소고
  • 계시와 영감설
  • 완전주의론(근본주의론)
  • 프린스턴대학에서 연구한 후 브릭스와 스미스를 반대하였으며 하지(Hodges)로부터 내려온 프린스턴 신학의 역사성 강조함
  • 프린스턴 신학잡지의 편집장을 역임

로버트 딕 윌슨

1856
-1930
  • 웨스턴 신학교(교수:1880-1881,1883-1900)
  • 프린스턴 신학교(교수:1900-1929)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공동설립자 겸 교수:1928-1930)
  • 히브리어 문법
  • 다니엘서 연구
  • 구약성서의 과학적 연구
  • 가장 저명한 구약언어학자로 성서의 고등비평에 반대하여 구약성서의 진정성 강조하였음

헨리 슬로안

카핀

1877
-1954
  • 유니언 신학교(교수:1905-1945, 총장:1926-1945)
  • 사회개혁의 날
  • 십자가의 의미
  • 오번선언을 기초하였고, 예일, 에딘버러, 유니언신학교에서 연구한 후 사회복음을 변증함
  • 에큐메니칼주의에 참가함

해리 에머슨

포스딕

1878
-1969
  • 유니언 신학교(교수:1909-1946)
  • 성서의 현대적 해석
  • 성서로의 초대
  • 자유침례교회 설교자로서 장로교와의 논쟁에 맞선 후 뉴욕주 리버사이드에서 목사안수 받았음
  • 오번선언 채택에 협력함

그레샴 메첸

1881
-1937
  • 프린스턴 신학교(교수:1906-1929)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설립자 겸 교수:1929-1937)
  • 기독교와 자유주의 신학
  • 동정녀 탄생론
  • 바울 종교의 기원
  • 존 홉킨즈대학과 프린스턴대학 신학부에서 연구한 후 장로교 외방선교회 창설함
  • 1935년 반항죄로 성직 박탈당함
  • 정통파 장로교회의 대표 지도자였음

올리버 부스웰

1895
-1977
  • 휘튼대학(총장:1926-1939)
  • 페이스 신학교(교수:1939-1940)
  • 쉘톤 대학(교수:1941-1955)
  • 카버넨트 신학교(교수:1956-1969)
  • 조직신학 총론
  • 미네소타대학, 맥코믹신학교, 뉴욕 대학에서 연구함
  • 제1차 세계대전의 종군목사였음
  • 1936년, 1937년, 1956년 분열에 가담함

칼 맥킨타이어

1906-
  • 페이스 신학교(설립자:1937)
  • 쉘톤 대학(설립자:1941)

  • 1936년, 1937년, 1956년 교회분열에 가담함
  • 미국교회협의회에 반대하는 미국 기독교협의회를 창설함
  •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반대하는 국제기독교협의회(ICC)를 창설함
  • 월남전쟁 후원함

알람 맥레이

1902-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교수:1929-1937)
  • 페이스 신학교(총장:1937-1971)
  • 성서신학교(총장:1971-1983)
  • 이사야 복음
  • 로스앤젤레스 성서학교(비올라), 옥시텐탈대학, 프린스턴신학교, 베를린대학에서 연구함
  • 1936년, 1937년 분열에 가담
  • 뉴 스코필드 주해성서의 편집자 역임
  • 새번역 국제성경(NIV) 번역위원회에서 봉사함

68. 미국 장로교 계보

69. 미국 침례교 계보

70. 미국 루터교 계보

71. 미국 감리교 및 성공회 계보

72. 미국 개혁교회 및 회중교회 계보

73. 미국 오순절교회 계보

74. 미국 메노파교회 계보

75. 미국 몰몬교 계보

76. 미국 예수재림파 계보

출처 : 보좌로부터흐르는생명수
글쓴이 : 호두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