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 개신교 선교 초기의 대체적 상황 A. 국내적 정황 1.정치적 상황

수호천사1 2012. 10. 4. 13:38
II. 개신교 선교 초기의 대체적 상황

A. 국내적 정황

흔히 한국은 기독교의 수용에 있어서 성공한 나라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여서
기독교가 수용될 수 있었을까? 여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당시 상황이
기독교를 수용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었고, 선교방법이 촉진시켜 주기도 하였으며, 사회계
층이 이미 기독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선교사 James S. Gale은 1898년 한 선교보고서에서 "이제야말로 복음을 한국 백성들에게
전할 특별한 시간이라고 본다. 이들 역사 속에 괄목할 만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
다. 이들의 전통과 생의 파괴에서 비롯된 공백을 메울 것이 아직은 무엇 하나 제대로 제공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제 그가 말한 구한말 조선의 '괄목할 만
한 변화'와 '전통과 생의 파괴'란 과연 어떤 상황을 의미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1.정치적 상황
정치적 보수세력에 의한 진보적인 세력의 숙청으로, 쇄국주의 정책 속에서 외세로 취급
되어 엄청난 핍박을 받았던 천주교 선교의 과정을 돌이켜볼 때,
{{강만길, "문호개방을 전후한 역사적 상황과 한미수교", [기독교사상] 1982. 2. pp.17-22.}}
기독교 선교의 순조로운출발은 무엇보다도 정치적 배경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 수용을 거부하던
대원군의 쇄국주의 정권이 무너지고 문호개방정책이 채택되자 서구문물은 제한없이 밀려 들
어와 사회를 흔들어 놓았지만 정부는 속수무책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지배층의 태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당시 기독교 수용에 대한 견해는
크게 둘로 구분된다. 즉 기독교를 포함한 서구문물에 대해서 수용적인 입장을 보였던 개화파
와 극구 반대했던 위정척사파이다. 개화파는 그 개화의 방법에 따라서 온건한 개화방법을
채택한 동도서기파와 급진적 개화방법을 채택한 개화당으로 나뉘어 진다.
{{송길섭, [일제하 감리교회 삼대성좌] (서울: 성광문화사), 1982, p.74}}

a)위정척사파
이들은 유학을 지키고 기타 종파나 사상 특히 기독교는 이단사학이라고 하여 이를 맹렬
히 반대하였다. 이들은 개화를 기독교의 수용으로 여겨서 끝까지 서학인 기독교를 반대하는
것이 애국이라고 여겼다. 이들은 실권을 갖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였다.
{{ 이광린, [한국개화사상연구] (서울 : 일조각), 1981, p.213}}

이들은 유교문화가 기독교를 포함한 서양문화보다 훨씬 우월하다고 확신하였고 또 외부로부
터의 영향으로 우리의 전통문화가 변혁을 일으켜서는 안된다는 주장이었다. 이와같은 주장
은 18세기 이후부터 천주교를 배척하고 탄압하는 이데올로기 구실을 하였고 1860년대와 70년
대에 우리나라가 외국의 빈번한 개화의 도전을 받게되자 당시 국민들로부터 호응을 받았다.

{{송길섭, op. cit., p.74.}}

b)동도서기파(동도서기파)
개화파 중에서 온건한 개화의 방법을 택한 이들의 주장은 도덕이나 전통사상은 그대로
지키되 서양의 기술만을 받아 들이자는 것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에 들어왔던 천주교의 핍박
사를 알고 있었으므로 서양의 종교인 기독교는 그릇된 것이고 그러기에 마땅히 멀리하되 서
양의 기(기) 즉 기술은 이용후생의 도움이 되는 것이므로 채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이들은 기독교에 대해서 척사파와 같은 입장을 취한다고 할 수 있다.
{{Ibid., p.75.}}

c)급진개화파(개화당)
이들의 정치적 목적은 당시 수구당이 군림하고 있는 양반관료제도를 타파하고 근대적 민
족국가를 수립하는데 있다.
{{이광린, [개화당연구] (서울 : 일조각), 1973, p.65.}}
국가와 종교와의 관계에 대하여 개화당의 수령격인 김옥균은
철저한 불교신자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기독교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은 서양의
부강이 그 기술문명에 기초하고 있고 그 문명의 뿌리가 되고 있는 것이 기독교라는 것을 통
찰했기 때문에 그렇게 확신한 것이다. 즉 그는 기독교에 관한 한 정치적으로 접근한 것이
다.
{{ Ibid., p.95.}}
그래서 김옥균은 맥클레이 박사 부부가 1884년 6월에 고종에게 교육 및 의료선교 윤허
를 얻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광린,[개화사상연구], op.cit., p.221.}}
개화당 인사들이 선교사들에게 친절히 대하였던
것은 선교단체가 한국 개화의 힘이 되고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한국이 서양문화에 접하리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 Ibid., p.222.}}

개신교 선교는 문호개방을 통하여 결정적인 정치적 환경을 제공받았다. 문호개방을 통
하여 외국인은 치외법권의 대우를 받을 수 있었고 선교사들은 자유로이 입국하여 제한적으로
나마 선교할 수 있는 토대를 가지게 되었다. 조선정부의 미국에 대한 우호적인 외교관계는
선교사들이 법적 제약을 어느 정도는 초월하여 선교하게도 하였다. 한국에 와 있는 선교사
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조약상으로 전도의 자유가 없었고 한국정부는 척외법을 강조하여 전도
행위를 금지케도 하였다. 그러나 미국에 대한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척외법은 1890년에 이
르러서는 사실상 효력이 상실되었고 전반적인 호의가 나타나 전도활동이 공공연히 수행될 수
있었다.
{{강근환, "한국개신교회 초기에 있어서의 교회 급성장에 대한 요인과 문제성 고찰." [신
학과 선교] 제9집, (서울: 서울신학대학, 1984), p.96}}

그 와중에 조선에서의 세력균형의 유지를 위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우리 민족에게 인
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국토가 유린당하는 수난을 안겨다 주었다. 특히 청일
전쟁은 한국인의 사상적 방향을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향케 하였다.
{{ Ibid., p.94.}}
민족의 수난기에 한국
교회는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는데 그 원인은 당시 교회가 민중의 도피처로 이해된 데 있다.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