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 .서 론

수호천사1 2012. 10. 4. 13:38
I .서 론

A.문제제기

한국 개신교는 짧은 기간 동안에 세계선교 역사에 유래없는 성장을 이룩하였다. 100여
년 만에 나타난 결과라고 볼 때 이는 분명 하나님의 축복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이에 대해
강근환 교수는 "기독교회를 그 머리 되신 그리스도에게 속한 초월적 존재인 동시에 하나의
사회적 기구로서 역사적인 존재" 라고 정의하면서 한국교회도 예외는 아니어서 선교활동이
시작된 후 계속 한국의 사회정치적 영향 하에서 성장, 발전하여 왔다고 말한다.
{{ K. Barth, Church and Dogmatics, IV, p.1. ;강근환, "한국개신교의 성장에 미친 초기 선
교정책 의 영향," [신학사상] 제6집.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74), p.618에서 재인용.}}

한국교회의 성장의 이유를 교회성장과 관련하여 여러 측면에서 고찰할 수 있는데, 일반
적으로 이러한 한국교회의 성장의 요인은 다음과 같이 지적되고 있다. 즉, 재래종교의 영향
으로 기독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준비된 한국민의 심성, 당시의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한 피
난처로서의 기독교, 선교사와 기독교를 통한 근대문화의 수용 및 당시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 이와 관련된 주장들은 유동식, [한국교회와 기독교]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67),
pp.143f와 변종호, [한국기독교사(개요)] (서울 : 심우원, 1959), pp.37-38을 참조하시오.}}
이 그것이다.
본 고에서는 천주교에 비해 약 100년이나 늦게 들어온 개신교가 보다 역동적으로 왕성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선교초기의 대체적 정황에 근거해서 관찰해 봄으로써, 천주교 유입 당시보
다 개신교가 들어오던 당시 정황이 훨씬 성숙되어 있었고, 이것이 한국 개신교 부흥에 결정
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B.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서술범위는 1866년 토마스 선교사가 성경을 싣고 제너럴 셔먼호로 한국에 들
어오고자 했던 시기를 기점으로 해서 1910년 일제의 침탈에 의한 조선왕조의 멸망때까지로
설정하였다. 이는 서구 선교사가 어떤 목적으로든 한국에 들어왔던 그 확인된 시기로 부터
선교활동이 왕성하게 일어났던 구 한말 조선의 상황까지가 한국 선교초기로 판단되었기 때문
이다. 장소적으로는 한반도를 위시한 관련된 모든 나라를 참고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I장에서 개신교 선교초기의 국내 정치적, 사회
적, 종교적 배경과 국외 서구열강들이 구 한말에 어떻게 밀려왔는지 그 자취를 더듬어 보고
초기 선교사들의 성향과 활동이 어떠했는지를 다루어 보고, II장에서 이같은 상황들이 어떻
게 개신교 선교와 교회성장의 요인이 될 수 있었는지를 논하려 한다. IV장은 결론으로 요약
과 함께 간단한 제언을 시도하고자 한다.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