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어 두기
1) 이 글을 읽는 독자께서는 본 주제와 관련된 필자의 다음의 글 6편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란다.
◦ CUP 모형(도시-대학-농촌 연계모형)과 교회개척
◦ 21세기 선교와 전문인선교
◦ 사회적 기업의 선교적 이해와 적용 가능성
◦ 비즈니스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사회적 기업
◦ 공동체 자본주의와 사회적 기업가 정신
◦ 전방개척선교와 비즈니스선교의 중요성
2) 위의 글들은 다음의 사이트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 중국대학선교회, http://cum.or.kr
◦ 중국선교연구원, http://inbora.com
◦ My Love China http://cafe.daum.net/MyLoveChina
3) 위의 글에서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 우리 한국교회는 교회개척과 제자 훈련을 중심으로 한 선교와 총체적 선교 간의 균형을 추구해야 한다. 총체적 선교에 대한 신학적 확신을 분명히 하여 총체적 선교를 선교전략화 해야 한다.
◦ 그 총체적 선교로서의 전문인 선교와 비즈니스선교는 향후의 선교 특히 전방개척선교에 필수적인 선교 전략이 틀림없으며 우리는 그에 대한 실제적인 준비를 축적해야 한다.
◦ 비즈니스선교 특히 BAM에 대한 우리 선교계의 접근와 논의는 다소 서구적 이어서 선교 현장에서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 그래서 필자의 견해로는 선교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가장 실천가능한 BAM의 모형은 사회적 기업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목적은 그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교적 목적을 반영하고 있으며 영리적 목적은 그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 본 글에서 필자는 우리 선교계에서 수용가능한 사회적 기업의 핵심가치와 전략을 63개의 기업을 통해 제시해 보았다. 이것은 필자가 수합한 것이 아니라 우리 정부의 노동부 사회적 기업과에서 수합하고 정리하여 배부한 것을 필자가 재정리한 것이다.
◦ 1장부터 3장까지의 각 사회적 기업에 대한 내용은 모두 노동부에서 배부한 자료이며, 그 중간의 제목과 강조부분 만 필자가 붙인 것이다. 우리 정부가 사회적 기업이라는 풍부한 컨텐츠를 우리 한국 교회에 선물해 준 것을 진정으로 감사한다. 사회적 기업의 국내외적 사례는 아직 그 성과가 검증이 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선교적으로 매우 유용한 가치가 있음은 자료를 통해 쉽게 확인가능하다.
◦ 우리 한국 정부가 기대한 사회적 기업은 아마도 우리 한국교회를 통해 국내외에 분명히 꽃을 피우리라 생각하며, 많은 자료를 기쁘게 제공해 준 ⌜노동부 사회적 기업과⌟ 관련자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011년 한국선교의 주요 지표와 해석 (0) | 2012.09.23 |
---|---|
[스크랩] 사회적 기업의 선교전략적 유용성(68p) (0) | 2012.09.23 |
[스크랩] 사회적 기업의 선교전략적 유용성(68p) (0) | 2012.09.23 |
[스크랩] 근동 종교의 상징 세계와 야훼 종교의 첩경 예비 (0) | 2012.09.16 |
[스크랩] 선교지의 영적 전쟁 이해 (노윤식) (0) | 201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