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를 주님과 함께 사는 예배
히브리 12:1-3
한 해를 주님과 함께 사는 예배는 교회력의 문제입니다. 최근에 한국 교회들이 [교회력](The Chistian Year) 에 대하여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운을 입고, 그 위에 색깔 있는 영 대를 두르고, 또 강대상에 드림천을 내리기도 하며, 대강절과 사순절 같은 교회력의 여러 절기들을 구체적으로 지키기 시작을 했습니다. 이 교회력은 교회의 좋은 전통이었는데, 16세기 종교 개혁자들이(루터교를 제외하고) 교회력이 카토릭적인 제도라고하여 단호하게 거부하면서 개혁교회에서는 교회력이 사라졌다가, 1940년대부터 다시 교회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른 것입니다. 교회력은 한 해동안을 그리스도와 함께 살게한 중요한 계획입니다.
1. 교회력의 시작과 그 의미
하나님은 유대인들에게 3대 절기인 [유월절][오순절][장막절]을 지키게 하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음을 유월절을 통하여 늘 기억하고 감사할 수 있게 했고, 또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묻는 백성에게 율법을 주었던 것을 기억하게 오순절을 주었으며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어떻게 광야 가운데서 보호하시고 인도하셨는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장막절을 주었던 것입니다. 기억하고, 감사하며, 재헌신을 하는 것을 축제라고 한다. 절기는 예배를 축제화 하게 합니 다. 교회력도 같은 맥락에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깨닫고, 감사하며 주님 과 함께 살 수 있도록 합니다. 주님의 탄생과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기억하게 하고, 또 성령을 주어서 새로운 삶을 살게 함으로 한 해를 주님을 기다림으로 시작해서 성령님의 인도 속에서 열매를 맺히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런데 교회력이 미국으로 가면서 [추수감사절-어버이 주일-어린이 주일]등이 보태졌고 또 한국에 오면서 [송구영신 예배-삼일절-광복절] 등의 예배가 더해 졌습니다.
2. 구체적인 교회력
교회력은 [성탄절]-[부활절]-[성령강림절]이라는 세 절기를 골격으로 이루어집니다. 성탄절을 의미 있게 지내기 위하여 [대강절]을 설정했습니다. 한 해를 주님 기다리면서 시작하라는 뜻이고, 또 처음 주님이 오셨을 때의 비극을 두 번째 오실 때에 되풀이하지 말자는 데 그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성탄절](Christ-mas) 은 하나님이 육신을 입고 이 역사 속에 오셨음 (His-Story)을 축하하면서, 목자들과 동방의 박사들처럼 그리스도(Christ)를 예배(Mas) 하게 합니다. 성탄절 후에 예수님이 세례 받으신 날 비로서 공식으로 사람들 앞에 나타났다고 하여 [현현절]이라고 합니다.
한 해를 주님과 함께 사는 예배는 교회력의 문제입니다. 최근에 한국 교회들이 [교회력](The Chistian Year) 에 대하여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가운을 입고, 그 위에 색깔 있는 영 대를 두르고, 또 강대상에 드림천을 내리기도 하며, 대강절과 사순절 같은 교회력의 여러 절기들을 구체적으로 지키기 시작을 했습니다. 이 교회력은 교회의 좋은 전통이었는데, 16세기 종교 개혁자들이(루터교를 제외하고) 교회력이 카토릭적인 제도라고하여 단호하게 거부하면서 개혁교회에서는 교회력이 사라졌다가, 1940년대부터 다시 교회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른 것입니다. 교회력은 한 해동안을 그리스도와 함께 살게한 중요한 계획입니다.
1. 교회력의 시작과 그 의미
하나님은 유대인들에게 3대 절기인 [유월절][오순절][장막절]을 지키게 하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음을 유월절을 통하여 늘 기억하고 감사할 수 있게 했고, 또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 것인가를 묻는 백성에게 율법을 주었던 것을 기억하게 오순절을 주었으며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어떻게 광야 가운데서 보호하시고 인도하셨는지를 기억할 수 있도록 장막절을 주었던 것입니다. 기억하고, 감사하며, 재헌신을 하는 것을 축제라고 한다. 절기는 예배를 축제화 하게 합니 다. 교회력도 같은 맥락에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깨닫고, 감사하며 주님 과 함께 살 수 있도록 합니다. 주님의 탄생과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기억하게 하고, 또 성령을 주어서 새로운 삶을 살게 함으로 한 해를 주님을 기다림으로 시작해서 성령님의 인도 속에서 열매를 맺히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런데 교회력이 미국으로 가면서 [추수감사절-어버이 주일-어린이 주일]등이 보태졌고 또 한국에 오면서 [송구영신 예배-삼일절-광복절] 등의 예배가 더해 졌습니다.
2. 구체적인 교회력
교회력은 [성탄절]-[부활절]-[성령강림절]이라는 세 절기를 골격으로 이루어집니다. 성탄절을 의미 있게 지내기 위하여 [대강절]을 설정했습니다. 한 해를 주님 기다리면서 시작하라는 뜻이고, 또 처음 주님이 오셨을 때의 비극을 두 번째 오실 때에 되풀이하지 말자는 데 그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성탄절](Christ-mas) 은 하나님이 육신을 입고 이 역사 속에 오셨음 (His-Story)을 축하하면서, 목자들과 동방의 박사들처럼 그리스도(Christ)를 예배(Mas) 하게 합니다. 성탄절 후에 예수님이 세례 받으신 날 비로서 공식으로 사람들 앞에 나타났다고 하여 [현현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부활절에 주님을 만날 수 있게 하기 위한 준비 기간으로 [사순절]을 두었습니다. 40일 간 자기를 살피며 참회하면서, ?을 것 끊고, 버릴것은 버림으로 믿음을 준비하는 기간입니다. [부활절]은 주님이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고 살아나심으로 하나님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한 날로 교회에서는 제일 중요한 절기입니다. 매 주일은 작은 부활절입니다. 그러므로 예배는 부활을 축하한다는 의미에서 주일 밤이나 수요일과 새벽 기도회와 그 성격이 다른 것입니다. 주님이 부활하시고 40일 만에 승천하신 후로 한 곳에 모여 10일 동안 합심하여 기도하는 사람들에게 성령을 충만히 내려 주심으로 교화가 탄생한날을 기념하기 위해 [성령강림절]을 지킵니다. 그리고 남은 기간은 약 6개월인데 다음 대강절까지를 왕국절 또는 [삼위일체주일]이라고 합니다. 우리 교회는 8월말일까지를 성령강림절로 하고 남은 3개월 동안을 삼위일체 주일로 정하여 지키고 있습니다.
3. 교회력의 색깔과 성경일과
교회력은 색깔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색깔도 하나의 언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색깔이 주는 감정은 민족과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이것이 정리되기까지는 세계적으로 통일된 의미로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목사의 영 대(stoic)와 드림천의 색깔이 대강절과 사순절에는 기다림과 참회의 색깔인 [보라색]이고, 성탄절과 부활절은 순결과 환희와 승리의 색깔인 [초록색]을 씁니다. 교회력에는 주님의 일생을 주심으로 성경을 배열해서 3년 주기로 성경을 다 읽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읽을 성경은 [구약-서신-복음서]이렇게 3번을 읽는 것이 전통입니다. 구약은 예언이고 신약은 성취이기에 2번 읽는 경우도 있고 , 세 번을 읽을 때에는 그 예언인 [구약]을 먼저 읽고, 복음이 어떻게 삶이 현장에서 이루어 가는지를 알리기 위해[서신]들을 읽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본래 설교와는 상관없이 집사들에 의하여 예배 시간에 읽혀졌습니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기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축도에 대한 바른 이해 (정판옥) (0) | 2012.09.09 |
---|---|
[스크랩] 기도의 열가지 유익 (0) | 2012.09.09 |
[스크랩] 성찬을 통해서 말씀하신 하나님 (0) | 2012.09.09 |
[스크랩] 예배의 요소(응답부분) 이해 (0) | 2012.09.09 |
[스크랩] 예배의 요소(계시부분) 이해 (0) | 201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