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 주
제1장: 권위를 상실해 가는 목사들
1.헌터는 자기의 책 American Evangelicalism: Conservative Religion and Quandry of Modernity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복음주의자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복음주의자는 신앙고백을 순화시켜서 덜 객관적이 되게 하고 현대인들이 필요와 관점들에 더 합당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하는 자이다. 그러한 적응의 노력은 대체로 남침례교단 내에서의 강성근본주의자들과 수정주의자들간의 갈등에서 기원된 것이다.
2.간선 - 기차노선에 비유해서 - 교단이라고 주장하는 교단들은 미국문화의 중심에서 가까이 위치해 왔으며, 성공회, 장로교회, 회중교회들(지금 연합그리스도의 교회), 감리교회, 침례교회, 그리고 최근에 루터교회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교단들은 비공식적이지만 사실상의 종교기관의 기능을 수행해 왔다. 간선 개신교단들에 대한 유익한 분석을 보려고 하면 Roof와 Mckinney(1987)를 참고하라.
3.예를 들면 Letly Russell(1979,1987)과 Hahn(1985)을 보라.
제2장 권위의 정의
1.Sweet(1982:721)에서 인용함.
2.권위의 이론들에 대한 토론들을 더 많이 참고하려면 Nisket(1978)과 Sennett(1980)을 참고하라.
3.1954년 교육에서의 "분리와 평등"원칙을 깨는 대법원 판결이 있은 후에 남부의 대부분 개신교단들은 그 결정에 대한 구속력이 없는 해결책을 통과 시켰으나 대부분의 교회와 교인들은 그 결정을 무시해 버렸다. 그러나 로마 천주교회는 그 결정을 강력히 지지하고 각 교회에 통합지침을 시달했다. 이것에 반대하는 교인들에게는 수찬정지까지 명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 분의 신부가 나에게 "그것은 개인이 들기에는 너무 무거운 도끼였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 시달이 카톨릭 교도들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나는 모른다. 내 생각에는 이전에 비해서 나아진 것이 없었다고 본다.
4.코네티커트주 하트포드 대교구의 대주교는 1988년 대선공약에서 민주당이 임신중절찬성입장을 지지했기 때문에 민주당 당원직을 포기했다고 공적으로 선언했다. 그러나 그는 자기의 결정이 교회의 가르침에 근거했지만, 자기 개인적인 결정이요, 로마 카톨릭 교도들이 자기의 결정을 따를 필요는 없다고 장황하게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트포드 법정(1988년 8월 26일)이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행동은 행정부의 과정에 대한 일종의 방해라고 해석될 소지가 충분히 있었으며, 이 때문에 임신중절 찬성집단이 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다.
5.그러나 웨버가 현대사회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비관적이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는 종교적인 금욕주의 - 히브리 예언자들과 개신교윤리가 소개하는 서구사회의 카리스마적인 기초 -는 더 이상 현대 관료주의 조직의 적절한 원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우려하였다(Weber, 1985:181-182).
6.만약 웨버의 카리스마에 대한 입장을 이 정도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하면-물론 나는 그렇다고 생각한다 - 파슨즈(1937)와 니스베트(1966)가 주장하는대로, 웨버의 카리스마에 대한 입장과 뒤르껭(1915)의 신성성에 대한 견해사이에는 일치점이 있다.
7.종교지도자의 형태들과 권위의 기초에 대한 뛰어난 토론을 우리는 와츠(1944:331-374)에게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8.내가 이전에 발표한 두 개의 논문을 참고하라(Carroll, 1981, 1986).
9.O`Dea의 중요한 주장을 "구조의 딜레마"(1966)에서 참고하라. 로마 카톨릭 관점에서 사도적 전승에 대한 교리와 해석에 대해서는 쉴레벡커(Scehillebeeckx,1985)를 참고하라.
10.예언자와 제사장간의 차이에 대한 웨버의 주장은 신성불가침의 대변자로서 권위에 대한 복음주의적 이해와 성례전적-예전적 이해에 반영되고 있다. 웨버에게 있어서(1963:46), 개인적 소명은 예언자를 제사장과 구별하는 결정적인 요소이다. 제사장은 신성한 전통을 수행하는 자로서의 권위를 주장하나 예언자는 개인적인 계시와 카리스마에 기초한 권위를 주장한다.
제3장 권위의 관계적 차원들
1.예를들어 Schweizer(1961), Shutz(1975), Cooke(1975), Meeks(1983), Scehillebeeckx,(1985), 그리고 Dudley and Hilgert(1987) 등을 보라.
2.위에 언급한 3인의 역사가들 중에서, 할란 (Harlan)은 슈모터(Schmotter)와 영즈(Youngs) - 그들과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 가 성직자 - 평신도 간의 갈등을 과장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그들이 무비판적으로 신발전주의적해석의 틀을 채용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 틀의 해석에 따르면 성직구조는 대중적 평신도 위에 군림하고 있으나 대각성운동의 결과로 평신도들이 성직구조를 이기고 승리 할 것이라고 한다(Harlan, 1980:39). 할란은 어떤 성직자들의 자기들의 기득권에 해한 주장이나 관심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성직자들의 지배는 다른 사람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그렇게 대단한 것은 아니며 성직자의 기득권 주장에 대항하여 싸우는 수많은 성직자들이 있다고 설득력 있게(나도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주장하고 있다.
3.코네티커트주에서, 1708년의 Saybrook Platform은 마사츄세츠주의 1648년의 Cambridge
Platform 보다도 지교회대표들로 구성된 전국적인 연합체 또는 교회회의에 훨씬 더 중앙집권적인 권위를 부여했다. 그러나 코네티커트회의는 성직자들만의 회의가 아니라 성직자들과 평신도들로 구성되었으며, 평신도들이 오히려 다수를 차지했다.
4.Calhoun(1965)을 참고하라. 영국에서의 병행적 발달은 Anthony Russell(1980)을 참고하라. 약간 다른 목적으로 King(1981)은 미국 감리교단내에서의 권위에 대항하는 역사를 추적하고 있다. 여기에는 감독과 목사들간의 권위갈등 뿐 아니라 성직자와 평신도간의 권위갈등도 다루고 있다.
5.예를 들면, 사회참여주의에 대한 성직자-평신도 갈등에 관한 Hadden(1965)의 토의를 참조하라, 또는 미국장로교회에서 우선순위에 대한 평신도-성직자 갈등에 관한 Hodge(1989)의 분석을 보라.
6.균형적인 관계가 규범인 교회에 대한 아주 분명하고 유익한 토의에 관해서 Hahn(1985)을 참고하라. Hahn이 주장하는 교회에 대한 "개방적"모델과 "폐쇄적"모델간의 대조는 내가 주장하는 불균형적 관계와 균형적 관계와의 갈등에 대한 주장과 유사하다.
제4장 권위와 교회
1.켈시(1975)는 성경이 어떻게 신학에 규범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명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한다. 신학적인 주제들의 판단에 관하여 이야기하면서 켈시는 성경본문들이 규범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성경본문들은 신학적주제들을 도출하는 자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신학의 규범을 제공하는 것은 "성경의 내용이 아니라 성경에 있는 Pattern"들이다. 그 형태들(Patterns)이 신학적 주제의 기독교적 성향을 판단하는 기초이다.
2.Reed(1978)는 이 비슷한 형태로 교회를 해석하기 위하여 후기 프로이드 심리학이론을 사용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교회의 제1차적인 과제는 특별히 교회예배에서 "특별한 의존관계에 도달할 수 있게" 개인들을 돕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배자들로 하여금 갱생을 경험케하여 자기의 일상생활에서 자율성 또는 상호의존관계를 회복시켜준다.
3.이것은 1988년 9월14일 하트포드신학교 이사회 회의에서 William Farley가 진술한 것이다.
제5장 교회지도력의 중심과제
1.본 장의 내용은 Dudley, Carroll, 그리고 Wind(1991)에 처음 소개되었다.
2.최초의 그리스도인들과 관련하여 인식 불일치에 관한 자세한 토의들을 알고 싶으면 Gager(1975)와 Dudley와 Hilgert(1987)을 보라.
3.이것은 대체로 하트포트 신학교 사회종교 리써치센타가 Parish Profile Inventory 사용방법을 교회에 도와주는 경우에 볼 수 있다.
4.그러나 교회행정가 이미지는 목회학박사 프로그렘에 등록하지 않는 목사들보다 목회학박사를 취득한 목사들에 의하여 약간 더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많은 목회학박사 프로그램들은 교회교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조직발달이론과 방법들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5.이 실예는 목회학박사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온 것이다(Crabtree,1988). 이것은 책으로 출판되었다(Crabtree,1989).
제6장 권위있는 지도력: 성찰적 지도력의 역동성
1.예를 들면, Hough and Cobb(1985)를 보라.
2."성직적 패러다임"을 성찰하는 이런 가정들에 대한 비평에 대해서는 Farley(1983)를 보라.
3.식민지 뉴잉글랜드의 설교를 여러 해 동안 연구한 Harry Stout(1986)는 최근에 어떻게 설교를 준비하고 설교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현재 시무중인 회중교회목사 한 사람을 집중 추적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견한 것들 중에는 초기 뉴잉글랜드 설교(Stout,1987)와 놀랍게도 비슷한 것들이 상당히 많았다. 나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또한 성찰적인 실천의 성격도 많이 드러났다.
4.이 방법을 사용하여 목사는 자기의 교역실천가운데서 도전적인 사건이나 또는 분석을 위한 상호작용을 선택한다. 그는 그 사례를 가지고, 그 사건이나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목적, 배경, 참여한 사람들, 그리고 그 상황에 대한 중요한 다른 정보들을 몇 문단으로 기술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리고나서 그는 전략들이 무엇이었는지를 기술한다: 특별한 목적은 무엇이었는가? 그 목적들을 어떻게 성취하려고 했는가? 어째서 이런 특별한 목표들과 전략들을 세웠는가?
특별히 유익한 것은 다음 단계이다: 그것은 그 사건이나 상호작용에서 실제로 일어난 대화를 몇 장으로 쓰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그 목사는 면을 가운데서 두 부분으로 나눈다.
오른쪽 편에서는 그 대화의 핵심을 적으려고 노력한다. 특히 그 대화의 가장 중요한 전환점들을 적는다. 왼편에는 목사자신을 표현하며 각자가 그 대화를 하는 동안에 마음에 어떤 것들(어떤 생각, 또 어떤 감정들)이 일어냈는지를 회상하여 적는다.
마지막으로 그 목사는 그 사례를 다시 잃고 성찰하며, 자기가 효과적인 행동이라고 생각한 그 행동을 하게 한 근본적인 가정들을 적는다. 그 목사는 이러한 가정에 기초하여 성찰하려고 한다: 이런 가정을 하게 한 그 목사의 개인적인 이야기나 교역접근은 무엇인가?
이런 연습은 동료들의 도움이 없이도 자기인식을 더 향상시키는 반면에, 자기의 동료가 이런 탐구과정에 참여하면 더 큰 유익을 얻을 수 있다. 가끔 동료들은 그 목사자신의 목적달성에 기여했는지 아니면 방해했는지를 더 잘 깨달을 수 있게 해준다.
제7장 성찰적인 지도력의 구조
1.인식방법에서의 목적론자들과 구성론자들간의 구별은 오랜 신학적 그리고 철학적 전통을 갖는다. 임마뉴엘 칸트의 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의 구별, 마틴 부버의 "나-그것"과 "나-너"관계의 구별 등은 그 실예이다. 이와 유사하게 H.리챠드 니버(1941)는 역사에 대한 "외면적 접근"과 "내면적 접근"을 구별했다. 인식자와 인식대상의 구별을 시사하는 친밀관계에서 외면적 접근은 목적론자에, 그리고 내면적 접근을 구성론자에 더 가깝다. 더 최근에 인지심리학자들은 사고 방법에서의 이원론적 방법(목적론자)과 비판적 방법을 대조시키고 있는 것은 이와 유사한 구별이다.
2.이와 반대로 어떤 성서신학자들은 객관성추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들은 언어학적 역사적 비평방법을 사용하여 성경의 객관적인 진리를 얻으려고 하는데, 예를 들면, 믿음의 예수에 대신하여 역사적 예수를 발견하려한다.
3.이 두 세트 요소들이 성찰적 지도력의 자원들을 설명하는 나의 방식이다. 이에 유사한 방법이, 세 가지 요소들(전통, 경험, 그리고 문화)을 사용하면서, James D and Evelyn Eaton Whithead의 책 Method in Ministry(1981)에서 개발되었다. 나는 그들의 연구에서 많은 것을 배웠으며, Browning(198 )의 실천신학적 사고의 요소들에 대한 논의에서도 많은 도움을 받았다.
4.목회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여성심리학적 통찰에 대한 개요를 보려면, Smith(1989)를 참고하라. 특히 22-42면을 보라. Ice(1987)는 여성목사들의 세계관에 대한 연구에서 여성심리학의 통찰을 활용하고 있다.
5.Walrath는 그의 책 Frameworks(1987)에서 실제발견에서의 세대차이의 의미를 상세히 예증하면서 교회지도력에 주는 암시성들을 고찰하고 있다.
6.이 여러 차원에서의 교회의 차이들은 코네티커트 주 하트포트의 교회연구에서 실증되었다. 나의 동료들과 나(Roozen, Mikinney, and Carroll,1984)는 교회를 분류하기 위하여 사명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사용하였다. 그들의 우선적인 강조점이 기독교생활의 피안적 요소에 있는지 또는 차안적 요소에 있는지와 그들이 교회의 주도적 참여를 강조하는지 또는 개인 성도들에게 참여를 맡겨버리는지에 근거하여, 우리는 네 가지 오리엔테이션을 구별하였다. 우리는 차안적인 교회들을 참여적 교회와 사회복지 중심교회로 나누었다. 피안적 경향성의 교회들은 복음주의적 교회와 세상과 분리된 성전중심교회로 나누었다. 이러한 오리엔테이션은 교회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서로 다른 스타일들을 반영한다. 이것은 교회의 내적인 기능수행과 사회와의 관계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또한 역사, 크기, 위치, 교인들의 지역성, 그리고 지도력 같은 것들에 따라서 이러한 차이들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7.아주 중요하고 창조적인 책 Congregation(1987)에서 Hopewell은 교회의 이야기들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분석하려고 할뿐 아니라 자기의 교회에 대하여 그러한 분석을 하려고 하는 이들에게 유익한 지침을 제공하려고 한다. 교회의 정체성과 문화연구를 위한 자세한 방법들에 대해서는 The Handbook for Congregational Studies(Carroll, Dudley, and Mikinney,1986)를 참고하라.
8.전통과 전통형성의 이해에 대한 아주 유익한 책은 Schreiter의 Constructing Local Theologies(1985)이다.
9.예를 들면, Meeks(1983)와 Gager(1975)를 참고하라. 그들은 여러 가지 신약성경의 공동체들을 해석하면서 사회학적 인류학적인 이론들을 사용하고 있다. Dudley와 Hilgert(1987)는 신약성경 공동체들의 사회적 경험들과 현대교회들의 사회적 경험들의 병행점들을 분명하게 추론하고 있다.
10.교회의 세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지침에 관해서는 Carroll, Dudley, and Mikinney,(1986)의 책에서 "컨택스트"라는 장을 참조하라. Carroll(1988)도 참고하라.
제8장 신성성을 대변하는 것과 성찰적 지도력
1.이 관점에서 대한 자극적인 논의는 Hauerwas와 Willimon(1988)의 책 Resident Aliens에 잘 나타나 있다. Hauerwas와 Willimon이 교회의 "타자성"에 대한 사례들을 과장하고 있지만, 나는 오시는 하나님의 나라의 소망의 세계에 상징적으로 현존하는 그 역할을 받아들이고 특별히 교회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라는 그들의 촉구는 공명한다.
2.Carroll Wise와 Wayne Oates와 같은 목회신학 저자들의 순수한 심리학적 상담이해를 거부하고 상담과정에 분명히 목회적이요 신앙적인 차원들이 가미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관해서는 Holifield(1983:304ff)를 보라. 오우츠는 특별히 교회에서 목회상담을 하는 목사와 구조적인 세팅의 상징적 역할에 특별히 민감하다.
3.Reed(1978)은 그의 저서 The Dynamics of Religion에서 특별히 교회의 예배와 연관된 이런 경험을 탐구하고 있다. 그가 "특별의존에의 회귀"하고 부른 경험에는 건강한 형태와 병적인 형태 둘 다 있다. 제사장들과 투사현상에 대한 논의는 Holmes(1978:86ff)를 참고하라.
4.최근의 책 The Soul of the Salesman(Oakes,1990)은 개인적인 장사의 도덕적 윤리정신을 분석하고 개인적인 장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직면하고 도덕적 모순과 파라독스를 지적하고 있다.
5.물론 경직된 재판관과 율법부여자에서 사랑의 부모님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개념은 아주 광범위한 다양성을 갖는다. 이렇게 서로 다른 하나님개념이 예전 집례자로서 목사와의 관계에서 사람들의 기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목사의 행위는 사람들의 하나님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것은 나의 연구범위를 넘어서는 중요하고도 흥미있는 질문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목사의 기능과 수행과 권위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6.나는 이 구절을 Judy Collins에게서 빌려왔다. 그는 PBS TV에서 빌 모어즈와 인터뷰하면서 "Amazing Grace"를 부를 때 가수와 청중간의 결속을 기술하면서 이 구절을 사용했다.
7.사회학자 Parsons(1949)는 일반적으로 전문직업인들의 역할과 동기사이에 이런 구별을 지었다.
예를 들면, 전문직업인들의 역할의 구조적 세팅이 장사꾼들의 구조적 세팅과 다를 뿐이라고 Parsons는 주장한다. 전문직업인들은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을 고객이나 공동체의 이익을 위하여 양보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자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러 종류의 전문직업인의 윤리규정들이 이것을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장사꾼들에게는 그런 기대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들은 자기 이익을 더 강조한다. Parson의 요점은 역할기대와 개인적인 동기와는 같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장사꾼들이 전문인들에 비해서 개인적인 수준에서는 더 이타주의적으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전문인들의 규범적인 역할책임과 동기 및 성품의 이러한 구별은 고대교회의 도나티스트는 논쟁과 유사한 점이 있다. 도나티스트들은 제사장들의 효력이 그들의 도덕적 성품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회교부들은 어거스틴을 따라서 안수시에 제사장들이 받은 성스러운 성품은 제사장이 내면적인 도덕성 때문에 지워질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고대교회의 구별은 적어도 표면상으로는 Parson의 전문인의 직업역할기대와 내면적인 동기와의 구별에 유사하다. Parson은 사회학적으로 정의된 역할에 근거해서 이런 차이를 설명하고 있는 반면, 어거스틴은 존재론적으로 부여된 성스러운 성품에 근거해서 이런 주장을 하고 있다.
8.H. Richard Niebuhr는 소명의 4가지 요소를 확인하였다:
(1) 그리스도인이 되는 소명: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임하는 제자직의 소명,
(2) 신비적인 소명: 안수교역에 들어가고 싶은 내면적인 충동,
(3) 섭리적인 소명: 자신에게 안수교역에 필요한 지성적, 도덕적, 신체적, 심리적 은사들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
(4) 교회의 소명: 특별한 교회를 섬기라는 교회의 초청.
'목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멘토링이란? (0) | 2012.07.17 |
---|---|
[스크랩] 교회성장, 하나님이냐, 돈이냐? (0) | 2012.07.17 |
[스크랩] Re:권위있는 목회자 : 제8장 신성불가침의 대변자로서 성찰적인 지도자 (0) | 2012.07.17 |
[스크랩] Re:권위있는 목회자 : 제7장 성찰하는 지도력의 구조 (0) | 2012.07.17 |
[스크랩] Re:권위있는 목회자 : 제6장 권위있는 지도자: 성찰하는 지도력의 역동성 (0) | 201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