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기독교

[스크랩] 중국 선교는 중요하다

수호천사1 2012. 3. 3. 21:31

중국 선교는 중요하다 

 

신학교 세우기 제목아래 중국인 교회를 만났지만 , 신학교 보다  더 급한 것이 있다

그러므로 난 신학교 비젼은 잠시 멈추고

중국인교회 세우기, 어디나 다 문제는 있지만 ,

내가 만난 ㅇㅇ중국인교회는 참 열악하다 . 한국인 유선교사님은 오늘도 힘들게 고민하시며 기도하시며

이끌고 나가고 있다 .나도 2009년부터 이제 같이 협력하며  같은 배를 타고 중국인들을 사랑하고 있다  

중국인교회는 자립 하기가 힘들다 .

중국인교회 혼자서는 물질 때문에 자립해 나가기란 어려움이 있지만

주님이 하시면 된다고 생각한다

어쩜 한국인 교회에 소속되지 않은 독립된 중국인교회 이니까 더 힘차게 나갈 힘도 잠재해 있다

엄청난 비젼을 발견하였다 .

내가 중국인 교회를 올 20009년초에 알기 시작 하였다 .

나는 중국말을 하는 것도 아니고 ...

그러나 주님이 나에게 마음을 주셨으므로 나는 순종했다 나를 필요로 하는 곳에 가서 돕기로 ...

먼저 날마다 교회에 가서 기도부터 시작했다 . 내가 사는 곳은 수원이지만 , 날마다 평택으로 향했다.

기도하러 가지 않으면 견딜수 없는 심령이 되었다 . 어느 사이 또 난 발길을 향하였다 ㅇㅇ 중국인교회로

오늘도 내일도 ....

하루하루 날이 더해 갈 수록 난 그곳에서 비젼을 보고 내가 할 일을 발견해 가고 있었다

중국선교는 중요하다 .

향후 통일이후도 중요하다 북한과 통일이 되면 중국인들이나 조선족들을 통하여 북한에 복음을 전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북한은 오늘 우리와 남북이 대적관계에 있으므로 통일이 되어도 가장 가까운 사이이지만 또한 마음에 남은 경계가

있으므로 복음의 문을 열기는 우리보다 중국인들과 조선족 좋을것 같다

또하나는 중국인들을 통하여 중국 주변국들의 복음을 열기에 적합하다

또 중국은 아직도 복음 전하는데  장애물이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와 있는 중국인들을 잘 교육시켜 그들을 복음의 일꾼으로 삼는 것이다 그들 자신을 변화시켜 마태복음28장:19절~20절을 붙잡고 그들의 나라로 돌아 가게 하는 것이다 .

중국으로 선교사 한명 파송비면 중국인 교회를 운영 할 수 있다

난 기도한다 또 중국인들을 신학교육 시켜서 그들 나라에 가서 교회를 세우며 복음전도자로 보낼 수 있도록......

이러한 마음을 주신 주님께 감사한다 .

그러나 중국인 선교가 중요하지만 ,내가 섬기는 ㅇㅇ교회는 지금 어려움에 처해 있다

그러나 주님을 기대한다 . 부족한 것이 많을 수록 주께서 채워 주실 일이 많다는 것을 ...

지금현재 ㅇㅇ중국인교회가 물질적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

난 보았다 중국인교회에서 주님의 아파하는 모습을 난 오히려 어려움에 처해 있는 곳 일수록 나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며 감사하며 열심히 섬기며 기도하며 나아 갈 것이다

또 주께서 어떻게 이끌어 가게 하실지 기대한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여 기도해 주세요 많은 ....

보게 하시고

듣게 하시고

하게 하실 때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중국 선교 자료 (1) - 개관

 

1. 국명 : 중화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2. 수도 : 北京(인구 1200만명, 97년 통계)

  3. 면적 : 약 960만Km2 (한반도의 44배, 세계4위: 러시아, 캐나다, 미국 순)

        ● 남북 : 남사군도(23。N) .... 흑룡강(53。 32、 N), 5,500km
        ● 동서 : 파미르고원(73 。E) ... 우수리강 (135。E) , 5,500km

  4. 인구

        ● 12억 4,687만 명 (99년 현재, 세계인구의 약 1/5)
        ● 증가율 : 0.77% (99년 현재)
        ● 인구 밀도 : 125만/㎢
        ● 인구 분포 : 0-14세 / 26%  15-64세 / 68%  65세이상 /6%
        ● 출생율 : 15.1 명 /1000명(99년 현재) 사망률 : 6.98명 / 1000명 (99년 현재)
        ◈ 기독교인수 1947년 중국 통계청 510만(개신교 180만 카톨릭 330만)
                            1992년 중국 통계청 7500만 (개신교 6300만 카톨릭 1200만)
                            1999년 기독교인 수 8000만 ~ 1억 2000만 (추정)

  5. 민족 : 한족(92%) 등 56개 다민족 국가

        ● 55개 소수민족, 9120만 명으로 전 인구의 약 8.0%
        ● 조선족 200만 명 소수민족의 2.6% (북경에 약 1만 명 동북 삼성에 주로 거주 )
        ● 타이종족 2.1% (남부와 남서부) 티벳, 미얀마 1.9% (남서부 서부) 몽골 1.35% (북부거주)

  6. 언어 : 중국어(Mandarin) (Cantonese 등 방언과 소수 민족어) 문맹률 : 18.5%

  7. 정치

        ● 정치 : 사회주의 국가, 개혁개방 견지, 사회주의 시장 경제 체재반영, 법률 내에서 시장경제 발전 인정(99년 3월 15일 통과 시행 헌법 12조 16조)
        ● 정부형태 : 인민민주독재정치  (국가주석: 江澤民)
        ● 의회 : 단원제(전국인민대표대회)
        ● 행정구역 : 22개성, 4개 직할시, 5개 자치구 (중국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 - 97.7.1부터,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인수받아 특별행정구 설치)
        ● 건국일: 49.10.1
        ● 유엔가입 : 71.10.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8. 경제

        ● 국민소득 및 성장률
          - 국내 총생산 : 약 $ 4.42조(98년 통계)
          - 실질 GDP 성장률 : 7.8% (98년 통계)
          - 1인당 GDP $3600(98년 통계)
        ● 화폐단위 : 인민폐(Renminbi)(1$ = 8.28 Rmb)
        ● 외환 보유고 : $ 1399억 (외채 ; $ 1590 추정)
        ● 물가상승률 : 2.8%(소비자 물가 상승률)
        ● 교역 (1998년)
          - 수출 $ 1838억(주요 수출국: 홍콩 21%, 미국 21%, 일본 14%, 독일, 남한, 네덜란드, 영국, 싱가포르, 대만 등)
          - 수입 $ 1401억(주요 수입국: 일본 20%, 미국12%, 대만12%, 남한11%, 독일, 홍콩, 싱가포르, 러시아)
          - 무역수지: $ 437억 흑자

  9. 국방 (1998년 통계)

        ● 7대군구 1개 위수군구
        ● 병력 287만 명(육군 205만, 해군 26만, 공군 47만, 제2군 포병 9만)
        ● 국방예산 : $ 109억

  10. 행정구역

        ● 省級 : 22성, 4직할시, 5자치구 22개성(중국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
          - 화북구 : 하북성, 산서성
          - 서북구 : 섬서성, 감숙성, 청해성
          - 동북구 : 요녕성, 길림성, 흑룍강성
          - 화동구 :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복건성, 산동성
          - 중남구 : 하남성, 호북성, 호남성, 광동성, 해남성
          - 서남구 : 사천성, 운남성, 귀주성
        ● 주요도시 : 북경, 천진, 상해, 중경, 광주, 선양, 우한, 남경, 인구 백만넘는 도시 34개
        ● 자치구 : 내몽고, 신강위구르, 서장, 광서장족, 영하회족 자치구
        ● 地級 : 113地區. 30자치구, 8맹(내몽고) 185시 : 총 336
        ● 縣級 : 260시, 1748현, 114현, 51기, 3자치기, 3특구, 1공업구, 1입구(총2181)
        ● 嚮級 : 향은 농촌의 말단단위이며, 진은 도시의 말단단위

 

  11. 중국인의 성격
    11.1 원만
  중국에서 말하는 '성격'이란 말은 자신과 남을 잘 이해하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마음의 평정을 잃지 않는 원숙한 인간의 원만한 성품을 뜻한다.
    11.2 참을성
  가족제도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고, 한 인간은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오로지 조화된 사회관계에 의해서만 완전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원칙 위에서, 사회가 이룩된 이상 참을성은 최고의 덕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1.3. 무관심
  하나의 숭고한 덕이 아니라 개인에 대한 제도적이고 법적인 보호가 없기 때문에 생긴 사회적인 태도이다.
    11.4 老獪(노회)
  세상을 많이 살았고, 이해타산에 빠르며, 쉽게 들뜨지 않고, 진보에 대하여 회의를 갖는 태도, 좋게 말해서 노회는 원만한 성품을 말하는 것이다. 유교의 인생관이 적극적인 것이라면, 도교의 인생관은 소극적인 것. 이 두 가지 다른 요소가 혼합해서 나온 것이 중국인의 성격이다. 법정과 변호사를 신용하지 않는다. 법률적 분재의 95%는 법정 밖에서 해결된다. 의식에 대한 여러 가지 규칙들을 만들기도 했지만, 이러한 의식을 삶이라는 커다란 戱談(희담)의 한 부분으로 생각할 만큼 위대하며, 그렇기 때문에 장례식을 축제처럼 치뤄내기도한다.
    11.5 평화주의
  고난과 슬픔으로 가득 찬 세상살이를 단지 평화롭게 살길 원할 따름이다. 그렇기 때문에  평화롭게 일하고 숭고하게 인내하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서양의 고상한 덕인 패기, 개혁에 대한 열망, 공공정신, 모험심이나 영웅적인 용기 같은 것은 중국인에게 찾아보기 어렵다. 중국인들은 타산적이고 이기적이기 때문에 싸우지를 않는다. 중국에서 대한 가르침에 '행운이 찾아왔을 때 그것을 전부 즐기지 말라. 이익이 생겼을 때 그것을 전부 취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자기 지위를 이용하여 너무 이익을 취하고 지나치게 불손한 행동을 하는 것은 '벼랑 위에 서는 행위'로 간주하는데, 이러한 태도를 야비한 성품의 표시이며 몰락의 징후로 여긴다.
    11.6 지족감
  중국인들의 모습을 비참하게 보는 것은 따뜻한 APT에서 살며 가전 제품을 가져야만 행복한 줄 아는 유럽인들의 기준에서 본 잘못된 생각이다.

 

  12.한중교역현황 및 전망

    12.1. 현황
        ● 대중교역은92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여, 한중 양국은 쌍방 모두 실질적인 3대교역국으로 부상. 양국 간 교역규모는 89-95년 기간 동안 연평균 40%를 초과하는 급신장세를 보여, 94년에는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 96년에는 20% 증가하여 199억 달러에 달했으며, 97년에는 237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98년에는184억 달러로 크게 감소됨
        ●  대중수출은 92년과93년에 각각 165%, 94%의 폭발적 증가세를 보인 후, 94년 이후에도 연평균 30%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으나, 금년 들어 동남아 금융사태 및 IMF사태의 영향으로 감소세로 발전
        ●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섬유류, 화공제품, 기계전자, 철강, 금속, 플라스틱 등 공산품이 주종을 이루어 총 수출액의 95%를 차지
        ●  대중수입은 92년과93년에는 각각 8%, 5%정도로 낮았으나, 94년 이후 연평균 30%의 빠른 증가세를 보였으나, 금년 들어 국내소비 및 설비투자의 급감, 금융경색등의 영향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임.
        ● 주요 수입품목으로는 섬유류, 농산물, 광산물, 철강, 금속, 전자, 화공제품등 1차산품과 기초공산품 원자재가 주종을 이루어 총 수입액의 90%를 차지

    12.2 주요특징
        ●양국간교역은 98년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확대균형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상호 보완적 구조를 보이고 있음. 그간 한국의 대중 수출의 주종은 공산품, 수입의 주종은 1차 산품으로 구성되어 산업간 비교 우위에 따른 분업형태를 이루어 왔음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의 급속한 공업화로 인해 양국간 무역구조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바, 한국은 건설 및 수출수요가 큰 산업용 원자재를 수출하고, 중국은 가격경쟁력이 있는 섬유, 전자제품과 부품, 기타 경공업 제품의 수출을 늘려가고 있음.
        ●양국 간 산업내 무역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어, 무역구조에 있어서 수평적 분업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
    12.3. 교역요건 전망
        ●99년 대중국 교역은 98년도보다는 다소 호전될 것으로 보이나, 큰 폭의 증가는 어려울 전망
        ● 94-98년 간 중국의 연평균 GDP성장률(9.6%)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 탄성치를 토대로 계산한 99년 대중국 수출증가율은 14.3%
        ● 그러나 대중국 수출은 GDP이외에 미달러화에 대한 위엔화 환율 및 대중 수출단가에 영향을 받으며, 중국의 경우 대중 직접투자에 의한 우발수출이 상대적으로 크고(86%), 수입규제의 영향도 크다고 할 수 있어, 상기 수출 증가율은 상당한 조정(10% 감소) 필요.
        ● 중국의 각종 정책에 부응할 수 있는 수출상품, 중국 자체생산이 부족한 품목 및 양국 산업경제상 상호보완성을 십분 활용할 수 있는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총력체제를 갖추고 각종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전년대비 4% 내외의 수출증가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

 

  13. 최근 중국 동향

    13.1정치 외교
        ● WTO 중국가입 실무부 협상 재개(3월) (베이징AFT연합 2000.1.26)
        ● 공산당원 6100만 명 (중국인구 5.1%) (조선 99.6.28)
        ● 장쩌민 후계자로 후진타오 시사
        ● 밀수파문 장쩌민에 불똥 (연합 2000.1.26)
    13.2경제
        ● 혼례비 증가 20년 사이 48배로 증가 결혼에도 자본주의 물결 (경향 99.6.24)
        ● 만성적 식량부족 탈피 (지난 4년 간 풍작으로 연합 99.6.28)
        ● 중국 경제 올해 7.5% 성장 예상 (싱가포르 AFP연합 2000.1.9)
        ● 서부지역 '빈곤과 전쟁' 착수 발전에 뒤진 서부지역 경제개발 착수 세금 감면.
          수입 증대정책 등 (서부지역 중국 대륙 56%차지)
        ● 초대형 유전 발견 중국 북동부 보하이만에서 6억t규모 유전 발견(한국 2000.2.2)
        ● 중국 올해 디플레이션 탈출 예상 (경향 2000.2.2)
    13.3사회
        ● 인터넷 가입자 700만 돌파 (상해 AFP 2000.1.5)
        ●두 자녀 출산 허용, 올 여름부터 시행 ( 동아 2000.2.2.)
        ●한국 범죄인 인도 조약 구체화 (경향 2000.1.21)
        ●설 연휴 고향방문객 증가 1만 4천명으로 작년보다 7배 증가 (조선 2000.2.3)
        ●중국사회 6대변화 ; 지난 30년 간 개혁 개방을 통해 새로운 사회의 전환기에 들어섬
          ① 보이지 않는 손 (상품의 시장화 85%)
          ② 농민유격대 (농업분야 노동력 1억 3천 5백만 다른 영역 전환)
          ③ 농촌이 도시로 변모 (중국 도시 49년 132개 97년 668개로 30.4%도시화율 보임)
          ④ 서비스업 종사자 급증 (52년 91% 98년 26.8%)
          ⑤ 사유기업 급속 발전 (국유기업 비중 81.6% 97년 25.5%)
          ⑥ 소득원의 다양화 (봉급 외의 소득비중 30% 차지)
- 베이징 저널 100호 -
        ●높아지는 교육열 아무리 어려워도 자녀 교육 위해 60%가 빚 얻겠다.
        - 중국경제정기검측센타
        ●미래중국 10대 인기 업종
          ① 가전제품 판매업
          ② 자가용차 판매업
          ③ 실내장식업
          ④ 부동산업
          ⑤ 우편통신업
          ⑥ 패스트푸드업
          ⑦ 실버산업
          ⑧ 관광 레저문화업
          ⑨ 여성 용품판매업
          ⑩ 보험업


중국 선교자료 (2) - 종교

 

  1. 중국내의 종교 상황

  중국에서 발간된 "중국의 종교신앙 자유 상황"이라는 백서에 의하면 중국은 표면적으로 종교의 자유가 허락된 다종교(多宗敎) 국가이다. 중국의 종교는 크게 불교, 도교, 이슬람교, 천주교 및 기독교가 있다. 백서에 의하면 중국의 공민은 자유롭게 자신의 신앙을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으며, 종교 신분을 표명할 수 있다. 불완전하긴 하지만 한 통계에 의하면, 중국은 현재 각종 종교 신도가 1억여 명이 있으며, 종교활동 장소는 8만 5천 곳, 종교 교역자는 약 30만 명, 종교단체가 3천여 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교단체는 또한 종교 교역자를 양성하는 종교 학교 74개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컴퓨터 선교회 자료 인용, 1998)
98년 7월 10일에 작성된 자료에 의하면 중국 내 종교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 무신론 12% (4,000만 공산당원들)
    * 무종교 52%
    * 전래종교(도교.불교.유교) 28%
    * 정령숭배 2%
    * 회교 2.4%
    * 기독교 5%
      (공식적인 추산은 600만 명이나 해외 연구기관은 3천-5천만으로 추산)
    *카톨릭 0.6%,이단 종파 0.1%
    *개신교 4.3% (98년 7월 10일 작성된 한국 컴퓨터 선교회 자료 인용)

    1.1 기독교

  기독교(개신교)는 19세기 초 중국에 들어왔으며, 아편전쟁 이후에 대규모로 전래되었다. 중국내의 기독교인 수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각 선교단체의 통계도 다 다르며, 공식적인 통계라 할지라도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가정교회의 수는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매일 회심하는 숫자에 대한 통계도 추정일 뿐이다. 중국어문 선교회는 하루 결신자를 3만 7천명정도로 보고 있으며, 손중철 선교사는 2만5천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1992년 중국 국가 통계청의 조사에 의하면 개신교인의 수가 6300만 명, 카톨릭 교인이 1200만 명으로 발표하였다. 그 공식통계를 기초로 추정해본다면 2000년도에 약 1억 3천만 정도 되리라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2. 중국의 종교정책

  중국의 법과 종교 정책은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 집행하는 가운데서 사람들은 신앙의 자유가 없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은 철저하게 이중적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정부의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의 정책과 그 이면에 숨겨진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2.1종교 정책의  형성요인

      2.1.1 종교에 대한 국가통제의 전통
  전체주의국가 시절의 중국에서는 국가가 백성들의 생활의 모든 영역을 통치할 권리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중국에서는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서방국가나 과거의 한국 내에서처럼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았다. 이 전통은 공산화된 중국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고, 종교를 정부의 감독과 통제 아래 두려 하는 정책의 형성 요인이 된다.

      2.1.2 신문화 운동의 유산
  1919-1923년에 일어났던 신문화운동의 산물로 반종교적, 반기독교적 운동이 시작되었다. 민주, 과학을 신봉하던 이들은 종교적 신앙을 신 중국의 발전에 장애물로 간주하였다.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사상을 지닌 지식인들을 처음으로 당원으로 확보하였는데, 이러한 사상을 가진 당원들이 종교 정책 입안하는 하나의 결과로서 나타나게 되었다.

      2.1.3 레닌의 반종교적 입장
  레닌은 마르크스의 입장을 계승하여 종교는 자본가들의 착취에 저항하려는 인민들의 의지를 둔화시키기 위해 제국주의들이 제공하는 아편이라고 믿고 선전하였다. 따라서 제국주의와 싸우기 위해서 자연히 종교에 대해서도 반대하였다.

      2.1.4 모택동의 모순론과 통일전선 이론
  공산당은 정치적이며 이념적인 모순과 같은 일차적이고 적대적인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 먼저 비적대적이고 이차적인 모순인 종교 등과 연합하였다.(마르크스의 모순론, 적대적 vs 비적대적 모순론) 마르크스의 모순론에 따르면 일차적인 모순이 해결되었을 때에는 폭력적인 방법과 격리를 통해서라도 종교인들의 영향력을 감소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공산당은 종교인들과의 연합활동과 교육을 통해서 종교인들이 주관적 관념의 세계관과 종교적인 미신을 포기하고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유물론적 세계관을 가지게 됨으로 말미암아 결국엔 공산당의 편에 서게 된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으로 인하여 자신의 정치적 목적과 이념을 성취하고 났을 때, 비적대적인 종교를 격리하고 폭력적인 방법을 동원해서 종교적 영향력을 차단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에서 종교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2.2 중국의 기독교 종교정책의 전술적 구사

  중국 내에서  일하는 한 사역자가 가정교회의 지도자를 만나고 정부의 기독교 종교 정책에 대하여 쓴 보고에 따르면, 중국내 기독교에 대한 정책과 그 전술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과거와 다른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2.2.1 정면으로 충돌하지 않는다
  이전에 공안국에서는 가정교회를 색출하기 위해 성도들이 모이기를 기다렸다가 현장에서 즉시 포위하여 잡았다. 그러나 오늘날 이 방법이 신도들의 분노를 유발시키고, 사회가 개방되어 가면서, 집회장소에서 직접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고, 전도하는 사람의 집에 가서 그를 체포한 후 몰래 한 사람씩 소환하여 심문하는 방법을 취한다. 체포된 사람은 수감, 심문, 구타, 경고를 거친 후에야 집으로 돌려 보내지는데, 그로 인하여 더 이상 거룩한 사업에 종사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2.2.2 대대적으로 일을 벌리지 않는다
  오랫동안 정부는 지역 사람들을 선동해 밀고하게 하거나, 가정집회의 활동을 감독하고, 민중대회를 개최하여 전도하는 사람을 비판하는 등 민중독재의 방법으로 가정집회에 대처해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오늘날에는 비교적 적게 사용하고 있으며, 공안국, 종교국과 통전부의 간부가 직접 표면에 나서서 집행하고 있다. 어떤 때는 가정집회 지점을 봉쇄하여 전도자를 수색하여, 체포 했음에도 지역 민중은 이러한 상황을 전혀 모르기도 한다. 타격의 대상은 항상 몇몇의 전도인이거나 신도 중에서 핵심인물이므로 이들이 받는 압력은 더욱 크다.

      2.2.3 사태를 확대시키지 않는다.
  예전에 장기 집회를 단속할 때는 신도의 반항으로 사태가 확대되거나 비교적 영향력이 크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사건이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단속할 때 그리스도인들이 분노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축소하려 한다. 만일 집행 중에 신도가 쟁의를 유발시켜 그 파장이 커진다면 집행계획을 잠시 유예하였다가 후에 기회가 주어지면 다시 재기한다.

      2.2.4 거물급 인사에게 강경하게 대하지 않는다
  오늘날 중국 정부의 전술은, 가정집회의 명망있는 전도인은 암암리에 감시와 통제를 엄중히 하면서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수 있는 기회를 노리는 반면, 소규모의 가정집회 지도자에 대해서는 체포, 수감, 구타, 처벌 등 심한 압제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해외 크리스천들은 이들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이다. 중국의 가정교회가 학대와 박해를 당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을 때, 해외의 많은 크리스천들은 의외로 여기거나 매우 놀란다. 이것은 중국 사회가 개방되어 중국 크리스천들의 신앙생활이 조금은 자유롭게 되었고, 갈수록 더욱더 많은 신앙의 자유와 권리를 누릴 것이라는 생각과, 실제 중국의 종교상황이 예상밖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필자의 경험을 보더라도 중국내 삼자교회에서는 여기가 중국인가 싶을 정도로 자유롭고 신앙의 자유가 보장되는 것처럼 느끼지만, 비밀리에 사역하는 사람들은 심한 긴장감과 폐쇄조치와 추방을 경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2.5 불법건축물은 단호하게 철거한다
  가정집회 신도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자 집회장소가 부족하게 되었고, 집회장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80년대부터 각 지역의 가정집회가 지하에서 지상으로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장소의 부족으로 적지 않은 가정교회가 바람과 비와 햇빛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간편한 건축물을 지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가정집회의 합법성이 지금까지 인정을 받지 못하고 건물 또한 정부의 인가를 얻지 못했기에, 1여 년 동안 불법 건축물을 철거한다는 지침하에 수많은 가정집회 장소가 봉쇄, 철거되었으며, 심지어 폭파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어떤 지방의 집회의 천막 골조물은 정부에 의해 철거되어 다시 짓기를 수차례 반복했다고 한다. 신도들은 골조가 철거된 상황 하에서도 폐허 위에서 여전히 집회를 열고 있다고 한다.

      2.2.6 해외와의 관계를 추적 조사한다
  우리는 성도가 서로 교제하는 데는 국경이 따로 없다는 것이 진리의 가르침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그들의 통제 하에 있는 삼자교회만이 해외 교회, 신도들과의 왕래를 허락하고 있을 뿐이다. 만약 가정집회의 신도가 해외 신도와 왕래를 한다면, 이는 곧 "외국 세력과 내통한다"는 명목의 죄상(罪狀)이 성립된다. 올 한 해 동안 많은 가정교회 지도자들이 체포되고, 공안국에 의해 그들의 재산을 몰수당했는데, 이는 문화대혁명 당시의 상황이 재현된 것이다.

      2.2.7 불법 인쇄물을 수사한다
  중국 정부는 역사 이래 인쇄출판에 대해 엄격한 규정과 통제를 해왔다. 개혁 개방 이후 간단한 인쇄물을 청부받아 인쇄하는 개인 전문인들이 출현하여 높은 이윤을 남기는 신앙서적을 기꺼이 인쇄함으로써 기독교 문서사역에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국내의 많은 신도들은 신앙서적에 대한 사모함이 무척 크다. 따라서 비공식적으로 인쇄하여 배포하는 방법을 채용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큰 대가를 치루었고, 심지어 판결을 받아 수감되거나 옥에서 죽기도 하였다.

      2.2.8 단기간 수감하여 생산노동과 정치교육을 한다
  대다수의 가정교회 지도자는 체포된 후 단기간 수감되거나, 심한 구타와 처벌 -일반적으로 체포되었다하면 수천 원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을 당하거나, 혹은 노동교도로 판결된다. 노동교도는 법률 분류상 판결이라 하지 않고 단지 행정처분이라고 하지만, 실제 대우는 정식 판결의 노동개조와 다를 바 없다. 노동교도가 법률표준에 의거한 것이 아닌 행정표준에 의거한 처분이므로 죄를 가늠하는 척도가 자유롭고 느슨하며, 법률상의 입안이나 정안(定案) 등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설령 많은 가정교회 지도자들이 감금을 당했다하더라도 정부는 여전히 법률을 시행하는 차원에서 결코 그들을 박해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2.3. 중국정부의 이러한 이중적인 종교정책 시행의 원인

      2.3.1 급속한 교인수 증가에 따른 중앙 최고지도자들의 불안감
  가정교회는 이미 중국 내에서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지 않는 최대의 단체가 되었다고 많은 사람들이 말한다. 비록 가정교회가 조직적이지 않다 하더라도, 각 지방에 있는 가정교회 구성원들의 행동의 '정체성'과 모든 가정교회가 동일한 진리를 표현하는 '일치성'은 정부가 하나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단체로서 이들을 다루게끔 만든다. 이 때문에 효과적으로 그들의 활동상황을 파악하고 아울러 정부의 직접적인 지도하에 넣지 않고는 정부는 그들에 대해 마음놓고 신임할 수 없는 것이다. 얼마전  법륜궁에 대한 정부의 정책이 하나의 좋은 예이다.

      2.3.2 당원과 간부 중 종교를 믿는 사람의 증가에 따르는 정부의 불안
  삼자교회가 정부의 정책에 따라 일을 처리할 때 당원이 종교를 믿는 것을 공개적으로 엄격히 금한다. 따라서 대다수의 당원과 간부가 예수를 믿게 되는 것은 가정교회로부터 복음을 듣고 받아들인 것이다. 그리스도의 진리는 사람의 마음 속에 파고들어 정치선전의 빛을 잃게 하고 신자들에게 자신의 믿는 바를 성실하게 지키도록 한다. 이 때문에 정부는 깊은 불안을 느끼며, 만약 정부가 통제력을 잃고 그들을 다스릴 방법이 없게 된다면 동유럽의 전철을 밟게 될 것으로 염려한다.

      2.3.3 집회처를 등록하는 정책을 관철 집행한다.
  집회처를 등록해야 하는 정책이 정식으로 반포되고 난 후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가정 교회 집회처들은 아직까지 등록을 하지 않고 있으며, 정부는 지금도 여전히 강제적으로 집행을 하고 있다. 다만, 각 지역의 정부와 간부가 똑같이 이 정책을 우선 순위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므로, 각 지역마다 약간씩 다르다. 우리가 국내에서 중국 내 교회의 상황을 들을 때, 어떤 지역의 가정 교회는 특별히 어렵고, 다른 지역은 대단히 자유스러운 것처럼 보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위에서 언급한 이러한 모든 상황들은 우리에게 밖으로는 자유로워 보이지만, 안으로는 긴장되어 있고, 표면적으로는 느슨하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감시와 억압이 있는 것이다. 중국 교회가 처해 있는 상황의 이러한 복잡성을 충분히 이해해야만 비로소 중국 복음 사역의 적합한 방법과 수단을 확실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4 중국 종교 정책의 실무 부서

      2.4.1 종교사무국
  중국의 종교관계업무를 관장하는 정부기구로서 중국의 종교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이다. 국무원(현정부)의 직속기관이다. 실제로는 중앙통일전선부에 속하여 국내의 종교인사에게 통전사업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종교사무국의 간부와 직원은 모두 당원으로서 종교신앙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이다. 이들의 사업은 어떻게 종교분야에서 당의 노선과 지시를 수행할 것인가? 어떻게 당이 허용하는 범위까지 종교활동을 제한할 것인가? 어떻게 종교세력을 약화시켜 "마르크스-레닌주의, 모택동사상"이 종교를 대신하게 할 것인가에 있다. 종교사무국의 종교분야 대표자라고 할지라도 모두 당간부의 지도, 감독하에 있다.

      2.4.2 중앙통전부
  모택동의 모순론을 이론적 근거로 중국을 영토면과 사상면에서 통일을 이룩하여는 전달업무 기관이다. 통전부는 당면한 사회주의 현대화라는 일차적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산주의 사회가 되면 마땅이 사라져야 할 낙후현상이며 이차적인 모순인 종교와도 손을 잡을 수도 있다. 이런 차원에서 중국에는 부분적으로나마 종교의 자유가 허용되고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국의 4개 현대화(공업, 농업, 과학기술, 국방)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 아래 제한된 차원에서 종교의 자유를 실시하고 있다.

 

중국 선교 자료 (3) - 역사

1.1.중국 기독교의 역사

  중국에 처음 기독교가 들어온 것은 635년에 중동으로부터 들어온 네스토리우스파 선교사들을 통해서 였다. 경교(景敎)라고 불리운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는 그후 고위층을 중심으로 210년간 전파되다가 845년에 있었던 당(唐) 무종(武宗)의 반불교도 박해 시기에 사실상 소멸되었다. 그후 약 400년 후 원(元) 왕조 시대에 가톨릭의 프란체스코회 선교사들이 당시 수도인 캄발럭(북경)에 파송되었으나 민중 속에 뿌리내리지는 못했다. 그리고 후에 명(明)나라 말기에 와서 예수회 선교사들이 활동하였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마테오 리치 신부였다. 또한 청(淸)왕조 때는 예수회 선교사들의 활동이 번성하였으나 이른바 '전례논쟁'으로 인해 1724년 황제의 칙령으로 모든 선교사들이 추방되기에 이르렀다.
  그후 1807년에 런던 선교회의 로버트 모리슨이 중국에 와서 중국어 사전을 편찬하고 성경을 번역하는 등 1834년 그가 죽을 때 까지 헌신적인 선교사의 삶을 살았다. 그리고 1842년 아편전쟁의 결과로 조인된 남경 조약 이후로 많은 선교사들이 들어오게 되었는데 허드슨 테일러도 이 때 들어와 중국 내지 선교회(China Inland Mission)을 설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선교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한 반발로 반 기독교 운동이 일어나고,1949년에 이르러서는 중국이 공산화되면서 교회는 다시 한번 수난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중국의 교회

    2.1.삼자 교회
  자전, 자양, 자치를 일컫는 삼자는 원래 20세기초 일부 중국 교회의 지도자였던 외국선교사가 중국교회의 토착화와 자립을 목표로 내세웠던 슬로건이었다. 그러나 1949년 중국이 공산화된 후 3자 애국운동 위원회가 성립되면서 결국 공산당의 정치적 이용물로 전락하여 실제적인 삼자원칙에 의한 교회 운영을 못하고 일부의 교회와 목회자만이 교회문을 열었지만  정치적 간여가 심해 명맥만 유지다가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면서 1980년에 삼자조직이 다시 조직되면서 부활하게 되었다.
  1991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 전역에 6천 개의 교회당이 있었던 것을 보아, 현재 1만여 교회당이 있고 그 외에 삼자 측에서 관리하는 집회소는 2만개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한다. 삼자교회나 집회소에 출석하는 교인도 1천만 명을 웃돌 것으로 추정한다.
      2.1.1.삼자교회의 애국서약의 핵심적 항목
  a)기독교인들은 중국공산당의 4개견지(마르크스-레닌주의, 모택동 사상의 견지,중국 공산당지배의 견지, 인민들에 의한 민주주의적 독재의 견지, 사회주의 노선의 견지)를 지지할 것이다.
  b)기독교인들은 정치와 교육, 그리고 결혼이나 가족계획에 간섭해서는 안된다.
  c)기독교인들은 18세 이하의 사람들에게는 전도하거나 세례를 주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병자를 위해 기도하거나 귀신을 쫓아내는 일을 해서는 안된다.
  d)기독교인들은 국가의 모든 법률과 정책들을 따를 것이며, 외국으로부터 오는 경제적 원조와 문서, 그리고 성경을 포함한 모든 외국교회들의 침투에 단호히 저항할 것이다.
  e)교회들은 삼정정책(三定政策, 지정된 장소, 지정된 사람, 지정된 구역)을 실천할 것이다.

      2.1.2. 삼자 교회의 신학
  근래의 삼자 교회 신학의 성격은 한 마디로 말해서 근본적인 변화가 아직도 보이지 않는 이데올로기 신학이며 새로운 정치현실 속에서의 자기 변호와 공산당에 대한 계속적인 지지, 그리고 미래의 변화에 안전하게 대처하기 위한 자기 보호적인 성격과 동기를 가진 상황화 신학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의 신학 사상은 공산당을 무조건 지지하지 않으면 안 되는 강제적 환경 속에서 나온 정치적 성격의 신학 사상이다. 겉으로는 그들도 예수 그리스도를 교회의 머리라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그리스도의 교회의 머리됨을 일관성 있게 표현하지 않는다는 것이 삼자 교회의 주요 취지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2.1.3. 삼자교회의 신학교
  1981년 2월에 난징의 금륭협화 신학원이 복교된 것을 필두로 현재 중국 전역에는 13개의 신학원과 4개의 성경학교가 있다. 이들 신학원의 졸업생은 현재까지 3천여 명이고 교역자의 수는 2천명 미만이다.
  신학원은 4년제와 2년제가 있고, 성경학교는 대부분 1년제인데 금륭협화 신학원만이 학위가 주어지며 연구과(대학원) 과정이 있다. 이들 신학교들은 삼자 교회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제대로 교육을 받고 있는지 중국 신학생들의 신학 교육을 염려하는 분도 있지만, 그들이 실제로 교육받는 신학 내용은 상당히 복음적이라고 한다.
  또한 이들 신학원들이 공통적으로 해결해야할 많은 문제들이 있는데

첫째, 교수 요원이 부족하며 대부분의 교수들이 목회를 겸임하고 있어서 연구와 교수하는데 전념할 시간이 없다.

둘째, 젊은 교수진들은 이제 막 신학원이나 연구과를 졸업한 자로서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실제로 필요한 과목(목회상담,예배학 등)이 개설되어 있지 못하다는 것이다.

넷째, 신학 도서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중국 신학원의  상황>

1. 금릉협화신학원: 전국적 모집 1981년 다시 개강 4년제 본과/연구과 및 3년제 통신과정
2. 연경신학원: 북경,천진,하북,북서,내몽고,섬서,감숙,영하,청해,신강 등의 성시에서 모집
3. 화동신학원: 산동,강서,절강,복건, 및 상해 등지에서 모집/ 1985년開/1997년 7월 이전
4. 동북신학원: 흑룡강,길림,요녕3성에서 모집/1982년 開/4년제 본과
5. 산동신학원: 1987년 開/4년제 본과 2년제 과정
6. 안휘신학원: 1986년 開/2년제 과정, 현재 교외에 신축 중에 있음
7. 절강신학원: 1984년 開/2년제 과정
8. 복건신학원: 1983년 開/2년제 과정
9. 중남신학원: 하남,호북,호남,광동,광서,해남6성에서 모집/1985년 開/4년제 본과 및 2년제 과정
10.광동협화신학원: 1986년 開/ 3년제 과정
11.사천신학원: 운남,광주,사천 3성에서 모집/1984년 開/  4년제 본과 2년제 과정
12.운남성기독교신학원:1988년 신설/3년제 과정(현재 문제가 있어 문이 닫혀 있음)
13.하남신학원: 2년제 과정
14.강서성경학교:1991년 開/1996년 신축이전/1년제 성경학교/ 현재 2년제 신학원으로 신청 중
15.호남성경학교:1년제 성경학교
16.섬서성경학교:1년제 성경학교
17.내몽고배훈반:1년제 성경학교

 

    2.2. 가정교회

  중국의 가정교회는 1949년 신중국이 수립되기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대략 1901년에서 1919년까지 전개되었던 "독립교회운동"과 1919년에서 1927년 사이에 나타난 "중국토착교회 운동" "예수가정운동"이 역사적인 근원이라고 평가한다. 이들은 서구의 여러 교파들로부터 벗어나서 자치, 자전, 자양의 교회를 원했던 토착화 운동과 연관이 있다.
  1949년 혁명에 이어, 삼자회는 교회 기구 조직의 책임을 맡게되고 가정교회는 불법으로 낙인찍혔다. 급기야 1966년에는 모든 교회가 폐쇄되었고, 아주 조심해서 모이는 소그룹만이 살아 남았다. 그러나 문화혁명이 끝난 1976년 이후 가정교회는 눈부신 성장을 하였고 현재 중국 그리스도인의 80% 이상이 가정교회 교인으로 중국 기독교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조나단 챠오박사는 중국 가정 교회의 성장 요인 중의 하나를 고난으로 보았다. 즉 순교자들의 피가 교회성장의 씨앗이 되었다는 것이다.

      2.2.1 가정교회의 형성
  사회주의 중국의 수립은 중국을 전체주의 형태의 통치로 이끌어 나갔고 이로 말미암아 기독교는 당과 정부의 통제와 관리, 제재와 금지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상황속에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기독교회의 순수성과 정체성이 상실되지 않기 위해 비공인적인 교회공동체를 비밀적, 음성적으로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가정교회의 형성요인이 된 것이다.
  중국의 가정교회는 평신도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성, 발전된 교회공동체이다. 비록 1949년 이후에 형성, 발전되어 왔지만 이전 시대의 토착적인 중국교회전통을 모델로 계승, 발전해 나갔다.

      2.2.2. 가정교회의 특징
  a)평신도를 중심으로 기독교의 순수성과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형성 되었다.
  b)중국의 독특한 환경에서 교회가 형성, 발전되어 왔기에 탈 서양적 교회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개혁개방을 실시한 이후 해외와 서양교회의 영향력과 관계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c)항상 정부와 공인된 교회로부터 제재와 금지를 받게 되어 은밀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d)통일적 조직체로 존재된 것이 아니라 중국전역에 무작위적이며, 개별적인 특성을 지니면서 존재와 발전을 해나가고 있다.

      2.2.3 가정교회의 종류
  a) 공개적 가정교회
  공개적 가정교회란 교회가 공개적으로 존재하고, 활동도 대담하게 전개해 나가는 가정교회를 말한다. 보통 공개적 가정교회의 형태를 취하는 교회는 지도자가 국내외적으로 잘 알려지 인물이거나, 정부와 공인당국의 위협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자들이다. 이들은 주로 대 도시에 존재하며, 해외와의 교류도 빈번하며, 정기적인 집회와 여러 활동들이 공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외부인들이나 해외에서 온 사람들도 모임에 참석이 가능하다.
  b) 반공개적 가정교회
  반공개적 가정교회는 교회의 존재가 주변사람이나 정부에서도 알고 있지만 별다른 제재와 탄압을 받지 않으면서 교회의 정기모임은 공개적으로 진행하는 한편, 기타 활동은 비밀리에 모이는 형태의 가정교회이다. 공개적인 정기모임은 주로 소그룹으로 진행하며, 노인들의 모임, 장애인들의 집회, 이웃들과의 회합 등은 표출시키면서도 기타 지도자훈련이나 세례식, 특별모임들은 비밀리에 개최한다. 반공개적 가정교회는 대도시와 농촌 모두 존재하고 있다.
  c) 비공개적 가정교회
  비공개적 가정교회는 모임과 활동이 모두 비공개로 진행되는데 중국 가정교회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며, 고정 참석자와 허락 받은 자 외에는 모임과 활동에의 참여가 불가능하다.

    2.3 가정교회의 활동

      2.3.1 공개적인 전도 및 활동
  공개적 가정교회는 정부와 공인된 교회의 경고와 제재에도 불구하고 공개적으로 존재하며 예배 뿐 아니라 어린이와 청소년 등 각종모임, 성경공부와 지도자훈련, 전도활동과 대외교류 등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2.3.2 정부와 공인된 교회에 대한 항의 성명발표
  1988년 3월 24일 가정교회 지도자인 장성재는 전국 인민 대표회의와 전국 정치 협상회의에 신앙자유 문제에 대해 항의편지를 보냈으며, 같은해 4월 3일 당시의 중국 기독교 삼자 애국정치 협상회의의 주석인 정광훈에게 삼자회가 교회에 대해 핍박하는 일을 참을 수 없다고 해서 항의 편지를 보냈다. (1988년 4월 9일 정광훈 주석의 답변이 있었고, 1988년 4월 16일 장성재의 재 회답이 있었다.)

      2.3.3 연합운동
  a)연합운동의 계기:  중국의 가정교회는 개혁개방이후 비록 정부의 종교정책과 탄압에도 불구하고 대대적인 발전을 이룩하였고 1990년대 들어서자 이들 가정교회는 중국 교회의 자립과 자존을 위하고 복음 전도의 확산 그리고 부족한 인적 물적 자원의 공급과 다양한 은사의 교류를 위해 교회의 연합운동이 필요함을 통감하고 있다.
  b)연합운동의 내용:중국의 가정교회의 연합운동은 각 계파의 가정교회 조직과 행정체재를 하나의 통일된 조직체로 연합하기보다는 정신과 사역협력차원에서의 연합운동이다. 그 내용들은 다음 같다.
      *교제와 교류: 화중지역의 오순절 계파와 중생파는 성령충만과 방언문제로 1980년대에는 서로를 이단이라고 공격하였으나,지도자층의 연합운동 논의로 교제와 교류가 시작되었다.
      *자원의 교류: 해외에서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제작한 성경, 신앙 및 신학서적 교재 등을 서로 지원하고 교류하고 있다.
      *은사의 교류:서로 부족한 지도자 훈련의 교수요원을 서로 교류하고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주일학교 교사훈련, 문서사역, 교회음악 등이 있다.
      *연합으로 지도자 훈련과정 개최: 부족한 교수자원과 시설, 물질적 상황아래 각 가정교회는 연합으로 지도자 훈련과정을 개최하여 각 가정교회의 지도자들을 확충시키고 있다.

    2.4 가정교회의 신학문제

      2.4.1가정교회의 신학사상의 형성과 주제
  중국의 가정교회는 비공인 교회라는 특징으로 존재와 발전을 해왔기에 공인된 삼자교회와 상이한 신학사상이 형성되었으며 그들 나름대로의 시대적 상황 (사회주의 중국의 전체주의 통치,종교의 존재와 발전의 제한성 등)과 신앙적 경험(고난과 핍박),기독교에 대한 이해와 과정(비정규적이고, 열악한 조건 속에서의 기독교 학습)이 있기에 독특한 신학사상이 형성되어 갔다.

      2.4.2 가정교회의 신학논쟁과 문제
  a) 구원론: "한번 구원받으면 영원히 구원받게 되는 것인가?"라는 문제는 중국의 가정교회에서 심각한 신학논쟁이 되고 있다. 먼저 이 구원론 문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일차적 구원후 인간의 행위와  재차 범죄치 않음이 있어야 최종적으로 구원을 얻게 되는 문제이기에 그리스도 구속의 온전성 영원성 영속성, 절대 은혜성에 대한 문제이다.
  b) 인간론: 인간은 영, 혼, 육의 존재인가?(데살로니가전서 5장 23절)
인간론은 단순히 인간의 구성과 본질을 영, 혼, 육으로 나누는 문제가 아니라 세계관과 문화 이해에 직결이 되어있고 또 기독교인의 성화생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하나님과 성서, 교회와 기독교 이외의 것은 모두 혼적인 것 내지는 육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멸시하고 적대시한다. 그래서 지식, 문화유산, 과학 등을 모두 무가치한 육의 것으로 여기고 있다.
  c) 성령론
  ???)성령충만한 자는 필연적으로 방언을 하는가?(사도행전 19장 6-7절)
  ???)성령충만의 표증으로서 방언의 강조는 신도의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성령충만의 증거로서 인격적 증거(사랑,희락,화평 등 성령의 열매, 갈라디아서 5장 22-23절)보다는 초자연적 현상을 강조하므로 (방언,예언등)기독교인 사이의 열등감과 교회의 혼란현상을 조성하였다.
  ???)은사의 분배: 은사는 성령이 성령의 뜻대로 주는 것인가? 아니면 은사있는 자가 전수해 주는 것인가?(고린도전서 12장 로마서 1장 11절)
은사를 받는 길은 두 가지로써 하나는 성령으로부터 직접받고 또 하나는 은사받은 이로부터 받는다. 그래서 이런 은사 전수론으로 인해 은사 추구에 잘못된 양상이 초래되어 가정교회 내 이단 형성의 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d) 가정교회 신학의 문제점과 과제
  ???)가정교회 신학도 과거에는 고난이 가장 큰 신학주제였지만, 현대 중국사회가 점차 물질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새로이 생겨난 신학문제를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 경제 직업 현대화에 대한 신학적 논의와 정립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과거에는 가정교회의 보수적 성경해석과 신학경향은 [현실=고난 승리법=믿음]으로 당연한 신학주제와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었지만 현실이 다양한 되어가는 상황에서 '오직 믿음'의 논리가 유일한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을 지가 문제이다.
  ???) 현대중국의 중요한 사상주제인'중국의 전통문화와 현대화 문제'를'개인구원과 교회론'에 집약된 가정 교회의 신학사상이 어떻게 대답을 하겠는가? 이는 기독교 사상과 신학이 현대중국 사상의 형성과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다.

  중국의 가정교회는 사회주의 중국의 특수한 시대적 상황과 종교적 배경속에서 발전한 기독교회의 한 형태이다. 이들은 기독교 신앙의 순수성과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생겨났으며 독특한 교회형태와 발전을 이룩하여 중국의 주류적 교회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중국 가정교회가 양성화하려는 시도는 사회주의 통치의 사회 완화와 사회의 다양화된 변화에 관계하며, 양성화된 가정교회는 향후 중국 가정교회 발전에 중요한 기초가 된다. 가정교회 사이에 전개된 연합운동은 가정교회가 발전을 이룩한 증거이면서도 한편 교회발전의 필연적 현상으로 대두되었다. 이 연합운동은 점차 확산되어가는 연합에 대한 당위성 필요성 ,급박성 현실성으로 인해  장기적 현상으로 중국의 가정교회 내에서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가정교회가 해외선교를 하는데 좋은 여건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일한 신학논리와 오직 한가지 사상만 강조했던 교조적인 틀을 넘어서 교회의 신학을 다양하게 전개하고 시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의 중국의 중국가정교회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비록 중국의 가정교회가 많은 문제와 과제가 산재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지만 가정교회가 현재 성숙과 새로운 발전을 향해 도약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게 되었다.

출처 : 행복†충전소
글쓴이 : 擔任牧師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