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메이슨

[스크랩] 미국 사회의 유태계 커넥션 ①+②

수호천사1 2012. 2. 14. 17:18

미국 사회의 '유태계 커넥션'
WASP를 능가하는 파워 엘리트 그룹 대부분은 유태계
프리존뉴스(김필재)   
 

“미국에는 엘리트들이 있어, 과거 수십 년간 우리는 그들의 정부를 운영하고 있었다. 삼각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의 관심사는 국제적인 은행 사업과 다국적 기업 따위의 이익이기 때문에, 나는 이제 그들과 함께 일하지 않고 나의 방법을 따르겠다.” (1980년 3월 17일, 로널드 레이건)


“뉴욕타임즈, 워싱턴포스트, 그리고 타임을 포함해 이 회의에 참석하신 여러 대형언론사를 운영하고 있는 임원 여러분들께 지난 40년간 보여주신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만일 지난 세월 동안 여러분들의 협조가 없었더라면, 세계를 향한 ‘우리의 계획’을 발전시키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이제 세계는 ‘세계정부’(world government)를 향해 나아갈 준비가 되었습니다.” (데이비드 록펠러, 1991년 6월 5일 빌더버그 회의 기조연설)

 

일반적으로 미국 사회는 ‘WASP’(White Anglo-Saxon Protestant)가 주도하는 사회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미국을 움직이는 파워 엘리트 그룹은 유태계가 장악하고 있으며, 이들 커넥션은 대체로 미국 내 현실주의 그룹과도 연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재 미국 내 유태인 숫자는 약 700백 만 명 정도(미국 전체 인구의 약 2.5%)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총인구 2억 8천 1백만 명 중 백인이 1억 9천4백만 명(69.1%), 히스패닉계가 3천5백만 명(12.5%), 흑인이 3천 3백만 명(12.1%), 아시아계가 1천 1백만 명(3.6%)인 것에 비하면 매우 미미한 숫자이다.

유태인이 미국에 최초로 정착한 역사는 1654년 7월 8일 바르심슨(Jacob Barsimson)이라는 네덜란드계 유태인에서 시작됐다. 그러나 본격적인 유태인의 미국 이민을 1840~1880년간 있었던 독일계 이민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러시아, 동구계 이민으로 본다면 약 150년 정도의 이민역사밖에 되지 않으며, 오래된 가계(家系)라 해도 많아야 평균 3~4대 정도의 뿌리를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미국의 유태인들은 세계 최강국인 미국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태인이 미국이란 초강대국의 막후에 숨어 세계경제를 맘대로 주무른다는 이른바 ‘유태인 음모설’은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유행이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 2차 대전에서 패배한 이후 줄곧 유태인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해왔다.

실제로 1980년대 일본 서점 가에는 ‘유태코너’라는 것이 있을 정도로 유태관계 서적이 붐을 이룬 적도 있었다.

▲정치 분야 : 남북전쟁 이전까지 미국 내 유태인들은 주로 상업에 종사하며 부(富)를 축적한 반면 정계에는 많은 인물을 진출시키지 못했다. 이는 만약 유태계 인사들이 미국의 주요 정치적인 상·하의원이나 또는 주지사에 많이 진출하게 되면 일반인의 반감, 나아가서는 반(反)유태주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를 염두에 둔 신중한 자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미국과 같이 각자가 능력만 있으면 어떤 직종에나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유태인도 현실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1970년대 이후부터는 유태인도 상·하원에 속속 진출하기 시작했다.

미국 유태인의 대다수는 매우 리버럴하다. 이로 인해 이들의 정치적 성향도 자연히 보수적인 공화당보다는 상대적으로 소수민족을 우대하며 리버럴한 성향을 띤 민주당 선호로 기울어져 있다. 과거 미국 유태인 중에는 사회주의자도 많았다. 더욱이 미국 내 정치색이 짙은 각종 사회활동(노동·여성운동)에는 유태인이 대거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단체와의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당에 대한 지지가 고착될 수밖에 없었다.

1886년 시가(담배) 제조 노동자들의 조합을 이끌던 유태인 사무엘 곰퍼스(Samuel Gompers)가 창설한 미국노동총연맹(AFL)의 경우 1904년 1백75만 조합원을 거느린 미국의 대표적인 노동 조직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1960년대 이후 흑인 민권운동을 성원한 주축세력도 유태인이었으며, 월남전 이후 기승을 부리던 인권단체 등의 지도부 역시 거의 유태인 일색이었다.

일례로 1921년부터 1961년까지 미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유대인이 차지했던 비율은 33.5퍼센트였으며 평당원 수준에서는 40퍼센트를 차지했다. 1950년대를 거쳐 5만 명에 달했던 미국 공산당에서 유대인은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이들에 있어 입당자의 숫자는 항상 탈당자의 숫자를 상회했다.

다른 민족출신들에 비해 인구비례상 유대인의 공산당 입당율은 10배가 넘는 것이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비슷한 숫자의 유대인 사회주의자 및 무정부주의자들과 같은 좌경급진주의자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Nathan Glazer, The New Left and the Jews, 1969) 1920년대 초반부터 미국 공산당은 소련으로부터 물질적, 정신적인 지원을 받으며 미국 내에서 소련의 입장을 옹호하고 소련에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는 한편 지하에서는 소련 비밀경찰의 지령에 따라 미국에 대한 간첩임무도 수행했다. (1947년 소련에 원자폭탄 비밀을 넘긴 죄로 처형된 유대인 로젠버그 부부 역시 미국 공산당 당원이었다.)

1930년대 미국에서 유대인 공산주의자들은 소련이 심어놓은 공산주의 지하세포의 80퍼센트 이상을 차지했으며 1947년 스미스 법안에 의해 기소된 공안사범들 가운데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폴란드와 러시아에서 그랬던 것처럼 사실상 유대인의 운동이었던 공산주의를 만인 보편적인 것으로 위장하기 위해 미국 공산당의 유대인 수뇌부는 간부들을 상대로는 그들의 이름을 미국식으로 개명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했고 외부의 눈에 띄는 직위에는 항상 지방출신의 비유대계 인물을 배치했다. (Source: H. Klehr, Communist Cadre, 1978; N. Glazer, The New Left and the Jews, 1969; K. Kann, Joe Rapoport, 1981; Klehr, Haynes &; Firsov, The Secret World of American Communism, 1995; A. Liebman, Jews and the Left, 1979)

특히 유태계 좌파 핵심세력들은 미국의 베트남 완전철수를 요구했으며 이것으로도 성이 차지 않자 공산주의자들의 완전한 승리를 원하기도 했다. 특히 반전론자들은 워터게이트 사건이 발생하자 美 의회 앞으로 뛰쳐나와 시위를 벌였다.

미국의 외교정책을 증오했던 사람들 그리고 존 케리(John Kerry·체코계 유태인)와 제인 폰다(Jane Fonda)처럼 낭만주의에 사로잡혀 있던 사람들은 미국의 북 베트남 폭격을 비난했다. 뉴욕 출신의 여성 국회의원이었던 벨라 앱저그(Bella Abzug·유태계 페미니스트)의 경우 수천 명에 이르는 남부 베트남의 정치범 석방을 주장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유태인은 낙태문제, 정교분리 등 주요 사회문제에 있어 민주당보다 더 개방적이다. 특히 각종 선거 때마다 미국 일반인의 평균 투표율은 53%인데 비해 유태인의 투표율은 80%를 넘는다. 1992년 대통령 선거 이후 있은 출구조사를 보면 유태인 78%가 클린턴(민주당)에게 투표하고 12%는 부시(공화당), 10%는 페로(무소속) 후보에게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태인들은 지지하는 후보의 당락에 상관없이 평균 55~65%가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고, 약 10%선이 공화당후보에게, 그리고 나머지는 리버럴 혹은 무소속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ewish Power’, 1997년 판) 특히 친(親)유태적 성향이 강했던 루즈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은 4선 모두 유태인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반대로 유태계 혈통이지만 보수주의자 이었던 골드 워터(Barry Goldwater) 공화당 후보의 경우 1964년 대선서 약 10%의 유태인 득표에 그쳤다.

▲매스컴 : 유태인 파워는 미 언론계에서도 막강하다. 20세기 들어와 미디어의 위력은 날로 확대되고 정치도 여론에 의해 움직이며 이 여론도 결국은 언론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언론은 모든 국가권력을 압도 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특수기관으로 성장했다. 유태인은 리버럴한 데다 탈무드의 영향으로 이지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및 경제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언론·영화·정보 산업의 속성에 꼭 들어맞는 기본 훈련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미국 언론계의 유태인은 전체 종사자의 6%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태 언론인이 커다란 사회적 영향력을 갖고 있는 이유는 이들이 거의 모두 주요매체에서 여론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유태 언론인의 27%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워싱턴 포스트(WP), 월스트리트 저널(WSJ), 뉴욕타임즈(NYT), 타임, 뉴스위크 및 CNN, CBS, NBC, ABC 등 TV 4사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 유태 언론인들은 여론을 만들고 확산하는 위치에 있는 주필, 정치평론가, TV 뉴스쇼 제작진 등의 요직에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소수 정예의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뉴욕 타임즈(사주인 ‘아서 옥스 설즈버거’가 유대인), 월 스트리트 저널(사주인 ‘앤 드류 스타인’이 유대인)의 경우 대표적인 친(親)유태계 언론이다.

뉴욕타임즈에서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유태계 칼럼니스트는 닉슨 대통령의 연설집필을 한 적이 있는 윌리엄 새파이어(William Saphire)와 아브라함 로젠탈(Abraham Rosenthal), 프랭크 리치(Frank Rich)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새파이어의 경우 지난 1993년 12월 이스라엘에 비우호적인 바비 인맨(Bobby R. Inman) 전 CIA 부국장의 국장 임명을 반대하는 내용의 칼럼을 통해 그의 임명을 저지한 일도 있었다.

방송의 경우 윌리엄 페일리(전 CBS 사주), 앤드류 랙(전 NBC 사주, 현 소니 뮤직 최고 경영자) 및 레오나드 해리 골덴슨(ABC 사주)등이 유태 언론의 중추로 볼 수 있다. 한편 AP, UPI, AFP, 로이터(Reuter)등 세계 유수의 통신사들이 모두 유태인 소유이다.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7대 메이저 영화사’ 중 6개의 영화사 (파라마운트, 20세기 폭스, MGM, 워너 브러더스, 콜롬비아, 유니버설)가 유태인이 설립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 분야 : 지난 2000년 10월 ‘포브스’지(誌)가 발표한 미국의 4백대 자산가 가운데 유태인은 64명(16%). 유태인의 인구비율(2.5%)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 같은 유태인의 경제력은 지난 85년의 부호 순위 점유율 26%를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막강하다.

특히 지난 18년간 미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의장으로 세계경제를 좌지우지해온 앨런 그린스펀은 뉴욕 태생의 유태인이다.(현 FRB 의장인 벤 베닝키도 유태인임) 뿐만 아니라 M&;A의 ‘달인’인 시티그룹의 샌 포드 웨일, 세계 최대의 보험회사인 AIG의 모린스 그린버그, 메트라이프의 로버트 벤 모세, 리만 브라더스의 리처드 풀스, 골드만 삭스의 헨리 폴슨 회장 등이 모두 성공한 월가(Wallstreet) 유태인들이다. 미 연방은행은 사립은행의 집합체로 주요 소유자는 록펠러, 골드만 삭스, 로스차일드 등의 유태계 재벌이다

FRB는 상업어음의 재할인이나 공개시장의 조작으로 각 지구의 금융통제를 맡고 있다.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오늘날 FRB가 공개수수료를 얼마만큼 올리느냐 내리느냐에 일희일비하면서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FRB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의 금융을 지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실제로 FRB는 사립은행의 집합체로 직접적인 FRB의 주요 소유자는 록펠러, 골드만 삭스, 로스차일드 등의 유태계 재벌이다.

실제로 미국의 ‘Yellow Page’(업종별 전화번호부)를 보면 ‘연준’은 정부기관란이 아닌 민간기업란에 있다. 이와 비슷한 경우가 영국의 중앙은행이다. 영국의 중앙은행은 원래 로스차일드 가문의 개인 소유 은행이었다가 1946년 노동당 정부가 국유화 했다. 공식적으로는 국가 소유지만, 실질적으로는 여전히 민간은행의 성격을 띠고 있다.

로스차일드가(家)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일어났다. 제1대인 마이어 암셸 로스차일드(1744~1812)는 아들이 5형제가 있었다. 그는 아들들을 모두 어릴 적부터 상인으로 철저하게 훈련시킨 다음, 당시의 유럽 5대 도시에 파견했다.

5대 도시는 프랑크푸르트, 비엔나, 나폴리, 파리, 그리고 런던 이었다. 5형제는 모두 각 도시에서 금융업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로스차일드가는 돈을 꿔주는 입장에서 전쟁이 날 때마다 더욱더 발언권을 얻게 되었고, 강력한 세력으로 중앙은행을 지배했다.

로스차일드 가문의 금융 지배력은 유럽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대서양 건너 미국에서도 엄청난 힘을 발휘하게 됐다. 그것은 바로 FRB를 통해서였다.

실제로 미국 내 유태계 은행들은 국제적으로 연대하기 때문에 순이익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미국 5대 은행(시티, BOA, J.P.모간 체이스, 와코비아, 웰스파고)은 체이스 맨하탄과 J.P. 모건 등의 유태 재벌이 직영하고 있으며 BOA(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유럽의 로스차일드와 제휴하여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김필재 기자 (spooner1@freezonenews.com)

*위 기사의 출처는 인터넷 프리존뉴스 입니다.

 

 [참고자료] 세계 실력자들의 비밀회의, 빌더버그(Bilderburg)

 

전세계에서 가장 힘있고 영향력 있는 인물들만 회원으로 가입해 참석하는 빌더버그(Bilderberg)라는 회의가 있다.

 

1954년 네덜란드 소재의 빌더버그 호텔에서 처음 모임을 가졌다고 해서 빌더버그라고 이름이 붙었는데, 회의 내용이 일체 공개되지 않는 비밀회의이다. 회의는 1년에 한 번 열리는데, 준비 위원회에서 영향력 있는 100여명의 초청장을 준비한다. 초창장을 받고 참석한 사람들은 일종의 비밀서약을 하고 회의 내용을 일체 비밀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빌더버그 참석 회원들은 그야말로 세계를 주무르는 실력자들로 알려져 있다. 은행가, 국방전문가, 미디어 총수, 장관, 수상, 왕족, 국제 경제인, 정치 지도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2003년에 열린 빌더버그 참석자의 면면을 보면 짐작을 할 수 있는데, 럼스펠드 미국방장관, 은행 재벌인 데이비드 록펠러, 헨리 키신저 전미 국무장관, 빌 게이츠, 후안 카를로스 스페인 국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이 회의는 세계 지도자들의 데뷔 무대라고 알려질 정도인데, 실제로 빌 클린턴 대통령이 1991년 대통령 후보 시절에 이 회의에 참석했으며, 토니 블레어 총리도 의원 시절에 이 회의에 참석하기도 했다.

 

파워가 있는 인사들만 비밀리에 모여 외부에 일체 공개되지 않는 회의를 열다보니 온갖 억측이 무성하게 나오고 있다. 유로화의 탄생과 유럽연합(EU)에 대한 아이디어가 이 회의에서 나왔다는 소문도 있다. 주요 세계 정책이 이 회의에서 어느 정도 기틀이 마련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다.

 

빌더버그의 원래 취지가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영향력 있는 인사들이 만나 우의를 다지는 비공식 회의여서 아시아,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출신은 일단 배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석] 미국 사회의 ‘유태계 네트워크’ (2)
AP, UPI, AFP, 로이터 등 세계 유수 통신사 모두 유태인 소유
金泌材(프리존)   

 

미국내 유태인 분포도ⓒ uta.fi
 기자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유태인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탐독해왔다. 유태인과 관련된 자료를 모은 이유는 이들을 비판하거나 비난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유일 초강대국인 미국을 움직이는 강력한 세력을 이해함으로써 세계사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사의 풀리지 않는 실타래를 제대로 풀기 위해서는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유태인들의 활동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 작은 단서가 때로는 많은 것을 알게 해주는 열쇠가 된다. 여기에는 대중(大衆)에게 공개해도 될 것이 있고, 공개하지 말아야 할 것도 있다. 국내에서는 유태인과 관련된 것이 반미(反美)로 악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대단히 위험스런 행위다. 세상은 좌익(左翼)들이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복잡다단하다. 미국산 쇠고기 문제로 또 다시 반미(反美)가 한국에서 기승을 부리는데 기자는 걱정이 앞선다. 전 세계의 돈줄을 잡고 있는 유태인들은 자신들이 구축한 커넥션을 이용해 세계 금융을 좌지우지해 한 국가의 금융시스템을 일시에 마비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한국이 쇠고기를 수입하든 말든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 그들의 눈높이는 한국이 아니라 전 세계를 향해있기 때문이다. 한국이 현재와 같이 반미(反美) 일변도로 간다면 미국인, 아니 미국의 유태인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방법을 동원, 한국에 대한 보복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 그것은 ‘미군 철수’가 될 수도 있고, ‘제2의 IMF사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는 미국의 유명인사들이 자신의 가계(家系)에 유태인의 피가 섞여 있음을 확인한 뒤 남긴 말을 모은 것으로 최근 ‘Jewish Press’에 게재된 글을 일부 번역한 것이다.
 
 각 발언에 대한 주석은 기자가 달았다. 모계중심의 유태인 혈통구조로 보면 거론된 인물 가운데 순수 유태인은 몇 안 된다. 그러나 이들의 가계와 그동안의 행동을 자세히 살펴보면 살펴볼수록 WASP보다는 유태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편집자주]
 
 ● “나는 여전히 아침마다 햄 샌드위치를 먹으며, 어머니는 훌륭한 포크찹(pork chop) 요리사다.” (조지 알렌 전 상원의원, 최근 자신의 어머니가 유태인임을 확인한 후 남긴 말)
 
 ● “나는 여전히 카우보이 부츠를 쓰고 솔(brush)로 깨끗이 부츠를 닦는다.” (부시 대통령이 자신의 외할머니가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후 남긴 말)

 
 [FACT: 타임지(2000년 8월7일자): 젊은 시절 예일대의 ‘스컬 앤 본즈’(Skull and Bones, 예일 대학교 소재 프리메이슨 조직)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던 것으로 알고 있다. 당시 ‘스컬 앤 본즈’와 같은 엘리트들의 비밀조직에 가입하는 것이 마음에 걸리지는 않았나?
 
 부시 : 전혀 마음에 걸리지 않았고 영광으로 생각했다. 나는 이 문제에 대해 냉정하게 대처했으며 그 조직을 그렇게 대단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리고 심각하게 생각하지도 않았다.
 
 원문: TIME: But you sure shared a lot of the same upbringing: Andover, Yale, even Skull and Bones. Did you have any qualms, say, about joining an elite secret club like Bones?
 
 Bush: No qualms at all. I was honored. I was fairly nonchalant. I didn`t view it as a great heritage thing. I didn`t take it all that seriously]
 
 http://archives.cnn.com/2000/ALLPOLITICS/stories/08/01/bush.7_31.a.tm/index.html

 
 ● “여전히 비밀을 찾고 있다.” (딕 체니 부통령이 자신의 친할아버지가 유태인(1/2)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뒤 남긴 말)
 
 ● 럼스펠드 전 국방장관은 자신의 대고모가 유태인(1/4)인 것을 알게 된 후 “놀랐다”(Gee Whiz), “와!”(By Golly) 등의 표현을 써가며 “나는 레슬링 팀의 주장이었다”면서 애써 자신에게 유태계 핏줄이 섞여 있음을 숨기려 했다.
 
 [FACT: 일반적으로 Blumenfeld, Rumsfeld, Rosenfeld, Roosevelt, Rockefeller는 모두 동일한 유태인 이름이다. 독일계로 알려진 럼스펠드 전 국방장관이 실제로 독일에 방문해서는 환영 받지못하는 이유다. 루즈벨트 대통령의 경우 네덜란드계 유태인의 후손이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트루먼 대통령(프리메이슨), 아이젠하워 대통령도 유태인이다.]
 
 ● 낸시 레이건이 자신의 점성술사(조앤 퀴글리)가 유태인인 것을 알게 되자 레이건 대통령은 “내가 그래서 ‘니만 마커스’ 물건을 그토록 많이 구입하는 이유지”라고 말했다.
 
 [FAct: ‘니만 마커스’는 미국의 유명한 백화점 체인으로 유태인 소유로 알려져 있다.]
 
 [Fact: 낸시 여사는 레이건 대통령이 중요한 방문이나 약속을 해야 할 때 시간과 날짜를 수 없이 바꾼 적이 있다. 대부분이 점성술사인 조앤 퀴글리에 의해서였다. 1987년 레이건은 2차 세계대전 때 죽은 독일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비크베르크를 방문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 방문에 대한 논란이 일자 낸시 여사는 조앤 퀴글리에게 운세를 부탁했다. 조앤 퀴글리는 추모헌화가 예정된 이른 아침이 레이건이나 세상에 불운하다면서 몇 시간이 지난 11시 45분을 주장했다. 이 말을 적극 수용한 낸시 여사는 대통령 보좌관에게 예전처럼 시간 변경을 고집했다.

 
 ● 전 UN주재 미국 대사인 존 볼턴은 자신의 원래 성이 빌슈타인(Billstein)임을 알고 “어떻게 그럴 수가 있지?”라며 “나는 중국 음식도 먹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Fact: 미국 대통령이나 상하원 의원 후보들은 반드시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해야 후원금이 제대로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act: 코언 전 국방장관, 해럴드 브라운 전 국방장관, 와인버거 전 국방장관, 제임스 슐레진저 전 CIA 국장, 키신저 전 국무장관, 올브라이트 전 국무장관, 로버트 루빈 전 재무장관,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 샌디 버거 전 안보보좌관 등 수많은 장관들이 유태인 출신이다.]

 
 ● 워싱턴포스트(WP)지의 탐사보도 전문기자인 밥 우드워드는 자신의 외종조부가 유태인인 것을 알게 됐다. 그러자 그는 “그래 나는 유태인의 코(매부리코)를 갖고 있었다니까”라며 “칼 번스타인에게 얘기해줘야지”라고 말했다.
 
 [Fact: 미국 언론계의 유태인은 전체 종사자의 6%에 불과하다. 그러나 유태 언론인의 27%는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인 워싱턴 포스트(WP), 월스트리트 저널(WSJ), 뉴욕타임즈(NYT), 타임, 뉴스위크 및 CNN, CBS, NBC, ABC 등 TV 4사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 유태 언론인들은 여론을 만들고 확산하는 위치에 있는 주필, 정치평론가, TV 뉴스쇼 제작진 등의 요직에 많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소수 정예의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뉴욕 타임즈(사주인 ‘아서 옥스 설즈버거’가 유대인), 월스트리트저널(사주인 ‘앤 드류 스타인’이 유대인)의 경우 대표적인 친(親)유태계 언론이다.
 
 뉴욕타임즈에서 여론을 주도하는 대표적인 유태계 칼럼니스트는 닉슨 대통령의 연설집필을 한 적이 있는 윌리엄 새파이어(William Saphire)와 아브라함 로젠탈(Abraham Rosenthal), 프랭크 리치(Frank Rich) 등이 있다.
 
 이들 중 새파이어의 경우 지난 1993년 12월 이스라엘에 비우호적인 바비 인맨(Bobby R. Inman) 전 CIA 부국장의 국장 임명을 반대하는 내용의 칼럼을 통해 그의 임명을 저지한 일도 있었다. 방송의 경우 윌리엄 페일리(전 CBS 사주), 앤드류 랙(전 NBC 사주, 현 소니 뮤직 최고 경영자) 및 레오나드 해리 골덴슨(ABC 사주)등이 유태 언론의 중추로 볼 수 있다.
 
 한편 AP, UPI, AFP, 로이터(Reuter)등 세계 유수의 통신사들이 모두 유태인 소유이다.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7대 메이저 영화사’ 중 6개의 영화사 (파라마운트, 20세기 폭스, MGM, 워너 브러더스, 콜롬비아, 유니버설)가 유태인이 설립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 멜 깁슨(호주 출신 영화배우)은 자신의 아버지가 유태인임을 알게 됐다. 멜 깁슨은 “나는 여전히 모든 전쟁은 유태인이 일으킨다고 생각한다”면서 “내가 그들의 일부분이 되라고? 없던 일로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프리존뉴스 김필재 기자 (spooner1@freezonenews.com)

 

출처 : 빛과 흑암의 역사 (성경연구, 음모론)
글쓴이 : 국민여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