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빈의 성경관에 대한 성경신학적 고찰
1. 문제제기 (問題提起)
1) 성경은 인간에 의해 저작된 문헌인가 ?
2) 성경은 종교적 행위에 의해 형성된 종교적 산물인가 ?
3)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에 의한 하나님의 말씀인가 ?
4) 성경의 진리성은 입증될수 있는가 ?
5) 성경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6) 성경 해석의 원리는 무엇인가 ?
7) 성경 해석의 바른 태도는 무엇인가 ?
2. 사적고찰 (史的考察)
1) 초대교회 성경관
(1) AD 200년경 신약성서의 21권이 정경으로 인정
(2) AD 395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27권 목차 확정
(3) 결정기준
역사적 기준 : 사도적 권위
내용적 기준 : 감화력
2) 중세교회 성경관
(1) 교회가 성서를 인정함
(2) 전승 : 정경은 교회의 전승에 의해서 가능함
3) 종교개혁과 정통주의 성경관
(1) 성서는 교회와 전통의 보증이나 해석이나 해명을 필요치 않는다.
(2) 성서는 그 자체를 통하여 명확하고, 확실하며 그 자신이 해석자이다.
4) 계몽주의 시대 성경관
(1) 성서는 역사적인 책이며 역사적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2) 모든 인간적인 책들과 같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3. 논의맥락 (論議脈絡)
구 분 |
논 의 목 적 |
논 의 주 제 |
논 의 방 법 |
자유주의신학 |
실천을 위한 규범 |
고난의 백성과 함께하시는 하나님 |
비평학적 방법 |
보수주의신학 |
교육을 위한 수단 |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나님 |
구속사적 방법 |
성 경 신 학 |
인식을 위한 도구 |
자신의 영광을 계시하시는 하나님 |
언약사적 방법 |
Ⅱ. 칼빈의 성경관 고찰
1. 성경의 필요성 제시
≪ 제6장 : 창조주이신 하나님께 오기 위한 길잡이와 교사로서 필요하다 ≫
6-1 하나님은 택한 자녀들에게 (대상)
당신을 알게 하기 위하여 (목적)
성경 말씀을 주셨다. (도구)
6-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6-2-1 말씀과 비죤, 족장들의 봉사를 위하여
6-2-2 율법을 선포하고 선지자들의 설교를 통하여
◈ 하나님 말씀(logos)에 대하여
국어사전적 의미 : 언어로 전달되는 내용, 문장, 용어
헬라철학적 의미 : 내면적인 정신세계 (理性)
성경신학적 의미 : 하나님의 言語 ( 하나님 자신을 드러내시는 총체적인 모든것을 지칭함 )
☆ 하나님 말씀 ☆
① 역사섭리
② 찬양
③ 예언(언어전달)
④ 그리스도 사역
⑤ 성령사역
6-3 성경 없이는 모두 오류(誤謬)에 빠진다.
6-3-1 인간의 타락과 말씀의 필요
6-3-2 시편의 말씀과 하나님의 주권
6-4 성경은 하나님 창조의 역사를 통한 계시가 할 수 없는 것을 우리에게 명시해 준다.
6-4-1 시편의 말씀 (시19:7-8) “律法은 하나님의 자녀들을 훈련시키는 특수학교이다.”
6-4-2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 (요4:24)
2. 성경의 권위성 확보
≪ 제7장 : 성경의 절대 권위를 확신 하려면 어떤 증거가 필요하다. 그것이 곧 성령이다.
성경의 신빙성이 교회의 결정에 좌우된다는 것은 불경된 죄이다. ≫
7-1 성경의 권위는 성령(聖靈)으로 부터 起因되는 것이지 사람(교회)에 의해서 오는 것은 절대 로 아니다.
◈ 교회(R.C)의 결정사항 (P 148)
성경은 교회의 승인을 얻을 때에 한하여서만 그 중요성을 지닌다
성경의 교훈들이 하나님으로 부터 나왔다는 것을 누가 우리에게 보증 할 수 있단 말인가?
성경의 교훈들이 우리들의 時代까지 무사히 손상없이 전래(傳來)된 것이 라는 사실을 누가 보증할 수 있겠는가?
위의 사항들에 있어서 교회에 의하여 확실한 규범을 가지고 규제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면 이 책만이 존중히 여김을 받고 다른 책은 목록에서 지워버려야 한다는 것을 도대체 누가 우리에게 설득 할 것인가?
성경이 어떻게 존경되어야 할 것인가?
어느 책들만이 正經에 포함되어야 하는가?
◈ 질문
① 단순하게 성경의 권위가 성령에 기인한다고 말하는 것으로 위의 문제들에 대한 충분한 대답 이 되겠는가?
② 이러한 문제는 근본적으로 무엇때문에 발생되는가?
7-2 교회는 성경을 기초로해서 선다. ( 엡2:20 사도들과 선지자들의 터위에 세움을 입었다. )
7-3 어거스틴의 글을 그릇되게 인용한 것을 시정한다.
<어거스틴의 글>
나는 교회의 권위에 의하여 감동되지 않는한 복음을 믿지 않는다.
복음을 받게 하는 유일한 길은 교회밖에 없다.
7-4 성경을 證明하는 것은 성령이다.:
성경진리에 대한 우리의 확신이 인간의 억측이나 판단이나 이성따위 보다는 높은 근원 즉, 성령의 감추인 증거로 부터 기인 되지 않으면 안된다.
7-5 성경은 그 자체가 證明한다.
성경은 그 자신이 증거하고 있으므로 - 그 자체에 의하여 믿어져야 하는것 - 증명이나 변 론에 붙여질 것이 아니요, 성령의 증거에 의하여 우리가 받아 들여야 그 확실성을 얻을 수 가 있다는 것으로 확증을 삼아야 한다.
◈ 질문
① 성령의 증거에 의한 성경 자체의 증명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② 성경 자체의 논리체계로는 증명이 불가능한 것인가?
3. 성경의 신빙성 증명
≪ 제8장 : 성경의 신빙성은 인간 이성이 허용하는 한도내에서도 충분히 증명된다. ≫
8-1 성경에 관한 구약,신약의 일반적 증거 즉, 독특한 권위, 진리, 단순성, 효능
8-1-1 성경 내용의 탁월성 (모든 인간의 지혜를 초월한다)
순서배열에 있어서
존엄성에 있어서
진리에 있어서
단순성에 있어서
효능에 있어서
8-1-2 성경은 文體보다 내용이 결정이다.
8-1-3 구약성경의 특별한 증거들 ( 모세 5경 )
구전 전승
성경은 다른 문서들 보다 오래된것
8-1-4 모세 5경의 존엄성
5경에는 모세의 신실성을 실증해 주고 있으며 그가 바로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은자 임은 이론한 여지가 없다.
8-2 이적들과 예언에 관한 반대론 시비
8-2-1 모세 5경의 이적기사와 예언들
5경의 이적들은 모세가 전한 율법과 가르친 교훈의 확증들이다. (백성들이 모인 공회석상 에서 공포한 사실)
8-2-2 모세의 교훈은 절대적인 이적, 기사들로 인증이 된다.
◈ 모세의 이적, 기사가 마술이라는 이교도들의 주장에 대한 칼빈의 반박
모세는 신접한 자들을 처형했으며
하나님의 명하시는 것을 수행하는 청지기였음을 명시
8-3 신약성경의 단순성, 神的 성격 및 권위에 관하여
8-3-1 신약성경의 특별한 증거들
공관복음 저자들의 조화와 선미한 문제
요한, 바울, 베드로의 권위
바울의 회개전향
◈ 질문
① 記者들의 권위, 記者의 전향이 과연 특별한 증거가 되는가?
②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신약성경이 진리가 되는 특별한 증거는 무엇인가?
8-4 교회의 동의와 순교자들의 진충
8-4-1 교회 역사의 증거들
교회가 진리를 받고 보수함
진리 자체의 무적의 힘
경건한 성도들의 일치점
8-4-2 순교자들의 증거
4. 성경의 중요성 인식
≪ 제9장 : 광신자들은 성경을 배척하고 직접적 계시를 중시하고 모든 경건의 원리를 전복 하려한다. ≫
9-1 광신자들은 신령파란 이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모독한다.
9-1-1 사도들과 모든 참성도들의 증거 (이사야 59:21 / 바울․고후12:2, 딤전4:13)
9-1-2 그리스도의 靈으로 증거 (요16:13)
9-2 성령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알수 있다.(직접계시가 아님)
9-3 성령과 성경의 밀접한 관계
5. 성경의 목적성 증거
≪ 제10장 : 성경은 모든 이교도들의 神들을 배격하고 참 유일하신 하나님만을 믿도록 해 주며 또 모든 미신을 고쳐준다.≫
10-1 창조주 되시는 하나님에 대한 성경의 교훈
10-2 하나님의 속성들
모세 : 영원자존성, 완전성
다윗 : 완전성
예레미야 : 자비성, 심판성, 공의성
10-3 이교도들은 하나님의 유일성을 모른다. (우상숭배자 들은 핑계가 있을 수 없다)
Ⅲ. 성경신학적 성경관 고찰
1. 성경의 필요성 제시 (요20:31)
1) 하나님을 아는데 필요하다. (신4:32-35)
◉ 하나님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神 觀
人 生 觀
歷 史 觀
世 界 觀
2) 구원을 얻는데 필요하다. (딤후3:15․롬1:17)
구 분 |
일반학문 |
전통신학 |
자유주의신학 |
성경신학 |
인식대상 |
학문자체 |
성경의내용 |
성경의교훈 |
영원하신 하나님 |
인식도구 |
일반계시 |
특별계시(성경) |
일반계시(경전,문헌) |
특별계시(성경) |
인식주체 |
타락한 이성 |
신앙하는 이성 |
이성과 신앙 |
중생한 이성 |
인식주관 |
교수 |
목사 |
공동체 |
성령 |
3) 온전케 되는데 필요하다. (딤후3:17)
(1) 진리 : 여호와를 경외하는것이 지혜의 근본이라 (잠9:10․단11:32)
(2) 자유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8:32․마11:28-30)
(3) 평화 : 심령의 안식을 얻음 (시131편․잠4:23․요14:27,16:33․롬8:6․골3:15)
(4) 정의 : 인생의 가치관 설정 (롬14:8․빌1:20-21)
(5) 행복 : 하나님의 뜻 (엡4:12-13․골1:28․살전5:17-18)
2. 성경의 진리성 입증
1) 성경 내용의 통일성
(1) 구약 내용의 통일성
섭리를 통한 언약 : 창세기~에스더 (그리스도의 나라를 언약)
찬양을 통한 언약 : 욥기서~아가서 (그리스도의 속성을 언약)
예언을 통한 언약 : 이사야~말라기 (그리스도의 사역을 언약)
(2) 신약 내용의 통일성
예수를 통한 성취 : 마태복음~요한복음 (그리스도로 오신 예수의 성취사역)
성령을 통한 성취 : 사도행전~요한계시록 (보헤사로 오신 성령의 성취사역)
2) 구약과 신약의 연관성
(1) 주제상의 연관성
구 분 |
구 약 성 경 |
신 약 성 경 |
자유주의신학 |
고난의 하나님 |
해방자 예수 |
보수주의신학 |
언약의 하나님 |
구원자 예수 |
성 경 신 학 |
여호와 하나님 |
예수 그리스도 |
(2) 내용상의 연관성
구 분 |
구약성경 |
신약성경 |
자유주의신학 |
옛계약 |
새계약 |
보수주의신학 |
구속계약 |
구속성취 |
성 경 신 학 |
실체적언약 |
실체적성취 |
Ⅳ. 結 論
1. 성경은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다.
(1) 내용상 논리적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2) 역사상 실제적 사실성을 입증해 준다.
2. 성경은 언약사적 구조로 해석해야 한다.
구 분 |
구 약 성 경 |
신 약 성 경 |
계시 형식의 원리 |
언 약 |
성 취 |
원리 전개의 내용 |
이스라엘 나라 |
하나님 나라 |
계시 전개의 방법 |
그리스도 언약 |
그리스도 성취 |
계시 내용의 방식 |
모형적 |
실체적 |
주제 설정의 방법 |
하나님은 여호와 (본주제) |
예수는 그리스도 (부제) |
3. 성경은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케한다 (신18:21-22)
'목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치유목회에 관한 연구 (0) | 2010.01.18 |
---|---|
[스크랩] 상담 치료학 (0) | 2010.01.18 |
[스크랩] 상담 치료학 (0) | 2010.01.18 |
[스크랩] 성경적 상담학 (0) | 2010.01.18 |
[스크랩] [동영상] 옥한흠 목사의 "한국교회 진단" (0) | 2010.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