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한글의 유래
《세종실록》에는 훈민정음이 “고전(古篆)을 본땄다(倣)”라고 하는데,[15][16] 이 말이 모호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고전’의 해석에는 한자의 전자체(篆字體)라는 설과 당시에 ‘몽고전자’(蒙古篆字)로도 불렸던 파스파 문자를 말하는 것이라는 설이 있다. 《환단고기》를 인정하는 사람은 이것이 가림토를 일컫는 말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본땄다’(倣)에 대해서도 그 생김새만이 닮았을 뿐이라는 풀이와 만드는 데에 참고를 했다, 또는 모두 본땄다 등의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940년 《훈민정음》(해례본)이 발견되기 이전에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설명한 문헌이 존재하지 않아 그 유래에 대한 여러 이론이 제기되었으나,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자음과 모음 각각에 대한 창제 원리가 상세히 설명되어 기본 자음 5자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추상화하고, 기본 모음 3자는 천지인 3재를 상징하여 창제되었고 다른 글자들이 획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분명히 밝힘으로써, 여러 이설들을 잠재우고 정설이 되었다. 그 이전에 제기되었던 주요 학설은 다음과 같다.
그밖에도 서장(西藏)글자·오행(五行)이론 등이 있었다.[17] |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글子母의 숭고하고 장엄한 비밀(secret) (0) | 2009.04.02 |
---|---|
[스크랩] 한글에 대한 오해들... (0) | 2009.04.02 |
[스크랩] UN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훈민정음" (0) | 2009.03.18 |
[스크랩] 반크, 한글 세계화 사업 착수 (0) | 2009.03.18 |
[스크랩] 한글의 뿌리 (0) | 200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