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56개 민족 간략소개
1. 한족(漢族)han ethnic minority group
중국의 한족은 인구가 가장 많으며 역사적으로 주로 황하와 장강. 주강 삼각주유역과 송료평원에 살고 있었다. 한이라는 칭호는 동한 시기부터 시작하였다. 2.한족은거주지역이 넓어 생활습관과 언어 그리고 복장 등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3.소주일대의 부녀들은 전통적인 오복을 입는다. 머리에는 흑색의 천을 두르고 백색비단의 목둘레. 허리에는 채색의 허리띠를 메고 있다.
2. 조선족(朝鮮族)Korean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중국의 조선족은 현유인구가 1,920,597명이며 주로 길림성과 흑룡강성, 요녕성에 분포돼 있고 일부가 내몽골자치구와내지 일부 성시에 분산돼 살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조선족의 주요 집거구이다. 만랴오닝(遼寧), 길림(吉林),흑룡강(黑龍江)에 주로 위치하고 있고, 그 외에도 북경(北京), 천진(天津), 신장(新疆), 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서안(西安), 제남(濟南), 항주(杭州) 등의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분산되어 있다. 그래도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구가 중국 조선족의 주요 집거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조선족은 18세기 초반부터 19세기 말 사이에 조선반도로부터 속속 이주해온 민족으로서 중국에서 생활한지가 지금까지 이미 300여 년이 된다.
언어와 문자 : 거의 모든 조선족이 조선어를 사용한다. 자체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으며 기독교와 유교를 숭상한다. 종 교 : 대표적인 하나의 종교는 없고, 토테미즘과 조상숭배부터 유교, 도교, 불교로 변해왔고, 현재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신도가 가장 많다. 기 타 : 다른 민족에 비해 문화, 교육, 위생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인해 자부심이 대단하며, 조선어의 출판이나 신문, 잡지, 방송 등활동이 활발하다.
3. 오로첸족(鄂?春族)Oroqen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7.004(1990). 오로첸족은 주로 내몽골자치구동북부의 오로첸자치기, 모리따와기(莫力達瓦旗), 아영기(阿榮旗), 흑룡강성의 타하(塔河), 후마(呼瑪), 쉰크(遜克), 가음(嘉蔭)현과 흑하시에 분포됐다. 오로첸족이 생활하고 있는 대소흥안령은 중국동북지역, 흑룡강류역의 두 개 큰 산맥으로서 도처에 원시림이 무성하다. 여기에는 검정귀버섯, 버섯, 개암 등 토산물과 약재가 풍부하며 많은 진귀한 짐승들이 자라고 있다. 오로첸족은 세세대대 이 망망한 림해에서 수렵에 의해 생활을 유지해왔다. 50년대에 이르러서야 삼림에서 나와 반농경 반수렵의 정착생활을 시작했다. 종 교 : 샤머니즘, 각종 자연물을 숭배하며 모든 만물에 혼이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언어와 문자 : 스스로의 언어가 있으나 문자는 없다.
4. 다우얼족?斡?族)Daur ethnic minority group
흑룡강(黑龍江)과 내몽고(內蒙古), 신장(新疆)에거주하고 있다. 동북의 풍요하고 아름다운 지역안에서 생활하고 있는 다우얼족은 농업을 위주로 한 목축업과 어업생산도 하고 있다. 주요 분포지는 내몽고, 치치할시와 신강탑성(塔城)이다. 인 구 : 121,463(1990)
언어와 문자 : 다우얼語 (알타이어系 몽고어族). 문자는 없다. 대부분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소수가 몽고 문자나 하사커 문자를 사용한다. 다우얼족은 문자가 없고 한문, 만족문 및 몽고문을 사용하며 언어는 알타이어계 몽고어족 다우얼족어이다. 다우얼족이 쓰는 방언은 3가지가 있다. 이 민족은 오랜시기 여러 민족들과 생활해 왔기에 한, 몽고, 위글어, 하싸크, 어원크족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종 교 : 샤머니즘으로자연숭배와 토테미즘, 조상숭배를 한다. 그리고 소수의 라마교가 있다.
5. 만족 (?族) Manchu ethnic minority group
동북3성과 랴오닝(遼寧)성에 가장 많이 분포하여 있으며, 그 외에도 북경(北京),천진(天津),신장(新疆), 상해(上海), 성도(成都), 광주(廣州), 은천(銀川),서안(西安)등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두루 거주하고 있다. 그래서 넓게 분산했지만 또 작게 모여 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5개의 만족자치현과 약간의 만족마을이 있다.
인 구 : 9.846.776(1990) 언어와 문자 : 만語(알타이어系 만-통구스어族). 1599년 누얼하치에 의해 몽고문자를 이용한 "만"문자가 만들어졌으나, 한족과 동화되면서 약간의 단어와 몇 마디 말외에는 모두 소멸되었다. 만문은 16세기말 몽고문자를 참조하여 창조되었다. 그리고 경제, 문화, 생활상에서 한족과 왕래가 밀접했기에 만족인들은 한문을 잘 이용했다. 종 교 : 만족은 처음부터 다신교인 샤머니즘을 믿었었고, 지금까지도 민간에서는 샤머니즘을 신봉하고 있다.
6. 어원크족 (鄂?克族) Ewenk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6,379(1990). 주로 내몽골자치구 후룬베르맹의 어원크자치구에 집거해 있으며 일부는 진빠르호기(陳巴爾虎旗), 얼꾸나좌기(額爾古納左旗), 모리따와기(莫力達瓦旗), 아영기(阿榮旗), 짜란툰시(?蘭屯市)와 흑룡강성 눌하현 등지에 분산돼 몽골족, 다우르족, 한족, 오로첸족 등 민족과 잡거해 있다.
지 역: 어원크족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은 대흥안령지맥의 구릉산지역으로서 넓은 초원과 무성한 원시림, 수많은 하천이 있어 자원이 풍부하고 풍경이 아름답다. 부동한 자연조건으로하여 각지역 어원크족의 생산생활방식에비교적 큰 차별이 있다. 어원크족자치기와 진빠르로기에 거주한 어원크족은 주로 목축업에 종사하고 눌하현의 어원크족은 농업에 종사하며 모리따와기, 아영기, 짜란툰시 등지의 어원크족은 반농업 반수렵생활을 하고 얼꾸나좌기의 어원크족은 아직 전통적 수렵생활을 하고 있다
종교, 언어와 문자 : 어원커語 (알타이어계, 만-퉁그스어족), 본 민족 스스로의 문자는 없다. 세가지 방언을 갖고 있다. 어원크족은 대다수 싸만교(薩滿敎)를 신앙하며 목축업구 주민들은 장전불교(藏傳佛敎)를 신앙한다. 그들은 자체의 언어를 갖고 있는 바, 알따이어계(阿爾泰語系)만-- 통꾸스어족(滿--通古斯語族)통꾸스어지에 속하며 휘(輝), 이민하(伊敏河), 모르끄하(莫爾格河), 오루꾸야(熬魯古雅) 등 4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7. 위구족(裕固族 ) Yugur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위구족은 인구가 약 10,569명의 적은 민족이다. 주로 감숙성숙남위구족자치현과 주천시황니보위구족향에 분포돼 있다. 위구족은 하서주랑 중부지대에 살고 있는데 초원이 넓고 초질이 우량하여 대대로 목축업을 해왔다. 하늘을 뒤덮일 듯한 원시림에는 많은 진귀한 야생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질이 묻혀있다. 그 중의 옥석은 제일 유명하다.
언어와 문자 : 야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 지역에 따른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쓴다. 위구족은 현재 3가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위구족은 위구족 문자와 한어, 한문을 이용하고 있다.
종 교 : 고대에 샤머니즘, 마니교, 경교와 불교 등을 믿은 적이 있고, 11세기 이후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했다. 그 중 이슬람교의 수니파를 믿는 사람이 다수이다. 풍속습관은 장족과 흡사하다. '위구르'는 본 민족의 자칭으로 '연합', '협조'의 의미를 갖고 있다. 대부분 신장(新疆), 天山 이남의 오아시스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소수가 호남성에 거주하고 있다.
8. 몽골족(蒙古族)Mengol ethnic minority group
중국의 내몽고(內蒙古) 지역과 신장(新疆), 칭하이(靑海), 깐쑤(甘肅), 흑룡강(黑龍江), 길림(吉林)등에 거주. 중국동북, 서북지역에는 일부분만 분포돼 있다. 몽골족은 역사가 유구하고 전기적 색채가 짙은 민족이다.
인 구 : 4.802.407(1990통계) 언 어 : 몽골족은 자체의 언어문학이 있다. 몽골족 언어는 알따어계(阿爾泰語系)몽골어족에 속하며 내몽골, 위라트(衛拉特), 말후(馬爾虎)--부리아트(布里亞特) 3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문 자 : 13세기초에는 위구르어 자모를 이용. 후에 장족의 자모를 원형으로 하는 문자를 창제. 14세기 초에 몽고족 어언학자의 문자 개혁에 의해 현재의 문자가 되었음. 몽골족은 과학문화분야에서 비교적 발달했는데 특히 명조이래 역사, 문학, 언어, 의학, 천문, 지리 등 면에서 조국의 과학문화사업에 중대한 공헌을 했다.
의식주 : 몽고족 전통의 옷은 현재 거의 사라졌으며, 쇠고기와 양고기와 우유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 목축 지대에서는 운반에 편리한 멍구빠오(蒙古包)에 거주하고, 농촌에서는 한족과 다름없는 단층주택에 살고 있다. 천여년 내 몽골족은 줄곧 유목생활을 해왔으며 중국 대부분 초원에 모두 몽골족 유목민의 발자국이 찍혀져 있다.
종 교 : 초기에는 샤머니즘을 숭배. 징기스칸이 샤머니즘을 반대하고 다른 종교를 존중하게 되자, 이슬람교와 기독교가 들어왔다. 16세기에 들어서면서 라마교를 신봉하게 되었고, 18세기의 청조 통치자들은 몽고 지역에 라마교를 제창할 뿐 아니라 그 영향을 확대시켰다. 그것은 몽고족의 인구 성장의 속도를 감소시키데 주요한 영향을 끼쳤다.
9. 투족 (土族)
인구 : 투족은 현유인구가 191,624인에 달하며 주로 청해성 호조, 민화, 대통 등 현에 집거해 있다. 소수가 티벳지역에 살고 있다. 투족은 가요무도에 능하며 민족문학내용이 매우 풍부하다. 종 교 : 원래 다신교 혹은 도교를 믿던 민족이었으나 원, 명 이후 라마교로 개종했다.
언어와 민족 : 투족의 민족언어는 아르따이어계(阿爾泰語系)몽골어족에 속하며 한어를 통용한다. 한어와 장족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자가 없으므로 한자나 장족문자를 빌려쓰고 있다. 최근 라틴자모를 기초로한 투족문자를 만들었고 현재 시범사용 중에 있다. 투족인은 장전불교(藏傳佛敎)를 신앙한다. 그들은 농업에 종사하며 아직 양을 사양하는 습관을 보존하고 있다. 투족은 토석구조의 단층집에 거주하며 주로 밀, 수수, 옥수수를 먹는다.
10. 허저족(赫哲族) Hezhen ethnic minority group
허저족은 중국 소수민족가운데 인구가 제일 적은 민족의 하나이다. 흑룡강성의 요하, 무원 두 현과 가진구(街津口), 사배(四排), 팔차 3개 민족향이 있다. 허저족은 문자가 없는데 한문을 통용하며 민족언어만 있다. 많은 언어는 만족어와 비슷하다. 현재 40여세 이하의 허저족 사람들은 자기 민족어를 모르며 한어를 쓰고 있다. 허저족은 어업과 수렵을 위주로 한 경제를 핵심으로 한다. 중국 동북지방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 중의 하나로 흑룡강(黑龍江)에 거주하고 있다.
인 구 : 4,254(1990). 중국의 민족 중에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이다. 언어와 문자 : 허저語(알타이어系 만-퉁구스어族 만어支 ). 문자는 없다. 종 교 : 샤머니즘. 그러나 현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기 타 : 허저족은 어렵을 주로 하는 민족으로 주식도 생선이고, 가장 특색있는 것으로는 생선의 비늘로 만든 옷이다. 생선비늘로 상의 뿐 아니라 바지와 혁대와 주머니 등등을 만드는데 보온효과와 방수뿐 아니라 무척 아름답다. 지금도 소수의 허저족이 이 옷을 만든다. 허저족이라는 이름은 허저인(赫哲人)들이 자신들을 "허즌(赫眞)"이라 칭한 데서 비롯된다. "허즌"이라는 말은 하류(또는 동방)에 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외에도 "헤이진(黑斤)"?"허진(赫金)"?"헤이저(黑哲)" 등의 명칭이 있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 "허저"라는 명칭으로 통일되었다. 허저족은 알타이어계 만주퉁구스어족 만주어 갈래에 속하는 그들의 고유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문자는 없다. 오랫동안 한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교류를 가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국어와 중국문자를 잘 알고 있다.
11. 싸라족 (撤拉族)Salar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87.546(1990) 주로 청해순화 싸라족자치현에 집거했으며 일부가 청해, 감숙, 신강 등 주현에 분포돼 있다. 언어와 문자 : 싸라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한어를 빌린 단어가 꽤 많다. 그리고 종교상의 언어는 아랍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자는 없고 한자를 쓴다. 싸라족 집거구는 청해성동부의 황하연안에 위치해 있는데 기후가 온화하고 태양복사가 강하고 일조시간이 길어 밀, 쌀보리, 메밀, 옥수수, 조 등 농작물 및 과일남새의 생장에 적합하다. "순화고추(循化椒)"는 이곳의 유명한 특산이다.
종 교 : 이슬람교의 수니파 싸라족은 이슬람교을 신앙하며 그 생활습관은 대체로 회족과 비슷하다. 싸라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바 알따어계(阿爾泰語系)돌궐어족(突厥語族)서흉노어지(西匈語支)의 우꾸스족(烏古斯組)에 속하며 인근의 한족, 회족, 장족 등 민족들과의 내왕으로 많은 한어와 장족어도 흡수했다. 싸라족은 문자가 없고 한문을 사용한다. 농업과 원예업(園藝業)이 발달하였고, 밀 ·쌀 ·메밀을 주식으로 하며, 초가집에서 산다. 1954년에 거주지에 쉰화싸라족자치현이성립되었으며, 1981년에는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싸라족[積石山保安族東鄕族撒拉族] 자치현이 성립되었다. 알타이어족(語族)의 투르크어족에 속하나 대부분이 중국어를 사용하고 일부는 티베트어(語)를 쓴다. 그들의 선조는 13세기경 사마르칸트에서 이주하여 왔다고 하며, 사라추[沙剌簇] ·싸라[撒喇] ·싸라후이[撒拉回]라고도 하였다. 이슬람교를 믿으며, 그 계율(戒律)에 따라 생활한다. 윗도리 위에 검은색 조끼를 입으며, 여자는 머리에 보자기를 쓰는데, 남자는 검은색이나 흰색의 둥근모자를 쓴다.
12. 마오난족 (毛南族) Maonan ethnic minority group
마오난족은 현유인구가 71968인에 달하며 주로 광서장족자치구서북부의 환강현에 분포돼 있고 일부분이 남단, 하지, 도안 등지에 분산돼 있다. 모난족지역은 운귀고원동부와 잇닿아있는데 중부는 모난산, 동북부는 구만산, 서북부는 봉황산, 서남부는 대석산구로서 임목이 무성하다. 이곳은 아열대기후에 속하며 농경, 목축업에 적합하다. 마오난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고 이밖에 사양업과 기타 부업을 경영하는데 주로 잡곡을 재배하며 일부 지역은 벼를 재배한다.
언어와 문자 : 모난족은 자체의 민족언어가 있는데 장한어계(藏漢語系)장뚱어족(壯東語族)뚱수이어지(東水語支)에 속한다. 그들은 민족문자가 없으며 한자병음으로 모난어민가 등을 기재하고 있는데 "토속자(土俗字)"라고 한다. 많은 모난인이 장족어와 한어에 능하며 한문을 통용한다.
종 교 : 자연숭배와 도교를 믿는다. 기 타 : ‘마오난'은 원래의 발음은 '아난'이라고 하는데, 이것은'이 땅의 사람'이란 뜻이다. 중국 전체인구는 72,370명(1992년)이다. 스스로는 “ Yin lau(印繞) ”또는 “ Ai lau ”라고 하고, 역사상 “ Yang huang인 ”이라고 오랜 동안 불려 오다가 1986년 6월 Mao nan족(毛南族)으로 현재의 호칭을 확정했다. 그러나 본인들은 아직 Yang huang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13) 요족 (?族) Yao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137.033(1990). 현재 광서, 호남, 운남, 광동 및 귀주와 강서 등 성 자치구의 150여개 현의 산지에 주로 집거하고 있다. 이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흑색과 하늘색의 복장을 즐겨 착용하고 매우 독특한 머리모양을 하고 있다. 요족은 대부분 아열대지구에서 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해발이 1000내지 2000미터 높은 지대에서 살고 있다. 이들은 주로 농업을 위주로 임업도 성행을 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야오어(漢藏語系 묘요어족). 지역에 따른 방언의 차이가 너무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다. 문자는 없고, 한문을 쓴다. 언어는 한장어계장면어족의 묘요어족요어에 속한다. 오랜시기 한족, 장족, 묘족 등 민족들과 접촉하면서 대부분 요족 인민들은 한어와 장족어, 묘족언어를 알고 있다. 대부분 요족들은 지금까지 수렵, 물고기잡이와 같은 원시적인 농경문화를 보존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옥구슬을 뀐 복장과 오랜 전설, 아름다운 요족민요와 춤도 있으며 독특한 혼례방식과 종교신앙을 갖고 있다. 광서, 운남, 광동, 귀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종 교 : 조상숭배, 도교. 장례 등의 행사들을 모두 도교식으로 할 정도로 도교의 영향이 크다. 기 타 : 미아오족, 셔족과 언어가 비슷하고 전설이 비슷하다.
14. 써족 (?族) She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634.700(1990) 주로 복건, 절강 두 성의 광대한 산지역에 집거해 살고 있다. 그 외 강서, 광동과 안휘성 경내에도 살고 있다. 이들은 10호를 단위로 자연촌락을 형성하고 있다. 써족지구는 중국동남구릉지대에 위치해 있어 산이 높지 않고 기후가 습윤하고 자원이 풍부해 벼 등 농작물이 생산되는 외에 버섯과 혜명차가 이름이 있다.
언어와 문자 : 셔어(한장어계). 언어를 두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의 방언은 0.4%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고, 다른 방언은 99%의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 한어의 일종이다. 문자는 없다. 그러나 자기의 민족언어를 갖고 있는데 대부분 지방방언을 쓴다. 본 민족문자는 없다. 때문에 한문이 통용되고 있다. 90% 정도가 복건, 저장, 광동 등에 살고 있다.
15. 징족 (京族) Jing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징족은 인구가 18,915명에 달하는데 주로 광서자치구 방성시의 만미, 산심, 무두담길 4개 자연촌에 집거해 있다. 광서의 남부에 살고 있다. 1958년에 정식으로 명칭을 '징'이라고 붙였다.
기후 : 징족 거주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해산물이 풍부한바 700여 가지 바다고기 외에 진주, 판해마, 실고기 등으로 유명하다. 경제 :징족은 어업을 위주로 하고 농업을 부업으로 하고 있어 연해어업과 농경혼합경제문화류형에 속한다.
언어와 종교 : 본 민족언어 징어가 있으며 한어를 통용하고 있다. 징족인은 천주교, 도교를 신앙한다. 조상숭배, 다신교. 기 타 : 징족은 15세기 이후로 월남에서 넘어온 민족이다. 바닷가에 살아서 어업과 농업을 주로 하고 있다. 징족의 선조는 원래 베트남에 거주했는데 일부 사람들이 해남도산연해에서 어업에 종사하다가 무두섬 등지에 이르러 정거했는데 지금까지 이미 40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16. 투쟈족 (土家族) Tujia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투쟈족은 5,704,223명 인구를 갖고 있으며 주로 호남 상서투쟈족묘족자치주, 호북은 시 투쟈족만족자치주에 집거하고 있다. 그 외 사천성의 석주, 수산, 검강 등 현에도 분포되어 있다. 투쟈족지역은 산이 험악하고 물산이 풍부하다. 기이한 자연풍경과 농후한 민족풍미가 있어 국내외 유람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그중 장가계는 제1국가삼림공원으로 이미 신흥의 유람명승지로 되였다.
언어와 문자 : 투쟈족은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에 속한다. 대부분사람들은 오랜시기 한족들과 잡거했기에 일찍부터 한어, 한문을 사용해왔다. 오직 상서(湘西)의 룡산, 영순, 고장 등 현의 일부지역에서만 투쟈족어를 사용한다. 세월이 갈수록 점점 한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 결국 오늘에 와서는 90%이상이 한어를 사용한다. 투쟈족은 주로 농업생산에 종사해왔는데 경제, 문화발전에서 한족의 영향이 비교적 크지만 자기의 특점을 보존하고 있다.
종 교 : 조상숭배 기 타 : 투지아족은 고대 후남에 살고 있는 원주민과 한족의 융합으로 생겨난 민족이다. 최근 그쪽에서 신석기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민족 원류 오랜 동안 호남(湖南), 호북(湖北), 사천(四川), 중경(重慶), 귀주(貴州)의 5개 지역의 접경에서 농경 사회를 이루며 토착 원주민으로 살아 왔음이 기록에 나타난다.
문자, 언어 : 그들 고유의 문자는 없지만 언어를 통해 문화의 단면이 구전되고 있고 중국 역사서(歷史書)인 후한서(後漢書)에서 그 편린을 볼 수 있다. 꾸이저우성에는 118만 여명이 있다. 투지아족은 자칭하기를 “ Bi ci ca ”또는 “ Pi zi kha”라고 했는데 “본지인(本地人)”이란 뜻이다. 즉, 그 지역의 토착민이라는 뜻이 있고 “ 토만(土蠻), 토이(土夷), 토가(土家), 토인(土人), 토파로(土巴爐) ” 또는 “ 바이카(白 이웃이란 뜻) ”라고 불리기도 했다. 고대로부터 이 지역에 파국(巴國)이 있었고 그리하여 주민을 파인(巴人)이라 했는데 그 후예인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일반적으로 투지아족은 고대 귀주(貴州)로부터 호남의 서부지역으로 이동해간 파인(巴人)의 후예로서, 오만(烏蠻)으로 불렸던 민족이다. 특히 당나라 말기 팽감(彭甘)이 끌고 간 남이(南夷)와 현지 토인(土人)들이 하나의 투지아족으로 늘어난 것이다. 고대의 파인은 호랑이를 숭배했는데 투지아족의 조각, 자수 등에는 늘 호랑이를 도안한다. 고대 파인의 5대 성씨(姓氏)중 담(覃), 전(田), 란(蘭)등 3개 성씨가 지금도 주축을 이룬다. 투지아족 문화 발전의 과정에서 한족 문화의 영향은 나날이 증가하였다. 명청(明淸)이후 대부분 투지아족 구역에서는 사용하던 토가 언어를 점차 사용하지 않고,한어 한문을 사용하였다. 오늘에 와서 투지아족구역과 한족 구역의 연계는 더욱더 밀접해졌고, 한족의 선진 문화는 이전보다 더욱더 빨리 투지아족에 받아들여졌고, 투지아족의 전통문화도중요시되고 있다. 방언 언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漢藏語系 藏緬語族)중 하나의 독립언어로서 장어(藏語), 이어, 치앙어(羌語), 징푸어어(景頗語)와 같은 계통이라 할 수 있다. 인구의 90% 이상이 표준어에 가까운 언어를 사용한다. 샹시(湘西)의 롱산(龍山), 빠오칭(保淸), 영순(永順)등의 3개의 현(縣)을 접하는 산지와 호북성의(湖北省) 라이훵현(來風縣)에서는 약 3만의 사람들이 투지아족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17. 고산족 (高山族) Gaoshan ethnic minority group
고산족은 현 유인구가 40만인데 주로 중국대만성에 거주하고 있으며 기타 3000여명이 대륙복건, 절강 등 연해지역에 분산돼 있다. 고산족은 많은 분지가 있는바 주로 아메인(阿美人), 태야인(泰雅人), 패만인(排灣人), 포농인(布農人), 로개인(魯凱人), 비남인(卑南人), 조인(曹人) 등이 망라된다. 고산족지역은 대만 중부산지역, 동부종곡평원과 란서섬에 처해있는데 해발500내지 2000m에 달하며 열대와 아열대기후에 속하며 삼림피복면적이 매우 큰바 "삼림 보물고"라고 불리우고 있다. 고산족은 벼 재배 농경경제를 위주로 하고 어업을 보조로 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고산족언어는 남도어계(南島語系) 인도네시아어족에 속한다. 각 지역 고산족 언어차별이 비교적 큰 바 목하 약 15가지 언어가 있으며 대체로 "태야(泰雅), 조(曹), 배만(排灣) 3대 어군(語群)으로 나뉜다. 고산족은 통용되는 민족문자가 없다. 대륙에 분산돼있는 고산족은 한어를 통용한다.
18. 동향족 (??族) Dongxiang ethnic minority group
깐쑤(甘肅)의 동씨앙에 거주하므로 붙은 이름이다. 예전에는東鄕回回 ,東鄕蒙古라고 불리기도 했다.
인 구 : 둥샹족은 인구가 373872명으로 주로 감숙성림하회족자치주의 둥샹족자치현에 집거해있다. 소수는 청해성, 녕하회족자치구와 신강위글자치구에 산재해 있다. 언어와 문자 : 동향語(알타이어계 몽고어족). 문자가 없고, 한문이 통용되며 언어는 몽고어와 흡사하고 위글어, 아랍어, 한어적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알타이어계 몽고어족으로 몽고어支에 속한다.
종교 : 종교는 이슬람교이고 풍속습관은 회족과 서로 접근해 있다. 대부분 사람이 한어를 사용. 기 타 : 동향족은 14세기 후에 많은 민족들이 융합되어 생긴 민족으로, 이슬람교의 색목인과 몽고인이 그 주류를 이룬다. 둥샹족은 농업을 위주로 일부는 목축업을 하고 있다.
19. 보안족 (保安族) Bonan ethnic minority group
보안족은 인구가 12,212인에 달하는데 주로 감숙성 기석산 보안족둥샹족싸라족자치현에 집거했으며 일부가 감숙림하회족자치주와 청해성순화(循化)현에 분산돼 있다. 보안족 거주지역은 감숙서남부에 위치해 있는데 동남부가 림하현과 접하고 서부가 청해성순화싸라족자치현에 접했으며 북부는 청해민화현과 강을 사이에 두고 있고 동북부는 영정현과 황하를 경계선으로 두고 있다. 보안족의 주요 농작물은 밀, 옥수수, 감자, 쌀보리, 완두 등이며 동과배(冬果梨)와 호두도 매우 유명하다.
언어 : 보안족은 본 민족언어가 있지만 문자는 없다. 보안족 언어는 알따어계(阿爾泰語系)몽골어족에 속하며 대다수가 한어에 능통하다.
종교 : 보안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가정생활습속 및 사회 등 면에서 당지회족, 둥샹족 등 민족과 대체로 같다. 보안족은 주로 농업생산에 종사하며 목축업과 수공업도 경영한다. 일찍부터 철제련에 능한 보안족은 칼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 그들이 만든 칼은 "보안칼(保安刀)"라고 불리우고 있다.
기 타 : 13세기 이슬람교를 믿는 몽고족이 청해에 와서 회족, 동향족, 사라족 등과 통혼을 한 결과로 생겨난 민족이다. 비록 여러 가지 민족과 여러 종교신앙이 융합되어 생긴 문화지만 역시 독특한 부분이 있다. 특히 이들은 산지에 거주하고, 농경과 축목업을 위주로 살아간다.
20. 까자흐족 (哈?克族)Kazak ethnic minority group
까자흐족은 현유인구가 1111718인에 달하며 주로 신강위그루자치구의 이리(伊彎) 까자흐자치주, 무레이(木壘)까자흐자치현과 빠리쿤(巴里坤)까자흐자치현에 집거하고 일부가 감숙, 청해 등부분지역에 분산돼 있다. 까자흐족의 주요 집거구는 신강북부에 위치해 있는데 주위에 천산, 알따이산과 타르빠하대산 등 산맥이 둘러있고 가운데가 준고르분지와 이리분지이다. 이곳은 사계절 온도차가 분명하며 분지주위의 군산은 훌륭한 여름목장이고 하천량안의 산곡과 구릉은 매우 좋은 겨울목장이다. 대다수 까자흐족이 조상 대대로 여기에서 유목생활을 하며 소수인은 농업에도 종사한다. 지난날에는 상업에 종사하는 까자흐족이 극히 적었지만 목하 사회주의 경제시장의 발전에 따라 적지 않은 사람들이 경제분야에서 활약하기 시작했다. 까자흐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고 자체의 언어와 문자가 있으며 그 언어는 알타이어계(阿爾泰語系)돌궐어족에 속한다. 까자흐족은 "돌궐문", "회골문(回?文)" 등 문자를 사용하다가 지금은 아랍자모를 기초로 한 까자흐문을 사용한다.
21. 시버족 (?伯族) Xibe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72.932(1990). 이들 중 대부분이 신강이리일대의 察布爾현과 伊犁하류역의 囍城현 등지에 집거해 살고 있다. 그중 일부는 동북의 료녕, 길림성에서 생활하고 있다. 주로 랴오닝(遼寧), 길림(吉林),흑룡강(黑龍江)에 넓게 분포할뿐아니라, 신장에도 다수가 거주하고 있다.
종 교 : 과거 샤머니즘 , 라마교, 조상숭배.
언어와 문자 : 시보語(알타이어계 , 만-통구스어족)를 사용. 시보 문자가 있다. 시버족들은 용맹무상하여 활쏘기에 유명하다 하여 우수한 활쏘기운동원을 배출했었다. 그리고 그들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는데 언어는 알타이어계 퉁그스어족 만주어갈래에 속한다. 그들은 번역을 통해 광범하게 형제민족들의 문학예술을 흡수했다. 《삼국연의》,《서유기》등 십여편은 100여년 전에 번역됐다.
기 타 : 시보족은 교육수준이 비교적 높고 많은 지식인이 민족 언어연구와 교육방면에 종사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번역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보족은 대부분이 말타기, 활쏘기 등의 활동을 즐겨한다.
22. 우즈베크족 (?孜?克族)Ozbek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4.763(1990). 대부분 신장에 거주하고 있다. 우즈베크족의 인구는 약 12,453명이며 주로 신강 위글자치구의 남부와 북부에 분포돼 있다. 종교는 일반적으로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여성들은 수놓기를 즐기는데 그 도안들은 각의각색이어서 매우 아름답다. 절대다수의 우즈베크족 인민들은 도시에서 생활하면서 상업, 교육, 수공업에 종사해 왔으며 일부는 목축업과 농업에도 종사해 왔다. 장기간 우즈베크족과 위글족 인민들은 함께 생활하면서 경제, 문화, 등 면에서 상호 영향을 받아 풍속습관, 음식, 거주, 종교신앙 등 면에서 비슷한 특점을 갖고 있다.
언어와 문자 : 우즈베커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 위구르어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일상 생활에서는 위구르어를 많이 사용한다. 우즈베크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슬라브자모를 기초로 한 알타이어계 투르크어족西匈語계에 속한다
23. 로씨야족 (俄?斯族) Russian ethnic minority group
로씨야족은 현유인구가 13504인에 달하는데 주로 신강위글자치구의 이리(伊彎), 타성(塔城), 아르따이(阿勒泰)와 우룸치 등지에 분포됐으며 일부는 내몽골과 흑룡강 등 성 자치주에 분산돼 있다. 중국의 로씨야족은 근 2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데 최초의 로씨야족은 18세기말 사황로씨야에서 이주해왔으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또 로씨야인들이 속속 이주해와 신강 등지에 정착했다.
로씨야족은 자체의 언어와 문자가 있으며 언어는 인도구라파어계(印歐語系) 슬라부어족(斯拉夫語族)에 속한다. 그들은 대부분 한어를 사용하고 한자를 쓰며 가정에서 혹은 본 민족과 대화할 때는 때로 로씨야어로 말하고 로씨야문자를 사용한다. 로씨야족의 복장과 장식품은 매우 풍부하고 다채로우며 남성은 제복을 입고 가죽장화 혹은 구두를 신고 여성은 원피스를 입는다. 중년들은 대다수 한족복장 혹은 양복을 입는다.
로씨야족은 대다수 동방교를 신앙한다. 도시에 거주한 로씨야족은 대부분 지식분자와 기술노동자이고 농촌에 거주한 로씨야족은 농업, 원예업, 양봉업과 어업에 종사한다. 로씨야족인은 문화소질이 비교적 높아 문화교육사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다.
24. 끼르끼즈족 (柯?克孜族) Kirgiz ethnic minority group
끼르끼즈족은 인구가 141549명에 달하는데 주로 신강위글자치구 서남부의 끼즈르쑤(克孜勤蘇)끼르끼즈자치주 및 북부의 트크스(特克斯), 소수, 아민 등 현에 집거해 있다. 끼르끼즈족 집거지의 서부는 파미르고원과 천산산맥의 숭산준령이고 동남부는 타리무분지에 접한 오아시스이다. 눈 녹임물로 이루어진 크즈르강, 까이즈강, 쿠크사르강이 서부로부터 동부로 경내를 흘러 지나며 고산주위와 하천량안은 넓은 초원으로서 목축업생산에 매우 적합하다. 이밖에 일부 하곡분지는 농업관개에도 유리하다. 끼르끼즈족은 바로 이 토지우에서 세세대대로 유목을 위주로 하고 농경을 겸한 경제생활을 누려가고 있다.
끼르끼즈족은 자체의 언어를 갖고 있는바 알따어계(阿爾泰語系)실궐어족(實厥語族)에 속하며 남북 두 가지 방언으로 나눈다. 역사적으로 전 민족이 이슬람교를 믿기 시작해서부터 아라비아자모를 기초로 한 병음문자를 만들어냈다. 여러 민족간의 래왕이 날로 빈번해지면서 많은 끼르끼즈족인이 이미 위그루족 언어와 까자흐족 언어를 정통하고 있다. 끼르끼즈족의 문화는 매우 풍부하고 다채롭다. 유명한 민간력사시《마나스(瑪納斯)》는 그 웅대한 규모와 생동한 언어로 민간문학의 진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세계전통민족문화가운데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끼르끼즈족의 특유한 악기로서 음조가 풍부한 삼현금 "코무즈(考姆玆)", 수놓기, 조각, 금은장식품 등 전통공예는 모두 자기의 특색을 갖고 있다. 명절 때면 끼르끼즈족은 여러 가지 문예오락활동을 벌려 경축한다.
25. 따지크족(塔吉克族) Tajik ethnic minority group
따지크족은 현유인구가 33,538인에 달하며 주로 신강 위글자치구 서남부의 타스쿠르깐(塔什庫爾干) 따지크 자치현에 분포되고 일부가 자치현이동의 사츠(莎車), 저푸(澤普), 엽성(葉城), 피산(皮山) 등 타리무분지서부 변연지대에 분산돼 있다. 수천년래 따지크족은 부단히 동서방문화의 정화를 흡취해 자체의 특색이 있는 역사와 문명을 창조했다. 따지크족의 주요 집거구인 타스쿠르깐은 세계지붕 빠미르고원 동부에 위치해 있다. 산정에는 일년내내 빙설이 덮여있고 산비탈 하천량안에는 초원도 있고 경작지도 있다. 견강한 따지크족은 세세대대 여기서 생활해왔다.
따지크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으며 보편적으로 위글문을 사용한다. 그들은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주로 목축업에 종사하고 농업도 겸해 경영하는 반정착 반유목생활을 한다. 따지크족은 성격이 견강하고 호방하다. 따지크족의 전설에서 매가 바로 영웅의 상징이다. 특 색 - 확실치는 않으나 기원전 수세기 동안 신강 동부 지역에 이란어를 쓰는 민족이 계속 이주해 살고 있다는 기록이 있음 - 당나라 문헌에도 나타나 있듯이 이란인이 파미르 고원 쪽으로 대거 이주했다가 독립된 민족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임 - 11세기에 접어들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란어를 쓰고 이슬람족을 믿는 민족을 모두 '타지커'족이라 불렀음 - 타지커라는 뜻은 '왕관'을 칭함 - 지금의 타지커족은 옛부터 이 지역에 거주한 타지커족과 뒤에 이곳에 이주한 여러 민족이 오랫동안 혼거하면서 생긴 것임 - 산지에 사는 사람들은 목축업, 평지에 사는 사람들은 농업에 종사 - 이슬람교를 신봉
26. 위그르족 (?吾?族) Uygur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위그르족은 주로 신강의 準爾일대에 집거하고 있으며, 인구는 약 7,214,431명이며 춤 노래를 즐기는 민족이다. 언어와 문자 :동부 위글語(일종의 몽고어), 서부위글語, 한語 세가지 언어를 사용한다.문자는 이미 소실되었다.
종 교 : 과거에는 샤머니즘, 마니교와 불교를 신봉하였으나 명조이후로 라마교를 받아들였고, 현재는 종교를 가진 사람이 적다. 위그르족은 농업 위주인데 면화, 밀, 옥수수, 면 등 농작물을 재배한다. 중국의 최대면적의 포도생산기지를갖고 있는데 이 기지는 우룸치에서 약 184킬로미터 떨어진 두루판 분지에 있다. 위그르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고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위그르족은 춤과 노래를 즐기는 민족으로서 《十二木姆》는 그들의 예술의 정화이다. 또 사발춤, 손북춤은 그들이 즐겨 보고 추는 춤이다. 90%의 위그르족이 감숙성에서 살고 있다.
기 타 : 위그르족과 위꾸족의 조상은 같다. 그들의 조상인 회허인이 왕국이 붕괴되면서 세 갈래로 갈라졌고, 그 중 하나가 위그르족이 되었다.
27. 타타얼족(塔塔?族) Tatar ethnic minority group
대부분이 신장에 거주하고 있다. 주로 신강위글자치구의 이녕, 탑성(搭城), 우룸치에 분포돼 있다. 역사상 타타얼족은 대부분 향진에서 살면서 상업에 종사해 왔고 적잖은 사람은 교육사업을 해왔다. 백여년 동안 타타얼족은 신강을 개발 반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해왔다.
인 구 : 5.064(1990)
언어와 문자 : 타타얼語(알타이어계, 돌궐어족) 그러나 이들은 장기적으로 위글족과 까자흐족과 왕래해 왔기에 이 두 민족의 문자와 언어는 타타얼족의 일상 용어와 통용문자로 되었다. 위구르족, 하사크족과 함께 생활하므로 그들의 언어와 문자를 통용한다.
종 교 : 이슬람교
기 타 : 타타얼족은 옛부터 상업을 위주로 사는 민족으로 오랜기간 중국과 러시아간의 매매를 도와왔고 현재중국각지의 대도시에서 상업활동을 하고있다.
28. 챵족(羌族) Qiang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챵족은 인구가 198,252명에 달하는데 주로 사천성아뻬이장족 챵족자치주무문현에 집거해 있으며 문천, 리현, 흑수, 송번 및 감즈장족자치주 단바현, 면양시 북천현 등지에도 분산돼 있다. 챵족은 역사가 오랜 민족으로서 3천여 년 전 은대의 갑골문에 이미 챵족에 관한 기재가 있다.
언어와 문자 : 챵족은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 챵어지(羌語支)에 속하며 남북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많은 챵족인이 한어에 능하며 자체의 문자가 없고 장기적으로 한문을 통용한다. 사천성에 거주하고 있다.
종 교 : 불교, 도교, 라마교 등이 일찍부터 전해졌고, 가장 다수를 차지하는 신앙은 원시 다신교이다.
기 타 : 옥수수와 두부가 주식이고, 면류를 먹기도 한다. 챵족은 농업을 위주로 목축업을 부업으로 생활하며 수렵과 여러 가지 부업도 겸하고 있다. 민족원류 인류 역사상 돌은 최초로 그 생존의 무기요, 도구였는데 서북 고원지대인 민강(岷江)과 후강의 상류지역에 사는 치앙족(羌族)에게도 독특하고 정감 있는 돌문화(石文化)가 전해지고 있다. “ Qiang(羌) ”이란 고대민족의 명칭이긴 하지만 단일 민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기원전 4세기말부터 청장(靑藏)고원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여러 토착민족들을 모두 일컬은 호칭이다. 한(漢)대 이후로 “ 치앙(羌) ”이라고 불려 왔고, 인구는 1,091명으로 자칭“ Er ma(爾瑪) ”또는 “ Er meng(爾夢) ”이라고 하는데 본지인이란 뜻이다.
고대(古代)에는 감숙성과 청해성을 중심으로 활동했고 귀주성의 치앙족(羌族)은 명대(明代)말기에 사천성(四川省)에서 옮겨 와 이미 14대(代)에 이르고 1986년 6월 27일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해발 1,000m이상ㅡ불정산((佛頂山 1,869m)ㅡ의 산지에 거주하며 의상은 소박해 자신들이 직조해 염색한 토포(土布)와마포(麻布)장삼을 입는다
고대에는 상형문자가 있었으나 기록보다는 구전하는 습관으로 발전해 자연스럽게 소멸되고 말았다. 음식으로는 구운 옥수수빵을 즐겨 먹고, 보리나 밀을 숙성해 만든 자지우는 남녀노소 모두 좋아한다. 결혼할 때 신부가 신랑집에 다다르면 쌀을 바닥에 뿌리고 사악한 것을 제거하는 뜻으로 수탉을 잡아 피를 대문에 뿌리는 풍습이 있다.
절기로는 풍년과 평안을 위해 소나 양을 잡아 피를 섬기는 흰 돌 주변에 뿌리고 산신에게 제사지내는 제산회(祭山會)와 년력(年歷)의 시작인 음력 10월 초하루부터 3내지 5일간 가장 큰 명절로 지내는 일미절(日美節)등이 있다. 토지신등을 섬기는 다신 숭배 사상과 조상숭배의 사상이 있다. 그러나 스치엔현(石阡縣) 탕산쩐(湯山鎭)의 챵족은 이미 언어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전통 의상이나 문화도 한족화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운 실정이고, 다만 1995년 쓰촨에서 거행한 챵족(羌族)회의에 참여해 민족의 정체성만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 언어는 한 장어계 장면어족 강어지(漢藏語系藏緬語族羌語支)에 속하는데 한문화의 영향을 받아 이미 언어가 없어지고 현재 거의 漢語(한어)만 사용하고 있다.
종교 및 신앙 천신, 지신, 목신, 양신, 가신 등의 다신 숭배 사상을 갖고 있으나 이 모든 신들을 돌 중의 영웅돌인 “ 아워얼(阿渥爾) ”이라고 하는 흰 돌(白石)이대표하며, 아름답고 길한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사람이 죽으면 죽은 자의 영혼을 인도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고 여기는 양을 잡아 사람과 양이 하나가 되는 상징성을 부여한다. 결혼할 때 신부가 신랑집에 다다르면 쌀을 바닥에 뿌리고 사악한 것을 제거하는 뜻으로 수탉을 잡아 피를 대문에 뿌리는 풍습이 있다
29. 푸미족(普米族) Pumi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푸미족은 현유인구가 29657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서북고원의 란평로군산과 녕랑(寧?)의 털소산에 거주하고 있고 일부분이 려강, 영승, 위서(維西), 중전(中甸) 및 사천의 염원(鹽源), 무리(木里) 등지에서 당지주민과 잡거해 있다.
언어와 문화 : 푸미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강어지(羌語支)에 속하며 각지 방언의 차별이 크지 않아 일반적으로 모두 서로 통화할수 있다. 많은 푸미족인이 한어, 바이족어, 나시족어, 장족어 등 민족언어에도 능통하다. 지난날 녕랑과 무리의 푸미족이 장족문자자모로 푸미어를 만들어 민족역사전설, 이야기, 가요 등을 기재했는데 널리 전해지지 못했다. 현재 푸미족 지역에서 대부분이 한문을 통용한다.
종 교 : 다신교, 자연숭배. 푸미족은 자연과 선조를 숭상하고 여러 신을 신앙하며 도교와 장전(藏傳)불교를 믿는 사람도 있다.
푸미족 민족 축제 좐샨후이 : 윈난에는 수많은 산들이 있다. 푸미족은 매달 15일 산신에게 제물을 바치는데 음력으로 7월 15일 열리는 좐샨후이가 가장 중요하다. 매년 좐샨바라라고 불리우는 지역에 모든 신들이 모여 사냥대회를 연다는 것이다. 그 중 한 신이사냥 경기에서 승리하게 되고 그 신이 달린 지역은 그 해에 풍년을 이루게 되고, 경기에 패한 신이 달린 지역은 큰 재앙을 만나게 된다 . 마을 사람들은 아침 일찍 일어나 자신들의 신을 경기에 내보내고 향을 피워 행운을 빌며 절을 한다.
30. 나시족 (?西族) Nax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77.750(1990) - 주로 운남리강나시족자치현에 집거해 살고 있다. 운남성 리장(麗江) 등의 서북쪽에 살고 있다.
언어와 문자 : 나씨어(漢藏語系 藏綿語族), 장어,바이어,이어, 하니어와 비슷하다. 나시족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가 있다. 나시문이 있으나 통용되지는 않고, 상형문자인 “東巴”와 음절, 전통적인 “哥巴”란 문자와 선교사가 만든 일종의 라틴화 된 두가지의 문자가 있다. 1000년이 넘는 역사의 두가지 문자(똥빠, 꺼빠)로, 이 문자들은 전설이나 종교 경전을 적는데 사용되어 온 문자로 지금은 이 문자를 아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종 교 : 똥빠교.(원시적인 다신교의 일종), '똥빠'의 원래의 뜻은 '지혜자', '경전을 암송하는 사람'이라는 듯이다. 기 타 : 역사가 깊은 특이한 종교와 문자로 인해 색다른 문화를 가진 민족이다. 나시족의 전통의상은 대부분 중년 이상의 여인들이 많이 입고 있다. 군청색의 상의와 주름잡힌 군청색 앞치마와 가죽으로 만들거나 천으로 두껍게 누빈 등받이 역할을 하는 망토를 입는다. 주택은 흙에 짚을 섞어 직육면체로 만든 벽돌로 지었다. 마을에는 도랑을 만들어 담 옆으로 거쳐가게 만들어 놓았다. 그래서 집으로 들어갈 때에는 1-2m 정도되는 돌다리를 건넌다. 나시족은 농업을 위주로 생산도구와 생산방법은 한족과 같다. 수공업과 상업이 발달되었다.
31. 지누족
인 구 : 지누오족은 현유인구가 18,021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서장반납따이족자치주 경홍현 지노민족향에 집거해 있고 일부분이 경홍현 맹왕(孟旺), 맹양(孟養), 감람패(橄欖覇), 대도강(大渡崗)과 맹랍(孟臘)현의 상명(象明), 맹륜(孟侖) 등지에 분산되어 운남의 지누어산에 살고 있고, 그로인해 지어진 이름이다. 분 포 윈난성 시쐉빤나(西雙版納)주의 지눠(基諾)산과 푸위엔(補遠)산에 살고 있다.
종 교 : 조상숭배. 생 활 : 지노족이 집거한 지노산은 열대산지역에 속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강우량이 충족하다. 이곳은 이름난 차잎 생산지로서 국내외에서 유명한 6대 차잎 생산지이다. 지노족은 예로부터 농업을 위주로 생활해왔으며 벼, 면화, 옥수수가 그들의 전통농작물이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누오족 사회발전이 매우 더딘 바 50년대 초기까지 여전히 원시사회말기로부터 계급사회로 과도하는 농촌공사단계에 처해있어 생산력수준이 매우 낮다. 그들은 보편적으로 원시종교를 신앙하며 자연을 숭상하고 선조를 숭상한다. 지누오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자체의 문자가 없기에 지난날 나무와 참대에 조각하는 것으로 일을 기재했다.
언 어 인구는적은 민족이지만 '요우러(攸樂)', '푸위엔(補遠)'등 두 종류의 방언이 있다. 지눠(基諾)산 일대에서 사용하는 '요우러(攸樂)'방언이 주된 언어로서 90%정도의 인구가 이 언어를 사용한다. '푸위엔(補遠)'방언은 10%정도의 인구가 사용하는데, 두 방언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의 차이를 갖고 있다. 이 민족은 교육과정에서 자기 민족의 언어와 한어(漢語)를 함께배우며 사용한다. 문 자 본래 문자는 없었고 1983년 라틴자모를 기초로 해서 병음법으로 만들어내긴 했으나 아직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시험하는 단계에 있다. 민족이름의 유래 지눠(基諾)족은 1979년 9월 중국 국무원으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은 소수민족이다. 본래 자기들이 부르던 이름을 민족의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또 다른 이름은 '요우러(攸樂)'라고도 부른다. '지(基)'는 외삼촌이라는 의미이고, '눠(諾)'는 후대라는 의미가 있다. 이 말은 합쳐서 외삼촌을 매우 존중하는 민족이다라는 의미도 있다. 아무튼 이런 이름이 모계중심사회를 형성했었던 흔적을 보여주며, 또 그 시기가 길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민족역사 민족의역사는 몇 가지의 전설에 의해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 문자로 정리된 것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이 정사인지는 아직 아무도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32. 와족(?族) Va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351.980(1990). 와족은 주로 운남성 서남부의 서맹(西盟), 창원(滄源), 맹련(孟連),등 현에 집거해 있다. 와족지구는 란창강(瀾滄江)과 싸얼온강(薩爾溫江)사이 누산산맥남단지대에 있다. 산악이 험하고 평원이 아주 적다하여 아와산이라 부른다. 산구의 기후는 비교적 복잡하여 림목생산에 유리하다. 그리고 깊은 삼림에는 코끼리, 범, 곰, 산돼지 등 진귀한 야생동물들이 생활하고 있다.
분 포 : 윈난성의 창위엔(滄源)과 시멍(西盟)이와(Wa)족의 주요 집거지(58%)이고, 멍리엔(盟連), 껑마(耿馬) 등지에도 분산되어 있다. 이들은 해발 1,000-1,500m, 또는 그 이상의 산에서 사는 산지(山地)민족이다. 와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고 부분적인 수렵생활도 하였다. 이들은 또 술을 즐기는데 참대통을 술을 담는 용기로 쓰고 있다. 와족은 춤과 노래를 즐긴다. 이들은 늘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빙 둘러서 손에 손을 잡고 빙빙돌며 춤을 추면서노래도 부른다. 운남의서남부의 '아와산'에 살고 있어서 붙은 이름으로, '아와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종 교 : 자연신을 숭배 언 어 와족 언어는 크게 3가지 방언이 있는데, 서로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는다.
1. '와(Wa)' 방언 빤홍(班洪), 젼캉(鎭康) 등지에서 사용, 따이(Dai)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뿌라오커(布饒克)' 방언 창위엔(滄源), 껑마(耿馬) 등지에서 사용, 한족의 문화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아와(阿Wa)' 방언 시멍(西盟), 멍리엔(盟連) 등지에서 사용하는 으로 '아와'산(山)을 중심으로 살고 있는 이들은 외부와의 교류가 적고, 본래의 전통문화와 언어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도시지역을 제외하고는 중국 보통어의 소통이 잘 되지않는다. 다른 민족에 비해 보통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적다.
문 자 문자는 정부가 '뿌라오커(布饒克)' 방언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 준 것과 1930년대 기독교 선교사가 만들어 준 것이 있는데, 후자는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만 사용되다가 기독교인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적어져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민족 역사 와족의본래의 이름은 '바이푸(百Pu)"였다. 선진(先秦)시절부터 그렇게 불리웠다. '바이푸'는 수(隋)나라시절부터 청(淸)나라에 이르기까지 점차로 발전하면서 뿌랑(布朗)족, 더앙(德昻)족, 와족으로 나뉘게 되었다. 오늘날의 와족은 더 나뉘어 3개의 커다란 집단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1. 뿌라오커(布饒克) 란창(滄源), 껑마(耿馬), 쐉쟝(雙江) 일대에 살고 있으며 한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 아와(阿Wa) 시멍(西盟), 멍리엔(孟連)일대에 살며 와족의 언어와 문화특색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3. 와(Wa) 빤홍(班洪), ?캉(鎭康) 일대에 살고 있으며 따이(Dai)족의 언어와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의 3지계 외에도 빠아오커(巴敖克), 빠펀커(巴芬克), 아와(阿臥), 웨이푸(位弗)등이 더 있다. 의 복 남자나 여자나 지역마다 다른 복장을 하고, 지금은 전통복장과 일반 복장을 겸해서 입는다. 남자는머리를 짧게 자르고 머리에 남색, 검은 색, 붉은 색, 흰색 등의 천으로 두른다. 상의는 옷깃이 없는 옷을 입고, 바지는 넓고 짧은 바지를 입는다.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도 귀걸이를 대나무로 엮은 목걸이와 은목걸이를 하며 발에는 아무것도 신지 않는다.
33. 라후족(拉祜族)Lahu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라후족은 인구가 411,476명에 달하는데 주로 란창강 유역의 사모(思茅), 린창(臨滄) 및 씨놀반나따이족자치주, 홍하(紅河)하니족 이족자치주에 분포됐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에 들어서 서방 선교사들이 라틴 자모를 기초로 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는데,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그 후에 다시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다.
기 타 : 과거에 다이족의 지배를 받았었으므로 발전이 느린 편이었다. 라후족은 계절이 분명한 아열대산지역에 거주해 있으며 란창강지역에 군산이 둘러있어 자원이 풍부하고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라후족의 음악, 무용은 독특한 풍격과 농후한 생활특색이 있으며 구두문학형식이 다양하다.
인 구 - 중국의 인구조사가 1982년과 1990년에 있었는데, 1982년부터 1990년까지의 拉祜族의 인구증가율은 35.28%이다. 분 포 윈난성의 란창(瀾滄)현, 멍리엔(孟連)현 및 윈난성 서남쪽 변경지역(창위안(滄源), 시멍(西盟))에도 일부 거주하고 있다. 주로 산지에 거주하고 있다. 라후(拉祜)족은 중국이 아닌 동남아 국가에도 분포되어 있어 연구를 할 때에 참고 할 수 있다. 미얀마(80,000명), 태국(15,000명), 라오스(15,000명), 미얀마(80,000명), 태국(15,000명), 라오스(15,000명), 월남(6,000명) 등의 나라에도 라후족이 살고 있는데, 불리는 이름은 "머써", "카꾸이" 등이다.
언 어 라후(拉祜)어는 크게 등 2개의 방언(라후시(拉祜西), 라후나(拉祜納))으로 나누는데, 서로 통하지 않는 방언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중국 보통어와 따이(Dai)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 자 1957년에 본래 있던 자모를 기초로 해서 새로 만든 문자가 있고, 기독교 선교사들이 라틴 자모형식을 빌어 만든 것을 기초로 한 라틴어 병음문자도 있다. 자기들의 문자가 보급되지 못한 지역에서는 한자를 사용하지만 공공기관 정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형편이다.
역 사 라후(拉祜)족의 선조는 고대의 챵런(羌人)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상에는 진(秦), 한(漢)나라 시절에 이(Yi)족과 함께 한무리로 되어 있다가 당(唐)나라 때부터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목을 하던 라후족은 본래 지금보다 약간 북쪽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10세기 후에 따리(大理)바이(白)족이 윈난성 일대를 다스릴 무렵, 점점 동남쪽으로 이주하여 18세기에 이르러서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주 후에 이들은 생활 수단으로 사냥을 주로한 관계로 '라후(拉祜사냥하는 사람들)라고 불리게 되었다. 사냥하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민족은 아직도 매 년초 3일 동안 활쏘기 대회를 연다.
34. 먼빠족(?巴族) Moinba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인구 7475명을 갖고 있는 먼빠족은 주로 서장묵탈(墨脫)현과 착나(錯那)현에 집거하고 있다. 먼빠족은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우는 히말라야산 동남부에 위치해 있는데 원시삼림이 밀집돼 있다. 새차게 흐르는 얄룽장보강은 림지와 묵탈일대남단을흐르고 있어 비옥한 하곡지대가 형성되었으며 기온이 온화하고 우량이 풍부하여 4계절이 푸르르다. 그리하여 “청장고원의 강남”으로 불리우고 있다. 오랜시기 먼빠족은 히말라야산구에서 생활하면서 장족인민들과 내왕해왔기 때문에 정치, 경제, 문화, 종교 등 면에서 장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언어와 문자 : 먼빠어는 한장어계 장면어족장어지(漢藏語系藏緬語族藏語支)에 속한다. 문자는 없고 장어와 장문이 통용된다. 보편적으로 불교를 신앙한다. 장력(藏歷)원단은 먼빠족들의 중요한 명절이다.
기 타 : 먼빠족은 일찍부터 히말라야산에서 살아왔다. 주요 거주지가 두 곳이 있으므로 언어도 두 가지 방언이 있다. 농업과 축목업에 종사해 왔고, 옥수수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35. 장족 (藏族)
중국의 소수민족 중 가장 크고 중요한 민족중의 하나이며, 서장과 청해성에 주로 위치하여 있다. 그 외에도 운남, 사천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한 장語계 장면어족(漢藏語系 藏綿語族). 일반적으로 세 개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는 7세기에 창제되었다. 장족은 자기의 언어와 문자가 있는데 10세기로부터 16세기까지는 장족문화의 흥성기였다.
기 타 : 장족의 의학은 이미 1600년이 넘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장족은 중국 고유의 민족의 하나로서 서장고원에 거주하는 사람은 유목과 수렵, 목축업을 주로 하는데 면양, 산양과 털소 등을 기르고 있다. 그 중 털소는 짐을 메고 우유, 육류를 공급하는 외 교통운수에도 널리 쓰인다. 주요 농작물은 밀, 유채, 완두 등이 있다. 장족의 복장은 오늘까지 완전하게 보존된 양식의 옷을 볼 수가있다. 장족은 열정적이고 명랑하며 시원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들은 노래와 춤을 즐기며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있다. 종 교 : 과거에는 '불교'를믿었고, 현재 대다수의 장족이 라마교를 믿고 있다. 기원 7세기 불교가 인도로부터 서장으로 전해왔는데 지금까지 130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다. 부다라궁은 중국 현재 제일 완전한 고대건축물로서 서장의 라싸중심에 있다
36. 로바족(珞巴族) Lhoba ethnic minority group
로바족은 중국 소수민족 가운데서 인구가 비교적 적은 한개 민족으로서 2,312명의 인구가 있다. 그들은 주로 서장동부의 챠위(察隅)로부터 서부의 몬위(門隅)사이의 로유(珞瑜)지역에 분포됐는데 미린(米林), 머투(墨脫), 챠위(察隅), 룽자(隆子), 랑현(朗縣) 등지에 가장 집중됐다.
로바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하며 각지 방언차별이 매우 크며 소수인이 장족언어와 문자를 능통한다. 로바족은 본 민족문자가 없으며 장기적으로 나무조각과 끈매는 형식으로 수자나 사건을 기재하는 원시방법을 보존하고 있다.
로바족 대부분이 얄룽장보강이서의 고산협곡지역에 거주해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20세기중기까지 여전히 원시사회말기단계에 처해 있으며 수확물을 평균분배하는 오랜 습속을 아직도 보존하고 있다.
37. 묘족 (苗族) Miao ethnic minanty group
사천, 광동, 운남과 귀주 등에 거주하고 있다. 그중 검동남묘족뚱족자치주는 묘족의 가장 큰 집거구이다.
인 구 : 7.383.622(1990) 언어와 문자 : 묘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는 바, 한장어계(漢藏語系)묘요어족(苗瑤語族)묘어지(苗語支)에 속한다. 묘족은 원래 민족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 50년대 후기에 라틴화 병음문자를 창제했다. 현재 대부분 묘족인이 한문을 통용한다. 크게 3가지 방언으로 나눌 수 있고, 또 그 밑으로 더 세세하게 나누어진다. 통일된 문자가 없었으므로 서방 선교사가 병음문자를 창제하였지만, 널리 사용되지 못했고 1956년에 본격적으로 4가지 방언에게 라틴병음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종 교 : 다신교, 조상숭배 기 타 : 미아오족은 갑골문에도 나오는 오래된 민족이다. 그리고 방언의 갈래만큼이나 여러 가지 전통 복장과 습관들을 갖고 있다. 쌀을 주식으로 하고 좁쌀, 옥수수를 곁들여 먹는다. 촌락은 대개 반산(半山)지역 혹은 산봉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소수의 사람들은 산기슭이나 강변에서 산다. 묘족이 집거한 묘령산맥과 무릉산맥은 기후가 온화하며 풍경이 매우 수려하다. 이곳은 벼, 옥수수, 수수, 밀, 면화, 담배, 유채 등을 생산하며 목재와 광산자원도 매우 풍부하다.
묘족의 음악과 무용은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다. 묘족의 수놓기, 비단, 염색, 장식품 등 공예미술은 국제상에서도 이름을 떨치고 있다. 화샨지애 : 화샨지에는 먀오족의 전통 축제이다. 아주 옛날에 먀오족이 싸움에 패하여 사방으로 도망치게 되어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서러움과 아픔을 달래야 했다. 어느 해 6월6일에 조상이 현령하여 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달래면서 높은 산정에 올라가 민속피리를 연주하며, 춤과 노래로 조상들을 위로하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현령(顯靈)이 사라지자 하늘로부터 꽃한송이가 내려와 나뭇가지에 걸렸다. 사람들은 이 나무를 둘러싸고 춤과 노래로 축복을 했더니 이 해에는 풍년이 들었다. 이후 매년 6월6일이면 먀오족은 민속복장을 차려입고, 고산에서 꽃나무 한그루를 잘라서 노래와 민속악기를 연주하고 소싸움, 사자춤, 꽃나무 오르기 등 행사를 하며 경축한다. 그 중 나무 오르기가 제일 중요한데 가장 높이 오르는 자에게 돼지머리와 술이 상으로 내려진다.
서 론 묘족은 규모가 비교적 큰 소수민족에 속한다. 수 천년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넓은 지역에 분포해 살아오고 있다. 고대에는 양자강 중하류와 황하강 유역에서 생활하다가 원강(沅江꾸이저우성에서 발원하여 후난성으로 들어감)유역을 중심으로 꾸이저우, 광시, 쓰촨, 후난, 후베이으로 옮겨왔는데 꾸이저우성을 중심으로 중, 서남부 지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해 살고 있다.
인구는 1995년 통계로 7,383,622명으로 절반이상인 419만 명이 꾸이저우성에 거주하고 있는데 가장 집중해 있는 지역은 꾸이저우성의 치엔동난(黔東南) 묘족(苗族) 동족( 族) 자치주로 122만여 명, 후난성(湖南省)에 155만 명, 쓰촨성(四川省)에 50여만 명, 광시자치구에 40여만 명, 후베이성(湖北省)에 20여만 명, 하이난성(海南省)에 5만여 명이 살고 있다. 해외에도 많아 월남에 50여만 명, 라오스에 30여만 명, 태국에 13만여 명, 미얀마에 1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민족원류 고대의 “ 구여(九黎), 삼묘(三苗), 남만(南蠻)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양자강 中·下流와 황하강 下流 유역에서 오래 전부터 생활해 오다가 점차 부락 연맹체인 “ 구여(九黎) ”를 이루었고 요, 순 시대에 새로운 부락연맹인 “ 삼묘(三苗 또는 有苗또는 苗民) ”를 이루었는데 “ 형초(荊楚)또는 남만(南蠻) ”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다. 많은 역사 자료들은 三苗가 묘인(苗人)의 조상임을 말해 주고 있다. 여러 호칭이 있으나 스스로는 “ mu(木 黔東방언 지역), mong(蒙) 또는 mao(毛) ”등이라고 한다. 원시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 이전 된후 문자는 없어도 역사가 비로소 이루어지고 체계가 잡혀가기 시작하고 귀주지역의 고대국가인 Ye lang국(夜郞國秦,漢시대)당시에 이미 묘족이 있었다. 삼국시대의 촉국(蜀國) 제갈량(諸葛亮)이 남쪽 지역을 정벌할 때(A. D. 225년)에 남중(南中)의 맹획(孟獲)을 칠종칠금(七縱七擒)한 고사가 유명하다.
전국 시대(B. C. 475 ㅡ 221 년)의 강대국이었던 초국(楚國)의楚人과 苗族은 여러 방면에서 일치하는 면이 많아 같은 조상으로 간주되는데 지역적으로 호남성 동정호 주변에서 건국하고, 묘(苗) '묘(苗)'라는 호칭에 대해서 서로 다른 많은 견해가 있는데, 19세기의 Graves는 《묘족》이라는 저서에서 중국의 용해청(龍海淸)은 묘족은 분명 조상들이 벼농사를 지은 농경민족일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며, 묘족의 조상을 역사에서는 “ 묘(苗) ”, “ 요우묘(有苗) ”, “ 산묘(三苗) ”, “ 묘민(苗民)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고대에는 남부지역에 살던 여러 민족들을 총괄해 시대를 따라 남만(南蠻), 우링만(武陵蠻)등 만(蠻)자를 붙여 ' 야만인 ' 취급을 했었으나 당·송 이후에는 남부지역에 정착해 번성하는 이들을 중요시해 그동안 만(蠻)자를 붙여 불러왔던 의식에서 탈피해 , 묘족이 폭 넓게 분포해 있는 관계로 주위에 함께 거주하는 부이족(布依族)은 중쟈묘(仲家苗), 수이족(水族)은 수이묘(水苗), 동족( 族)은 동묘( 苗), 이족( 族)은 뤄뤄묘( 苗)로 호칭하는 등 다른 민족에게도 모두 묘(苗)자를 붙였다고 주장하나 묘족의 기원과 더불어 아직 정론이 없다.
언어구분 및 사용지역 언어는 한장어계 묘요어족 묘어지(漢藏語系 苗瑤語族 苗語支)에 속한다. 수천 년 동안 이동을 거듭한 결과 각 지역마다 많은 방언이 형성되어 크게 三大 방언(方言), 일곱 개 차방언(次方言), 열여덟 종의 토속어(土語)로 나누고 있다. 200여 개의 방언(土俗語 토착언어)이 있는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그중 150여 개의 방언이 귀주성에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분류는 청강희(淸康熙 元年 1662년)년간에 육차운(陸次雲)의「동계섬지( 溪纖志)」와 황원(黃元)의 「Qian zhong 잡기(黔中雜記)」에서 단지 외형적인 의상 색깔로 “ 홍묘(紅苗), 청묘(靑苗), 흑묘(黑苗), 백묘(白苗), 화묘(花苗) ”다섯종으로 나누었는데, 지극히 불합리하나 습관상 아직도 사용하고 있어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러한 분류 방법적 인식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38. 바이족 (白族) Ba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1.598.052(1990) - 80% 이상이 운남성 서부의 따리(大理)에살고 있으며, 얼이해(?海)를 위주로 한 대리바이족자치주에 집거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사천과 귀주, 호남 등지에 살고 있다. 이들의 이름은 흰색을 숭배하기 때문에 지어진 것이다. 바이족이 살고 있는 대리와 창산은 일년 내내 흰눈이 덮여있고, 얼이해는 푸른 파도가 설레이고 있어 “동방의 스위스”로, “어미지향”으로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
언어와 문자 : 바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대부분 사람들이 한어도 사용한다. 이 지역은 경제가 번영하고 문화가 발달하여 자고로 온정한 바이족 군체를 이루었다. 바이족은 자기의 언어를 갖고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백어갈래에 속한다. 대다수 바이족은 한어를 할 수 있는데 이로 다른 민족들과의 교제 하고 있다.
종교와 문화 : 번주(本主)라는 종교인데, 자연신이나 따리국의 왕자나 전설 속의 영웅 등을 숭배한다. 바이족은 고유한 민족으로서 자기의 휘황찬란한 과학문화를 갖고 있다. 천문, 역법, 기상,의학, 문학 등 분야에서 많은 우수한 작품을 발명, 창조했다. 대리숭승사삼탑, 검천석보산석산,《남소중흥국사화권》, 《대리화권》등은 모두 바이족인민의 유구한 역사와 건축, 조각, 회화 등 다방면의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기 타 : 따리는 운남에서 가장 먼저 문화가 생겨난 곳으로 고고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그리고 운남 여행의 중요한 코스중의 하나로 여겨지다가 지금은 완전히 관광지로 자리잡아 물가도 많이 올랐을 뿐 아니라 항상 묵을 곳이 없을 정도이다. 대리석이 나는 곳으로 유명하고 전통 주택들은 햇빛의 반사를 위해 벽을 하얀색으로 칠하고, 집에는 창문이 없다. 바이족의 가장 큰 명절은 매년 음력 3월 15일에서 21일까지 따리(大理) 바이족 자치구에서 열리는 '三月街'이다. 이 축제는 천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전설상의 관음이 이곳에 온 날을 기념하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그래서 일명 '관음제'라고도 한다. 축제 기간은 굉장히 사람이 많고 흥겹다. 바이족은 쌀로 만든 면을 좋아하고, 특히 새콤하고 맵게 먹는다. 3잔을 마시는데 마실 때마다 맛이 틀려진다는 삼도차(三道茶)가 유명하다.
39. 더앙족(德?族) De'ang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의 서남부에 살고 있다. '뻥롱'족이라고 불러왔었는데1985년 9월부터 '더앙'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더앙족은 현유인구가 15462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성 덕굉따이족, 징퍼족자치주 루서(潞西)현과 림창(臨滄)지역 진강(鎭康)현에 분포돼 있고, 일부분이 잉강(盈江), 서려(瑞麗), 롱천, 보산(保山), 량하(梁河), 룡릉(龍陵) 등 현에 분산되어 따이족, 징퍼족, 리수족, 한족 등의 민족과 잡거해 있다.
종 교 : 소승불교 * 기 타 : 조상은 한(漢), 진(晉)시기의 "푸런(僕人)"으로 지금의 와족, 뿌랑족과 같다. 또한 5조(五朝)및 당송(唐宋)대에는 남조(南詔), 따리국(大理國)의 지배를 받았고, 원대 이후에는 다이족 토사(土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더앙족은 흩어져서 거주하며, 오랫동안 한족, 다이족, 징포족, 와족 등과 뒤섞여 살았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제도 등이 모두 이러한 민족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더앙족은 쌀을 주식으로 하며 좁쌀 콩 등을 부식으로 먹는다. 진한 차를 즐겨 마시고 담배와 삔랑을 좋아한다. 차는 더앙족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차가 없으면 일이 성사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더앙족은 그 거주지가 분산되고 사회발전단계가 각기 부동한 한족, 따이족, 징퍼족, 와족 등 민족과 잡거했기에 이런 민족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특히 따이족의 영향이 매우 커 종교신앙, 생활습관 등이 기본상 따이족과 같다.
자연환경 중국의더앙족은 모두 윈난성 내에 분포하고 있다. 주요 거주지는 윈난성 더홍(德宏)따이(Dai)족-징포(景頗)족 자치주의 루시(潞西), 루이리(瑞麗), 량허(梁河), 롱촨(Long川)등의 현(縣)지역과 바오산(保山)지구의 바오산현, 기타 린챵(臨滄)지역의 젼캉(鎭康), 껑마(耿馬), 용더(永德)등의 현지역, 그리고 쓰마오(思矛)지역의 란창(瀾滄)현에 살고 있다. 모두 윈난성의 서남부 변경 일대다. 대부분의 마을은 산악 지역에 있으며, 징포(景頗)족, 한(漢)족, 리쑤(LiSu)족, 와(Wa)족 등의 주거지와 "횻컥獵?. 일부 구릉지역에 사는 더앙족은 따이(Dai)족 마을과 섞여 있다. 이들이살고 있는 곳은 까오리(高黎)꽁샨(貢山)과 누샨(怒山)산맥의 자락인데, 아열대 기후에 속한다. 그리고 란챵(瀾滄)강, 누(怒)강, 따잉(大盈)강유역은 많은 산과 계곡, 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양 계절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알맞다. 구릉지역의 연평균 온도는 22℃이고, 산지역은 19.5℃이다. 년 평균 강수량은 1,500mm 가량이며, 18%의 비가 5-10월에 내린다. 특히 7-8월에 집중된다. 기후는 건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여름에는 덥지 않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거나 얼음이 얼지 않는다. 이 지역은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삼림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다. 따라서 양질의 각종 목재와 약재가 많이 나며, 동식물 자원이 무척 많다. 명 칭 더앙족은 자칭 '더앙(德昻)', 타칭 '뻥롱(崩龍)'로 불리운다. 청대 이후에 기록된 윈난지방지 가운데에는 '뻥롱(崩龍)', '뻥즈(崩子)', '뻥즈(繃子)'로 기록되어있다.
언어와 문자 더앙족은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남아어계(南亞語系) 멍까오미엔(孟高棉)어족 와더( 德)어지에 속한다 . 이것이 "루마이(汝買)", "뿌레이(布雷)", "루진(汝進)", "따앙(達昻)"등 4개 방언으로 나뉘어진다. 따앙(達昻)방언은 젼캉(鎭康), 껑마(耿馬)지구의 더앙족이 사용하고 있고, 루마이(汝買)등의 방언은 흩어져 있다. 더앙족의 언어는 장단, 파열음, 파찰음등이 분명하며, 비음이 청과 탁으로 구분되어있다. 복자음이 비교적 풍부하며, 성조가 없다. 인칭대명사가 단수 복수, 쌍수로 구분되며 언어의 순서는 주어-동사-목적어로 되어 있어, 한국어의 어순과 비슷하다.
40. 아창족 (阿昌族) Achang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27.718(1990) 주로 운남성덕굉 따이족징퍼족(德宏大族景頗族)자치주인 롱천(龍川)과 량하현에 집거해 있으며, 로서(潞西), 영강(盈江), 운룡(云龍) 등지에도 산재해 살고 있다. 이들은 고려공산(高黎貢山) 여맥의 구릉산지와 협곡평원에서 사는 유리한 지리적 우세로 수전농사에 이름이 높다. 아창족은 중국운남 경내에서 최초로 살아온 민족이다. 고대 한문사의 기재에 따르면 이 민족은 아창(峨昌), 아창(娥昌), 아창(莪昌), 아창(阿昌), 아창(棋昌)등 이름을 갖고 있었는데 이는 같지 않은 시기에 불리어 온 이름들이다. 새 중국 성립 후 아창족이라 명명했다.
언어와 문자 : 梁河, 龍川, 潞西 3개의 방언이 있으며, 문자는 없다. 아창족은 자기의 언어가 있는데 한장어계장면어족(漢藏語系藏緬語族)이다. 그들은 장기간 한족과 따이족들과 함께 생활해 왔기 때문에 한어와 따이족말을 알고 있다. 운남성의 더홍 태족징퍼족자치주(德홍泰族景頗族自治州)의 龍川 ,梁河등의 縣에 주로 분포하고, 소수는 盈江, 潞西, 瑞麗 및 保山지구의 龍陵 등지에 분포한다.
종 교 : 조상숭배 기 타 : 아창족은 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며, 유구한 역사의 阿昌刀는 날카롭고 아름다우며 견고하다. 은으로 만든 칼집은 꽃무늬를 도안하여 정교하고 아름다운 공예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장식, 은학, 쟁반 등의 조각도 굉장히 정교하다. 대부분의 주택마다 뜰이 있다. 집은 말(斗)에 구멍을 뚫은 모양의 목재 대에 양쪽으로 경사면의 꼭대기에 기와를 얹은 집이다.
음 식 : 벼농사를 지으므로 쌀이 주식이고, 부식으로는 옥수수와 감자를 먹는다. 신맛의 음식을 좋아하고 빈랑 열매를 씹는 습관이 있다.
복 식 : 남자는 일반적으로 남색, 백색, 흑색의 맞섶저고리를 입고, 검은 색의 긴 바지를 입는다. 결혼한 여자들은 치마와 소매가 좁은 맞섶저고리를 입고, 미혼여성들은 긴 바지를 입는다. 명절이 되면 여자들은 모두 은장식을 하고, 미혼여성들은 나란히 단 4개의 단추 위에 4가닥의 긴 은사슬을 걸고, 허리까지 이어진 은사슬에 작은 은회색의 합을 달고, 은목걸이, 은귀걸이를 장식한다.
41. 두롱족(??族) Drung ethnic minority group
다신교, 90%가 운남의 누강유역에 살고 있으며, 리수족, 누족과 함께 거주한다. 두롱족은 현제 5817명의 인구를 가진 민족으로서, 주로 운남성서북부의 노강리수족자치주와 공산두룽족 누족자치현 경내의 두롱 하량안의 하곡(河谷)지대에 집거하고 있다. 두롱족지역은 천백년래 외계와의 반 봉패상태에 있어 4촌의 언어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그리고 꽁산(貢山)현의 누(怒)족과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문 자 -문자는 본래 없었으나 1950년대 초기 기독교선교사가 문자를 만들어서 성경을 번역했었는데, 이 문자는 소수의 기독교 신자들만 알고 있었다. 그 후에 이 선교사가 만들어 준 문자를 기초로 병음문자를 만들어서 1984년부터 가르치기 시작했다. 역 사 꽁산(貢山)현의 4개 촌에 있는 두롱(獨龍)족은 누(怒)강지역의 누(怒)족과 아주 가까운 친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이 두 민족의 풍습이나 언어는 상당부분이 같고, 의사소통에도 커다란 장애를 느끼지 않는다.
민족의 역사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역사를 알 수는 없고 전설을 근거로 하여 알아볼 수밖에 없다. 아주 오래 전에는 怒江을 중심으로 하여 아주 넓은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혈연혼, 남매혼, 모계사회 등의 과정을 겪어 왔다. 이런 역사 속에서 사람의 고기를 먹는 습관도 있었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구가 많아지고 부락을 형성하며 씨족이 생기게 되자 씨족간에, 부락간에 싸움이 빈번하게 되고 패배하는 민족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때 이주하는 씨족은 강을 중심으로 하여 정착하게 되는데, 그 강의 이름을 자기들의 씨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농후한 원시사회말기의 특점들을 보유하고 있다. 두롱족은 농업을 위주로 한 농경생산을 해왔으며 채집과 수렵도 가정부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 타 : 두롱의 신화 중에 온 세계가 홍수에 잠겼는데 형과 여동생 둘만 살아 남았다. 그 둘은 결혼을 해서 아홉명의 아들과 아홉명의 딸을 낳았는데, 그들은 둘씩 결혼하여 흩어져 살았다. 그 중에서 셋째아들과 딸이 두롱강에 와서 살면서 자녀를 낳았는데 그들이 지금의 두롱족이 되었다고 한다. 두롱족은 근로하고 용감하고, 우량하고 소박한 도덕관념을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신용을 중히 여기는데 이는 두롱족의 아름다운 전통미덕이다. 그리고 이들은 늘 집 문을 잠그지 않지만 도적이 들까 근심하지 않는다. 이런 우량한 전통은 지금까지도 보존되고 있다. 언 어 꽁산(貢山)현 안에 4개의 두롱(獨龍)족 촌이 있는데, 그 중에 1, 2, 3촌의 언어는 대부분 같고 4촌의 언어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그리고 꽁산(貢山)현의 누(怒)족과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문 자 문자는 본래 없었으나 1950년대 초기 기독교선교사가 문자를 만들어서 성경을 번역했었는데, 이 문자는 소수의 기독교 신자들만 알고 있었다. 그 후에 이 선교사가 만들어 준 문자를 기초로 병음문자를 만들어서 1984년부터 가르치기 시작했다. 역 사 꽁산(貢山)현의 4개 촌에 있는 두롱(獨龍)족은 누(怒)강지역의 누(怒)족과 아주 가까운 친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이 두 민족의 풍습이나 언어는 상당부분이 같고, 의사소통에도 커다란 장애를 느끼지 않는다.
민족의 역사에 대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확한 역사를 알 수는 없고 전설을 근거로 하여 알아볼 수밖에 없다. 아주 오래 전에는 怒江을 중심으로 하여 아주 넓은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혈연혼, 남매혼, 모계사회 등의 과정을 겪어 왔다. 이런 역사 속에서 사람의 고기를 먹는 습관도 있었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구가 많아지고 부락을 형성하며 씨족이 생기게 되자 씨족간에, 부락간에 싸움이 빈번하게 되고 패배하는 민족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때 이주하는 씨족은 강을 중심으로 하여 정착하게 되는데, 그 강의 이름을 자기들의 씨족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교통편 - 쿤밍(昆明) - 리우쿠(六庫) : 버스로 대략 16시간 - 리우쿠(六庫) - 꽁산(貢山) : 버스로 약 8시간 - 꽁산(貢山)에서부터는 다른 교통편이 없고 가장 가까운 두롱족의 마을까지 3일을 걸어서 가야 한다. 물론 가는 길에는 노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양식과 장비들이 필요하다. 그리고 獨龍族지역에는 먹을 것이 적기 때문에 방문한 사람이 가지고 갔던 음식을 나누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 최근 꽁산에서 두롱족 마을까지 도로가 건설되고 있다. 1년 내외의 기간 중에 완공될 예정이다.
42. 뚱족(?族)Dong ethnic minority group
뚱족은 현유인구가 2,514,014인에 달하며 주로 귀주, 호남, 광서 3개 성이 서로 접한 옥병(玉屛), 신황(新晃), 통도(通道), 지강(芷江) 및 삼강(三江) 등 현에 분포됐다.
언어와 문자 : 뚱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북 두 개의 방언이 있고, 문자는 없어서 한문을 쓰고 있는데, 1958년에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창제하였다. 뚱족은 원래 민족문자가 없던 때로부터 20세기 50년대에 ‘뚱문’을 만들어냈다. 현재 대부분 뚱족인이 한문을 통용하고 있다.
종 교 : 다신교, 조상숭배
기 타 : 송나라 때 중국으로 이주해와 처음에는 양자강 유역의 계곡에서 살다가 한족의 세력확장으로 남쪽으로 밀려나서 살게 되었다. 이들은 넓은 의미에서 다이족의 일부분이다. 주택도 다이주와 같다. 뚱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벼 재배를 위주로 하며 특산이 찰벼이다. 소수인이 임업에 종사하며 양어장 경영자도 꽤 많다. 뚱족 거주지는 줄곧 "시와 노래의 해양'으로 불리우고 있다. 뚱족의 시가는 운률이 아름답고 제재가 다양해 문학과 음악분야에서 매우 진귀한 가치가 있다.
민족원류 동족의 총인구는 1990년 현재 2,514,014명으로 귀주성에 140여만 명, 호남성에 75만 명, 광서자치구에 30만 명, 그리고 호북성에 5만여 명이 분포해 있으며 청 광서 원년(淸光緖元年 1875년) 귀주성 천주(天柱)에서 베트남 선광성(宣光省)으로 피난해 가 7대째 뿌리를 내리고 사는 동족도 있다. 그중 귀주성 치엔동남묘족동족자치주(黔東南苗族 族自治州)에는 106.4만 명이 살고 있어 가장 집중되어 있다. 귀주성의 치엔동남(黔東南)과 호남성은 이미 춘추전국시대(B.C.770ㅡB.C.221)부터 동족의 조상이 자리잡고 살아온 곳이다. 귀주성 동남부 묘령산맥의 주봉인 뢰공산(雷公山 해발 2,179 m)을 중심으로 광활하게 골 깊은 산과 청수강(淸水江)과 도류강(都柳江)가에 분포해 있다. b, 고루(鼓樓)문화 지리환경과 교통여건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귀주, 광서, 호남 등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고 방언지역구분과 그 분포를 같이한다. 고루(鼓樓)는 동족 문화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통문화의 핵심이다. 산지에 걸 맞는 생활형태로서 마을마다 고루가 있어 고루와 더불어 산다고 할 수 있겠다.
43. 누족(怒族) Nu ethnic minority group
주로 윈난성[雲南省] 북서부 누장강[怒江] 리수족 자치주인 비장현[碧江縣]과 푸궁현[福貢縣], 궁산[貢山]의 두룽족[獨龍族]?누족 자치현에 거주한다.
인구는 약 2만 5000명(1992년 현재)이다. 누어(語)는 티베트?버마어파(語派)에 속하며 방언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궁산 누어는 두룽어와 비교적 가깝다. 누족은 리수족과 지역적으로 가까이 살고 있어서 리수어를 아는 사람이 많다. 누족 자신은 자기 부족을 비장현에서는 누수[怒蘇], 푸궁현에서는 아누[阿怒], 궁산에서는 아룽[阿龍]이라고 부르는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한적(漢籍) 사료에는 누인[怒人]?누자[怒子]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당(唐)나라 때는 남조국(南詔國), 송(宋)나라 때에는 대리국(大理國)에 종속되었으며 원(元),명(明) 이후에는 나시족[納西族] 토사(土司), 티베트족,베족[白族]?리수족의 지배를 받았다고 한다. 고산지대에 살며 이전에는 주로 화전(火田)을일구어 옥수수,메밀,잡곡류를 생산했으나 지금은 밭을 갈고 논농사도 짓고 있다.
사회의 기본 단위는 일부일처제의 소가족으로, 혼인은 씨족외혼제(氏族外婚制)로서 교차(交叉) 사촌혼(四寸婚)이 우선되었다고 한다. 촌락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있는 사람은 ‘아샤’라고 불리는, 나이 든 위신이 있는 남자로서 촌락 내외의 공공사무를 처리하고 무당 역할도 한다. 비장강[碧江] 누족의 사회에는 씨족이 있고 씨족의 명칭으로는 호(虎),봉(蜂),녹(鹿),웅(熊),원(猿),메밀, 죽(竹),마(麻) 등의 동식물 이름이 쓰이고 있다. 이 동식물들은 각 씨족의 토템으로 숭배된다. 이 씨족 구성원의 계보에는 부자연명제(父子連名制)가 있는데, 특히 두곽씨(봉족)의 계보가 가장 오래 되었다고 한다.
누족은 애니미즘을 신앙하여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지만, 종교는 원시종교, 그리스도교, 라마교가 혼합되어 있다. 장례는 전에는 화장(火葬)을 했으나 지금은 관(棺)을 사용하지 않고 그냥 땅에 묻는 토장(土葬)으로 바뀌었다.
인 구 - 1995년 통계에 의하면 누(怒)족의인구는 약 27,000명이다. - 1997년 통계는 28,700명으로 되어있다. - 이들은 누쑤(怒蘇)', '아누(阿怒)', '아롱(阿龍)', '라오로우(擾柔)'등 4개의 지계(支系)로 분류된다.
분 포 누(怒)족의 분포지는 윈난성 누(怒)강 리쑤(LiSu)족 자치주의 삐쟝(碧江), 푸꽁(福貢), 꽁샨(貢山)란핑(蘭坪) 3개 현이다. 주요 거주지는 해발 1500-2000미터의 누(怒)강 양변이다. 역사의 기록은 누족의 명칭을 따서 누(怒)강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강은 누족언어로 '누미꽈(怒米掛)'로 불리우며, 그 뜻은'검은 물' 이다. 이 강은 시장(西疆) 탕구라(唐古拉)산을 발원지로 하여, 해발 5천미터가 넘는 까오리꽁샨(高黎貢山)과 4천미터 이상되는 삐루어(碧羅)설산(雪山)사이로 거세게 흘러내린다. 누강은 깊고, 계곡과 봉우리와 차이는 4천미터에 달해, 심산 유곡의 대협곡을 이루고 있다. 누강에는 배를 띄울 수 없다. 물살이 거세고 빠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꽁산북부에는 매우 맑고 잔잔하게 물이 흐르는 부분이 있기도 하다. 이곳에서 자칭 '아롱(阿龍)'이라고 하는 누족이 늘 나무배를 띄우고 강을 건넌다.
언 어 누(怒)족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 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하지만 '삐쟝(碧江)'현과 '푸꽁(福貢)현'의 누족어와 '꽁샨(貢山)'의 누족어는 거다란 차이가 있다. 문법의 부분에 있어서 '꽁샨' 누족어와 '푸꽁' 누족어는 모두 특수한 동사 변화가 있다, 하지만 '삐장' 누족어는 이러한 동사 변화가 없다. '꽁산' 누족어와 앞서 언급한 두지방의 누족어는 단지 10%의 단어가 상관관계에 있을 뿐이고, 언어에 어떠한 규칙도 연관되어 있지 않다.
문 자 누(怒)족에게 문자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옛날에 누족에게는 자신만의 문자가 있었다. 단 그 문자는 양가죽에 씌여있었다. 후일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개들이 양가죽을 먹어버리는 일이 발생했다. 그때부터 누족에게는 자신만의 문자가 없었다.
민족 역사 누(怒)족 사회에 전해내려오는 신화와 전설을 통해, 누족의 초기 사회를 엿볼 수 있다. 여타의 민족과 마찬가지로 '홍수시대', '근친결혼' 그리고 모계사회를 거쳐왔다. 그 가운데 근친결혼으로 번성을 꾀하는 방법은 중국 '칭장(靑藏)'일대의 씨족과 관련이 깊다. 관련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누(怒)강이라는 이름은 '[만슈(蠻書)]'라는 책에서 처음 발견된다. 이러한 이유로, 누족은 당나라때 이미 누강 유역에서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누(怒)족은 누강 양안과 '란창(瀾滄)'강 유역에서 살던 고대 주민이다. 이는 누족이 누강 양안에 제일 먼저 들어와 거주한 민족임을 말해준다. 16-17세기 때에 많은 리쑤(LiSu)족이 전쟁을 피해서 누강으로 이주하였다. 그 이후로 한족, 바이(白)족, 나시(納西)족등의 상인들과 수공업자들이 쉬지않고 누강지역으로 들어왔다. 누강에서 누족처럼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민족이 없다. 이들은 누족 언어 외어, 바이(白)족, 리쑤(LiSu)족, 장(藏)족 언어를 할 줄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러한 민족들과 같이 살며, 통혼하고, 생활의 여러부분을 함께하기 때문이다.
종교분야 누족의 신앙은 원시종교, 천주교, 기독교, 라마교 등 4가지 형태이고 누족의 고유 종교는 애니미즘이다. 자연 만물에 신이 있다고 믿으며 일부 누족들은 장족(藏族)의 영향을 받아 라마교를 신봉하고 있다.
44. 징퍼족 (景?族) Jingpo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징퍼족은 인구가 119209인에 달하는데 주로 운남덕굉 따이족 징퍼족자치주의로서, 룡천, 영강, 서려, 량하 5개 현에 분포돼 있고 소부분이 기타 주, 현에 분산돼 거주해 있다. 징퍼족은 대다수 해발 1500내지 2000m의 산지에 거주해 있다. 이런 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충족하며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하다. 그들은 옥수수, 벼를 재배하는 외에 귀중한 홍목, 녹나무와 여러 가지 참대, 고무, 기름, 커피 등 공예작물 및 열대, 아열대과일도 생산한다. 징퍼족은 주로 5갈래로 나뉘어 있으며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에 속한다. 지난날 징퍼족은 자체의 문자가 없었는데 20세기 말엽에 라틴자모를 기초로 한 병음문자를 만들어냈다.
언어와 문자 : 징포어(漢藏語系 藏綿語族),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는데, 19세기 말에 영국의 선교사가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어 주었다. 그 후 여러차례의 개혁으로 더 사용하기 편한 문자로 바꾸었고 이로 인해 문맹을 퇴치하기 시작했다.
45. 수이족(水族) Shui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현유인구 345,993명 인구를 갖고 있는 수이족은 대부분 귀주성감남부이족묘족자치주의 삼도수이족자치현과 려파(離波), 도균(都勻), 독산(獨山) 및 감동남묘족자치주의 개리(凱里), 려평(黎平), 용강(榕江),종강 등 현에 집거하고 있고 일부는 광서장족자치구의 서부에서 생활하고 있다. 수이족들이 살고 있는 지역은 운남고원 동남부의 묘령산맥 이남, 도류강과 룡강상류에 위치해 있어 삼림이 밀집돼 있고 산수가 아름다워 농림업의 발전에 유리하다. 수이족 인구는 약 8,000명으로 중국내 수이족의 2%에 해당한다. 주로 푸웬(富源)현 황니허(黃泥河)마을과 일량( 良)현 따허(大河), 롱안(龍安)에 분포한다.
종 교 : 자연숭배 수이족의 조상은 고대“백월”(百越)의 한 갈래이다. 청나라시기에 “수가묘”(水家苗),“수가”(水家)등 이름으로 불리우다 중국성립 후 수이족이라 정식 명명했다. 수이족은 음력설을 “차단(借端)”이라고 하는데 이날은 대단히 성대하고 흥성하다. 북소리 징소리 울려퍼지고 갈대생황을 불기도 하며 경마도 진행한다. 그리고 노래하고 춤도 추면서 종일 오락활동으로 보낸다.
언어와 문자 : 수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여러 방언이 있는데 서로 말은 통하지만 그래도 큰 차이가 있는 편이다. 고대로부터 문자가 있는데 상형자가 비교적 많고 갑골문과 많이 닮았다.
역 사 : 윈난성의 수이족은 뀌조우(貴州) 수이족과 같이 바이유(百越)족의 뤄유(駱越)지류에 기원한다. 이들은 아주 오래 전에 현재의 거주지로 이주하여 왔다.
기 타 : 밭농사가 대부분이고 쌀을 주식으로 먹는다. 민 족 원 류 천여 년 전의 당(唐)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고대 “ 백월(百越) ” 족군(族群)가운데“ 낙월(駱越) ”의 한 갈래로 발전되어 내려 왔다. 수이족(水族)의 인구는 1992년 현재, 347,116 명으로 주요 거주 지역은 귀주성(貴州省)과 광서(廣西)자치구인데 그중 귀주성내에 27만여 명이 살고 있다. 1957년 1월 2일, 전국 유일의 수이족자치현이 된 산두수이족자치현(三都水族自治縣)에 143,671명(1983년)이 살고있으며 전체 현 인구의 65.24 % 를 차지한다. 본현은 귀주성 치엔 부이족 묘족 자치주(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 동남부의 묘령산맥 줄기로서 해발 최고 1660m에서 최저 303m까지로 표고차가 심하다.
언어 및 문자 언어는 한장어계 장동어족 동수어지(漢藏語系 壯語族 水語支)의 한 언어이다. 마오난어(毛難語), 동어, 무라오어와 같은 단어가 많다.
종교 및 신앙 신(神)의 개념이 없이 그저 선귀(善鬼)로 부르는데 이것이 수이족의 신(水族神)인 셈이다. 다신 숭배 사상으로 거석(巨石),고목(古木),고정(古井)등 목신(木神), 정신(井神)을 숭배하고 바위신(岩神)을 숭배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생사, 화복, 질병등의 문제를 여무(女巫)와 귀사(鬼師)에게 청해서 희생 제사를 지내며 의탁한다. 청조말(淸朝末)에 천주교와 예수교가 전래되어 구천(九阡), 항풍(恒豊), 우창(牛場) 내투(內套)등지에 교회가 세워져 있고 일부지역에 가정교회가 있다.
46. 리수족(??族)Lisu ethnic minority group
리수족은 현유인구가 574,856인에 달하며 주로 운남북부 눌강리수족자치주의 피강(碧江), 복공(福貢), 공산(貢山), 로수(瀘水) 4개현에 집거했고 일부가 부근의 등충(騰?)과 사천의 접경지역에 분산돼 한족, 바이족, 이족, 나시족 등 민족과 잡거해있다.
리수족은 본민족언어가 있으며 한 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이어지(彛語支)에 속한다. 리수족은 원래 결구가 불완정한 문자가 있었는데 1957년의 창제를 거쳐 지금 통용하고 있는 라틴자모를 기초로한 새문자를 형성했다. 리수족 거주지역은 뭇산이 첩첩하고 하천이 매우 많은데 경내의 눌강과 란창강이 흘러지나 남북주향의 2대 협곡지대를 형성했다. 리수족은 성격이 호방하고 매우 열정적이다.
분 포 미얀마와 국경을 이루고 있는 '누쟝(怒江)' 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쿤밍(昆明)'북부지역 등 비교적 넓게 분포되어 있다. 최근에는 정부의 정책에 의해 '누쟝'지역에 있는 만 여명이 '쓰무(思慕)'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을 시도하고 있다. 아마도 첫 번 이주자들이 정착에 성공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누쟝'지역을 떠나게 될 것이다. '누쟝'지역의 일부 집거지역을 제외하고는대부분 다른 민족과 함께 거주하는 편이다. '누쟝'지역은 강변과 산지의 해발의 차가 크고(1,500m ~ 3,000m), 기후도 입체성기후라고 할 정도로 차이가 많아 생활 습관의 차이도 많이 있다.
언 어 : '리쑤'어 ; 대표적인 방언으로 '누쟝(怒江)'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쿤밍(昆明)'북부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있는데, 서로 소통하기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크다. - 중국 보통어(漢語) ; 도시지역을 제외하면 한어를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문 자 : 본래 사용하던 문자가 3종류가 있었다. 지금은 선교사가 만들어준 문자와 1957년에 정부가 만들어준 문자가 있다. 역 사 리쑤족은 역사기록에 의하면 북에서 남으로, 동에서 서로 이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본래 리쑤족은 쓰촨(四川)성 서남부와 윈난성 서북부에 살고 있었는데, 13세기, 16세기, 17세기에 세 번에 걸친 민족 대이동이 있었고, 그 이후에 지금의 위치에 거주하게 되었다. 명 칭 이 민족은 자신들이 오래 전부터 스스로를 부르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한다. 리쑤족의 전설에 의하면 '리(li)'는 4번째라는 의미이고, '쑤(su)'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리쑤족의 전설 속에 일곱 형제가 나오는데, 첫째가 한족(漢族)이고, 둘째가 이(Yi)족, 셋째가 장(藏)족이며, 넷째가 리쑤족이다. 또 다른 하나의 이야기에 의하면 '리'는 고귀하다는 의미이고, '쑤'는 사람이나 민족을 의미한다.
생 활 농업을 위주로 한다. 리쑤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산지이고, 비탈이 심해 농사도 밭농사 위주이며, 손이 많이 가는 작물은 하기 어렵다. 아직도 화전(火田)이 많다. 수렵과 식물채집도 주된 수입원이 된다.
종 교 본래 리쑤족의 신앙은 만물에 영혼이 있다고 믿고 자연을 숭배하는 원시종교이다. 신중에서도 '미쓰(米斯 하늘신)가 가장 큰 신으로 모든 우주만물과 신들까지도 다스린다고 믿는다. 인간의 생사화복은 물론 인간의 삶과 환경의 변화까지도 철저하게 '미쓰(米斯)'의 손에 달려 있으며, 인간은 영원히 그 힘과 지배를 거절할 수 없는 존재로 살아간다고 믿는다. 기독교는 운남성에 있는 다른 민족보다 조금 늦게 1913년에 처음으로 리쑤족에게 복음이 전해졌는데, 윈난성에 있는 민족 중에서 기독교가 가장 활발하게 성장했고, 민족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신구약 성경도 완전히 번역되어 있고, 민족언어로 된 찬송가도 있다. 리수족의 기독교 리쑤족에게는 윈난성에 있는 다른 민족보다 조금 늦은 1913년에 처음으로 복음이 전해졌는데, 기독교가 가장 활발하게 성장했고, 민족 사회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신구약 성경도 완전히 번역되어 있고, 민족언어로 된 찬송가도 있다. 리쑤족은 1840년 이후 외국의 식민지로 지내온 시간이 많았는데, 영국이 아편전쟁이후에 <남경조약>을 수립한후 인도와 미얀마를 거쳐서 이곳으로 들어왔고, 프랑스는 광서(廣西)지역을 통해서 운남지역으로 들어왔다. 이들은 주로 전교사(傳敎士-지금의 선교사를 당시에는 전교사라고 불렀다. 프랑스는 천주교를 전하기 위한 전교사를 많이 보냈는데, 그 결과 지금 운남성에는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있다.)를 먼저 보내고 그 다음에 군대와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들어왔기 때문에 기독교와 천주교가 침략자의 앞잡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47. 따이족(?族)-Dai ethnic minority group
운남성의 가장 남쪽에 거주하고 있다. 따이족은 인구가 약 1,025,128명이고 주로 운남성남부 변경지대와 시놀반나따이족자치주와 덕굉(德宏)따이징퍼족자치주 및 맹련(孟連), 원강(元江), 신평(新平) 등 자치현에 집거해 살고 있다. 따이족이 살고 있는 곳에는 많은 협곡과 평원이 있다. 이 평원에는 하천이 가로세로 뻗어있고 토지가 비옥해 많은 열대작물과 아열대작물 그리고 진귀한 약재들이 잘 자란다.
언어와 문자 : 따이어(漢藏語系 장동어족). 4가지 종류의 문자가 있다. 종 교 : 소승불교 기 타 : 변경에 있는 도시라서 태국, 미얀마, 인도 등과 왕래가 잦을 뿐 아니라 많은 상인들이 있다. 생활 습관들이 태국사람과 비슷하다. 따이족 여성들은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대부분이 아직도 전통의상을 입고 있다. 따이족의 가장 큰 축제는 4월에 있는데 '물뿌리기 축제'(波水節)라고 부른다. 이것은 따이족의 설날이라고 할 수 있다. 양력 4월13부터 15일이 따이족의 물뿌리기 전통명절인데 이는 실제로 따이족의 원단이다. 이들은 새로운 한해는 6부터 계산한다고 한다.
48. 이족 (?族)-Yi ethnic minority group
인 구 : 이족은 중국 서남지구에 있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민족이다. 이족의 인구는 약 6,572,173명 정도로서 주로 운남, 사천, 귀주 3개 성 및 광서장족자치구 서북부에 산재 혹은 소집거의 특점으로 생활하고 있다. 이족은 농업을 위주로 목축업도 성행을 했으며 전통적 수공업미술 항목도 많았다. 여기에는 수놓이, 조각, 회화 등 이 있었는데 이는 민족특색이 매우 짙다. 운남, 사천, 귀주 등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이語(漢藏語系 藏綿語族) 6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역사가 유구한 스스로의 문자가 있다. 어떤이들은 그것을 일종의 표의문자라고 하기도 하고, 다른 이들은 음절문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족은 역사가 비교적 오랜 일종의 상형문자를 갖고 있으며 6가지 방언이 있다. 이문으로 기재된 역사, 문학, 의약학 등 많은저작과 민간에서 전해 내려온 간문학도 그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도 아주 풍부하다.
종 교 : 원시종교의 색채가 강한 다신숭배와 조상숭배등이 있다 기 타 : 백이족과 흑이족으로 나눠진다. 검은색과 빨간색을 쓴 칠기 목제 그릇이 유명하고, 주로 농업에 종사한다. 이족의 민족 축제 훠바지에 : 음력 6월 24일이면 윈난의 모든 이족들은 햇불 축제를 연다. 이날은 이족 달력으로 새해 첫날이다.
49. 회족(回族)- Hui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회족은 인구가 8,602,978명으로 소수민족가운데 비교적 많은 민족이다. 주로 영하회족자치구와 감숙, 신강, 청해, 하북 및 하남, 운남, 산동 등지에 집거해 살고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가장 넓게 분산되어 있는 민족이다. 그 중 주요 거주지는 영하회족자치구와 칭하이(靑海), 깐쑤(甘肅)등 중국의 서북쪽이다. 회족의 복장은 한족과 흡사하다. 다른 점이라면 머리 양식인데 회족 남성들은 대부분 흰색, 또는 검은 색, 갈색으로 된 모자를 쓰며 여성들은 머리를 덮고 다닌다. 종교 : 회족은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회족은주로 농업생산에 종사하며 목축업과 수공업도 겸한다. 이들은 상업도 경영하는데 주로 음식업이 돌출하다. 중국 동북지방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중의 하나로 흑룡강(黑龍江)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와 문자 : 한어는 회족의 공동언어로 되고 있는데 일상 왕래와 종교활동에도 쓰인다. 변강민족지구에 사는 회족인민들은 아직도 자기들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회족들의 경제문화는 비교적 발달되어 있다.
기 타 : 후이는 9세기 초에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과 페르시아가 티벳에 의해 중국과의 전쟁에서 용병으로 고용되었다. 그들은 패배했고 포로가 되었으나 처벌을 받는 대신에 땅과 중국인 아내를 얻게 되었다. 13세기 초에는 이슬람교를 믿는 다른 민족들이 서쪽으로부터 들어왔다. 그들은 상인, 학자, 관원 등의 신분으로 중국의 서북쪽과 중원 그리고 운남 등지에 머물렀고, 중국인들은 그들을 후이후이인이라고 불렀다. 이 후이후이인은 원대의 색목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들이 후에 중국인들과의 통혼 등으로 인해 언어와 문화를 잃어버리고 지금의 후이족이 되었다. 1644년에 청조가 반 이슬람 정책을 도입하였고 그 다음 260년간 약 12백만의 후이들이 폭동과 박해로 죽음을 당했다. 하지만 아직도 그들의 가장 큰 특징인 종교만은 버리지 않고 있다.
역사 회족은 回回民族(회회민족)의 약칭이다. 이들의 선조는 대부분 13세기 몽고족의 세차례 서방정벌 이후 대량으로 동쪽으로 돌아서 이동한 回回族이고, 당·송시대에 외국에서 거주하뎐 중국 동남쪽 연해의 모슬렘(회교도)인인 蕃客(번객) 역시 이들의 선조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들은 긴 역사의 과정중에서 혼인관계를 맺는 방법을 통해 늘어난 종의 구성인들인 漢(한), 蒙古(몽고), 維吾爾(유오이)족등의 생활습관과 풍속을 받아들여 통합했다. 그리하여 점차 回回(회회)민족이 형성되었다. 생산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목축업과 수공업도 겸한다. 회족은 아직까지 독단적으로 장사를 하는데, 특히 요식업 경영에 뛰어나다. 문화 및 전통 회족은 소집중 다분산의 거주특징이 있다. 그 지역내에서의 회족은 대부분 한족과 집거하고, 변방지역에서의 회족은 대부분 그지방 소수민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다. (대부분 수륙교통노선위에 분포한다.) 회족인의 종교는 이슬람교이다.
50. 하니족(哈尼族) Hani ethnic minority group
인구 : 하니족은 현유인구가 1253952인에 달하며 대부분이 진남홍하와 란창강사이 지대에 집거하고 일부가 포이, 맹해, 경홍(景洪), 맹라(?臘), 록권(祿勸), 신평(新平) 등지에 분산돼있다.
언어와 문자 : 하니족은 자체의 언어가 있고 문자가 없다. 하니족언어는 장한어계(藏漢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이어지(彛語支)에 속하며 내부적으로 하니, 피카, 호배(豪白) 3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20세기 50년대에 하니족을 위해 병음문자를 창제했는데 아직 보급되지 않았다. 하니족은 대부분 해발800내지 2500미터에 달하는 산지역에 거주하며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데 특히 계단식으로 된 밭을 잘 다룬다. 그들은 부동한 지형, 토질에 따라 자연조건을 리용해 백여계단에 달하는 "제전문화(梯田文化)"를 창조했다. 이밖에 먹강의 자교(紫膠)산량은 전국에서 으뜸으로 간다.
종교 : 하니족은 자연과 조상을 숭배한다. 그들은 풍부한 구두문학이 있으며 남녀노소를 물론하고 신변에 항상 악기를 갖고 다닌다. 하니족 민족 축제 신미지에 : 중국 고대의 경제는 농업에 의존한 것이었다. 그래서 농업을 주관하는 신에게 재물을 바치는 의식은 중요한 축제로 생각 되었다. 홍허강 지역을 따라 거주하고 있는 하니족은 음력 8월 용의 날에 햅쌀 축제를 연다. 하니족 말로 롱(龍) 발음은 ‘더욱 더’ 또는 ‘증가하여’ 라는 의미이다.
51. 부이족(布依族)
부이족은 현유인구가 2,545,059인에 달하며 주로 귀주성 검남(黔南), 검서남(黔西南) 부이족묘족자치주와 안순(安順)지역에 집거해 있다.
언어와 문자 : 부이족의 선조는 고대 "백월(百月)" 계통에 속하며 기원 10세기 후 역사적으로 "중가(仲家)"라고 불리웠다. 부이족의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뚱어족(壯東語族)장따이어지(壯大語支)에 속한다. 부이족은 신을 숭상한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다가 1956년 라틴자모를 기초로 한 문자가 창제되었다. 부이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편직, 도자기제작기술이 뛰어나다. 윈난성에 거주하는 부이족은 중국내 부이족의 1.34%에 해당하는 약 37,000명이며 뤄핑(羅平)현 계곡에 거주한다. 부이족은 연장자를 공경하는 전통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전 통 복 장 : 부이족의 전통 수놓기, 염색제품은 전국에 유명하다. 부이족은 입쌀을 주식으로 하며 개고기와 매운 음식을 즐기고 청색, 흑색 또는 백색의 옷을 좋아한다. 여성은 언제나 은 장신구를 하고 수놓기와 매듭염색에 뛰어나다. 부이족은 섬세하고 다채로운 독특한 수공예품을 만드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예술에 있어서 값진 유적으로 평가된다.
건 축 : 건축양식은 지주(대나무를 세운) 스타일로 단순하다. 민족원류 Bu yi족(布依族)의 인구는 1990년 현재 2,548,300명으로, 귀주지역의 토착민으로서 오랜 역사를 지닌 고대 국가인 하우(夏禹)계 이다. 생 활 풍 속 a, 주거 기둥, 대들보, 서까래, 마루용 나무이외에는 모두 돌을 이용해 집을 짓는다. 가정에서 필요한 생활도구인 디딜방아, 사발, Cao(槽 용기 또는 구유), Gang(缸항아리), Zhuo( 탁자), Deng( 의자)등 대부분 돌로 만들어 쓰고 있다. 간란(干 난간) 건축의 기원과 같이하는데 귀주성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신석기시대의 유적지에서 벌써“ 간란(干 ) ”이 나타난다. c, 의복 특히 부녀자들의 의상의 변화가 커서 20여 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하고 화려하다. 옛 부터 자수와 나염(臘染 염색기법의 한 종류로 녹인 황랍을 천의 무늬에 붓고 염색 후 제거하여 그 부분만 백색으로 남김)이 발달해 꽃무늬 도안을 즐겨 나염해 화려한 의상을 자랑한다. 부이족의 나염은 중국 역사상 3대 인염공예(印染工藝)에 속한다. 염색 무늬는 원시 토템숭배 사상에서 유래해 용, 원앙, 물고기, 새 등 위주였으나 오늘날은 독특한예술 경지까지 이르렀다. 몸, 도자기, 동고(銅鼓 구리북)에도 토테미즘의 영향을 받은 무늬를 수놓았다.
52. 쫭족 (?族) -Zhuang ethnic minority group
광서쫭족자치구는 이들의 주요 집거구이다. 그 외 광동, 귀주, 운남, 호남 등지에도 살고 있다. 쫭족집거구는 지형이 기이하고 특이하며, 산수가 수려해, 자연풍경이 아주 아름답다. 이곳의 기후는 온화하고 우량이 충족해 다열대, 아열대작물이 잘 자란다. 농산품은 주로 벼, 옥수수, 감자류이다. 그리고 삼칠, 합계, 회향유는 쫭족지구의 유명한 특산이다. 쫭족은 본 민족의 언어문자가 있는데 쫭족은 한장어계 쫭뚱어계 따이어지에 속한다.
인 구 : 15.555.820(1990) 언어와 문자 : 쭈앙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남송때부터 한자 비슷한 '투수'문자가 있었는데, 사용 범위가 넓지 않아 1955년에 중국이 라틴자모를 이용한 문자를 만들었고, 1982년에 개정을 한 바 있다. 그 후로 신문과 잡지, 책 등의 출판이 활발해지고, 이 문자로 교과서도 만들었다.
종 교 : 자연 숭배를 했었는데 당송 때 도교와 불교가 전파되었고, 근대에 와서는 기독교와 천주교의 교회가 세워졌다. 그러나 많이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기 타 : 중국의 소수민족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이다. 그래서 그 사는 지역에 따라 20여종의 명칭으로 불리우던 것이 중국정부 수립 후 "똥족(潼族)"으로 통일되었다. 그후 1965년 주은래(周恩來) 총리의 제창과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 쭈앙족(壯族)"으로 개칭되었다.
53. 리족(黎族) Li ethnic minority group
리족은 주로 해남성중남부의 동방, 백사, 릉수, 창강 리족자치현과 락동, 경중, 보정 리족 묘족자치현에 집거해 있고 일부분이 해남 기타 현시에 분산돼 당지 민족과 잡거해 있다.
인 구 : 1.112.498(1990) 언어와 문자 : 리어(漢藏語系 장동어족). 문자는 없다. 건국 후 점차한문을 통용했다.
종 교 : 조상숭배
기 타 : 해남도를 가장 먼저 개발한 민족이 리족의 조상이며, 해남도에서는 신석기의 문화 유적이 130곳이나 발견되었다. 리족은 농업을 위주로 하는데 벼재배 리경농업문화류형에 속하며 이밖에 수렵, 어업, 채집과 림업 등 다종경영에도 종사한다.
54. 부랑족(布朗族)-Blang ethnic minority group
부랑족의 인구는 약 8만2천명 정도이며 운남성의 서쌍반납, 림창, 쌍강, 진강, 란창, 경동과 흑강 등지의 산악지대에 분산해 거주하고 있으며 서쌍반납의 부랑산은 바로 이들의 집거지이다. 이들은 오랜 역사를 지닌 민족이며 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오랜동안 따이족의 통치를 받았다. 이들의 물질과 문화는 따이족과 매우 비슷하다.
언어와 문자 : 부랑족은 언어는 있지만 문자가 없다. 부랑족 언어의 대부분은 동화와 서사적인 시조이다.
종 교 : 소승불교, 조상숭배 부랑족은 오랜 역사를 가진 온화하고 친근한 민족이며 소승불교를 믿는다. 전체인구는 84,000명으로 주로 시쐉빤나 따이족자치주내 멍하이에 있는 부랑산(布朗山) 해발 1,500m의 산악지역에 거주한다.
생 활 : 주로 농업과 밭작물, 면화, 차 등을 재배한다. 부랑족의 거주지는 푸얼차의 원산지로 유명하다. 부랑족의 젊은이들은 검무(劍舞)와 원무(圓舞)를 좋아한다.
전통복장 : 음력 5월 5일은 말 경주를 하는 축제일이다. 최고의 기수가 참가하게 된다.
55. 무로족(??族)-Mulam ethnic minority group
무로족은 현유인구가 159328인에 달하며 주로 광서D족자치구북부 산지역에 분포돼있는데 90%가 라성(羅城)무로족자치현에 집거해있다. 무로족거지지는 풍경이 아름다워 "작은 계림(小桂林)"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곳은 풍부한 관광자원과 광물자원 및 토산물이 있다. 무로족은 주로 벼를 재배하며 석탄채집도 생산생활가운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무로족은 한장어계(漢藏語系)장뚱어족(壯東語族)뚱수이어지(東水語支)에 속하는데 대다수가 한어와 장족어에 능통하며 본 민족문자가 없고 한문을 통용한다. 무로족은 지난날 주로 도교를 신앙하는데 불교를 믿는 사람도 있다. 무로족의 명절이 비교적 많은바 한해 중 10월, 11월외에 거의 매달마다 명절이 있다. 3년에 한번씩 크게 경축하고 해마다 있는 이판절(依飯節)은 무로족의 가장 중요한 명절이다.
종 교 : 자연숭배, 다신교, 불교 사원도 많은 편인데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는 도교이다.
기 타 : 한나라때부터 한족의 영향을 받아 성을 부르기 시작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청색 옷을 좋아한다. 민족 원류 2만여 명으로, 귀주성 Mu lao족( 族)의 주요분포 지역은 치엔남(黔南), 치엔동남(黔東南)의 마쟝(麻江), 후췐(福泉), 웡안(瓮安), 두윈(都勻), 황핑(黃平), 치엔동남(黔東南)의 마쟝(麻江), 후췐(福泉), 웡안(瓮安), 두윈(都勻), 황핑(黃平), 카이리(凱里)일대인데 천여 년 이래로 이 지역에 살아 온 토착민족으로서 무라오인(木 人)은 자칭하기를, 마쟝(麻江)방언지역에서는 차워(qa wo), 카이리(凱里)방언지역에서는 lei wo(勒窩)라고도 한다.
민족의 기원은 일천 육백 년 전의 동진(東晋)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춘추 전국시대의 백월(百越)민족과 같은 공동체였고 역사상 서구(西 ), 낙월(駱越), Mu lao miao(木 苗),영( ), 영료( )등으로 호칭되었다.
56. 거로족 (??族)
인 구 : 438.192(1990) 언어와 문자 : 거라오어(한장어계). 현재는 거라오어를 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문자도 없다. 종 교 : 자연숭배 이들은 한족 및 기타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기 타 : '거라오'란 '사람'이란 뜻이 있고, 또 '대나무'란 뜻이있다. 쌀과 옥수수를 주식으로 한다. 주로 귀주성 경내 20여개의 현, 지구에 거주하고 일부가 운남성 중부 문산 일대의 부녕, 경남, 문산과 마관 등 현시에 분산돼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한족 및기타 소수민족들과 오랫동안 같이 집거해 왔기 때문에 이들의 풍속습관은 한족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