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

[스크랩] ‘찬송’, ‘찬양’ 용어의 의미

수호천사1 2018. 4. 22. 22:25

 ‘찬송’, ‘찬양’ 용어의 의미



1. ‘찬송’, ‘찬양’ 등의 용어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개혁개정판 성경에 나오는 음악에 관한 용어들 중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용어들 중에서 주요하고, 많이 사용되는 것은『찬송, 찬양, 송축, 찬미, 찬송시, 할렐루야 등』이 있다. 그 사용회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 분

찬 송

찬 양

송 축

찬 미

찬송시

할렐루야

노래

구 약

182

99

47

0

0

23

351

208

신 약

43

6

0

4

1

4

58

8

225

105

47

4

1

27

409

216

이외에도 자랑하다, 소요(훤화)하다, 칭송, 노래, 새 노래, 서로 부르다(창화하다), 신령한 노래, 드높임 등도 이에 비슷한 번역에 해당된다. 

 


2. 성경말씀의 이어짐


성경말씀은 지금으로부터 3,500여 년 전부터 기록되고 전달됨에 있어서 구약성경의 초기에는 상형문자, 설형문자(쐐기문자), 단순 선문자 등으로, 후기에는 원시적 히브리 문자들로, 신약성경은 주로 중세헬라문자(AD38세기의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대문자식 헬라문자, AD913세기의 소문자식 헬라문자) 등으로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문자들이 점점 발달됨에 따라 시대에 따라, 지역에 따라 민족, 나라 등에 따라 표현 방법이 다 달라서 성경의 필사본이, 또 사본의 사본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다. 신약성경만 해도 사본의 사본 등이 5,000여 종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는 언어습관, 언어문화 등이 오랜 시대를 거치면서 지역에 따라 달라지고 변함과 또한 문자를 기록하는 재료인 파피루스 등을 오래 보관할 수가 없었기 때문인 것이다. 그래서 그 뒤를 이어 양피지가(파피루스보다 글씨쓰기에 불편함) 개발되었으며 근래에 와서는 편리한 종이 등을 사용하게 이르렀다.

그리고 성경말씀이 주로 구두로 오랜 기간 동안 전달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전쟁에 의한 포로생활, 종교 암흑의 시대, 종교 탄압 등의 어려운 여건 가운데에서도(2:10,대상15:13-15,삼하6:2-10 )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으로서”(벧후1:20)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서”(4:12)와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드나 우리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리라”(40:8) 등에서와 같이 어려운 여건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의 뜻과 하나님의 마음과 생각이 이 성경말씀으로 계속 전달되고 이어져 왔음에 감사해야 한다. 

그러나 언어습관, 언어문화 등이 오랜 시대를 거치면서 달라지고 변해서 찬송, 찬양 등의 원어용어의 그 뜻과 의미와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이어지지 못하고 전달되지 못하였음은 안타깝게 생각된다. 그러므로 찬양, 찬송 등의 원어용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로, 어떤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었는지 알아보기가 퍽 어려운 실정이며, 또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도 문제인 것이다.

 

3. 찬송, 찬양 등 원어 용어의 뜻 ( * 는 사용횟수가 많은 것임 )


 <구약 히브리어>

*  ‘할랄’(16:24 찬양하다) : ‘명백해지다’(소리에서 기원함, 그러나 보통 색에 사용). 빛나다. 따라서 자랑삼아 ‘보이다’, ‘자랑하다’, 그러므로(떠들썩하게)‘어리석다’, ‘정신없이 지껄이다’, (자신을)자랑하다, 거행하다, 칭찬하다, 어리석게 만들다, 영광, (빛을)밝히다. 미치다. 찬양(하다. 할 가치가 있다). 격노하다, 유명한, 비치다.

- ()할렐루야(150:1 ‘할랄’), ()알렐루야, 알렐루이아(19:1) : 하나님께 찬양

*  ‘바라크’(대상29:10 송축하다) : 무릎을 꿇다. 꿇어 엎드리다. 절하다. 하나님께 기원하다. 복을 구하다. 찬양하다. 축복하다(인간들끼리). 복을 기원하다(하나님의 이름으로 어떤 사람에 대해). 축복하다. 번성하게 하다. 인사하다. 저주하다.

*  ‘테히라’(15:11 찬송) : 찬미,  특히(구상적으로)‘찬송’, 찬양.

*  ‘자마르’(5:3 찬송하다) : 노래와 음악으로 축하하다. 찬양하다. 찬송하다. 성가(), (). 악기의 현이나 부분을 ‘만지다’ 즉 연주하다. 음성에 맞추어 음악을 연주하다.

*  ‘야다’(왕상8:35 찬양하다) : 손을 사용하다. 던지다. 쏘다. 예배하다. 경배하다. 슬퍼하다. 인정하다(고백하다). 찬양하다. 쏘다. 감사하다. 

*  ‘쉬르’(대상9:33 찬송) : 노래하다. 노래 부르다(노래하는 남자, 노래하는 여자). ‘거니는 방랑 시인’의 개념.

*  ‘샤바흐’(63:3  주를 찬양하다) : 높은 어조로 ‘연설하다’ 즉 ‘큰소리로’, 상징적으로(말로써)‘달래다’, 안심시키다. 칭찬하다. 찬양하다. 고요하게 하다. 승리하다.

 ‘쉬라’(대상6:31 찬송) : 노래. 추상적으로 ‘노래함’. 음악의(음악적인), 노래하다(노래하는 사람. 노래함). .

 ‘셰바흐’(2:23 주를 찬양하나이다) : 아첨하다 즉 ‘숭배하다’ 찬양하다.

 ‘토다’(12:31 찬송하는 자) : 손을 펼침, 고백, 감사, 감사제물, 감사의 찬양.

 ‘베라크’(2:19 찬송하니라) : 무릎을 꿇다. 절하다(하나님께 기도하기 위해), 찬송하다, 축복하다. 

 ‘나바’(15:2 찬송) : (집에서와 같이)쉬다. (칭찬하는 말로)축하하다. 집에 있다. 거주지를 준비하다.

 ‘힐룰’(19:24 찬송) : (‘즐거움’의 뜻으로)추수로 인한 감사의 ‘축제’, 축제일, 감사절, 찬송하다. 연회.

 ‘예호바’(대하20:21 찬송) : 자존 자. 영원한 자. 신의 이름 ‘여호와’.

 ‘암’(대하31:8 송축하고 그의 백성) : 백성, 지파, 무리, 수행원들, , 사람들, 민족.

 ‘후에다’(12:8 찬송하는 일) : ‘환호’ 즉 노래하는 자들의 ‘합창’, ‘찬송’, ‘찬양.

 ‘샤마’(12:42 크게 찬송) : 듣다(어떤 일의 내용), (사람이 하는 말을)경청하다. 쾌히 듣다. 즐거이 듣다. 듣고 답하다. 순종하다. 주의 하다. 불러 모우다. 공포하다. 찬송하다.

 ‘로암’(66:17 높이 찬송) : ‘높임’ 즉(상징적, 또는 특별히)‘찬양’, 찬양하다.

 ‘라카브’(68:33 하늘을 타신 자에게 찬송하라) : (탈것에)‘타다’,‘올려놓다’ ‘급파하다’, (말등에)가져오다. 운반하다. 놓다. (마차를, -)타게(하다, 만들다).

 ‘카할’(89:5 모임 가운데에서 찬양하리이다) ; 이스라엘 백성들, ‘회중’ 무리, 회중, 성회, 군대.

 ‘루아’(100:1 즐거운 찬송을 부를 지어다) : ‘손상하다’(특히 깨트림으로서), 상징적으로는(소리를)귀가‘먹게 하다’ 즉(놀라거나 기뻐서)‘소리치다’, 놀라워하다, (크게)외치다. 파괴하다. 즐거운 소리를 내다. (기뻐서)소리치다. 경종을 울리다. 개가를 올리다.

 ‘지므라트’(118:14 찬송이시오) : 기악, 함축적으로 ‘찬양’, 노래.

 ‘리나’(126:2 찬양이 찼었도다) : ‘삐꺽거리는 소리’(비명소리), 함성, 외침, 즐거움, 기쁨, 선언, 흥겨움, 고함, 노래(부르고), (승리의)환호성.

 ‘로메마’(149:6 찬양이 있고) : 높임, 찬미, 높은.

 ‘라난’(31:12 찬송하며) : 빼각거리다. 즉 소리치다. 기뻐서 외치다. 부르짖다.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소리치다. (기뻐서, 크게)노래하다.


 <신약 헬라어>

*  ‘율로게오’(21:9 찬송하리로다) : ‘칭찬하다’ 즉 (종교적으로)‘축복하다’(감사하다 또는 ‘축복을 빌다’ ‘번영을 빌다’) 찬양하다.

*  ‘율로게토스’(14:61 찬송 받을 이) : 찬양 받을 만한, 축복 받은.

*  ‘아이네오’(2:13 찬송하여) : (하나님을)찬양하다. (하나님을)찬미하다.

*  ‘프살로’(15:9 찬송하리로다) : 휙 잡아당기다. 윙하고 울리다, 현악기를 ‘연주하다’, (음악과 함께 그리고 송시를 동반하여 신에 대한 경배로 ‘찬양하다’) 찬송하다, (시편을)노래하다. 찬미하다.

*  ‘휩네오’(26:30  그들이 찬미하고) : 찬송하다, 종교적인 송시를 노래하다. 노래로(하나님을) 찬양하다. 찬송을 부르다(찬미하다).

 ‘율로기아’(3:10 찬송) : ‘아름다운 말’ 즉 ‘언어의 우아함’, ‘칭찬’(찬미), (경건하게)‘찬양’, 종교적으로 ‘축도’, 봉헌, 은전, 부조.

 ‘에파이네오’(15:11 찬송하라) : 박수갈채하다, 기리다. 칭송하다, 찬양하다.

 ‘에파이노스’(1:6 찬송하라) : ‘칭송’, ‘찬양할’만한 것, ‘찬양’.

 ‘아이노스’(18:43 찬양하다) : 이야기, (하나님께)찬양, 찬미.

 ‘휩노스’(5:19 찬송) : ‘찬양하다’, ‘찬송’, 종교적인 송시(시편 중의 하나). 

 ‘메갈뤼노’(1:46 찬양하며) : ‘훌륭하게 만들다’(또는 선언하다), 즉 ‘증가하다’ ‘찬양하다’ ‘크게 보이다’ ‘웅장하게하다’ ‘크게 보이다’.

 ‘독사조’(13:48 찬송하며) : 찬양하다, 존경하다, 영예를 주다, 찬미하다, 영광 돌리다, 찬란하게 입히다, 영광스럽게 하다(내세에 올 영광으로).

 ‘프살모스’(고전14:26 찬송시) : ‘음악’의 일집, 거룩한 ‘송시’(육성, 하프 또는 다른 악기의 반주 있는‘시편’), ‘시편’의 책, 시편, 찬송시.

 ‘아도’(3:16 찬양하고) : ‘노래하다’.

 ‘아이네시스’(13:15 찬송) : 찬양함(그 행동), 감사함, 감사의 제물, 찬양.

 ‘오데’(5:19 노래) : 노래, 송시(일반적인 의미에서 불리는 노래들의 명칭), 히브리 영창을 의미, 종교적 운율의 곡 의미.

 

4. ‘찬송’, ‘찬양’ 등 원어 용어의 번역 내용 (사용횟수가 많은 구약 7종과 신약 5)


구분

용 어

원어 용어를 우리말 성경으로 번역한 내용 

용어쓰임

히브리어

할랄’

① 시150:1,2,3, 146:1, 16:24, 대상16:25, 12:24  등에서 75여회(신약 4회 포함)를 ‘찬양’으로

② 삼하22:4, 대상23:30, 18:3, 62:9 등에서 39여회를 ‘찬송’으로 

③ 시145:2에서는 1회를 ‘송축 / 등으로 번역되고 있으며 

주로

찬양’으로 번역

‘바라크’

① 왕상8:15, 대상16:36, 대하2:12, 9:5, 26:12,  66:8, 135:20 등에서 45여회를 ‘송축’으로

② 창9:26, 14:20, 18:10, 8:10, 18:46,  28:6, 31:21, 135:21, 144:1 등에서 35여회를 ‘찬송’으로

③ 삼하18:28, 왕상5:7, 106:48  등에서 ‘찬양 /  등으로

주로

송축또는‘찬송’으로 번역

‘테히라’

① 출15:11, 10:21, 대하20:22, 9:14, 22:3,  100:4, 42:8,10,12, 43:21, 60:6,18, 61:3,11,  62:7, 17:14, 33:9, 48:2 등에서 34여회를 ‘찬송’으로 

② 느9:5, 34:1, 66:8,  106:2, 148:14 등에서 10여회를 ‘찬양 / 등으로 

주로

찬송또는 찬양으로 번역

‘자마르’

① 시138:1, 146:2, 12:5, 5:3, 9:2,11,  18:49, 21:13, 27:6, 30:4,12, 47:6  등에서 23여회를 ‘찬송’으로 

② 시144:9, 147:1, 149:3, 삼하22:50, 61:8,  68:4 등에서 20여회를 ‘찬양 / 등으로 

주로

찬송’또는 찬양으로 번역

‘야다’

① 창29:35, 49:8, 28:7, 30:9 등에서 22여회를 ‘찬송’으로

② 왕상8:35, 43:4, 71:22, 89:5 등에서 5여회를 ‘찬양 / 등으로 

주로‘찬송’ 또는‘찬양’으로 번역

‘쉬르’

① 출15:1,21, 대상6:33, 대상9:33, 36:24, 13:6  98:1  7회를 찬송으로

② 출15:1, 5:3  73여회를 노래 / 등으로 

주로노래로 번역

‘샤바흐’

① 시63:6, 106:47, 117:1, 8:15, 145:4  등에서 5여회를 ‘찬양’으로 

② 시147:12, 117:1 등에서 ‘찬송’으로

③ 시89:9, 68:7, 29:11, 4:2, 대상16:34  등에서 5여회를 기타( 영광, 잔잔하게, 진정, 억제, 복되다) / 등으로 

주로‘찬양’으로 번역

헬라어

‘율로

게오’

① 마21:9, 11:9, 1:64,  24:53, 12:13, 3:9 등에서 11여회를 ‘찬송 / 등으로

주로찬송’으로 번역

‘유로게토 스’

① 막14:61, 1:68, 1:25, 고후1:3, 1:3,  벧전1:3 등에서 7여회를 ‘찬송’으로

② 롬9:5에서는 ‘찬양 / 등으로

주로

찬송으로 번역

‘아이 네오’

① 눅2:13,20, 3:8,9, 19:5 등에서 5여회를 ‘찬송’으로 

② 눅19:37, 15:11 등에서 2여회를 ‘찬양’으로 

③ 행2:47에서는 ‘찬미 / 등으로

주로찬송또는찬양’으로 번역

‘프살 로

① 롬15:9, 고전14:15, 5:19,  5:13 등에서 ‘찬송 / 등으로

주로찬송으로 번역

‘휩네오’

① 행16:25, 2:12 등에서는 ‘찬송’으로

② 마26:30, 14:26 등에서는 ‘찬미 / 등으로 번역되고 있음

‘찬,찬미로 번역

 

5. 찬송, 찬양 등 용어의 쓰임


하나님께 올려드릴 『찬송, 찬양, 송축, 찬미, 찬송시, 할렐루야 등』을 자세하게 구분하여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 찬송, 찬양 등의 원어용어의 그 뜻과 의미와 표현하는 방법이 바르게 이어지지 못하고 전달되지 못하였음은 언어습관, 언어문화 등이 오랜 시대를 거치면서 달라지고 변함과 또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 등의 문제 때문일 것이다. 이는 ()할랄’이란 용어만 해도 ‘찬양’, ‘찬송’, ‘송축’ 등 여러 가지로 번역되고 있는 사례로 보아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어의 뜻으로 보아

 <찬양> ‘할랄’,‘야다’ 등에서『자랑하다, 뽐내다, 빛나게 하다, 칭찬하다, 칭송하다, 영광을 돌리다, 예배·경배·감사를 드리다 등으로

 <찬송> ‘자마르’,‘테히라’ 등에서『노래와 음악으로 축하하다, (), 음성에 맞추어 음악을 연주하다, 구상적으로 찬송하다 등으로

 <송축> ‘바라크’ 등에서무릎을 꿇어 엎드리다, 복을 기원하다, 축복하다 등으로

 <찬미>는 신약의 ‘프살로’,‘휩네오’ 등에서시편으로 노래하다, 종교적인 송시를 노래하다, 노래로 찬양하다, 찬송(찬미)을 부르다, 음악과 함께 송시로 경배하다 등으로 구분하여 볼 수가 있다. 

★ 그리고 <종합적>으로 볼 때, 이는 특별한 목적을 가진 즉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자랑하여 높이 드러내고 하나님의 지극히 위대하심과 하나님이 행하신 기이한 일들을 칭송하고 뽐내며 기뻐하므로 하나님께 감사와 존귀와 영광을 돌리는 것』이 된다(43:21,15:1,21,18:10,대상16:25,7:17,28:6,7,8:10,56:4,117:2,148:13,72:18,19,2:20 ).

 

이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 받은 성도들이 하나님께 경배하며 영광을 돌리는 예배의 행위이며 또한 신앙의 표현인 것이다(150:6,43:7,21,148:1-10,1:6,5:19,3:16,17 ). 

그러므로 하나님께 올려 드릴 『찬송  찬양  찬미  송축  찬송시  할렐루야 등』은 일반적인 ‘노래’들과는 달리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하나님께 감사와 존귀와 영광을 돌리는 것으로 구별되어야 하고 또한 그렇게 구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옮긴글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