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미사곡'을 교회에서 부를 수 있는가
천주교 성당에서 부르는 성악곡인 미사곡을 교회에서도 부를 수 있는가?
[답변]
이 용어는 개혁교회가 즐겨 쓰는 말은 아니다. 다만 찬양대가 찬양할 때, 혹은 찬양대가 발표회를 할 때 소위 대곡(大曲)을 선택해서 하게 되는데 이 때 주로 사용하게 되는 찬양곡이 중세나 그 이후의 로마교회가 미사에 사용하던 곡을 가지고 노래할 때 쓰게 되는 말이다. 종합적으로 미사곡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에는 진혼미사곡, 대관식미사곡, 아베 마리아와 같이 잘 알려지고 즐겨 부르는 곡들이 있다.
문제는 이러한 곡들이 개혁교회에서 불려진다고 할 때이다. 찬양은 신앙고백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자신의 신앙을 담아서 공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행위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미사곡을 그대로 개혁교회의 찬양대가 부를 수 있는 가하는 질문은 자연스럽다.
아쉬운 것은 이러한 미사곡들은 대형교회의 찬양대가 아니면 거의 부를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그만큼 규모와 실력이 동반되어야만 할 수 있는 곡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곡을 다른 교회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교회들이 부르다보니 아무런 생각 없이 따라서 하게 되는 경우들이 생긴다.
우선 예배는 제사가 아니라는 점에서 어떤 미사곡이 되었든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찬양하는 내용은 곧 교리적인 것인데 그것을 달리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심각하게 생각해야 하는 문제이다. 로마교회는 제사의 의미로서 미사를 행한다. 그리고 그것을 찬양하고 감사하는 것인데 그 내용을 그대로 찬양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자연스럽게 문제의식을 가지게 할 것이다.
특히, 진혼미사곡은 개혁교회에서 부를 수 없는 곡이다. 진혼곡이란 다른 말로 위령곡(慰靈曲)이다. 즉, 죽은 자를 달래기 위한 노래인 것이다. 그런데 곡이 좋다고, 화음이 좋다고 진혼곡을 개혁교회의 찬양대가 부른다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는 것이다.
같은 의미로 아베 마리아(Ave Maria)를 노래해서 사람들의 귀를 즐겁게 하는 것으로 만족할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마리아를 찬양하는 곡을 개혁교회 찬양대가 부를 때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찬양은 개인적이든 교회적이든 객관적인 신앙을 담아서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입장에서는 수용할 수 없는 것을 아무런 생각 없이 그대로 노래한다면 스스로 자신의 신앙을 부정하는 결과에 이를 것이다. 따라서 교회에서 찬양곡을 선택할 때에는 신앙적인 의식을 가지고 해야 할 것이며 단지 곡이 좋아서 라는 생각에 지배를 받게 되면 이러한 실수를 하게 된다는 생각을 깊이 해야 할 것이다.
---------------------------------------퍼가실땐 ↑위까지복사
-------------------후원을 부탁 드리는 글
전체회원님께 후원을 부탁하는 글을 보내드렸지만 한분도 후원하지 않았습니다
예전에는 한분정도는 후원하셔서 먹을것을 살 수 있었지만 지금은 아무도 없습니다
공과금을 내고나니 먹을것도 못삽니다 기독교인 2만회원이 넘지만 카페지기는 너무힙듭니다
이글을 보시면 도와주시길 부탁합니다...
카페운영을 하도록 도와주세요..
생활비와 치료비가 없고 너무 사는게 어렵다 보니 카페운영도 심적으로 부담되고
마음도 무겁습니다 작은 나눔의 손길로 예수님의 사랑을 보내주시길 바랍니다..
사랑하는회원님이 도와주셔야 카페지기는 추워지는 겨울을 날 수있습니다....
정회원님들도 사랑회원이 되어주세요 입금하시면 아이디를 문자로 보내주세요..
카페.후원계좌-국민은행 229101-04-170848 예금주.황종구
선교후원-농협 233012-51-024388 예금주.황종구
'예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극장문화의 우상과 민주주의 (0) | 2016.12.10 |
---|---|
[스크랩] 목사 예복(예배복) (0) | 2016.12.08 |
[스크랩] 예배에 대한 총정리 (0) | 2016.12.04 |
[스크랩] 예배에 대한 총정리 (0) | 2016.12.04 |
[스크랩] 설교, 스스로를 감동시킬 정도로 철저히 준비하라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