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학

[스크랩] 기독교의 상징들

수호천사1 2016. 10. 20. 10:01

기독교의 상징들

 

 

기독교의 오랜 역사와 전통에는 Icon (아이콘) 또는 Symble (심볼) 로 불리는 여러가지 신앙적 상징들이 있습니다.

 

 

1. 익투스 (ἰχθύς)

 

하나님의 아들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

 



 


 

익투스 (고대 그리스어 :  ἰχθύς 이크투스, 대문자 표기로 ΙΧΘΥΣ)

 

Ιησους (예수) 

Χριστος (그리스도 - 크리스토스) 

θεου (데우) 하나님의  

Υιος(휘오스)  아들 

Σωτηρ (소테르) 구원자

 




'익투스'라는 단어는 '물고기'라는 뜻입니다. 

초대 교회에서는 이 물고기라는 단어를 상징적으로 생각했으며 위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익트스가 되었다는 학설이 유력합니다.

 

박해를 받았던 초대 기독교인들은 피아식별의 방법으로 물고기 그림을 암호처럼 그려서 활용했고, 물고기를 그린 사람의 뒤를 따라가면 기독교인들의 은신처 '카타콤'에 찾아 갈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익투스는

'하나님의 아들이자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 또는 '주는 나의 그리스도시요 하나님의 아들이시라' 라는 뜻으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2. 키로(XP) 십자가

 

그리스도(Χριστοσ) 라는 헬라어의 단어 첫번째와 두번째 알파벳

 

 

 

영어 스펠링 PX 를 겹합한 것 처럼 보이는 이 아이코은 그리스도 Χριστοσ (크리스토스) 라는 헬라어의 첫번째와 두번째의 알파벳을 결합시켜 놓은 것 입니다.

X 를 헬라어로 [ㅎ키], P 를 [로ㅎ-] 로 부르기 때문에 키로 십자가 입니다.

 

이 아이콘은 기독교를 로마의 공인 국교로 삼은 '콘스탄틴 황제'가 꿈에서 본 것을 깃발로 삼아 전쟁터에 나갔다고 해서 널리 알려진 문장입니다.

 

 

 

3. INRI

 

(라틴어 :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 예수님의 십자가 명패

 

 

 

'빌라도'가 패를 써서 십자가 위에 붙이니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I.N.R.I.) 이라 기록되었더라

예수의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와 로마와 헬라 말로 기록되었더라

유대인의 대제사장들이 빌라도에게 이르되 유대인의 왕이라 말고 자칭 유대인의 왕이라 쓰라 하니

빌라도가 대답하되 나의 쓸 것을 썼다 하니라

 

[요한복음 19:19~19:22]  

 

라틴어 성경 요한복음 Evangelium Secundum Ioannem 19:19~19:22

scripsit autem et titulum Pilatus et posuit super crucem erat autem scriptum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hunc ergo titulum multi legerunt Iudaeorum quia prope

civitatem erat locus ubi crucifixus est Iesus et erat scriptum hebraice graece et latine dicebant

ergo Pilato pontifices Iudaeorum noli scribere rex Iudaeorum sed quia ipse dixit rex sum

Iudaeorum respondit Pilatus quod scripsi scripsi

 

 

위 라틴어 성경에 나타난 바와 같이 INRI는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십자가 위에 붙인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는 글의 라틴어(로마어) 첫글자만을 딴 것입니다.

Iesus Nazarenus, Rex Iudaeorum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 - 영어 / Jesus of Nazareth, King of the Jews)

 

  

 

 

 

 

 

    

4. IHS

 

고대 그리스어로 예수 'Ιησους' 의 첫번째, 두번째, 마지막 스펠링의 약자    

또는 라틴어라 'Iesus Hominum Salvator'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

 

 

HIS 는 예수(Jesus) 를 뜻하는 약어 입니다. 

희랍어는 'Ιησους'라고 표기하며 ...η (에타)는 라틴어로 표기할 때  대문자로 'H' , σ(시그마) 는 대문자 'S' 가 되며, 양피지로 필사하던 시대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주요단어들을 약자로 기록하던 시절의 유래입니다. 

그후, 라틴어로 새로운 의미가 부가되었는데 옮겨쓰는 과장에서 새로운 의미를 더했다고도 추정되며 뜻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Iesus

    Hominum

    Salvator'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

 

    라틴어에서 I J는 종종 구별되지 않고 혼용됩니다.

    예수Iesus 를 지저스Jesus라고 부르게 되는 과정이 이 I와 J가 구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IHS라는 글은 JHS로 표기되기도 했습니다.

 








  

 

 

 

 

 

 5. 알파와 오메가

 

 

[계 1:8] 주 하나님이 이르시되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라 하시더라

[계 21:6] 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을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

[계 22:13]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

 

알파와 오메가는 헬라어 알파벳의 처음과 마지막 입니다.

세계와 인류의 처음이시고 마지막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단어입니다.

     

 

[하나님의 표기]

 

그리스어 알파벳 기호 θ (세-타) theta; 를 하나님으로 표기합니다.

이는 헬라어 '테오스' (하나님 θεοs =Θεου) 의 머릿 글자와도 같으며 세계 각국의 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   국 : 하나님

일   본 :   

중   국 : 上   帝

미   국 : God

독   일 : Gott

터   키 : Tanrı

프랑스 : Dieu

그리스 : θεός

러시아 : бог

이태리 : Dio

스페인 : Dios

폴란드 : Bóg

아랍어 : الله

페르시아 : خداوند

포르투갈 : deus

우크라이나 : Бог

인도네시아 : Tuhan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